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835A - 글 카드놀이 - Google Patents

글 카드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835A
KR20110108835A KR1020100028256A KR20100028256A KR20110108835A KR 20110108835 A KR20110108835 A KR 20110108835A KR 1020100028256 A KR1020100028256 A KR 1020100028256A KR 20100028256 A KR20100028256 A KR 20100028256A KR 20110108835 A KR20110108835 A KR 2011010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ronunciation
play
cards
conso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칠
Original Assignee
박종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칠 filed Critical 박종칠
Priority to KR102010002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835A/ko
Publication of KR2011010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63F2001/022Manufacturing of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 떠 만들고 가획한 훈민정음 창제원리를 적용하여 만든 6종 자음카드와 6종의 모음카드, 총12종 카드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고, 그 조합된 글자를 소리(발음)내면서 화투처럼 하는 조합놀이이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규칙적으로 조합되어 글이 되는 원리를 적용한 글카드놀이는 놀이를 통해 쉽고 빠르게 한글터득이 되고, 발음하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기 때문에 외국인에게는 우리말(한국어)에 대한 자신감도 갖고 한글로 모국어를 표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유아 등 내국인에게는 영어 등 외국어의 발음학습에도 도움이 되고, 노인들에게는 발음기관의 적당한 운동으로 발음기관의 퇴화를 예방하고, 또한 문자인지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노인들의 정신건강을 도와 치매 등 노인성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글 카드놀이{The card-play us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어야만 소리(발음)나는 한글의 특성을 이용한 글 놀이이며, 발음기관을 본 떠 만든 자음그림과 입모양으로 된 모음그림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를 소리(발음)내면서 하는 놀이이다. 놀이방법이 쉽고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놀이방법으로 응용되어 한글 미 해득자, 노인, 유아, 외국인, 언어에 장애가 있는 사람까지도 놀이를 할 수 있으며, 놀이를 하다보면 스스로 한글을 터득하고 발음하는 원리까지도 습득하게 된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카드에 표기하면 자음 ‘ㄱ,ㄴ’과 모음 ‘ㅏ,ㅓ,ㅗ,ㅜ,ㅡ,ㅣ’는 사람이 보는 위치에 따라 글자모양이 달라지지만, 본 발명카드는 발음기관과 입모양의 그림을 활용함으로써 글자모양이 혼동되지 않으며, 또한 기존의 한글카드는 자음과 모음의 글자모양만 보아서는 발음하는 방법을 알 수 없었지만, 본 발명카드는 그림카드만 보아도 글자모양이 연상되고 발음하는 원리까지도 쉽게 알 수 있다.
외국에서 들어온 화투나 포커는 용어가 외래어로 되어 있고 규칙도 어려우며 유아, 노인, 여성층에게는 ‘투전’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거부감이 있으나, 본 발명은 한글과 발음교육에 활용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없다.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 떠 만든 훈민정음 창제원리를 적용한 그림으로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ㄴ’은 혀가 입천장에 닿는 모양, ‘ㅁ’은 입모양, ‘ㅅ’은 치아 사이 모양, ‘ㅇ’은 목구멍 모양, ‘ㄹ’은 혀 모양을 나타낸 자음그림과 ‘ㅏ’는 발음할 때 입을 크게 벌려 발음하고, ‘ㅓ’는 ‘ㅏ’보다 조금 작게 벌려 발음하고, ‘ㅗ’는 입을 작고 둥글게 모아서 발음하고, ‘ㅜ’는 가장 작게 벌려 발음하는 느낌을 형상화한 모음그림을 조합하여 자음과 모음그림의 순서대로 하면 소리(발음)가 난다. 본 발명카드는 발음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자음과 모음의 그림조합만 보면 글자모양이 연상되어 글자모양을 주입식으로 반복암기를 하지 않아도 쉽고 빠르게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 과제이다.
발음기관을 본 떠 만든 자음그림과 입모양으로 된 모음그림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글자를 소리(발음)내면서 하는 놀이이다. 놀이방법이 쉽고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놀이방법으로 응용되어 한글 미 해득자, 노인, 유아, 외국인, 언어에 장애가 있는 사람까지도 놀이를 할 수 있으며, 놀이를 하다보면 스스로 한글을 터득하고 발음하는 원리까지도 습득하게 된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카드에 표기하면 자음 ‘ㄱ,ㄴ’과 모음 ‘ㅏ,ㅓ,ㅗ,ㅜ,ㅡ,ㅣ’는 사람이 보는 위치에 따라 글자모양이 달라지지만, 본 발명카드는 발음기관과 입모양의 그림을 활용함으로써 글자모양이 혼동되지 않으며, 또한 기존의 한글카드는 자음과 모음의 글자모양만 보아서는 발음하는 방법을 알 수 없었지만, 본 발명카드는 그림카드만 보아도 글자모양이 연상되고 발음하는 원리까지도 쉽게 알 수 있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그림만 보면 글자(쓰기)가 연상되고 글자만 보면 발음기관그림이 연상되어 어떻게 발음(읽기)을 해야 하는지 발음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놀이를 통해 습득하여 쉽게 한글터득이 될 뿐만 아니라 발음교육에도 도움이 된다.
노인의 경우, 나이가 들면 문자인지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발음능력과 청력이 함께 떨어지면서 사회부적응으로 인한 치매 등 각종 노인성 질환의 발병 원인이 될 수 있으나, 한글조합놀이를 하다 보면 문자인지력, 발음능력, 청력의 퇴화를 방지하여 치매 등 노인성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 미 해득 노인의 한글터득도 쉬워진다.
유아의 경우, 유아들은 본성적으로 발음에 관심이 많아 엄마 등이 말할 때 입모양을 쳐다보는 습관이 있고 발음그림놀이를 좋아한다. 유아기 때 발음의 원리를 정확히 습득하면 한글읽기가 쉬워져 한글터득을 빨리하고 발음의 원리를 이해하기 때문에 어려운 발음이나 외국어 발음(파닉스)까지도 도움이 된다.
외국인의 경우, 발음기관그림(영어발음기호가 표기된 그림)카드 조합놀이를 하다 보면 한글의 특성과 발음하는 원리를 알게 되면서 한글터득은 물론, 우리말에 자신감을 갖게 되고 모국어를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장애인의 경우, 지적능력이 떨어지거나 발음 교정이 필요한 사람은 정상인보다는 다소 늦지만 한글터득과 발음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일반인의 경우, 포커, 화투 등은 투전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고, 놀이규칙이 외래어이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놀이규칙이 어려울 수 있으나 발음기관그림 조합놀이는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응용 놀이까지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다.
발음그림놀이를 통해 우리 민족 문화유산인 훈민정음의 과학적인 창제원리를 이해함으로써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며, 우리의 전통놀이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제 1도는 발음기관모양을 본 떠 만든 6종 자음카드 예시도.
[도 2] 제 2도는 입모양그림과 모음으로 구성된 6종 모음카드 예시도.
[도 3] 제 3도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가획한 자음과 쌍자음카드 예시도.
[도 4] 제 4도는 소리 또는 글자모양을 조합한 모음카드 예시도.
[도 5] 제 5도는 발음기관모양을 본 떠 만든 자음에 가획한 자음그림.
[도 6] 제 6도는 글자모양에 따라 도해식한 모음 도표.
[도 7] 제 7도는 한글 카드떼기놀이 예시도.
[도 8] 제 8도는 한글 카드놀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1-10,11,12,13,14,15]는 사람이 발음할 때의 발음기관모양을 본 떠 만든 훈민정음 창제원리를 적용한 자음그림이며, 그림만 보면 자음의 글자모양이 생각나고 자음만 보면 발음기관의 모양과 발음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20,21,22,23,24,25], [도2-20,21,22,23,24,25], [도3-50,51,52,53,54,55], [도4-50,51,52,53,54,55]는 왼쪽 상단부에 각각 해당 자음, 모음을 표기하여 카드 여러 장을 손에 잡았을 때 카드가 겹쳐져도 쉽게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카드의 상하 구분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도1-30,31,32,33,34]는 소리 세기에 따라 가획한 자음과 쌍자음을 하단부에 배치하여 한글 맞추기 놀이를 할 때 모든 자음활용놀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카드의 상하 구분도 쉽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도1-40,41,42,43], [도2-40,41,42,43]은 카드의 테두리를 진한색(이하 진한색이라 칭함.)으로 자음 4장과 모음 4장을 각각 표시하였고, [도1-60,61,62,63,64,65]과 [도2-60,61,62,63,64,65]는 카드의 테두리를 연한색(이하 연한색이라 칭함.)으로 각 3장 이상을 표시하여 놀이규칙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도1-50,51,52,53,54,55]와 [도3-80,81,82,83,84,85]의 숫자 순서는 ‘ㄱ,ㄴ,ㅁ,ㅅ,ㅇ’의 국어사전 배열순으로 각각 ‘1,2,3,4,5’의 숫자를 배정하였고 ‘ㄹ’은 가획한 자음이나 쌍자음이 없는 예외글자이므로 맨 마지막으로 숫자인 ‘6’을 배정하여 카드를 거꾸로 잡았을 때도 번호만 보면 어떤 카드인지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한글은 반드시 ‘자음+모음’ 순으로 조합되므로 자음은 ‘1~6’까지, 모음은 ‘7~12’까지로 구분하여 ‘1~6’은 1개, ‘7~12’는 1개 또는 2개가 조합하여야만 소리(발음)가 난다는 한글 조합원리 교육에도 도움을 주고, 순번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놀이방법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도1-70,71,72,73,74,75], [도2-70,71,72,73,74,75], [도3-70,71,72,73,74,75], [도4-70,71,72,73,74,75]는 국제(영어)표준발음기호를 넣어 외국인에게는 한글발음학습에 도움이 되고, 모국어를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유아 등 내국인에게는 영어 발음교육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도2-30,31,32,33,34]는 글자모양이 관련이 있는 모음을 하단부에 배치하여 한글 맞추기 놀이를 할 때 모든 모음 활용놀이가 가능하도록 하였고, 카드의 상하 구분도 쉽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도2-50,51,52,53,54,55]와 [도4-80,81,82,83,84,85]의 숫자 순서는 ‘ㅏ,ㅓ,ㅗ,ㅜ’의 국어사전 배열과 [도2-10,11,12,13] 입이 벌어지는 크기 순으로 각각 ‘7,8,9,10’의 숫자를 배정하고, ‘ㅡ,ㅣ’는 국어사전 순으로 ‘11,12’를 배정하여 카드를 거꾸로 잡았을 때도 번호만 보면 어떤 카드인지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순번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놀이방법도 만들 수 있게 하였다.
[도3-10]은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 떠 만든 ‘ㄱ,ㄴ,ㅁ,ㅅ,ㅇ,ㄹ’로 [도5-10]을 반영한 카드이고, [도3-20] ‘ㅋ,ㄷ,ㅂ,ㅈ’은 [도5-20]을 반영한 [도3-21]처럼 1획을 가획한 카드이고, [도3-30] ‘ㅌ,ㅍ,ㅊ,ㅎ’은 [도3-30]을 반영한 [도3-21]처럼 2획을 가획한 카드이고, [도3-40]은 [도5-40]의 쌍자음을 반영한 카드이다.
[도4-10]은 [도6-10]과 [도6-11]을 반영한 카드이고, [도4-20]은 [도6-10]에 짧은 ‘ㅡ’ 1획을 가획한 [도6-20]과 [도6-21]을 반영한 카드이고, [도4-30]은 [도6-10]에 ‘ㅣ’를 가획한 [도6-30]과 [도6-31]을 반영한 카드이고, [도4-40]은 [도6-10]에 ‘ㅡ’와 ‘ㅣ’를 각각 1개 이상 가획한 [도6-40]과 [도6-41]을 반영한 카드이다.
[도3-60,61,62,63,64,65]은 사람이 발음할 때의 발음기관모양을 본 떠 만든 훈민정음 창제원리를 적용한 자음그림으로 그림만 보면 자음의 글자모양이 생각나고 자음만 보면 발음기관의 모양과 발음하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도4-60,61,62,63]은 모음을 발음할 때 입이 벌어지는 크기 순과 일치하는 국어사전 순으로 ‘ㅏ,ㅓ,ㅗ,ㅜ’를 배열하였다.
또한 [도3-20]과 [도4-20], [도3-30]과 [도4-30], [도3-40]과 [도4-40] 3개 그룹이 구분되도록 하여 놀이규책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카드 떼기 놀이 - 1인 놀이]
[놀이방법 1]
[놀이방법 1]은 [도1]의 자음 ‘ㄱ,ㄴ,ㅁ,ㅅ,ㅇ,ㄹ’과 [도2]의 모음 ‘ㅏ,ㅓ,ㅗ,ㅜ,ㅡ,ㅣ’를 조합하고 발음하면서 떼는 놀이로, 한글을 처음 배우는 유아, 외국인 또는 인지력이 떨어지는 내국인에게 적합하다.
[도7-10]의 자음(그림)카드 ‘ㄱ,ㄴ,ㅁ,ㅅ,ㅇ,ㄹ’ 6종, ‘ㅏ,ㅓ,ㅗ,ㅜ,ㅡ,ㅣ’ 모음(그림)카드 6종, 총12종 카드를 각각 4장씩, 총48장 카드 중 42장을 [도7-20,21, 22,23,24,25]에 순차적으로 카드의 그림이 보이지 않도록 뒤집어 각 7장이 놓이게 하고, 각 줄의 마지막에는 카드그림이 보이도록 [도7-30,31,32,33,34,35]에 카드 한 장씩을 놓는다.
[도7-30]의 ‘ㄱ’과 [도7-33]의 ‘ㅏ’를 조합하면 ‘가’라는 글자조합이 되므로 진한색 ‘ㄱ’카드와 진한색 ‘ㅏ’카드를 떼어내서 ‘가’ 발음하고 ‘ㄱ’카드는 [도7-40], ‘ㅏ’카드는 [도7-50] 순서로 놓고, [도7-31]과 [도7-34]를 조합하면 ‘수’라는 글자조합이 되므로 떼어내서 ‘수’ 발음하고 [도7-60]에 순서나 조합에 관계없이 놓는다. 이때 자음과 모음이 모두 진한색이 아니면 순서나 조합에 관계없이 [도7-60]에 놓는다.
[도7-30]의 ‘ㄱ’카드와 [도7-33]의 ‘ㅏ’카드, [도7-31]의 ‘ㅅ’카드와 [도3-34]의 ‘ㅜ’카드를 떼어낸 자리의 카드를 한 장씩 뒤집고 자음과 모음 조합이 맞으면 카드를 계속 발음하고 떼는 놀이인데, 만일 [도7-20,21,22,23,24,25] 6칸의 카드가 모두 자음 또는 모두 모음이면 카드를 더 이상 뗄 수가 없어 놀이가 끝나게 된다.
진한색 자음카드 ‘ㄱ,ㄴ,ㅁ,ㅅ’ 4개, 진한색 모음카드 ‘ㅏ,ㅓ,ㅗ,ㅜ’ 4개로 될 수 있는 조합글자의 종류는 ‘가, 나, 마, 사’, ‘거, 너, 머, 서’, ‘고, 노, 모, 소’, ‘구, 누, 무, 수’ 총16종이며, 이들 중 [도7-40,50]에는 최대 4종만 조합글자가 될 수 있다.
놀이를 할 때 [도7-40,50]의 진한색 자음그림과 모음그림 글자의 뜻을 고려하여 ‘가’는 ‘3점’을 주고, ‘서’는 놀이를 ‘서(스톱)’고 처음부터 다시 하며, ‘너’는 ‘0점’, 나머지 ‘나,마,사,거,머,고,노,모,소,구,누,무,수’는 ‘2점’씩을 부여하면 놀이할 때 무조건 글자를 맞추지 않고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신중히 생각하면서 카드를 맞추게 되고 놀이가 끝난 다음에도 점수에 관심을 갖게 된다.
[놀이방법 2]
[놀이방법 2]는 [도3]의 자음카드과 [도4]의 모음카드를 조합하고 발음하면서 떼는 놀이이다. 놀이하는 방법은 [놀이방법 1]과 동일하지만, 놀이규칙이 다르다. [도3-20] ‘ㅋ,ㄷ,ㅂ,ㅈ’과 [도4-20] ‘ㅑ,ㅕ,ㅛ,ㅠ’를 짝을 맞추어 떼면 ‘1점’, [도3-30] ‘ㅌ,ㅍ,ㅊ,ㅎ’과 [도4-30] ‘ㅐ,ㅔ,ㅚ,ㅟ’를 짝을 맞추어 떼면 ‘2점’, [도3-40] ‘ㄲ,ㄸ,ㅃ,ㅆ,ㅉ’과 [도4-40] ‘ㅒ,ㅖ,ㅙ,ㅞ’를 짝을 맞추어 떼면 ‘3점’을 주는 놀이규칙이다.
이 놀이는 자음의 가획과 모음의 조합원리 학습에도 도움을 주고, 카드떼기놀이를 할 때에도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머리를 많이 쓰게 된다.
[카드놀이 - 2인 이상 놀이]
[도8-10]의 자음 24장과 모음 24장으로 된 총48장 카드를 [도8-30,31,32] 3사람에게 각각 7장씩 나눠주고, [도8-20] 카드판에 카드 6장을 [도8-40]과 같이 카드그림이 보이도록 놓은 후 나머지 21장은 [도8-50]에 카드그림이 보이지 않도록 쌓아 놓는다.(화투의 ‘고스톱’과 동일)
[놀이방법 1]
[도1]의 같은 자음그림과 [도2]의 같은 모음그림끼리 짝이 맞으면 따먹는데, 이때 진한색 자음은 [도8-60,61,62]에 놓고 진한색 모음은 [도8-70,71,72]에 놓아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면 ‘가,나,마,사,거,너,머,서,고,노,모,소,구,누,무,수’ 총16종이고, 각 1종마다 기본점수를 ‘2점’으로 하는데, 글자의 뜻을 고려하여 ‘가’는 ‘+1점’하여 ‘3점’, ‘서’는 ‘0점’으로 한다. [도1-60,61,62,63,64,65]와 [도2-60,61,62, 63,64,65]의 연한색 카드는 [도8-80,81,82]에 순서나 조합에 관계없이 5장씩 한 줄로 구분이 쉽게 놓아 11개의 카드가 모였을 경우 ‘1점’을 부여하고, 카드가 1장씩 추가 될 때마다 ‘1점씩을 추가’하는 규칙(고스톱의 ‘피’ 점수방식과 동일한 방법)을 정한다. 진한색과 연한색 카드의 점수 합이 ‘3점 이상’이면 ‘가(고스톱의 ‘고’ 역할)’ 또는 ‘서(고스톱에서 ‘스톱’ 역할)’라고 할 수 있는데 ‘가’라고 하면 놀이는 계속 진행되고 다음 차례에 진한색이든 연한색에서 1점 이상을 추가해야만 ‘서’를 하여 이기게 되는 놀이로, 3회 이상 ‘가’가 가능하며 마지막 점수 계산 시 ‘가’를 한 횟수 당 점수를 1점씩 추가하여 점수를 계산한다. 그 외에도 아래 예와 같이 여러 가지 응용규칙이 가능하다.
[예 1] 진한색 ‘나’가 되면 상대방 2명이 ‘나’를 난 사람에게 연한색 2 장씩을 주고, 진한색 ‘너’가 되면 반대로 상대방 2명에게 연한색을 2장씩 주도록 한다,
[예 2] 진한색 ‘서’가 되면 모든 게임이 ‘서(스톱)’되어 점수가 무효화되고 처음부터 다시 놀이를 진행하도록 한다.
[예 3] 진한색으로 2점 이상이면서 점수가 3점 이상이 되었을 경우, 진한색으로 2점 이상이 되지 못한 상대방은 2배로 지게 된다.
[예 4] 연한색으로 1점(11장)이상 이면서 점수가 3점 이상이 되었을 경우, 연한색이 6장 미만인 상대방은 2배로 지게 된다.
그 외에도 화투규칙인 ‘판쓰리’, ‘흔들기’, ‘폭탄’, ‘독박’ 등을 놀이규칙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서,나,너’ 응용규칙은 순수 우리말이기 때문에 놀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놀이방법 2]
[도3] 자음카드로 [도4] 모음카드를, 반대로 [도4] 모음카드로 [도3]자음카드를 따먹는 놀이이다. 이렇게 따먹은 카드들을 조합하여 글자를 만들었을 때, [도3-20] ‘ㅋ,ㄷ,ㅂ,ㅈ’과 [도4-20] ‘ㅑ,ㅕ,ㅛ,ㅠ’로 조합된 글자 1개당 ‘1점’, [도3-30] ‘ㅌ,ㅍ,ㅊ,ㅎ’과 [도4-30] ‘ㅐ,ㅔ,ㅚ,ㅟ’로 조합된 글자 1개당 ‘2점’, [도3-40] ‘ㄲ,ㄸ,ㅃ,ㅆ,ㅉ’과 [도4-40] ‘ㅒ,ㅖ,ㅙ,ㅞ’로 조합된 글자 1개당 ‘3점’, 나머지 ‘ㄱ,ㄴ,ㅁ,ㅅ,ㅇ,ㄹ,ㅏ,ㅓ,ㅗ,ㅜ,ㅡ,ㅣ’ 글자조합과는 관계없이 7장이면 ‘1점’, 1장이 추가될 때마다 1점씩 추가하는 놀이규칙이다. 총 점수가 7점 이상이면 [놀이방법 1]처럼 ‘가’, ‘서’를 적용하면 된다.
[놀이방법 1]과 [놀이방법 2]는 ‘3인’ 놀이를 예시한 것이고, ‘2인’ 또는 ‘4인’ 놀이도 가능하다.

Claims (4)

  1. 발음기관 모양을 적용한 자음그림과 입모양을 적용한 모음그림 ‘ㄱ,ㅋ,ㄲ,ㄴ,ㄷ,ㅌ,ㄸ,ㅁ,ㅂ,ㅍ,ㅃ,ㅅ,ㅈ,ㅊ,ㅆ,ㅉ,ㅇ,ㅎ,ㄹ’, ‘ㅡ,ㅣ,ㅏ,ㅓ,ㅗ,ㅜ,ㅑ ,ㅕ,ㅛ,ㅠ ,ㅐ,ㅔ,ㅚ,ㅟ,ㅒ,ㅖ,ㅙ,ㅞ,ㅢ,ㅘ,ㅝ’로 구성된 카드.
  2. ‘ㄱ,ㄴ,ㅁ,ㅅ’과 ‘ㅏ,ㅓ,ㅗ,ㅜ’, ‘ㅋ,ㄷ,ㅂ,ㅈ’와 ‘ㅑ,ㅕㅛ,ㅠ’, ‘ㅌ,ㅍ,ㅊ,ㅎ’와 ‘ㅐ,ㅔ,ㅚ,ㅟ’, ‘ㄲ,ㄸ,ㅃ,ㅉ’와 ‘ㅒ,ㅖ,ㅙ,ㅞ’ 그룹이 구분되도록 한 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국제(영어)표준발음기호가 표시된 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ㄱ’그림카드에 ‘ㅋ,ㄲ’, ‘ㄴ’그림카드에 ‘ㄷ,ㅌ,ㄸ’, ‘ㅁ’그림카드에 ‘ㅂ,ㅍ,ㅃ ’, ‘ㅅ’그림카드에 ‘ㅈ,ㅊ,ㅆ,ㅉ’, ‘ㅇ’그림카드에 ‘ㅎ’, ‘ㅏ’그림카드에 ‘ㅑ,ㅐ,ㅒ’, ‘ㅓ’그림카드에 ‘ㅕ, ㅔ,ㅖ’, ‘ㅗ’그림카드에 ‘ㅛ,ㅚ,ㅘ,ㅙ’, ‘ㅜ’그림카드에 ‘ㅠ,ㅟ,ㅝ,ㅞ’, ‘ㅡ’그림카드에 ‘ㅢ’를 하단에 각각 표기.


KR1020100028256A 2010-03-30 2010-03-30 글 카드놀이 KR20110108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56A KR20110108835A (ko) 2010-03-30 2010-03-30 글 카드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256A KR20110108835A (ko) 2010-03-30 2010-03-30 글 카드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35A true KR20110108835A (ko) 2011-10-06

Family

ID=4532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256A KR20110108835A (ko) 2010-03-30 2010-03-30 글 카드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8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802B1 (ko) *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유아용 한글 교재
KR102097249B1 (ko) * 2019-11-08 2020-04-06 송제욱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20230111505A (ko) *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레이븐어스 낱자 딱지를 이용한 한글 단어놀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802B1 (ko) *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유아용 한글 교재
KR102097249B1 (ko) * 2019-11-08 2020-04-06 송제욱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KR20230111505A (ko) *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레이븐어스 낱자 딱지를 이용한 한글 단어놀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ker Ship or sheep? Book and audio CD Pack: An intermediate pronunciation course
Dilts et al. Beliefs: Pathways to health and well-being
Nietzsche Ecce homo: how to become what you are
Friedman et al. The longevity project: surprising discoveries for health and long life from the landmark eight decade study
US20140295383A1 (en) Processes and methods to use pictures as a language vehicle
US90431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honemic awareness
Johnson et al. Johnson's dictionary: a modern selection
US20180280788A1 (en) Children's learning game
Stirling Teaching spelling to English language learners
KR20110108835A (ko) 글 카드놀이
Davidson Planet word
WO2013153447A2 (en) Processes to use pictures as language units
Cortez GAMES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A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FOR TEACHING ENGLISH TO PUERTO RICAN CHILDREN.
Felkers et al. Homo ludens in the twenty-first century: Towards an understanding of Caillois's paidia in sports 1
Mercer Catechesis: An Invitation to Living Faith
Belmont Embrace your greatness: Fifty ways to build unshakable self-esteem
KR20110108829A (ko) 글그림 주사위 놀이
Gauvin Conjuring Science: A History of Scientific Entertainment and Stage Magic in Modern France
Adelaide The Innocent Reader: Reflections on Reading and Writing
Fernandez Don't Wrong Your English! 1
Foster Behaviour: The Lost Modules
US20090108525A1 (en) Game
Meyer Fitting into a silent world: The first six years of life
Flora Teaching Tips for Kids with Dyslexia, Grades PK-5: A Wealth of Practical Ideas and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Help Children with Dyslexia (and other Reading Disabilities) Become Successful Readers!
Etchells et al. The playful pursuit of child public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