KR20130003639A -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639A
KR20130003639A KR1020110065099A KR20110065099A KR20130003639A KR 20130003639 A KR20130003639 A KR 20130003639A KR 1020110065099 A KR1020110065099 A KR 1020110065099A KR 20110065099 A KR20110065099 A KR 20110065099A KR 20130003639 A KR20130003639 A KR 2013000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livestock
probiotic
kct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수
김경수
이완규
Original Assignee
(주)오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티 filed Critical (주)오비티
Priority to KR102011006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639A/ko
Publication of KR2013000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8Baker's yeast; Brewer's yeast
    • C12N1/185Saccharomyces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85Saccharomyces
    • C12R2001/865Saccharomyces cerevisi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내열성 등이 매우 우수하고, 각종 효소활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면역활성효능이 뛰어나 가축용 생균제로서 적합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 (Saccharomyces cerevisiae SY4)(KCTC 11928BP)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모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하여 가축의 장내 도달이 용이하며, 내열성 및 알코올 생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제품제조 공정 및 유통시 안성성이 있고, 효소활성능력과 면역활성을 증강시키는 효능으로 인하여 가축생산성, 질병발생억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Saccharomyces cerevisiae having probiotic potentials for livestocks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it}
본 발명은 효모를 이용한 생균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열성, 소화효소활성 및 면역활성 증진 효능을 지닌, 가축용 생균제로 적합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효모는 진핵세포로 구성된 단세포 미생물로서, 당을 발효시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능력이 있으며 주로 출아(budding)에 의하여 증식하는 진균류의 총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효모는 과일의 표면, 토양, 공기, 해수, 식물의 표피와 꽃술 및 동물의 체내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분포되어 자연계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예로부터 알코올 제조 및 제빵 등의 용도로 인간에게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효모 자체가 값싼 단백질 및 비타민의 영양공급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특히 보조사료 생균제로서 장내미생물의 균형을 유지하고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며 면역증진의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현재 사료 내 영양소의 소화율 및 가축 생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료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다.
사료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는 효모 제품으로는, 효모와 대사생성물이 함유된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효모배양물 (Yeast culture), 제빵용 건조효모와 같은 활성효모제품(Viable yeast products), brewers dried yeast와 Torula dried yeast와 같은 고영양가 함유 영양효모제품(Nutritional yeast products), 그리고 효모내 셀레늄 또는 크롬 등을 함유한 특수목적 효모제품 (Special purpose yeast products) 등이 있다. 상기 제품들은 반추가축의 사료첨가제로서 사용되어, 반추위내 잔류산소를 제거하고, 반추미생물의 활동 및 성장을 촉진시키기도 하며, 효모세포 자체의 영양물질인 필수아미노산, 비타민 B군, 미네랄 등과 효모증식과정에서 분비하는 소화효소들이 가축의 생산성을 증대하고 소화율을 향상시키며, 향미성 물질로 인하여 사료의 기호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효모의 세포벽인 만난(mannan)과 글루칸은 면역활성을 증진시켜 장내 유해세균들의 성장억제 기능을 나타낸다,
효모는 3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단단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데, 세포내측은 주성분인 베타 1,3 및 1,6 글루칸과 소량의 키틴 및 만노단백질로 되어 있으며, 외측은 만난이 단백질과 연결되어 있는 만노단백질로 되어 있다. 베타-글루칸(β-glucan)은 면역자극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러스 감염 시 숙주 방어기전을 강화시킨다. 또, 염증반응 시 대식세포와 단핵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와 유도된 질산(inducible nitric oxide, NO)은 일반적으로 독감 바이러스를 포함한 RNA 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제10-0390546호, 제10-0614217호 및 제10-0700910호 등에서는 돌연변이원(NTG, EMS, UV 등)과 세포벽 분해효소 등을 이용한 돌연변이를 통해 효모 세포벽 구성성분인 글루칸 또는 만노단백질의 성분을 변화시켜 기존의 효모보다 면역활성 촉진기능이 향상된 효모변이주를 제조하고 있다. 이 특허들은 효모를 살아있는 생균제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벽 성분인 글루칸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의약품 또는 기능성식품에 한정되어 이용되는 기술이다. 등록특허 제10-0860778호는 면역증강 활성을 갖는 효모 및 효모-미네랄 복합체를 함유하는 사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공지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일반적인 효모를 살균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생균으로서의 활력이 요구되는 생균제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09-0002595호도 돌연변이 효모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글루칸을 포함하는 면역조절용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770607호와 제10-0462279호는 전통발효주에서 분리한 효모에 관해 기술하고 있는데, 이 효모들은 높은 내당성 및 내알코올성 특징을 지닌 효모로서 주로 알코올발효에 한정되어 이용된다. 또한, 효모를 포함하는 발효사료나 사료첨가제 또는 가축용 생균제에 관한 국내 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0840145호, 제10-0880915호, 제10-0410830호 등이 있으나, 생균제 기준을 만족하는 내산성, 내담즙산성, 항균력, 면역력 증강력 등을 지닌 효모인지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이밖에 셀레늄이나 글루타치온 등이 강화된 사료첨가제용 효모균주를 제조하는 특허문헌들도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도 생균제로서의 효과보다는 효모 내 함유된 특정물질에 의한 효능을 기대하는 사료첨가제들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 효모는 사료첨가제나 가축용 생균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들은 효모 자체를 생균제로서 이용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효모가 지닌 일반적인 기능, 즉 영양원으로서의 기능, 사료 내 영양소의 소화율 개선 기능 등을 사료첨가제나 생균제에 부여하기 위해 효모를 함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서, 생균제로서의 조건을 만족하는 효모균주나 이를 이용한 생균제는 찾아볼 수 없다.
효모에 대해 생균제로서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효모균주 자체가 생균제 선택기준인 내산성, 내담즙산성, 효소활성, 면역증강 효능 등을 만족하는 균주라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자체로 생균제로서의 효능을 보유하여 가축용 생균제로 사용될 수 있는 효모 균주와 이 균주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여러 가지 효모출처원으로부터 샘플을 수거한 후, 미생물 동정을 실시하여 정확하게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로 확인된 효모균주들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가축용 생균제 선택기준인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열성, 알코올 생성능 및 내성에 대하여 비교분석하고, 효소활성 및 면역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생균제 조건에 부합하는 효모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새로운 효모균주로서 최종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 (Saccharomyces cerevisiae SY4, KCTC 11928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 KCTC 11928BP를 포함하는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축은, 바람직하게는 소, 돼지, 닭, 오리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KCTC 11928BP)를 12~72시간 액체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KCTC 11928BP)를, 0.5∼4% 소이펩톤 또는 동물성 단백질; 0.1∼2.0% 이스트 추출물; 0.5∼3% 포도당; 0.001∼0.01%의 미네랄(철분, 마그네슘, 망간 등); 및 증류수 잔부를 포함하는 액체배지에서, 25∼35℃, 호기조건으로 24∼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된 균체와 동결보호제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여 1.0 x 109 ∼ 1.0 x 1011 cfu/g 수준의 효모원말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용 생균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 (Saccharomyces cerevisiae SY4)는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우수하여 가축의 위장관을 통과하여 장내까지 도달할 수 있으므로 장내미생물의 균형을 유지해 주고, 알코올 생성능 등 향미성분 생성능이 우수하므로 사료의 기호성 증진에 기여하고, 강한 내열성으로 인하여 제품제조 공정 또는 유통시에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모 균주는 소화에 관여된 효소들의 활성이 매우 높아 가축의 생산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면역활성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으므로 질병발생 억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선발된 효모균주들이 에탄올 무첨가 배지에서 성장한 흡광도와 에탄올 농도15% 배지에서 성장한 흡광도를 대비하여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도 2는 선발된 효모균주들의 내열성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축용 생균제로 사용할 수 있는 효모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연계로부터 많은 수의 효모들을 분리하고 동정한 결과, 생균제적 사용기준에 적합한 효모 10주를 우선 선발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선발된 10주의 효모균주에 대하여 생화학적 특성, 내산성, 내담즙산성, 알코올 내성 및 생성능, 내열성, 소화효소 활성 조사 및 면역활성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생균제로 적합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 (Saccharomyces cerevisiae SY4)를 선발하였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2011년 4월 27일자로 기탁번호 KCTC 11928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효모 생균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선발 효모균주를 12~72시간 액체 배양하여 종균으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10㎖의 YM 액체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것을 대량생산을 위한 종균으로 사용한다. 대량생산용 배지로는 0.5∼4% 소이펩톤 또는 동물성 단백질, 0.1∼2.0% 이스트 추출물, 0.5∼3% 포도당, 그리고 0.001∼0.01%의 미네랄(철분, 마그네슘, 망간 등)을 사용하며, 배양조건으로는 25∼35℃, 호기적인 상태에서 24∼72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이 완료된 후, 신속하게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한 다음, 동결보호제와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동결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동결보호제는, 바람직하게는 탈지분유, 말토덱스트린, 유당, 밀가루, 사이클로덱스트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 4종 이상을 약 0.5∼30% 범위로 함유한다. 동결건조하여 제조가 완료된 효모원말(생균제)은 균수가 1.0 x 109 ∼ 1.0 x 1011 cfu/g 수준이다. 이 효모원말(생균제)을 1.0 x 108 ∼ 1.0 x 1010 cfu/g 수준으로 포함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x 109 cfu/g 수준으로 포함하도록 다른 생균제나 부형제, 영양물질, 또는 통상의 사료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조성물을 만들면, 본 발명의 생균제 조성물이 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효모균주의 분리 및 동정
생균제의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효모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효모제품, 양조장에서 수거한 술지게미 및 자연발효식품(김치 등)으로부터 샘플을 수거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신선한 상태로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즉, 효모 분리용 배지인 PDA agr 배지에 적당히 희석한 샘플액을 도말한 다음, 25~30℃에서 48시간 배양한 다음, 1차로 50여종의 집락을 선발하였다. 상기 집락중에서 API20C AUX Kit를 이용하여 균주를 동정함으로써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된 10개의 효모를 확보하였다(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2
내산성 내담즙산성 실험
분리한 효모 균주를 YM 액체배지에 일정량 접종하여 30℃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0.05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을 HCl로 보정하여 만든 pH 7.0, 3.0, 2.5, 2.3, 2.0 완충용액 속에 각각 107 cfu/㎖정도의 초기 접종농도로 접종하였다. 위 용액을 30℃에서 2시간 동안 정치배양한 후, 각 농도별로 1㎖ 희석액을 PDA 한천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 후에 나타난 집락수를 계수함으로써 각각의 산성 pH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분리한 효모균주를 YM 액체배지에 일정량 접종하여 30℃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다음 멸균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후, Gilliland 등(1977)의 방법을 변형하여 옥스갈(oxgall, Difco)이 각각 0%, 0.05%, 0.1%, 0.3%, 0.5%씩 함유된 PDA 한천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 후에 나타난 집락수를 계수함으로써 담즙산 농도에 따른 내담즙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내산성 실험 결과, SY-4는 pH 2.0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후 생존율이 96% 이상이었으며(표 2), SY-3 균주도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내담즙산성 실험 결과, 담즙산 농도 0.5% 까지 100% 생존한 균주는 SY-4 뿐이었으며, SY-9균주는 내담즙산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서와 같이, 동일한 S. cerevisiae 일지라도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에 대한 내성 특성이 상당하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SY-4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산성이 높기 때문에 생균제 요건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에탄올 내성 실험
고농도 에탄올 발효 시에도 충분한 내성을 가지는 효모를 분리하기 위하여 에탄올이 각각 0, 5, 10, 15%의 농도로 함유된 10㎖의 YM 액체배지에 분리된 효모 배양액을 0.1% 농도로 접종하고 30℃에서 5일간 배양 후,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에탄올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성장한 흡광도와 에탄올 농도 15% 배지에서 성장한 흡광도를 대비하여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탁주 또는 약주 제조 후 남은 술지게미에서 분리한 균주인 SY 4, 5, 6 균주들이 알코올 농도 15%에서도 매우 강한 내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알코올 발효능 실험
선발한 효모의 알코올 생성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효모균주들을 YPD24 배지(1% yeast extract, 2% peptone, 24% dextrose)에서 30℃, 180rpm으로 2일간 진탕 배양한 다음, 배양 상등액 100㎖를 원심분리하여 에탄올키트(Roche, German)를 이용하여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알코올 생성능을 비교실험한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SY-4, SY-6, 그리고 SY-7 효모들이 2.2% 이상의 가장 높은 알코올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실시예 5
내열성 실험
선발한 효모균주들의 내열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각각의 효모들을 YM 액체배지, 30℃에서 진탕배양하여 1일간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pellet를 분리한 후, 50m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에 현탁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60℃ 수조(water bath)에서 30분간 방치 후, PDA 고체배지에 적당량 도말한 다음 생존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와 같다. SY-4 균주는 다른 효모균주들에 비하여 12%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효소활성 조사
선발한 효모균주를 YM 브로스(broth)에 접종하여 30℃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 후, 배양액을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0.22㎛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아밀라제(Amylase)와 셀룰라제(cellulase)의 활성 측정은 밀러(Miller, 1959)의 DNS(dinitrosalicyclic acid)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배양액 50㎕를 각각 950㎕의 0.5% 기질(starch, carboxym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0.1M Tris-HCl 효소반응액(pH 7.0)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의 DNS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를 다시 끓는 물에서 5∼7분간 방치하여 발색시키고 즉시 냉각시킨 후, 8㎖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UV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 Unico,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밀라제와 셀룰라제 활성도 1 유닛은 37℃에서 1분 동안 1㎛ 에 상응하는 환원당(glucose)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다.
Figure pat00005
아밀라제와 셀룰라제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SY-1과 SY-4균주가 각각 3.5 unit/㎖와 2.0 unit/㎖ 이상씩 높은 효소활성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면역활성 실험
7-1. Heat-killed Yeast 제조
Saccharomyces cerevisiae SY-4, 5, 6, 7 균주를 YM 액체배지에 접종해서 30℃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후, 6,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수거한 균체를 RPMI 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100℃에서 10분간 가열함으로써 heat-killed yeast를 제조하였으며, 1.0 x 108 cells/㎖로 조정하였다.
7-2. RAW 264.7 cell 배양 및 시료처리
면역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AW 264.7 cell(murine macrophage, 5.0 x 105 cells/㎖)를 Flat bottomed 12 well plate에 1㎖씩 분주하였다. 각각의 샘플(heat-killed yeast)를 400㎕로 첨가하고 600㎕의 RPMI 배지를 주입하여 총 2㎖를 만든 후, 37℃에서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거하여 NO, TNF-α, 및 IL-1β 측정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7-3. NO(nitrogen oxide), TNF-α, 및 IL-1β 생성능 측정
NO는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물질로서, 암세포에 대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며, 면역반응 시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외래 병원성 물질에 반응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NO의 측정은 상기 상층액 시료를 50㎕씩 98-well plate에 분주하고 griess reagent I과 griess reagent II 각각 50㎕ 씩 첨가하고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NF-α 및 IL-1β생성능은 enzyme-linked immunoabsorbent assay (Mouse TNF-α 또는 IL-1βELISA set, BD OptEI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으로는 LPS를 처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 6과 같다.
Figure pat00006
Saccharomyces cerevisiae SY-4의 경우, NO, TNF-α 및 IL-1β 활성도에서 다른 효모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8
효모 생균제 배양 및 제조
최종 선발한 Saccharomyces cerevisiae SY-4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를 포함한 최적 배지와 배양조건(배양시간, 온도, 진탕속도 등)에 대한 최적화작업을 진행하였다.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슈크로오스, 갈라토오스, 과당, 셀로비오스(cellobiose), 수용성 전분(soluble starch) 등을 준비한 후 중량대비 1% yeast extract가 함유된 기본배지에 상기 탄소원을 각각 1% 첨가하여 조제하고, 여기에 SY-4 효모를 1% 접종한 다음, 30℃에서 24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질소원으로는 soy peptone, malt extract, beef extract, yeast extract, (NH4)2SO4 등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를 중량대비 2% 첨가했을 때, 1.1 x 109 cfu/㎖로 가장 높은 생균수를 보였으며, 질소원으로는 중량대비 2.5% 소이펩톤(soy peptone) 첨가시, 4.8 x 108 cfu/㎖로 높은 효모균수를 나타내었다. 미량원소로는 FeSO4, MgSO4, ZnSO4, MnSO4 등을 사용하였으며, FeSO4만 1.2 x 109 cfu/㎖로 약간의 증식효과를 보였다. 최종적인 배지조성으로는 2% glucose, 2.5% soy peptone, 0.5% yeast extract, 0.001% FeSO4 로 이루어진 배지에서, 효모균주를 30℃, 150rpm으로 30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3.0 x 109 cfu/㎖의 생균수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한 다음, 동결보호제(5% 탈지분유 + 6% 말토덱스트린 + 5% 사이클로덱스트린 + 2% 밀가루)와 1:1 비중으로 혼합한 후 동결건조를 실시하였다. 동결건조 효모원말의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8.0 x 1010 cfu/g 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효모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은,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열성, 효소활성 및 면역활성 등 생균제적 선택기준에 적합한 효모를 선발하여 적용한 것으로서, 단순한 효모의 기능 외에 효모 자체가 생균제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기능성 생균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 생균제의 효능을 강화시키는 용도로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모 균주를 이용한 생균제는 가축에 적용 시 사료에 대한 기호성을 증진시키고,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면역활성 증진에 따른 병원성 세균의 억제 등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축종의 제한 없이 가축용 생균제로 산업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928BP 20110427

Claims (5)

  1.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Saccharomyces cerevisiae SY4, KCTC 11928BP).
  2.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KCTC 11928BP)를 포함하는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3. 제2항에서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 돼지, 닭, 오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4.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KCTC 11928BP)를 12~48시간 액체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Y4(KCTC 11928BP)를, 0.5∼4% 소이펩톤 또는 동물성 단백질; 0.1∼2.0% 이스트 추출물; 0.5∼3% 포도당; 0.001∼0.01%의 미네랄(철분, 마그네슘, 망간 등); 및 증류수 잔부를 포함하는 액체배지에서, 25∼35℃, 호기조건으로 24∼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된 균체와 동결보호제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여 1.0 x 109 ∼ 1.0 x 1011 cfu/g 수준의 효모원말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축용 생균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보호제는 탈지분유, 말토덱스트린, 유당, 밀가루, 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10065099A 2011-06-30 2011-06-30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KR20130003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099A KR20130003639A (ko) 2011-06-30 2011-06-30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099A KR20130003639A (ko) 2011-06-30 2011-06-30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639A true KR20130003639A (ko) 2013-01-09

Family

ID=4783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099A KR20130003639A (ko) 2011-06-30 2011-06-30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6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84A (ko) * 2014-04-09 2015-10-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20160099830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컬처바이오 축산악취의 감소 및 면역활성 효과를 가지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 cb 8521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제
KR101971241B1 (ko) 2018-01-29 2019-04-22 서명수 내열성이 우수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5923B1 (ko) * 2019-07-10 2020-06-01 이영환 미네랄 미생물 제조방법
KR102125363B1 (ko) * 2018-12-13 2020-06-22 대한민국 곡주 제조용 분말형 효모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84A (ko) * 2014-04-09 2015-10-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유산균, 진균 및 세균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20160099830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컬처바이오 축산악취의 감소 및 면역활성 효과를 가지는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 cb 8521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제
KR101971241B1 (ko) 2018-01-29 2019-04-22 서명수 내열성이 우수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5363B1 (ko) * 2018-12-13 2020-06-22 대한민국 곡주 제조용 분말형 효모 제조방법
KR102095923B1 (ko) * 2019-07-10 2020-06-01 이영환 미네랄 미생물 제조방법
WO2021006695A1 (ko) * 2019-07-10 2021-01-14 이영환 미네랄 미생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60540B (zh) 一种用于教槽料的生物饲料及教槽料
CN109161509B (zh) 一株能防治牛羊腹泻病的菌株
CN105132322A (zh) 一株植物乳杆菌及其应用
TWI462701B (zh) 用於生產具有一被降低的嘌呤化合物含量的食品產品之方法
CN111534459B (zh) 一株高产淀粉酶的发酵乳杆菌及其在制备发酵饲料中的应用
CN110157645B (zh) 一种唾液乳杆菌y4及其应用
CN105176874A (zh) 凝结芽孢杆菌fm603及其应用
KR20130003639A (ko) 가축용 생균제 효능을 보유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가축용 생균제 조성물
CN101990822B (zh) 银耳孢子发酵物生物活性饲料添加剂
CN112457999A (zh) 一种富硒酿酒酵母菌株及其应用
CN105175518A (zh) 凝结芽孢杆菌fm603产生的细菌素及其制备方法
CN109022313B (zh) 一株植物乳杆菌
CN105265769B (zh) 一种多功能菌发酵复合酶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819359A (zh) 一种发酵菜粕及其生产方法
CN103266074B (zh) 一种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应用
KR100287825B1 (ko) 가축용 복합 미생물 제제
CN102174414B (zh) 一种新的肋脉羊肚菌m8-13液体发酵物在保健品及医药开发中的应用
CN104342372B (zh) 一种利用益生菌发酵生产酵母水解物的方法
CN111676153B (zh) 一株植物乳杆菌及其在水产发酵饲料中的应用
KR101348124B1 (ko) 미생물에 의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발효 생산방법
CN102669432A (zh) 一种鹅用复合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
CN115927032A (zh) 枯草芽孢杆菌、发酵剂及制备方法和它们的应用
CN113875975A (zh) 一种利用小麦加工副产物制备后生元的发酵工艺
CN114480140B (zh) 一种间型脉孢菌及其应用
Dumitrache et al. Protein Sources for Animal Feed: Yeast Biomass of Beer and/or Wine-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