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61U - 한글 교구 - Google Patents

한글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61U
KR20200001061U KR2020180005260U KR20180005260U KR20200001061U KR 20200001061 U KR20200001061 U KR 20200001061U KR 2020180005260 U KR2020180005260 U KR 2020180005260U KR 20180005260 U KR20180005260 U KR 20180005260U KR 20200001061 U KR20200001061 U KR 202000010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plate
vowel
consona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연
Original Assignee
유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연 filed Critical 유지연
Priority to KR2020180005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061U/ko
Publication of KR20200001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의 자음판 (100) 및 원형의 모음판 (200)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판 (100) 및 모음판 (200) 각각의 원의 중심들을 서로 일치시켜 상기 자음판 (100) 위에 상기 모음판 (200)이 적층되고, 상기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을 회전시켜 조합된 한글 음절이 표시되는 한글 교구 (1)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한글 음절을 표현하고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원형 판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절을 조합할 수 있어서 한글 구성 원리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고취시킬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력 및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한글 교구 {Apparatus for Educating Korean Alphabet}
본 고안은 한글 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음판 또는 모음판 등을 회전시켜서 한글 음절을 쉽게 조합하는 한글 교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유아 또는 외국인의 한글을 깨우치기 위한 다양한 한글 학습 교재 교구가 있는데, 이미 구성된 음절 및 단어를 기록한 기본적인 학습 교재 (책이나 퍼즐 등)와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각각 일정한 구성요소에 표기하고 이를 조합하는 학습 교재 (블록, 슬라이딩형 등)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기본적인 학습 교재는 단순 반복으로 글자를 암기하게 하는 방식으로 한글의 형성 원리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학습 수단이 되지 못한다.
한편, 한글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학습 교재는 상기 암기식 기본 학습 교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데, 기존에 알려진 학습 교재들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모두 표현하기 위하여 수많은 표현 수단을 갖추어야 하고 자음과 모음을 숙지하지 못한 영유아 또는 외국인들에게는 조작이 매우 복잡하고 스스로 음절을 조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영유아 또는 외국인에게 한글의 기본 원리를 깨우쳐 한글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게 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으로 휴대가 용이하며 간편하게 한글을 배울 수 있는 새로운 한글 교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186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34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50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391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한글 음절을 표현하고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글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원형 판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절을 조합할 수 있어서 한글 구성 원리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고취시킬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력 및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한글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자음 중 기본자음 외에 쌍자음을 포함할 수 있고 모음 중 기본모음 외에 이중모음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받침 중 기본받침 외에 쌍받침 및/또는 겹받침도 포함시킬 수 있어 간단한 조작 만으로 모든 한글 음절을 쉽게 깨우칠 수 있는 한글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새로운 형태의 한글 교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원형의 자음판 (100) 및 원형의 모음판 (20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자음판 (100) 및 모음판 (200) 각각의 원의 중심들을 서로 일치시켜, 상기 자음판 (100) 위에 상기 모음판 (200)이 적층된다.
위와 같이 조립된 한글 교구 (1)에서 상기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을 회전시켜 조합된 한글 음절이 표시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판 (1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자음 표시부 (110)에 한글 자음이 배치되고, 상기 모음판 (2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모음 표시부 (210)에 한글 모음이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 표시부 (210)는 상기 모음판 (200)의 원주를 따라 홈 (220)이 파여져 형성된 '
Figure utm00001
' 형상의 톱니 단위 (211)들의 집합이다. 또한, 상기 톱니 단위 (211) 각각에 하나의 한글 모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판 (110)의 한글 자음은 상기 모음판 (200)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도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판 (200) 위에 원의 중심을 일치시켜 적층되는 원형의 받침판 (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조립된 한글 교구 (1)에서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또는 받침판 (300)을 회전시켜 조합된 한글 음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 (3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받침 표시부 (310)에 한글 받침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 (300)은 상기 모음 표시부 (210)를 가리지 않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는 기본자음군 및 쌍자음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음군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 표시부 (210)에는 기본모음군 및 이중모음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음군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 표시부 (310)에는 기본받침군, 쌍받침군 및 겹받침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받침군이 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표시하고자 하는 자음, 모음 및 받침의 수에 따라 톱니 단위 (211)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톱니 단위 (211)들의 수는 3 내지 30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 (300) 위에 적층되어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및 받침판 (300)의 일치된 원의 중심을 따라 회전하는 한글 표시판 (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글 표시판 (400)은 조합된 한글 음절을 도시하는 한글 표시부 (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한글 음절을 표현하고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원형 판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음절을 조합할 수 있어서 한글 구성 원리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고취시킬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력 및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자음 중 기본자음 외에 쌍자음을 포함하고 모음 중 기본모음 외에 이중모음을 포함하고 받침 중 기본받침 외에 쌍받침 및/또는 겹받침도 포함시켜 모든 한글 음절을 쉽게 깨우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글 교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글 교구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른 각 구성성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각 구성성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시제품의 각각의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시제품의 조립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원형의 자음판 (100), 원형의 모음판 (200), 원형의 받침판 (300) 및 한글 표시판 (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에서 상기 자음판 (100) 및 모음판 (200)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받침판 (300) 및/또는 한글 표시판 (40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더 부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상기 자음판 (100) 및 모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판 (100) 및 모음판 (200) 각각의 원의 중심들을 서로 일치시켜, 상기 자음판 (100) 위에 상기 모음판 (200)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에서, 상기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을 회전시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한글 음절을 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한글 음절을 쉽게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한글 기본 원리가 익숙하지 않은 영유아 또는 외국인들에게 한글 구성 원리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고취시킬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 또는 외국인들의 한국어 표현력 및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판 (1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자음 표시부 (110)에 한글 자음이 배치되고, 상기 모음판 (2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모음 표시부 (210)에 한글 모음이 배치된다. 위와 같이 자음 및 모음이 모두 원의 지름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다양한 음절을 조합할 수 있으므로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에 자음 또는 모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2회 이상 표시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 표시부 (210)는 상기 모음판 (200)의 원주를 따라 홈 (220)이 파여져 형성된 '
Figure utm00002
' 형상의 톱니 단위 (211)들의 집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톱니 단위 (211) 각각에 하나의 한글 모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모음판 (200)은 위와 같은 형상의 모음 표시부 (210)를 포함하여 상기 모음 표시부 (210)에 기본모음뿐만 아니라 종래의 한글 교구에서는 표시하기 어려웠던 일부 이중모음 (예를 들어, 'ㅘ, ㅝ, ㅟ, ㅢ, ㅒ, ㅖ, ㅚ, ㅙ, ㅞ')도 수월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모든 모음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 배치된 한글 자음은 상기 홈 (220)을 통하여 도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에서 모든 자음은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 원의 중심과 직각으로 배치되고 모든 모음은 상기 모음 표시부 (210)의 톱니 단위 (211)에 원의 중심과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모음의 종류에 따라 자음판의 자음을 2회 이상 반복하여 표시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판 (200) 위에 원의 중심을 일치시켜 적층되는 원형의 받침판 (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또는 받침판 (300)을 회전시켜 조합된 한글 음절이 표시된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 (3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받침 표시부 (310)에 한글 받침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또는 받침판 (300)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다양한 음절을 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 (300)은 상기 모음 표시부 (210)를 가리지 않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 (300)의 크기는 상기 모음 표시부 (210), 특히 배치된 모음을 가리지 않을 수 있으면 족하고, 한글 교구 (1)의 전체 크기에 따라 상기 받침판 (300)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는 14개 (예를 들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자음군 및 5개 (예를 들어, 'ㄲ, ㄸ, ㅃ, ㅆ, ㅉ')의 쌍자음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음군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 기본자음군 또는 쌍자음군 중 선택하여 하나의 자음군만 표시할 수 있고, 기본자음군과 쌍자음군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모음 표시부 (210)에는 10개 (예를 들어,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기본모음군 및 11개 (예를 들어, 'ㅐ, ㅔ, ㅘ, ㅝ, ㅟ, ㅢ, ㅒ, ㅖ, ㅚ, ㅙ, ㅞ')의 이중모음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음군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모음 표시부 (210)에 기본모음군 또는 이중모음군 중 선택하여 하나의 모음군만 표시할 수 있고, 기본모음군과 이중모음군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 표시부 (310)에는 14개 (예를 들어,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받침군, 2개 (예를 들어, 'ㄲ, ㅆ')의 쌍받침군 및 11개 (예를 들어,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겹받침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받침군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 표시부 (310)에 기본받침군, 쌍받침군 또는 겹받침군 중 선택하여 하나의 받침군만 표시할 수 있고, 기본받침군, 쌍자음군 및 겹받침군 중 선택된 2개의 받침군의 조합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는 기본받침군, 쌍자음군 및 겹받침군을 모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위와 같이 모든 종류의 자음, 모음 및 받침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만으로 모든 한글 음절을 조합할 수 있고, 이로부터 모든 한글 음절을 쉽게 깨우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에 표시하고자 하는 자음, 모음 및 받침의 개수에 따라 톱니 단위 (211)의 수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톱니 단위 (211)들의 수는 3 내지 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4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기본자음군과 기본받침군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톱니 단위 (211)의 수를 14개로 할 수 있고, 19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의 모든 자음군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톱니 단위 (211)의 수를 19개로 할 수 있으며, 21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ㅔ, ㅘ, ㅝ, ㅟ, ㅢ, ㅒ, ㅖ, ㅚ, ㅙ, ㅞ')의 모든 모음군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톱니 단위 (211)의 수를 21개로 할 수도 있으며, 27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ㅆ,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모든 받침군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톱니 단위 (211)의 수를 27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대표적인 자음, 모음 또는 받침만 선택한 후 이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톱니 단위 (211)의 수를 10 개 이하 등으로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 (300) 위에 적층되어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및 받침판 (300)의 일치된 원의 중심을 따라 회전하는 한글 표시판 (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글 표시판 (400)은 조합된 한글 음절을 도시하는 한글 표시부 (4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및 받침판 (300)에 의하여 조합하여 상기 한글 표시부 (410)에 표시된 한글 음절 외에 인접한 다른 자음, 모음 및 받침을 가리는 효과를 가지며,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조합된 한글 음절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 또는 재질 (원목, 합성목, 플라스틱, 종이 등)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용 또는 교육기관용 (어린이집, 유치원 또는 외국인 어학당)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교육대상 (영유아 또는 외국인)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제작 비용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 또는 다양한 재질로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를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한글 교구 (1)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한글 교구 (1), 특히 자음판 (100) 후면에 자석을 붙여서 자석 칠판에서 활용할 수 있고, 벽걸이 식으로도 활용활 수 있으며, 팝업북이나 플랩북처럼 조작하는 책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한글 교구
100 : 자음판
110 : 자음 표시부
200 : 모음판
210 : 모음 표시부
211 : 톱니 단위
220 : 홈
300 : 받침판
310 : 받침 표시부
400 : 표시판
410 : 음절 표시부

Claims (12)

  1. 원형의 자음판 (100) 및 원형의 모음판 (200)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판 (100) 및 모음판 (200) 각각의 원의 중심들을 서로 일치시켜 상기 자음판 (100) 위에 상기 모음판 (200)이 적층되고,
    상기 자음판 (100) 또는 모음판 (200)을 회전시켜 조합된 한글 음절이 표시되는,
    한글 교구 (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판 (1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자음 표시부 (110)에 한글 자음이 배치되고,
    상기 모음판 (2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모음 표시부 (210)에 한글 모음이 배치되며,
    한글 교구 (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표시부 (210)는 상기 모음판 (200)의 원주를 따라 홈 (220)이 파여져 형성된 '
    Figure utm00003
    ' 형상의 톱니 단위 (211)들의 집합이고,
    상기 톱니 단위 (211) 각각에 하나의 한글 모음이 배치되는 것인,
    한글 교구 (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 배치된 한글 자음은 상기 홈 (220)을 통하여 도시되는 것인,
    한글 교구 (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판 (200) 위에 원의 중심을 일치시켜 적층되는 원형의 받침판 (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또는 받침판 (300)을 회전시켜 조합된 한글 음절이 표시되는,
    한글 교구 (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300)의 원의 지름에 직각이 되도록 형성된 받침 표시부 (310)에 한글 받침이 배치되는 것인,
    한글 교구 (1).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300)은 상기 모음 표시부 (210)를 가리지 않는 크기를 가지는 것인,
    한글 교구 (1).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표시부 (110)에는 기본자음군 및 쌍자음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자음군이 표시되는 것인,
    한글 교구 (1).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표시부 (210)에는 기본모음군 및 이중모음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음군이 표시되는 것인,
    한글 교구 (1).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표시부 (310)에는 기본받침군, 쌍받침군 및 겹받침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받침군이 표시되는 것인,
    한글 교구 (1).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단위 (211)들의 개수는 3 내지 30인,
    한글 교구 (1).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300) 위에 적층되어 상기 자음판 (100), 모음판 (200) 및 받침판 (300)의 일치된 원의 중심을 따라 회전하는 한글 표시판 (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글 표시판 (400)은 조합된 한글 음절을 도시하는 한글 표시부 (410)를 포함하는 것인,
    한글 교구 (1).
KR2020180005260U 2018-11-16 2018-11-16 한글 교구 KR202000010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60U KR20200001061U (ko) 2018-11-16 2018-11-16 한글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60U KR20200001061U (ko) 2018-11-16 2018-11-16 한글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61U true KR20200001061U (ko) 2020-05-26

Family

ID=7086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60U KR20200001061U (ko) 2018-11-16 2018-11-16 한글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0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482B1 (ko) * 2021-01-27 2021-11-10 조혜영 학습용 한글 교구
KR102326426B1 (ko) 2020-11-26 2021-11-12 김대웅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861A (ko) 2011-06-28 2013-01-07 민시연 한글 학습교구
KR20130003402U (ko) 2011-11-30 2013-06-10 (주)문화예술에이지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20170035036A (ko) 2015-09-22 2017-03-30 구본섭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KR20170129391A (ko)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861A (ko) 2011-06-28 2013-01-07 민시연 한글 학습교구
KR20130003402U (ko) 2011-11-30 2013-06-10 (주)문화예술에이지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20170035036A (ko) 2015-09-22 2017-03-30 구본섭 슬라이딩형 한글 학습 교구
KR20170129391A (ko)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26B1 (ko) 2020-11-26 2021-11-12 김대웅 기초 한글 교육용 교구
KR102324482B1 (ko) * 2021-01-27 2021-11-10 조혜영 학습용 한글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ris et al. Teaching L2 composition: Purpose, process, and practice
Friesen The textbook and the lecture: Education in the age of new media
JP2019507913A (ja) 教育玩具シミュレータ
Wagstaff Building practical knowledge of letter-sound correspondences: A beginner's word wall and beyond
Savickey Wittgenstein’s philosophy: Viva voce
Kamhi et al. The role of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 in improving decoding skills
KR101042596B1 (ko) 한글교습도구
KR20200001061U (ko) 한글 교구
Holbrock Mayan literacy reinvention in Guatemala
Shefrin ‘Adapted for and Used in Infants’ Schools, Nurseries, &c.’: Booksellers and the Infant School Market
Weimer To touch a sighted world: Tactile maps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GARIFULLINA et al. The art of Haiku as a mean of multicultural training of children in pre-school education
Lee et 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 A sociocultural perspective
Singh Creating a foundation phase classroom that promotes reading amongst children
Morawski et al. A gallery of multimodal possibilities in a graduate course on learning differences in education
Insley Paper, scissors, rock: aspects of the intertwined histories of pedagogy and model-making
Hornsby et al. Early literacy is more than phonics
US1279504A (en) Educational device.
Kiraz Learning Syriac and Garshuni in Early Modern Egypt: Evidence from the Cairo Genizah
JP3228066U (ja) 干支入り多年年齢早見表
KR20130004686U (ko) 영유아 및 장애인용 영어 학습교재
Kühn et al. Experimentum mundi, or a concrete utopia for a language centre in higher education: Building blocks for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KR101915157B1 (ko) 테마앨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US20230267850A1 (en) Reading system with coded words and hand/finger signs
KR0137260Y1 (ko) 유아교육용 한글 학습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