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249B1 -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 Google Patents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249B1
KR102097249B1 KR1020190142408A KR20190142408A KR102097249B1 KR 102097249 B1 KR102097249 B1 KR 102097249B1 KR 1020190142408 A KR1020190142408 A KR 1020190142408A KR 20190142408 A KR20190142408 A KR 20190142408A KR 102097249 B1 KR102097249 B1 KR 10209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learning
basic
card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제욱
Original Assignee
송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제욱 filed Critical 송제욱
Priority to KR102019014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249B1/ko
Priority to KR1020200036387A priority patent/KR102298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 혀, 입술, 이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각각의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 로 이루어져, 기본 닿소리 다섯 자를 먼저 익히고, 한글의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에 따라 이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자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여,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유아나 외국인의 한글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글 자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한다.
이같은 본 발명은 학습구조와 미니 북의 실시형태는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학습하게 되는 모음 학습용 세트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본 발명은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 혀, 입술, 이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각각의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 로 이루어져, 기본 닿소리 다섯 자를 먼저 익히고, 한글의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에 따라 이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자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이같은 학습구조 실시형태는 모음 학습용 세트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유아나 외국인의 한글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에 관한 것이다.
세상의 모든 문자는 자연발생적 문자, 인위적 문자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자, 알파벳 같은 문자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서 수천 년간 널리 쓰였다. 대부분의 문자는 한자와 알파벳처럼 자연발생적 문자다. 인위적 문자는 극히 드물며, 대개 작가나 지식인들이 인공적인 글자를 만들기는 했지만 광범위하게 통용되지는 않았다.
전체 국민이 사용하는 인공언어는 한글이 유일하다. 또한 창제시기, 창제자, 창제 목적과 제자 원리가 분명한 것도 한글을 다른 글자와 구분 지을 수 있는 특징이다. 학문적인 것을 떠나서도 그 창제 원리가 애민정신에서 비롯되어 기득권을 위한 게 아니라 백성을 위해 쉽게 배울 수 있는 글자를 한 나라의 왕이 직접 만들었다는 것은 세계사에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
한글에는 몇 가지 뚜렷한 장점이 있다. 앞서 말했듯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는 것이다. 한글의 자음에는 조음음성학적인 원리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조음위치를 분명하게 파악하고 아(어금니), 설(혀), 순(입술), 치(이), 후(목구멍)로 나누고 그 원리로 글자를 만들었다. 소리를 만드는 위치,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 원리로 만들어져 무슨 소리인지 알기 쉽다.
글자의 원리가 체계적이고 합리적이며 한글은 소리의 특성을 글자가 보여준다. 예를 들어 영어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K와G가 서로 소리가 비슷하고 T와 D가 그러하며 P와 B가 그러하지만, 비슷한 소리의 글자들 간에 서로 생김새가 다르고 음성적인 특징이 드러나지도 않는다.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에는 소리가 비슷한 ㄱ, ㅋ, ㄲ처럼 음성적 특징이 비슷한 것끼리 묶여 한 획씩을 더 그은 것이 전부다. 음성학적 이론, 특징을 전부 담고 있는 글자가 바로 우리의 한글이다.
한글의 또 다른 장점은 발음이 다양하지 않다는 것이다. 영어 모음 'A'만 보더라도 'baby', 'bad', 'party'가 다르다. 모음이 다채롭게 발음되어 영어는 덜 진화한 음소문자다. 그에 비해 한글은 영어처럼 변화무쌍하지 않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대학수준의 교육을 받은 외국인들은 하루 만에 한글을 습득하여 우리말 간판을 읽을 수 있으니 발음이 고정되지 않아 알파벳을 배우고도 읽는 것이 어려운 영어와 달리 한글은 쉬운 문자다.
이러한 현대 한글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총 24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15세기의 훈민정음은 현대 한글에 자음 3자와 모음 1자를 더해 총 28자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자음은 목구멍에서 숨이 나올 때 그 숨이 입안 어딘가에 닿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로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그'라는 글자를 천천히 크게 발음해 보면 'ㄱ'은 자음이고 'ㅡ'는 모음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모음 소리를 작게 내면 자음 'ㄱ'의 발음을 더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음을 발음할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ㄱ'이 표시된 부분을 확인하면 어떻게 'ㄱ'이란 글자가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한글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
이때, 우리 입안에서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자리는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의 다섯 곳이고, 이러한 다섯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5개의 기본 자가 각각 'ㄱ', 'ㄴ', 'ㅁ', 'ㅅ', 'ㅇ'이다. 'ㄱ'은 어금닛소리(아음)로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ㄴ'은 혓소리(설음)로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ㅁ'은 입술소리(순음)로 입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ㅅ'은 잇소리(치음)으로 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ㅇ'은 목구멍소리(후음)로 목구멍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이러한 기본 자를 바탕으로 다른 자음이 만들어졌는데, 그 자음은 가획자로서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ㅎ'이 있고, 훈민정음의 경우 이외에도 이체자 세 자가 더 있다. 즉, 한글 자음은 기본자가 다섯 자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기본 자에서 규칙적으로 확장된 문자로서 간결하고 실용적인 과학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한글 모음의 경우, 기본 자인 '·', 'ㅡ', 'ㅣ'와, 이 세 개의 기본 자를 합성하여 다른 모음이 만들어진다.
유아나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려 할 때 우선적으로 한글의 음소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글의 음소는 가획의 원리에 의해 기본 자에 삐침을 더해 만들어진 글자이므로 음소와 음소 간의 구별이 쉽지 않다. 특히, 한글은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표음문자이지만, 조합형이면서 나열형 문자라는 점에서 알파벳과는 상이한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영어 학습시 알파벳을 나열하여 결합하는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된 종래의 학습 편집 구조의 경우, 이러한 한글의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에서 글자가 확장되는 원리를 설명하지 못하므로, 한글을 학습하는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단순 암기식으로 자음과 모음을 나열하여 소리 내는 법을 연습하거나 또는 단순히 암기식으로 단어를 나열한 교재의 경우, 한글의 원리를 전혀 이해할 수 없어서 유아나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고, 이에 학습 효과가 높지 않은 한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통상의 자음 학습 교재들은 자음을 포함하는 단어 또는 이미지를 부가하여 학습 내용을 뒷받침하게 되는데, 이때 선택되는 대표 단어 또는 이미지가 첫음절 그리고 초성에 학습 대상의 자음이 위치하는 단어나 이미지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학습 내용의 음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66148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43458호. 국내등록특허 제10-1376442호. 국내등록특허 제10-18413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한글의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에 의한 자음 제자원리, 및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아나 외국인에게 학습과정을 통해 한글의 창제 원리를 자연스럽게 익힐수 있도록 한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자음 또는 모음이 지닌 최적화된 음가를 올바르게 구분 인지하고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는,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각각 구분되어 상면에 학습대상이 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닿소리 세트;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2 닿소리 세트;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3 닿소리 세트;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4 닿소리 세트;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5 닿소리 세트; 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또한, 각각의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닿소리가 상면에 표시되는 기본 학습 카드 한 장과,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응용 학습 카드는 기본 학습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과 덮힘면에 인접하여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중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면을 가지며, 응용 학습 카드를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기본 닿소리의 공통요소와 응용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문양이 조합되어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에 가획 또는 병서가 이루어지면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되는 제1 기본 학습 카드; 우측에 개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ㅋ'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1 응용 학습 카드; 및 우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ㄲ'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되는 제2 기본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1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ㅌ'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2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ㄸ'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3 응용 학습 카드; 및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되는 제3 기본 학습 카드; 및 상하 2등분 되는 분할된 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3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자음 'ㅁ'을 공유하며 가획부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병서하여 자음 'ㅂ', 'ㅍ' 및 'ㅃ'을 각각 표출하게 되는 제3-1, 제3-2 및 제3-3 응용 학습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ㅅ'이 표시되는 제4 기본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1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ㅊ'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2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ㅆ'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3 응용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ㅉ'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자음'ㅇ'이 표시되는 제5 기본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ㅇ'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복수의 학습 카드를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들로 구분한 후, 학습 카드의 일면에 표시되는 적층 순서에 맞게 정렬한 다음, 적층 정렬된 학습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형성하여 5권의 한글 학습용 교재로 만들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응용 학습 카드의 개방 면이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상기 응용 학습 카드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기본 닿소리 'ㄱ'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나무(木)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불(火)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ㅁ'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흙(土)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ㅅ'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쇠(金)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ㅇ'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물(水)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가, 한글 학습 교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인쇄되는 복수의 학습 카드로 제공되며, 이들 복수의 학습 카드들을 한글 학습 교재에 절취선으로 구분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한글 학습 교재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상기 복수의 학습 카드를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들로 구분한 후, 학습 카드의 일면에 표시되는 적층 순서에 맞게 정렬한 다음, 적층 정렬된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에 스테플 또는 풀질을 하여 5권의 한글 학습용 교재로 만들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각각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와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ㄱ'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닿소리 세트,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ㄴ'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2 닿소리 세트,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ㅁ'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3 닿소리 세트,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ㅅ'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4 닿소리 세트,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ㅇ'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5 닿소리 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또한, 각각의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가 상면에 표시된 기본 학습 카드 한 장과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응용 학습 카드는 기본 학습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과 덮힘면에 인접하여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중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면을 가지며, 응용 학습 카드를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기본 닿소리의 공통요소와 응용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문양이 조합되어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에 가획 또는 병서가 이루어지면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기본 학습 카드를 최하면층로 하여 상기 기본 학습 카드 위에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최상층의 응용 학습 카드 위에 적층되는 표지 카드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되는 제1 기본 학습 카드; 우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ㅋ'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1 응용 학습 카드; 및 우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ㄲ'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되는 제2 기본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1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ㅌ'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2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ㄸ'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3 응용 학습 카드; 및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되는 제3 기본 학습 카드; 및 상하 2등분 되는 분할된 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3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자음 'ㅁ'을 공유하며 가획부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병서하여 자음 'ㅂ', 'ㅍ' 및 'ㅃ'을 각각 표출하게 되는 제3-1, 제3-2 및 제3-3 응용 학습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ㅅ'이 표시되는 제4 기본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1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ㅊ'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2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ㅆ'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3 응용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ㅉ'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자음'ㅇ'이 표시되는 제5 기본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ㅇ'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복수의 학습 카드를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들로 구분한 후, 학습 카드의 일면에 표시되는 적층 순서에 맞게 정렬한 다음, 적층 정렬된 학습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형성하여 5권의 한글 학습용 교재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학습대상 닿소리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표시되고,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는 어느 한 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가 고정되도록 상하로 적층되고,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학습 카드 또는 표지 카드에서 상측에 위치한 카드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또는 이미지는 아래쪽에 표시되는 학습대상 한글 자음의 최적 음가를 가진 음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측에 위치한 카드가 고정된 제본 넘김부를 축으로 뒤집히면서 아래쪽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과 함께 관련된 단어 또는 이미지가 동시에 보여지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제본 넘김부가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가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표지 카드에 학습대상에서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의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를 포함하는 자음자 제자 원리에 의해 기본 닿소리 5자와 상기 기본 닿소리 5자로부터 파생되는 자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자음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4개의 방향으로 표시되고 있는 한장의 모음 표지 카드;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하부 일면에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 및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개방면을 가지고 있는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 일면에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를 최하층으로 하여, 그 위에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 및 재출자 카드를 차례로 적층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 위에 다시 모음 표지 카드가 순차 적층되도록 적층 구성하여,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및 최상층의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일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고정하여 한권의 한글 모음 학습용 교재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도구 편집 구조와 이같은 구조를 갖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개방 면이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각 모음자 마다 자음이 들어가는 위치에 학습대상 모음자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각각 하나씩 표시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상부 제본 넘김부가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가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상부 제본 넘김부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를 포함하는 자음 제자 원리와 구분하여,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에 의해 기본 모음자와 상기 기본 모음자로부터 파생되는 모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한글 모음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의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를 적용한 자음 학습방법과 함께,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적용한 모음 학습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유아나 외국인이 한글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니 북에서, 앞 페이지에 해당하는 카드를 뒤집어 한쪽에 단어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동시에 다른 쪽에는 이러한 단어 및 이미지와 대응하는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여, 앞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만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동일 평면 상에 학습내용이 일치하는 학습 콘텐츠와 이미지가 동시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한글 자음이 포함된 활용 단어 및 이 활용 단어와 시각적으로 매칭되는 이미지를 서로 매칭시키면서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습득 속도가 매우 빠른 뿐만 아니라, 유아나 외국인의 경우에도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호기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학습 카드 또는 표지 카드 후면에 표시된 단어 또는 이미지를 아래쪽에 표시되는 학습대상 한글 자음의 최적 음가를 가진 음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학습대상 한글 자음 및 모음이 가지고 있는 기본자의 음가를 정확히 이해하고 학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1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2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3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4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5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로 각각 제작된 미니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뒷면에 표시되는 단어와 이미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닿소리들이 발생하는 위치를 한 번에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훈민정음 자음자 17자의 제자 원리를 나타낸 표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 제본에 의해 제작되는 한글 학습 미니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는 인쇄물, 전자출판물 및 웹 상의 화면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인쇄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1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2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3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4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5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는,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각각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상하로 적층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로 이루어진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1 닿소리 세트(10)는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ㄱ', 'ㅋ', 'ㄲ'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닿소리 세트(20)는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ㄴ', 'ㄷ', 'ㅌ', 'ㄸ', 'ㄹ'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닿소리 세트(30)는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ㅁ', 'ㅂ', 'ㅍ', 'ㅃ'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닿소리 세트(40)는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ㅅ', 'ㅈ', 'ㅊ', 'ㅆ', 'ㅉ'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닿소리 세트(50)는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ㅇ', 'ㅎ'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각각의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가 상면에 표시되는 기본 학습 카드 한 장과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한다.
그리고, 응용 학습 카드는, 기본 학습 카드(11,21,31,41,51)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과, 덮힘면에 인접하여 기본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중 공통요소(11a,21a,31a,41a,51a))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면을 가지며, 응용 학습 카드를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기본 닿소리의 공통요소(11a,21a,31a,41a,51a))와 응용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문양이 조합되어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에 가획 또는 병서가 이루어지면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응용 학습 카드의 개방 면은 카드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드 중 일부에 형성된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설명에서는 개방 면이 카드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투명 창에도 동일한 특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는 동일한 발음 위치에서 발음의 세기 등을 달리하여 다른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이 중 예사소리는 입안의 기압 및 발음 기관의 긴장도가 낮아 약하게 나오는 소리이고, 된소리는 발음 기관의 근육을 긴장시키거나 목소리가 나오는 통로를 폐쇄하여 내는 소리이고, 거센 소리는 기본 닿소리를 보다 입김을 많이 내어 숨이 거세게 나오는 소리이다. 예를 들어, '쁘'와 '프'의 경우 'ㅍ'의 거센소리, 'ㅃ'이 된소리가 된다. 이러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 소리를 나타내는 닿소리는 기본 닿소리에 획을 더하거나 동일한 자음을 병서하여 만든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자음 학습 방법은, 이러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의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를 포함하는 자음자 제자 원리에 의해 기본 닿소리 5자와 상기 기본 닿소리 5자로부터 파생되는 자음들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응용 학습 카드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본 닿소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표시하는 색상은,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기본 닿소리가 자신을 상징하는 색상으로 표시가 되는 것인데, 'ㄱ'의 경우 나무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ㄴ'의 경우 불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ㅁ'의 경우 흙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ㅅ'의 경우 쇠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ㅇ'의 경우 물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 닿소리 별 색 구분을 통해 한글 창제 원리를 이해하는 동시에 창제 원리에 입각한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닿소리 세트(10)는 제1 기본 학습 카드(11)와 제1-1 응용 학습 카드(12)와 제1-2 응용 학습 카드(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닿소리 세트(10)는 발음기관인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어금니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ㄱ'이고, 이러한 'ㄱ'으로부터 'ㅋ', 'ㄲ'가 파생될 수 있다.
제1 기본 학습 카드(11)는 상면에 어금니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된다.
제1-1 응용 학습 카드(12)는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에 표시된 'ㄱ'에서 공통요소(11a)가 표시된 우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에 개방 면(12a)이 형성되고,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의 우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1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ㅋ'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1-2 응용 학습 카드(13)는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에 표시된 'ㄱ'에서 공통요소(11a)가 표시된 우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에 개방 면(13a)이 형성되고,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의 우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1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ㄲ'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1 닿소리 세트(10)는 제1 표지 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지 카드(16)에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닿소리 세트(10)의 제1 표지 카드(16)의 상면에는 어금니 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ㄱ'과 '어금닛 소리'라는 글자 및 어금니 위치에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같은 제1 닿소리 세트(10)는 또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1-1, 제1-2 응용 학습 카드(12, 13) 및 제1 표지 카드(16)는 좌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기본 학습 카드(1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1-1, 제1-2 응용 학습 카드(12, 13)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와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ㄱ'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나무(木)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닿소리 세트(20)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와 제2-1 응용 학습 카드(22)와 제2-2 응용 학습 카드(23)와 제2-3 응용 학습 카드(24)와 제2-4 응용 학습 카드(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닿소리 세트(20)는 발음기관인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ㄴ'이고 이러한 'ㄴ'으로부터 'ㄷ', 'ㅌ', 'ㄸ', 'ㄹ'이 파생될 수 있다.
제2 기본 학습 카드(21)는 상면에 혀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된다.
제2-1 응용 학습 카드(22)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2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2-2 응용 학습 카드(23)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3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ㅌ'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2-3 응용 학습 카드(24)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4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ㄸ'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2-4 응용 학습 카드(25)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5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2 닿소리 세트(20)는 제2 표지 카드(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지 카드(26)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닿소리 세트(20)의 제2 표지 카드(26)의 상면에는 혓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ㄴ'과 '혀 소리'라는 글자 및 혀 위치에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같은 제2 닿소리 세트(20)는 또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2-1 내지 제2-4 응용 학습 카드(22, 23, 24, 25) 및 제2 표지 카드(26)는 우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2-1, 제2-2, 제2-3, 제2-4 응용 학습 카드(22, 23, 24, 25)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와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불(火)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닿소리 세트(30)는,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된 1장의 제3 기본 학습 카드(31)와, ㅂ', 'ㅍ' 및 'ㅃ'이 각각 표시되는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1, 제3-2 및 제3-3 응용 학습 카드(32a,32b, 33a,33b, 34a,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닿소리 세트(30)는 발음기관인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렇게 입술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ㅁ'이고 이러한 'ㅁ'으로부터 'ㅂ', 'ㅍ', 'ㅃ'이 파생될 수 있다.
제3 기본 학습 카드(31)는 상면에 입술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된다.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1 응용 학습 카드(32a,32b)는 제3 기본 학습 카드(31) 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인데,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32a, 32b)로 인하여 상면에 독립된 한글 자음 'ㅂ'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2 응용 학습 카드(33a,33b)는 제3 기본 학습 카드(31)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인데,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33a, 33b)로 인하여 상면에 독립된 한글 자음 'ㅍ'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3 응용 학습 카드(34a,34b)는 제3 기본 학습 카드(31) 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인데,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34a, 34b)로 인하여 상면에 독립된 한글 자음 'ㅃ'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3 닿소리 세트(30)는 제3 표지 카드(36a,3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표지 카드(36a,36b)는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표지 카드(36a,36b)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닿소리 세트(30)의 제3 표지 카드(36a,36b)의 상면에는 입술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ㅁ'과 '입술 소리'라는 글자 및 입술 모양과 함께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기본 학습 카드(3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3-1, 제3-2, 제3-3 응용 학습 카드(32a,32b, 33a,33b, 34a,34b)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와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ㅁ'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흙(土)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 닿소리 세트(40)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와 제4-1 응용 학습 카드(42)와 제4-2 응용 학습 카드(43)와, 제4-3 응용 학습 카드(44)와, 제4-4 응용 학습 카드(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닿소리 세트(40)는 발음기관인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ㅅ'이고 이러한 'ㅅ'으로부터 'ㅈ', 'ㅊ', 'ㅆ', 'ㅉ'이 파생될 수 있다.
제4 기본 학습 카드(41)는 상면에 이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ㅅ'이 표시된다. 이때, 'ㅅ'은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우측 아래쪽 부분(41a)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4-1 응용 학습 카드(42)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로서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측에 개방 면(42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우측 아래쪽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4-2 응용 학습 카드(43)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측에 개방 면(43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ㅊ'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4-3 응용 학습 카드(44)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 아래쪽에 개방 면(44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ㅆ'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제4-4 응용 학습 카드(45)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 아래쪽에 개방 면(45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ㅉ'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4 닿소리 세트(40)는 제4 표지 카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지 카드(46)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4 닿소리 세트(40)의 제4 표지 카드(46)의 상면에는 잇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ㅅ'과 '잇 소리'라는 글자 및 이가 위치한 부분에 한글 자음 'ㅅ'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같은 제4 닿소리 세트(40)는 또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4-1 내지 제4-4 응용 학습 카드(42, 43, 44, 45) 및 제4 표지 카드(46)는 상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4-1, 제4-2, 제4-3, 제4-4 응용 학습 카드(42, 43, 44, 45)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ㅅ'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쇠(金)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5 닿소리 세트(50)는 제5 기본 학습 카드(51)와 제5-1 응용 학습 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닿소리 세트(50)는 발음기관인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목구멍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ㅇ'이고 이러한 'ㅇ'으로부터 'ㅎ'이 파생될 수 있다.
제5 기본 학습 카드(51)는 상면에 목구멍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자음'ㅇ'이 표시된다.
제5-1 응용 학습 카드(52)는 제5 기본 학습 카드(51) 위에 배치시 제5 기본 학습 카드(51)에 표시된 공통요소(51a)로서 'ㅇ'이 표시된 하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측에 개방 면(52a)이 형성되고, 제5 기본 학습 카드(51) 위에 배치시 제5 기본 학습 카드(51)의 하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51a) 한글 자음 'ㅇ'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5 닿소리 세트(50)는 제5 표지 카드(56)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제5 표지 카드(56)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5 닿소리 세트(50)의 제5 표지 카드(56)의 상면에는 목구멍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ㅇ'과 '목구멍 소리' 및 목구멍 위치에 한글 자음 'ㅇ'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같은 제5 닿소리 세트(50)는 또한, 제5 기본 학습 카드(5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52) 및 제5 표지 카드(56)는 상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5 기본 학습 카드(5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5-1 응용 학습 카드(52)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ㅇ'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물(水)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70)는 한 장의 모음 표지 카드(76), 한 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71),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를 포함한다.
모음 표지 카드(76)는, 원기호 ①②③④로 구분되는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4개의 방향으로 표시되고 있다.
이때, 모음 표지 카드(76)는, 각 모음자 제1 내지 제4 그룹의 모음자 마다 자음이 들어가는 위치에 학습대상 모음자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각각 하나씩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ㅡ" 위에는 으앙하고 우는 아기의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ㅗ" 위에는 오리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ㅛ" 위에는 요구르트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ㅜ" 위에는 우산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ㅠ" 위에는 유모차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ㅣ" 앞에는 이불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ㅏ" 앞에는 아이를 상징하는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ㅑ" 앞에는 야구선수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ㅓ" 앞에는 어머니를 상징하는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ㅕ" 앞에는 여우 그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 모음자 카드(71)는,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하부 일면(71a)에 표시되어 있다.
모음 초출자 카드(72)는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 "ㅡ"가 표시된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하부 일면(71a)이 노출되도록 개방면(72a)을 가진다.
모음 재출자 카드(73)는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 "ㅡ"가 표시된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하부 일면(71a)이 노출되도록 개방면(73a)을 가진다.
이때,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의 개방면(72a, 73a)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5는 개방면이 카드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투명 창에도 동일한 특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들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를 기본 모음자 카드(71) 위에 배치시 초출자 및 재출자 카드(72, 73)의 초출자 "·"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ㅡ"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를 적층하면 모음 "ㅗ"이 완성되고,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ㅡ" 위에 모음 재출자 카드(73)를 적층하면 모음 "ㅛ"이 완성된다. 이때, 모음 표지 카드(76)는 모음 "ㅡ", "ㅛ", "ㅗ"이 표시된 모음자 제3그룹이 카드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모음 표지 카드(76)를 좌측으로 90° 회전시켜 모음 "ㅣ", "ㅓ", "ㅕ"이 표시된 모음자 제1그룹이 카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를 적층하면 모음 "ㅓ"이 완성되고,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재출자 카드(73)를 적층하면 모음 "ㅕ"이 완성된다.
그리고, 모음 표지 카드(76)를 더 회전시켜 모음 "ㅣ", "ㅏ", "ㅑ"이 표시된 모음자 제2그룹이 카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를 적층하면 모음 "ㅏ"이 완성되고,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재출자 카드(73)를 적층하면 모음 "ㅑ"이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한글 모음 학습 방법은, 이러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의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적용하여 기본 모음자와 상기 기본 모음자로부터 파생되는 모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대 한글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총 24자로 이루어지고, 자음과 모음은 자연의 소리를 발음하는 원리와 철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며, 이 중에서 자음은 발음 기관 또는 발음하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모음은 하늘과 땅, 사람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 모음을 이렇게 만든 것은 하늘은 해와 같은 양성을 나타내고 땅은 달과 같은 음성을 나타내고, 사람은 중성을 나타내므로, 양성은 양성끼리 음성은 음성끼리 어울리는 우리말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음은 목구멍에서 숨이 나올 때 그 숨이 입안 어딘가에 닿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로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그'라는 글자를 천천히 크게 발음해 보면 'ㄱ'은 자음이고 'ㅡ'는 모음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모음 소리를 작게 내면 자음 'ㄱ'의 발음을 더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음을 발음할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ㄱ'이 표시된 부분을 확인하면 어떻게 'ㄱ'이란 글자가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한글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
이때, 우리 입 안에서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자리는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 모두 다섯 곳이고, 이러한 발음 기관 또는 발음하는 모양을 본 떠 한글의 기본 자음 자 5개인 'ㄱ', 'ㄴ', 'ㅁ', 'ㅅ', 'ㅇ'을 만든 것이다.
여기서, 어금니 소리 'ㄱ'은 혀 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혓소리 'ㅅ'은 혀끝이 윗 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입술소리 'ㅁ'은 입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잇소리 'ㅅ'은 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목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은 본 떠 만든 것이다.
또한, 한글에서, 받침으로 쓰는 끝소리(종성) 글자는 첫소리(초성) 글자를 가져다 써서 최소의 낱자로 많은 글자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몸'과 같은 글자이다. 첫소리 글자, 가운데소리 글자, 끝소리 글자를 모아 쓰는 방식은 가로, 세로 어느 쪽으로든 쓸 수 있고, 뜻을 드러내기에 좋다.
또한,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합치는 방식 또한 규칙성을 가진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서 최소한의 규칙성을 지닌 움직임으로 최대의 글자를 만들어 내며, 예를 들어 '고'에서 'ㄱ'을 고정시키고 모음 'ㅗ'를 오른쪽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면 '가-구-거'가 만들어져 '고, 가, 구, 거'와 같은 글자 체계를 이루게 된다.
또한, 'ㄱ, ㄴ, ㅁ, ㅅ, ㅇ'의 소리는 거세지 않은 소리로, 이 기본자 보다 입김을 많이 내어 세게 소리를 내면 거센 소리가 괸다. 이러한 거센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기본 자에 획이 추가되어 9자를 더 만들고, 또한 기본 자에 자음을 병서하여 된소리가 생성되는 제자 원리를 가진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이러한 기본 자를 바탕으로 다른 자음이 만들어졌는데, 그 자음은 가획자로서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ㅎ'이 있고, 훈민정음의 경우 이외에도 이체자 세 자가 더 있다. 즉, 한글 자음은 기본자가 다섯 자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기본 자에서 규칙적으로 확장된 문자로서 간결하고 실용적인 과학적 특성을 가진다.
이때, 받침으로 쓰는 끝소리 글자는 첫소리 글자를 가져다 써서 최소의 낱자로 많은 글자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몸'과 같은 글자가 있다. 즉, 한글은 이런 원리에 의해 글자 수가 최소화되므로 쉽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덧붙여, 한글은 첫소리 글자, 가운데소리 글자, 끝소리 글자를 합쳐 모아 쓰는 방식이 규칙적이고 실용적이므로, 이러한 원리에 의해 글자를 빨리 쓰고 읽고 쓸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한글을 'ㅎㅏㄴㄱ ㄹ'과 같이 풀어 쓴다면 뜻을 이해하기도 어렵고 이에 학습 속도가 더 느려질 것이다.
이러한 한글의 특징에 근거하여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후술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이용하여 한글 학습을 진행하면,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기초한 소리 조합으로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면서 기본 자음 다섯 자의 소리를 먼저 익히고, 이후 기본 자에서 규칙적인 가획 또는 자음 병서의 원리에 따라 확장되어 파생되는 다른 자음 소리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으며, 동시에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통해 유아나 외국인도 한글을 빠르게 읽고 쓸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작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각 닿소리 세트 별로 해당하는 카드들을 적층하여 한 권의 책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자음의 제자원리인 가획의 원리를 한 눈에 이해하며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기본 학습 카드를 최하층으로 하여 기본 학습 카드 위에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용용 학습 카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구성할 수 있으며, 최상층의 응용 학습 카드 위에 적층되는 표지 카드를 각각 한 장씩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미니 북은,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의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가 앞뒤 방향성을 가지며,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학습대상 닿소리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어와 이미지는 학습자가 쉽게 연상이 될 수 있는 단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교재들은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이용한 연상 학습시 해당 소리를 단어의 첫 음절 그리고 단어의 초성에 맞춰 관련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해당하는 자음의 음가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학습 효과를 저하시키고 혼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같은 사정을 감안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카드의 후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굳이 단어의 초성에 맞추지 않고 각각의 닿소리에서 가장 최적화된 음가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이미지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는 어느 한 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100, 100')가 고정되도록 상하로 적층되고,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학습 카드 또는 표지 카드에서 상측 페이지에 위치한 카드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또는 이미지는 바로 아래쪽 페이지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을 단어의 글자 중 하나의 초성으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어 또는 이미지는 학습대상 닿소리의 최적음가를 가진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복수의 카드가 한글 학습 교재의 일부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학습자가 이러한 카드들을 한글 학습 교재로부터 절취하여 분리하고, 사용 방법의 안내에 따라 각 닿소리 세트 별로 구분한 후 순서에 맞게 적층한 다음, 적층된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100, 100')에 스테플이나 또는 풀질을 하여 줌으로서 5권의 한글 학습용 미니 북으로 만들어 한글 학습 부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이 한글 학습 교재의 일부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가 얇은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앞뒤로 적층된 복수의 카드 일단의 넘김부에 해당하는 제본 넘김부(100, 100')에 스테플이나 또는 풀질을 하여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이 완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닿소리 세트의 경우 좌측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2 닿소리 세트의 경우 우측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3 닿소리 세트의 경우 위쪽과 아랫쪽 양방향의 제본 넘김부(100, 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4 닿소리 세트의 경우 위쪽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5 닿소리 세트의 경우 위쪽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상측 페이지에 위치한 카드가 고정된 제본 넘김부(100, 100')를 축으로 뒤집히면서 펼쳐지게 되고 이때 아래쪽 페이지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과 함께 관련된 단어 또는 이미지가 동시에 보여지면서 연상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닿소리 세트로 구성된 미니 북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를 좌측으로 뒤집으면 좌측에 자음 'ㅋ'의 기본음가로 발음되는 최적음가를 포함하는 크레파스라는 단어와 이미지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이러한 단어 및 이미지와 대응하는 한글 자음 'ㅋ'가 표시되어 좌우의 학습내용이 일치하게 된다.
이에 제1-2 응용 학습 카드를 넘기는 동작만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동일 평면 상에 학습내용이 일치하는 학습 콘텐츠와 이미지가 동시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한글 자음이 포함된 활용 단어 및 이 활용 단어와 시각적으로 매칭되는 이미지를 서로 매칭시키면서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습득 속도가 매우 빠른 뿐만 아니라, 유아나 외국인의 경우에도 호기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한글 학습 교재의 일부로 제공되는 부 교재가 아닌 독립된 교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이 후자와 같이 독립된 하나의 교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는 두꺼운 판지나 또는 얇은 플라스틱 판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앞뒤로 적층된 복수의 카드는 어느 한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100, 100')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 각각의 닿소리 세트 별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뒷면에 표시되는 단어와 이미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닿소리 세트(1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끄다'와 촛불이 꺼지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ㄲ'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끄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ㄲ'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크레파스'와 크레파스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ㅋ'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크레파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ㅋ'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그네'와 그네를 타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ㄱ'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그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ㄱ'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닿소리 세트(2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빠르다'와 치타가 달려가는 듯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ㄹ'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빠르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ㄹ'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4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뜨다'와 돛단배가 바다 위에 떠 있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ㄸ'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뜨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ㄸ'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3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트럭'과 트럭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ㅌ'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트럭'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ㅌ'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4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드럼통'과 드럼통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4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5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ㄷ'과 4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드럼통'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ㄷ'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5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느티나무'와 나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5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6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ㄴ'과 5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느티나무'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ㄴ'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닿소리 세트(3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예쁘다'와 꽃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ㅃ'와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예쁘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ㅃ'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3-3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프로펠라'와 헬리콥터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ㅍ'와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프로펠라'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ㅍ'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3-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브로치'과 브로치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ㅂ'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브로치'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ㅂ'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4페이지에 해당하는 제3-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오므라이스'와 오므라이스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4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5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ㅁ'과 4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오므라이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ㅁ'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닿소리 세트(4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쯔쯔'와 인상 쓰는 표정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ㅉ'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쯔쯔'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ㅉ'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4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쓰다'와 노트 및 연필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ㅆ'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쓰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ㅆ'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3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셔츠'와 셔츠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ㅊ'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셔츠'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ㅊ'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4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렌즈'와 돋보기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4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5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ㅈ'과 4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렌즈'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ㅈ'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5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스케이트'와 스케이트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5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6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ㅅ'과 5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스케이트'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ㅅ'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닿소리 세트(5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흐르다'와 물이 흐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ㅎ'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흐르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ㅎ'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으앙'와 아이가 우는 모습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ㅇ'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으앙'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ㅇ'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각각의 닿소리 세트 별로 표지 카드와 학습 카드의 전면에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적층 순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순서는 원 안에 아라비아 숫자가 기재된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예를 들어 한글, 기호, 로마자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 미니북은, 앞서 한글 학습 도구 편집 구조의 기본 모음자 셋트(7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본 모음자 카드(71)를 최하층으로 하여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71)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73) 위에 모음 표지 카드(76)가 적층되어,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의 초출자 "·"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그리고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는 상부 제본 넘김부(100)가 고정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것이며, 최상층에 위치하는 상기 모음 표지 카드(76)는,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4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일 예로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면,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의 상부 제본 넘김부(100)는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는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의 상부 제본 넘김부(100)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10: 제1 닿소리 세트 20: 제2 닿소리 세트
30: 제3 닿소리 세트 40: 제4 닿소리 세트
50: 제5 닿소리 세트 70: 모음 기본자 학습용 셋트

Claims (27)

  1.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각각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닿소리 세트;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2 닿소리 세트;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3 닿소리 세트;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4 닿소리 세트;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5 닿소리 세트; 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또한, 각각의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닿소리가 상면에 표시되는 기본 학습 카드 한 장과,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응용 학습 카드는 기본 학습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과 덮힘면에 인접하여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중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면을 가지며, 응용 학습 카드를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기본 닿소리의 공통요소와 응용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문양이 조합되어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에 가획 또는 병서가 이루어지면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되는 제1 기본 학습 카드; 우측에 개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ㅋ'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1 응용 학습 카드; 및 우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ㄲ'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되는 제2 기본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1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ㅌ'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2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ㄸ'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3 응용 학습 카드; 및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되는 제3 기본 학습 카드; 및 상하 2등분 되는 분할된 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3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자음 'ㅁ'을 공유하며 가획부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병서하여 자음 'ㅂ', 'ㅍ' 및 'ㅃ'을 각각 표출하게 되는 제3-1, 제3-2 및 제3-3 응용 학습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ㅅ'이 표시되는 제4 기본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1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ㅊ'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2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ㅆ'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3 응용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ㅉ'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자음'ㅇ'이 표시되는 제5 기본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ㅇ'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복수의 학습 카드를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들로 구분한 후, 학습 카드의 일면에 표시되는 적층 순서에 맞게 정렬한 다음, 적층 정렬된 학습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형성하여 5권의 한글 학습용 교재로 만들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학습 카드의 개방 면이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부분과, 상기 응용 학습 카드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기본 닿소리 'ㄱ'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나무(木)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불(火)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ㅁ'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흙(土)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ㅅ'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쇠(金)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ㅇ'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물(水)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가, 한글 학습 교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인쇄되는 복수의 학습 카드로 제공되며, 이들 복수의 학습 카드들을 한글 학습 교재에 절취선으로 구분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한글 학습 교재로부터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상기 복수의 학습 카드를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들로 구분한 후, 학습 카드의 일면에 표시되는 적층 순서에 맞게 정렬한 다음, 적층 정렬된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에 스테플 또는 풀질을 하여 5권의 한글 학습용 교재로 만들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
  7.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각각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와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ㄱ'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닿소리 세트,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ㄴ'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2 닿소리 세트,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ㅁ'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3 닿소리 세트,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ㅅ'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4 닿소리 세트,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 'ㅇ'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5 닿소리 세트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또한, 각각의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가 상면에 표시된 기본 학습 카드 한 장과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응용 학습 카드는 기본 학습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과 덮힘면에 인접하여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중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면을 가지며, 응용 학습 카드를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기본 닿소리의 공통요소와 응용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문양이 조합되어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에 가획 또는 병서가 이루어지면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기본 학습 카드를 최하면층로 하여 상기 기본 학습 카드 위에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최상층의 응용 학습 카드 위에 적층되는 표지 카드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되는 제1 기본 학습 카드; 우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ㅋ'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1 응용 학습 카드; 및 우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1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ㄱ'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ㄲ'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되는 제2 기본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1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ㅌ'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2 응용 학습 카드;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ㄸ'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3 응용 학습 카드; 및 좌측에 개방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2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ㄴ'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2-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되는 제3 기본 학습 카드; 및 상하 2등분 되는 분할된 카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3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자음 'ㅁ'을 공유하며 가획부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병서하여 자음 'ㅂ', 'ㅍ' 및 'ㅃ'을 각각 표출하게 되는 제3-1, 제3-2 및 제3-3 응용 학습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한글 자음'ㅅ'이 표시되는 제4 기본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1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ㅊ'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2 응용 학습 카드;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ㅆ'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3 응용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4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ㅉ'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4-4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닿소리 세트는, 상면에 자음'ㅇ'이 표시되는 제5 기본 학습 카드; 및 개방 면을 가지고,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상기 제5 기본 학습 카드의 한글 자음 'ㅇ'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가획 문양이 표시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복수의 학습 카드를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들로 구분한 후, 학습 카드의 일면에 표시되는 적층 순서에 맞게 정렬한 다음, 적층 정렬된 학습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형성하여 5권의 한글 학습용 교재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학습 카드의 개방 면이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부분과, 상기 응용 학습 카드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기본 닿소리 'ㄱ'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나무(木)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불(火)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ㅁ'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흙(土)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ㅅ'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쇠(金)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기본 닿소리 'ㅇ'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물(水)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학습대상 닿소리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표시되고,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는 어느 한 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가 고정되도록 상하로 적층되고,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학습 카드 또는 표지 카드에서 상측에 위치한 카드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또는 이미지는 아래쪽에 표시되는 학습대상 한글 자음의 최적 음가를 가진 음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측에 위치한 카드가 고정된 제본 넘김부를 축으로 뒤집히면서 아래쪽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과 함께 관련된 단어 또는 이미지가 동시에 보여지면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13. 삭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의 어느 한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가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가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의 어느 한쪽 또는 상하 양쪽의 제본 넘김부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는,
    상기 표지 카드에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90142408A 2019-11-08 2019-11-08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102097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08A KR102097249B1 (ko) 2019-11-08 2019-11-08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1020200036387A KR102298115B1 (ko) 2019-11-08 2020-03-25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08A KR102097249B1 (ko) 2019-11-08 2019-11-08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87A Division KR102298115B1 (ko) 2019-11-08 2020-03-25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249B1 true KR102097249B1 (ko) 2020-04-06

Family

ID=70281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08A KR102097249B1 (ko) 2019-11-08 2019-11-08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1020200036387A KR102298115B1 (ko) 2019-11-08 2020-03-25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87A KR102298115B1 (ko) 2019-11-08 2020-03-25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97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403A (ko) * 2021-04-16 2022-10-25 최지원 한글학습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473B1 (ko) * 2021-09-17 2022-02-28 김연희 한글 학습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458A (ko) 2001-11-28 2003-06-02 배문정 한글학습장치
KR100956629B1 (ko) * 2009-11-13 2010-05-11 유영준 한국 고유의 색이 적용된 이미지 문자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10108835A (ko) * 2010-03-30 2011-10-06 박종칠 글 카드놀이
KR20130003402U (ko) * 2011-11-30 2013-06-10 (주)문화예술에이지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101376442B1 (ko) 2012-12-03 2014-03-19 윤혜경 사칙 연산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29391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KR101841324B1 (ko) 2014-11-21 2018-03-22 최환상 한글교육블록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한글교육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한글교육세트
KR101866148B1 (ko) 2017-12-28 2018-07-04 박정선 학습용 미니북 및 미니북 편집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095A (ko) * 2011-10-31 2013-05-08 성재만 종성자음 소리를 이용하여 초성자음 소리를 읽기 위한 한글 학습 장치
KR201601185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458A (ko) 2001-11-28 2003-06-02 배문정 한글학습장치
KR100956629B1 (ko) * 2009-11-13 2010-05-11 유영준 한국 고유의 색이 적용된 이미지 문자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10108835A (ko) * 2010-03-30 2011-10-06 박종칠 글 카드놀이
KR20130003402U (ko) * 2011-11-30 2013-06-10 (주)문화예술에이지 한글 학습용 블록 교구
KR101376442B1 (ko) 2012-12-03 2014-03-19 윤혜경 사칙 연산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101841324B1 (ko) 2014-11-21 2018-03-22 최환상 한글교육블록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한글교육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한글교육세트
KR20170129391A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훈민정음 제자원리를 이용한 한글 학습 교구
KR101866148B1 (ko) 2017-12-28 2018-07-04 박정선 학습용 미니북 및 미니북 편집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391호(2017.11.27. 공개)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403A (ko) * 2021-04-16 2022-10-25 최지원 한글학습교재
KR102510875B1 (ko) 2021-04-16 2023-03-17 최지원 한글학습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115B1 (ko) 2021-09-03
KR20210056204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der Signs of Cherokee culture: Sequoyah's syllabary in Eastern Cherokee life
Clair et al. A typographic workbook: A primer to history, techniques, and artistry
Bridgman A Chinese chrestomathy in the Canton dialect
Warkentin In Search of" The Word of the Other": Aboriginal Sign Systems and the History of the Book in Canada
KR102097249B1 (ko)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US20100209895A1 (en) Playing Cards with the Added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Phonics
Ogborn Geographia's pen: writing, geography and the arts of commerce, 1660–1760
Southcott Sarah Anna Glover: Nineteenth Century Music Education Pioneer
Peterson Chapter 11 Rhetoric as Acculturation: The Anomalous Book 6
Miller Republics of knowledge: interpreting the world from Latin America
Conning The Kodansha kanji learner's course: A step-by-step guide to mastering 2300 characters
Druce Orality, writing and history: the literature of the Bugis and Makasar of South Sulawesi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Okell Burmese (Myanmar): An Introduction to the Script
Crain Ciphers for the Little Folks: A Method of Teaching the Greatest Work of Sir Francis Bacon
Buhain A History of Publishing in the Philippines
Sgarbi A newly discovered corpus of Vitruvian images
KR101841324B1 (ko) 한글교육블록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한글교육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한글교육세트
De Stains Phonography; Or, The Writing of Sounds: In Two Parts, Viz., Logography, Or Universal Writing of Speech, and Musicography, Or Symbolical Writing of Music; with a Short Hand for Both
Ravanjoo A Historical Research to Retrieve Iranian Cultural Identity in Creating and Expanding Nastaliq Calligraphy
JP2017097311A (ja) 漢字学習用具
JP3084633U (ja) 学習用教材
Summers Lecture on th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delivered in King's College, London, April 13, 1853
Decoker Bringing foreign languages into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TWM621493U (zh) 日本語五十音讀心卡
McGee ABCs of ABCs: Two Canadian Exempl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