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02U -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 Google Patents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02U
KR20130003402U KR2020110010644U KR20110010644U KR20130003402U KR 20130003402 U KR20130003402 U KR 20130003402U KR 2020110010644 U KR2020110010644 U KR 2020110010644U KR 20110010644 U KR20110010644 U KR 20110010644U KR 20130003402 U KR20130003402 U KR 201300034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angul
learning
blocks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803Y1 (ko
Inventor
황호정
Original Assignee
(주)문화예술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화예술에이지 filed Critical (주)문화예술에이지
Priority to KR2020110010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0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한글 자모 조합 체계에 의한 한글 학습에 적합한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관한 것이다.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한글의 "ㄱ"자 및 "ㅅ"자를 표현하는 "ㄱ"자형 블록; 한글의 "ㅁ"자를 표현하는 "ㅁ"자형 블록; 한글의 "o"자를 표현하는 "o"자형 블록;
한글의 "ㆍ"자를 표현하는 "ㆍ"자형 블록; 한글의 "ㅡ"자를 표현하는 "ㅡ"자형 블록; 및 한글의 "ㅣ"자를 표현하는 "ㅣ"자형 블록;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Block-instrument for teaching hangle}
본 고안은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 자모 조합 체계에 의한 한글 학습에 적합한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블록 완구를 통해 학습 아동들의 흥미를 유발함을 물론 한글 자모 조합 체계를 통해 한글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표현력 및 창의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
한글은 28개의 자모 글자로 구성되며, 이들 자모 글자들을 조합함에 의해 다양한 글자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학습 아동을 대상으로 한글을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종래의 학습 교구들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28자의 자모 글자들을 조합함에 의해 단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학습 교구들은, 각각의 자모 글자들이 보다 세부적인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28자의 자모 글자들에 의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한글의 구성 원리를 제대로 학습시키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ㅎ"자는 "ㆍ", "ㅡ" 그리고 "o"으로 구성되지만, 28자의 자모 글자는 이를 단순히 하나의 자음 글자로만 표현하고 있어서, 학습 아동들이 한글을 이루는 기본적인 글자 구조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학습 교구들은 대부분은 있어서 각각의 자모에 대응하는 전체 28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바, 이들 조각들 중의 일부가 없어진 경우에는 원활한 학습을 수행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이 일부 구성 부품의 결여로 인한 학습의 중단은 주의력이 부족한 학습 아동들에게 있어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적어도 상기의 문제점들 중의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학습 아동들에게 파자 원리에 입각한 한글 구성의 기본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학습 아동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한글의 "ㄱ"자 및 "ㅅ"자를 표현하는 "ㄱ"자형 블록;
한글의 "ㅁ"자를 표현하는 "ㅁ"자형 블록;
한글의 "o"자를 표현하는 "o"자형 블록;
한글의 "ㆍ"자를 표현하는 "ㆍ"자형 블록;
한글의 "ㅡ"자를 표현하는 "ㅡ"자형 블록; 및
한글의 "ㅣ"자를 표현하는 "ㅣ"자형 블록;
을 포함하는 기본 자모 블록들이 구비되며, 각 기본 자모 블록들을 조합함에 의해 다양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천지인 조합 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아동들로 하여금 한글의 구성 원리를 체감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최소 개수의 기본 자모 블록을 사용함으로써 블록의 유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각 기본 자모 블록에 서로 다른 색상을 적용함으로써 심미감을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 아동들의 학습 참여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한글에 있어서 가획/병서, 초출자/재출자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기본 자모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자음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자음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자음 블록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자음들을 구성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자음 블록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자음들을 구성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모음 블록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모음들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기본 자모 블록들로 구성되는 한 세트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활용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카드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글자형 블록의 배면에 자석을 부착시킨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다른 활용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자석이 붙을 수 있는 보드판을 이용한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구성 및 활용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한글은 14자의 기본 자음과 10자의 기본 모음 나아가 쌍자음, 겹자음, 복모음을 합하여 40자로 구성된다고 알고 있지만, 정작 훈민정음에서는 5개의 기본 자음과 3개의 기본 모음(천지인 3 모음)을 사용하고 있다.
-기본 자음; ㄱ, ㄴ, ㅁ, ㅅ, o
-기본 모음; ㆍ(아래 아), ㅡ, l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o)은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들었으며, 기본 모음(ㆍ(아래 아), ㅡ, l)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의미한다.
도 1은 한글에 있어서 가획/병서, 초출자/재출자의 관계를 도시하는 것이다.
기본 자음 5개에 획을 더하거나 겹쳐서 쓰면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지게 되는 데 이를 각각 '가획'과 '병서'라 한다.
천지인을 결합하여서 구성되는 새로운 모음 글자를 초출자(初出字)라고 하는데, "ㅏ, ㅓ, ㅗ, ㅜ"를 말한다. "ㅏ, ㅓ, ㅗ, ㅜ"를 결합해서 새로 만들어지는 모음 글자를 재출자(再出字)라고 하는 데 "ㅑ, ㅕ, ㅛ, ㅠ"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내용을 참조하면 한글은 기본적으로 천지인 조합 원리에 바탕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에 근거하면,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기본적으로 8개의 자모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을 다시 살펴보면 "ㄴ"과 "ㄱ"의 변형체임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ㅅ"은 "ㄱ"자를 비스듬하게 기울임에 의해 비슷한 모양을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참조하면, 한글은 근본적으로 "ㄱ", "ㅁ", "o", "ㆍ(아래 아)", "ㅡ", "l"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ㅁ"의 경우 "ㄱ"자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지만 한글 자모의 사용빈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볼 때 "ㄱ"자 두 개로 구성하는 것보다는 "ㅁ"자 하나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ㄱ", "ㅁ", "o", "ㆍ(아래 아)", "ㅡ", "l"로 구성하도록 하여, 학습 아동들로 하여금 한글의 구성 원리를 체험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기본 자모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모양이 유사한 "ㄱ", "ㄴ" 그리고 "ㅅ"을 대표 자음인 "ㄱ"으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ㄱ", "ㅁ", "o", "ㆍ(아래 아)", "ㅡ", "l"로 구성되는 6개의 기본 자모 블록(21~26) 제공한다.
여기서,
"ㄱ"자형 블록(21)의 양변의 길이는 동일하고,
"ㅁ"자형 블록(22)의 네 변의 길이는 동일하고, 또한 "ㄱ"자형 블록(21)의 한 변의 길이와도 동일하고,
"o"자형 블록(23)의 직경은 "ㄱ"자형 블록(21)의 한 변의 길이와 동일하고,
"ㆍ"자형 블록(24)의 크기는 "ㅁ"자형 블록(22)의 내부 영역의 크기와 동일하고
"ㅡ"자형 블록(25)의 길이는 "ㄱ"자형 블록(21)의 양끝을 잇는 대각선의 길이와 동일하고,
"l"자형 블록(26)의 길이는 "ㆍ"자형 블록(24)과 "ㅡ"자형 블록(25)을 길이방향으로 잇댄 것과 같다. 또한, 각 기본 자모 블록들(21~26)의 폭은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100)에 있어서, "ㅡ"자형 블록(25)의 길이는 "l"자형 블록(26)에 비해 짧게 함으로써 "ㄱ"자형 블록(21) 및 "o"자형 블록(23)과 더불어 "ㅈ", "ㅊ", "ㅎ"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6개의 기본 자모 블록(21~26)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6개의 기본 자모 블록(21~26)들이 조합되어 글자를 구성할 때, 색상의 조합이 병행됨에 의해 심미감을 더하고 이로 인하여 학습 아동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기본 자모 블록(21~26)은 목재나 플라스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6개의 기본 자모 블록(21~26)들로 한 세트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를 구성할 때, 각 기본 자모 블록의 개수는 통계적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 말뭉치 사전에서의 발생빈도의 비율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 세트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는 보관용 음각부를 가지는 보관판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단어 카드를 제공한다. 단어 카드는 단어 형상을 가지며 기본 자모 블록들이 끼워맞춤될 수 있는 음각부를 가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자음 블록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자음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하나의 기본 자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기본 자음 블록들이 조합될 수 있으며, 이들 블록들을 구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블록은 서로 다른 농도로 표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위쪽 열에서 "ㄷ"자 모양을 살펴보면, "ㄱ"자형 기본 블록(21)과 "ㅣ"자형 기본 블록(26)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쪽의 "ㄱ"은 "ㄱ"자형 블록(21)을 사용하여 구현한 예를 보이는 것이고, 아래쪽의 "ㄱ"은 "ㅡ"자형 블록(25)과 "ㆍ"자형 블록(24)을 사용하여 구현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자음 블록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자음들을 구성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쪽의 "ㅂ"은 두 개의 "ㄱ"자형 블록(21)과 두 개의 "ㆍ"자형 블록(24)들을 사용하여 구현한 예를 보이는 것이고, 아래쪽의 "ㅂ"은 "ㅁ"자형 블록(22)과 두 개의 "ㆍ"자형 블록(24)들을 사용하여 구현한 예를 보이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자음 블록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자음들을 구성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ㄱ"자형 블록(21)을 왼쪽으로 45°가량 기울임에 의해 "ㅅ"가 형성되고, 이러한 "ㅅ"자를 이용하여 다시 "ㅈ"자와 "ㅊ"자가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o"자형 블록(23)을 이용하여 "ㅎ"자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에 있어서, 기본 모음 블록들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기본 모음들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기본 자모 블록들로 구성되는 한 세트의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세트(70)는 10개의 "ㄱ"자형 블록(21), 2개의 "ㅁ"자형 블록(22), 2개의 "o"자형 블록(23), 14개의 "ㆍ"자형 블록(24), 5개의 "ㅡ"자형 블록(25) 그리고 10개의 "ㅣ"자형 블록(26)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43개의 글자형 블록들을 수납할 수 있는 보관판(72)이 포함된다.
보관판(72)에는 43개의 기본 자모 블록들이 수납될 수 있는 음각 부분들이 형성되고, 각 기본 자로 블록블은 음각 부분에 끼워 맞춤 되어 지지가 된다.
각 블록의 개수는 통계적 사용례를 기반하여 산출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활용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카드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카드(8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글자형 블록들로 구성되는 글자("눈")의 모양으로 음각된 음각부(82a)과 그것의 의미를 나타내는 텍스트(82b)가 제시된다. 음각부(82a)에 기본 자모 블록들을 끼워맞춤에 의해 "눈"이라는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82)는 단어별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글자형 블록의 배면에 자석을 부착시킨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o"자형 블록(23)의 배면 좌우 상하에 4개의 자석들(93)이 매립된 형태로 설치된 것이 도시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의 다른 활용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자석이 붙을 수 있는 보드판을 이용한 예를 도시한다.
자석이 부착된 기본 자모 블록들을 보드판에 붙여서 서로 조합함에 의해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
21~26...기본 자모 블록 72...보관판
80...단어 카드

Claims (7)

  1. 한글의 "ㄱ"자 및 "ㅅ"자를 표현하는 "ㄱ"자형 블록;
    한글의 "ㅁ"자를 표현하는 "ㅁ"자형 블록;
    한글의 "o"자를 표현하는 "o"자형 블록;
    한글의 "ㆍ"자를 표현하는 "ㆍ"자형 블록;
    한글의 "ㅡ"자를 표현하는 "ㅡ"자형 블록; 및
    한글의 "ㅣ"자를 표현하는 "ㅣ"자형 블록;
    을 포함하는 기본 자모 블록들을 구비하며, 각 기본 자모 블록들을 조합함에 의해 다양한 글자를 표현할 수 있게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모 블록들의 색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ㅡ"자형 블록의 길이는 상기 "ㅣ"자형 블록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모 블록들의 배면에는 매립형 자석이 설치되며,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보드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5. 제1항에 있어서,
    10개의 상기 "ㄱ"자형 블록, 2개의 상기 "ㅁ"자형 블록, 2개의 상기 "o"자형 블록, 14개의 상기 "ㆍ"자형 블록, 5개의 상기 "ㅡ"자형 블록 그리고 10개의 상기 "ㅣ"자형 블록들이 하나의 세트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자모 블록들을 수납하기 위한 음각 부분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본 자모 블록은 음각 부분에 끼워 맞춤 되어 지지가 되는 보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7. 제5항에 있어서, 글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본 자모 블록들을 수납하기 위한 음각 부분들이 형성되는 단어 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2020110010644U 2011-11-30 2011-11-30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200469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44U KR200469803Y1 (ko) 2011-11-30 2011-11-30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44U KR200469803Y1 (ko) 2011-11-30 2011-11-30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02U true KR20130003402U (ko) 2013-06-10
KR200469803Y1 KR200469803Y1 (ko) 2013-11-13

Family

ID=5074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44U KR200469803Y1 (ko) 2011-11-30 2011-11-30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0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108A (ko) * 2014-09-03 2016-03-11 (주)우리숲에듀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US9333438B2 (en) 2014-05-30 2016-05-10 Sang Kil Lee Block studying tool for infant
KR102097249B1 (ko) * 2019-11-08 2020-04-06 송제욱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20200001061U (ko) 2018-11-16 2020-05-26 유지연 한글 교구
KR20220028479A (ko) 2020-08-28 2022-03-08 (주)키출판사 한글 학습 교구와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2521266B1 (ko) * 2022-06-30 2023-04-14 주식회사 젬블로컴퍼니 7가지 문자조각을 갖는 한글 학습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971B1 (ko) 2022-04-07 2023-08-25 김한울 캐릭터 한글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909Y1 (ko) * 1981-07-29 1982-09-09 손영호 조립식 한글교습구
KR20070077169A (ko) * 2007-06-27 2007-07-25 유태중 고무자석을 이용한 한자 조각맞춤 학습 교구(일명'한자가베')
KR101160431B1 (ko) * 2009-11-03 2012-06-27 피동훈 한글학습 기능을 구비한 퍼즐블록
KR200464925Y1 (ko) * 2009-12-17 2013-01-23 한준덕 게임용 카드 세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3438B2 (en) 2014-05-30 2016-05-10 Sang Kil Lee Block studying tool for infant
KR20160028108A (ko) * 2014-09-03 2016-03-11 (주)우리숲에듀 한글학습용 놀이블록
KR20200001061U (ko) 2018-11-16 2020-05-26 유지연 한글 교구
KR102097249B1 (ko) * 2019-11-08 2020-04-06 송제욱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20220028479A (ko) 2020-08-28 2022-03-08 (주)키출판사 한글 학습 교구와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KR102521266B1 (ko) * 2022-06-30 2023-04-14 주식회사 젬블로컴퍼니 7가지 문자조각을 갖는 한글 학습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803Y1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03Y1 (ko)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Fischer et al. History of writing
US9666096B2 (en) Tactile spelling totems
CN104106107A (zh) 用于学习外语的积木玩具
Tian The art and mathematics of tangrams
JP3162215U (ja) 教育玩具
KR101277012B1 (ko) 학습용 끼움 놀이판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KR101302538B1 (ko) 언어 학습 퍼즐
KR20110010043U (ko) 한글놀이교구를 위한 17가지 글자조각의 고안
KR20100114285A (ko) 학습용 퍼즐
KR102521266B1 (ko) 7가지 문자조각을 갖는 한글 학습도구
KR101238744B1 (ko) 좌표로 배우는 한글학습교재 및 한글학습을 위한 기록매체
CN201127836Y (zh) 可拆分为字母的积木玩具
KR102172676B1 (ko) 활용성이 향상된 소리블록
CN101561974A (zh) 儿童反义词学习抢答游戏扑克牌
Powell The Shard: The Official Guidebook
Otlogetswe The design of Setswana scrabble
KR100670223B1 (ko) 외국어 교육용 게임 카드세트
Nurse Circles for maths, art, play and the circular economy
CN206584535U (zh) 一种幼儿英语单词用拼写教具
KR200354432Y1 (ko) 12교 퍼즐 놀이교구 세트
CN202983148U (zh) 学习英语用游戏盘
CN201171894Y (zh) 一种七巧板
CN101890223A (zh) 一种汉语拼音扑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