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941A - 자기 밸브 - Google Patents

자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941A
KR20130002941A KR1020120067831A KR20120067831A KR20130002941A KR 20130002941 A KR20130002941 A KR 20130002941A KR 1020120067831 A KR1020120067831 A KR 1020120067831A KR 20120067831 A KR20120067831 A KR 20120067831A KR 20130002941 A KR20130002941 A KR 2013000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gnetic
check valve
fluid connection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트 알라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0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3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ball 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2)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 아마추어(6), 자기 아마추어(6)와 작용 결합되고 자기 밸브(1)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트(9)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자기 아마추어(6)에 의해 배치될 수 있는 밸브 부재(7), 및 자기 밸브(1)의 제 1 유체 접속부(19)와 제 2 유체 접속부(20) 사이에 배치된 체크 밸브(10)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체크 밸브(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6)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자기 밸브{MAGNETIC VALVE}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 아마추어, 상기 자기 아마추어와 작용 결합된 밸브 부재, 및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에 관한 것으로, 밸브 부재는 자기 밸브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자기 아마추어에 의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체크 밸브는 자기 밸브의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방식의 자기 밸브들은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자기 밸브의 자기 아마추어에는, 상기 자기 아마추어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그리고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배치되도록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의해 자력이 가해질 수 있다. 자기 아마추어 또는 밸브 부재는 또한 스프링 부재와 작용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자기 아마추어 또는 밸브 부재를 각각의 정지 위치 또는 출발 위치의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력을 야기한다. 정지 위치는 밸브 시트가 밸브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개방 위치 또는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일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는 무전류 상태에서 개방되는 자기 밸브가 제공되고, 두 번째 경우에는 무전류 상태에서 폐쇄되는 자기 밸브가 제공된다. 자기 밸브는 예컨대 고압 스위칭 밸브(HSV)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기 밸브는 예를 들어 ESP-, ASR- 또는 ABS-시스템과 같은 운전자 지원 장치에서 사용된다.
자기 밸브는 유체를 위한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를 포함한다. 자기 밸브가 개방되면, 즉 자기 아마추어가 밸브 시트의 개방을 위해 배치되면, 유체는 제 1 유체 접속부로부터 제 2 유체 접속부로 자기 밸브를 관류한다. 반대로 자기 밸브가 폐쇄되면, 즉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의 폐쇄를 위해 배치되면, 자기 밸브 내의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의 유동 연결이 중단된다. 자기 밸브의 제 1 유체 접속부는 예컨대 브레이크 시스템의 휠 브레이크 실린더에 할당되고, 제 2 유체 접속부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메인 브레이크 실린더에 할당된다. 브레이크 과정시 메인 브레이크 실린더와 휠 브레이크 실린더에 압력이 형성된다. 자기 밸브가 개방된 경우에 메인 브레이크 실린더에서 나온 유체는 휠 브레이크 실린더의 방향으로 흐를 수 있고, 반대로 자기 밸브가 폐쇄된 경우에 유동 연결은 중단된다.
또한, 자기 밸브의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에 체크 밸브가 유동 기술적으로 배치된다. 체크 밸브는,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의 관류를 한 방향으로만, 즉 제 2 유체 접속부로부터 제 1 유체 접속부로만 허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자기 밸브가 개방된 경우에, 체크 밸브는 실질적으로 작동을 하지 않는다. 반대로 자기 밸브가 폐쇄되면, 밸브 시트를 통해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의 유체가 유동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체크 밸브에 의해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의 유동 연결이 해제된다. 폐쇄된 자기 밸브에서 제 2 유체 접속부에 있는 유체의 압력이 제 1 유체 접속부에서의 압력을 초과하면, 체크 밸브가 개방되므로, 유체는 제 2 유체 접속부로부터 제 1 유체 접속부로 자기 밸브를 관류할 수 있다. 반대로 제 1 유체 접속부측의 압력이 제 2 유체 접속부측의 압력보다 크거나 같으면, 체크 밸브는 폐쇄된다.
자기 밸브가 폐쇄되고(이러한 경우에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의 압력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 2 유체 접속부의 압력이 제 1 유체 접속부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에만, 체크 밸브는 개방된다. 이로 인해, 메인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압력이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압력보다 작으면, 자기 밸브가 폐쇄된 경우에 휠 브레이크 실린더 내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자기 밸브는 바람직하게 무전류 상태에서 개방되는 자기 밸브이고, 상기 자기 밸브는 운전자 지원 장치의 유입 밸브로서 사용된다. 체크 밸브는 일반적으로 자기 밸브의 별도의 부품에 배치되고, 이는 자기 밸브의 크기를 확장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축방향으로 크기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자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에 따른 자기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제시된 특징들을 가진 자기 밸브는, 특히 축방향으로 크기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체크 밸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 내에 배치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체크 밸브를 차단하기 위해 제공되는 별도의 부품은 생략된다. 이를 위해 유동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유동 채널은 제 1 유체 접속부 및 제 2 유체 접속부에 대한 체크 밸브의 유동 기술적인 연결을 보장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체크 밸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밸브 부재 내에 배치된 자기 밸브의 실시예도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밸브 부재는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의 리세스에 삽입되고, 리세스 내에서 밸브 부재와 베이스 사이에 유동 챔버가 제공되도록 리세스의 베이스와 이격 배치된다. 유동 챔버는 자기 아마추어 내에 적절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 챔버는 한 측면에서 유동 챔버의 베이스에 의해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밸브 부재 또는 자기 아마추어를 향한 상기 밸브 부재의 단부면에 의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밸브 부재는 리세스 내로 압입되므로, 상기 리세스에서 압력 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체크 밸브를 위한 밸브 챔버로서 사용되는 유동 챔버는 간단하고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체크 밸브는 유동 챔버에 배치된 체크 밸브 시트 및 체크 밸브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 밸브 부재는 제 1 유동 접속부와 제 2 유동 접속부 사이의 유동 연결을 해제 또는 중단하기 위한 체크 밸브와 상호 작용한다. 유동 챔버는 체크 밸브의 모든 주요 부재들, 즉 체크 밸브 시트와 체크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체크 밸브 부재는 기본적으로 임의로 형성될 수 있지만, 유동 연결의 중단을 위해 체크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는데 적합한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 부재는 볼 형태인 한편, 체크 밸브 시트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유동 연결의 해제 또는 중단은 체크 밸브의 관류 방향 또는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에 존재하는 압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 1 유체 접속부에 제 2 유체 접속부에서보다 높은 압력이 존재하면, 체크 밸브 부재는 체크 밸브 시트 내로 밀린다. 따라서 압력차가 커질수록 체크 밸브의 밀봉 작용도 증가하므로, 자기 밸브가 폐쇄된 경우 유체가 제 1 유체 접속부로부터 제 2 유체 접속부로 유동할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그와 달리 제 2 유체 접속부 측의 압력이 제 1 유체 접속부에서보다 높으면, 체크 밸브 부재는 체크 밸브 시트로부터 밖으로 밀리고, 즉 관류를 위해 상기 체크 밸브 시트를 개방한다. 이 경우, 상기 유체는 방해받지 않고 제 2 유체 접속부로부터 제 1 유체 접속부로 자기 밸브를 관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체크 밸브 시트는 체크 밸브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 바디는 방사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와 밸브 부재 사이에 제공되고, 특히 이들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된다. 체크 밸브 시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동 챔버 내에 제공된다. 상기 체크 밸브 시트를 상기 유동 챔버 내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상기 체크 밸브 시트는 자기 아마추어와 밸브 부재 사이의 갭에 삽입되고, 즉 상기 자기 아마추어와 밸브 부재 사이에 방사방향으로 배치된다. 갭은 링 갭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체크 밸브 바디는 자기 아마추어 또는 밸브 부재에 대해 적어도 방사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축방향으로 체크 밸브 바디의 지지가 의도되면, 체크 밸브 바디는 자기 아마추어와 밸브 부재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되고, 즉 한편으로는 자기 아마추어와 체크 밸브 바디 사이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체크 밸브 바디와 밸브 부재 사이의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갭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기 밸브의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체크 밸브 바디만이 밸브 부재 위에 설치되고, 밸브 부재는 후속해서 자기 아마추어의 리세스 내로 압입되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밸브 하우징 및/또는 자기 아마추어와 밸브 부재 사이에 제 1 유동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유동 채널을 통해 제 2 유체 접속부는 체크 밸브의 유입측과 연결된다. 체크 밸브의 유입측은 제 2 유체 접속부에 할당되는 한편, 배출측은 제 1 유체 접속부에 할당되고, 상기 제 1 유체 접속부와 유체 연결된다. 체크 밸브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체크 밸브의 유입측과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 및 배출측과 제 1 유체 접속부 사이에 유동 채널이 형성되어야 한다. 제 2 유동 접속부와 유입측 사이의 유체 연결을 제공하는 제 1 유동 채널은 밸브 하우징 및/또는 자기 아마추어 및 밸브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 하우징 또는 자기 아마추어의 내벽은 유동 채널의 한 측면을 규정하고, 밸브 부재의 외벽은 유동 채널의 다른 측면을 규정한다. 따라서 제 1 유동 채널은 일반적으로 한 측면에 있는 밸브 하우징 또는 자기 아마추어와 다른 측면에 있는 밸브 부재 사이에 링형 갭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밸브 부재 내에 제 2 유동 채널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동 채널을 통해 제 1 유체 접속부는 밸브 부재의 폐쇄 위치에서도 체크 밸브의 배출측과 유체 연결된다. 체크 밸브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체크 밸브는 항상 제 1 유체 접속부 및 제 2 유체 접속부와 유체 연결되어야 하고, 특히 자기 밸브가 폐쇄되면, 밸브 부재는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 2 유동 채널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유동 채널은 밸브 부재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2 유동 채널은 밸브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관통 보어이므로, 제 2 유동 채널은 밸브 부재의 제 1 단부면 내로 및 제 1 단부면에 대향 배치된 제 2 단부면 내로 통하거나 또는 이들을 관통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체크 밸브 부재는 스페이서에 의해 제 2 유동 채널의 자기 아마추어측 유입부로부터 이격된다. 일반적으로 체크 밸브 부재는 제 2 유동 채널의 자기 아마추어측 유입부와 체크 밸브 바디에 있는 체크 밸브 시트 사이에 배치된다. 체크 밸브 부재가 체크 밸브 시트 및 제 2 유동 채널의 유입부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즉 제 1 유체 접속부와 제 2 유체 접속부 사이의 유체 연결을 중단하기 위해, 스페이서가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유동 연결을 중단하기 위해 체크 밸브 부재가 체크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체크 밸브를 폐쇄하도록 체크 밸브 부재가 제 2 유동 채널의 유입부와 상호 작용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밸브 하우징에 밸브 바디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 바디는 자기 아마추어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에 밸브 시트를 함께 형성하는 관통 개구를 포함한다. 밸브 바디는 밸브 하우징의 부분이다. 밸브 하우징은 예를 들어 자기 밸브의 베이스 바디에 고정되고, 이 경우 베이스 바디는 자기 밸브의 캡슐과 연결된다. 밸브 하우징은 캡슐, 베이스 바디 및 밸브 바디로 구성된다. 밸브 시트는 밸브 바디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 바디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밸브 바디 내에 관통 개구가 형성되고, 이 경우 자기 아마추어를 향한 관통 개구의 측면은 밸브 시트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밸브 부재 내에 배치된 제 2 유동 채널과 밸브 바디의 관통 개구는 서로 동축이다. 밸브 바디가 베이스 바디 내로 압입되고, 캡슐은 베이스 바디로 가압되거나 또는 다른 식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에 고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자기 밸브의 복귀 부재의 한 단부는 밸브 부재 및/또는 자기 아마추어에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밸브 바디에 지지된다. 복귀 부재는, 자기 밸브가 무전류 상태에서 개방된 경우에 밸브 시트를 개방하기 위한 자기 부재를 배치하기 위해 자기 아마추어를 그 출발 위치로 밀어내는데 이용된다. 그와 달리, 자기 밸브가 무전류 상태에서 폐쇄된 경우에 복귀 부재는 밸브 부재를 밸브 시트의 방향으로, 즉 상기 밸브 시트의 폐쇄 위치로 밀어낸다. 복귀 부재는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밸브 부재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밸브 부재의 복귀를 위해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복귀 부재는 밸브 바디 및 밸브 부재 또는 자기 아마추어에 지지된다. 따라서 복귀 부재를 위한 추가 지지체가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밸브 바디에 제 1 유체 접속부는 특히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제 2 유체 접속부는 특히 방사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밸브 바디는 제 1 및 제 2 유체 접속부를 통합한다. 제 1 유체 접속부는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제 2 유체 접속부는 바람직하게 방사방향으로 밸브 바디에 배치된다. 방향 표시는 자기 밸브의 개방시 메인 유동 방향에 관련된다. 따라서 제 1 유체 접속부를 통해 유체는 축방향으로 유동하고, 제 2 유체 접속부를 통해 유체는 방사방향으로 유동한다. 물론 다수의 제 1 유체 접속부들 및/또는 다수의 제 2 유체 접속부들이 밸브 바디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지만,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통합된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의 종단면도.
도면은 자기 밸브(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자기 밸브(1)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슐(3), 베이스 바디(4) 및 밸브 바디(5)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하우징(2)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있고, 예를 들어 캡슐(3) 및 밸브 바디(5)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우징(2), 특히 캡슐(3)에 자기 아마추어(6)가 배치되고, 상기 자기 아마추어는 밸브 부재(7)와 작용 결합된다. 자기 아마추어(6)와 밸브 부재(7)는 하우징(2) 내에서 종축선(8)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밸브 부재(7)는 밸브 시트(9)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기 밸브(1)는 체크 밸브(10)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6) 및/또는 밸브 부재(7)에 통합된다. 체크 밸브(10)는 체크 밸브 시트(11)와 체크 밸브 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 밸브 부재는 이 실시예에서 볼로서 형성된다.
체크 밸브(10)는 유동 챔버(13)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 챔버는 자기 아마추어(6) 및 밸브 부재(7)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밸브 부재(7)는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6)의 리세스(14)에 삽입된다. 밸브 부재는, 리세스(14)의 단부에 유동 챔버(13)가 제공되도록 리세스의 베이스(15)로부터 이격된다. 그러한 경우에 리세스(14)는 자기 아마추어(6) 내에 팩 개구로서 제공되고, 밸브 시트(9)를 향한 상기 자기 아마추어의 단부면(16)만 관통한다.
체크 밸브 시트(11)는 체크 밸브 바디(17)로 형성된다. 상기 체크 밸브 바디는 부분적으로 중공 실린더 형태이고, 그 치수는 베이스(15)의 방향으로 작아진다. 체크 밸브 바디(17)는 중공 실린더형의 하부 영역으로 밸브 부재(7)를 둘러싸고, 따라서 방사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자기 아마추어(6)와 밸브 부재(7)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체크 밸브 바디(17)는 자기 아마추어(6)와 밸브 바디(7)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되므로, 체크 밸브 바디(17)를 지지하기 위한 추가 고정 부재가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체크 밸브 시트(11)는 밸브 부재(7)의 단부면(18)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격되므로, 체크 밸브 부재(12)가 축방향으로 체크 밸브 시트(11)로부터 - 즉, 밸브 부재(7)의 방향으로 - 이동될 수 있다.
자기 밸브(1)는 제 1 유체 접속부(19) 및 다수의, 특히 4개의 제 2 유체 접속부(2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는 상기 4개의 제 2 유체 접속부들 중 2개만 도시된다. 자기 밸브(1)가 개방되면, 밸브 바디(5)는 밸브 시트(9)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유체는 제 1 유체 접속부(19)와 제 2 유체 접속부(20) 사이로 또는 그 반대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밸브 부재(7)가 폐쇄 위치에 있으면, 제 1 유체 접속부(19)와 제 2 유체 접속부(20) 사이의 유동 연결을 중단하기 위해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고, 따라서 유체의 유동은 불가능하다. 밸브 부재(7) 또는 자기 아마추어(6)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코일(21)의 의해 달성되고, 상기 코일은 자기 밸브(1)의 하우징(2)에 있는 코일 홀더(22)에 지지된다. 코일(21) 및 하우징(2)은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2)의 전체 높이에 걸쳐 적어도 원주방향으로 하우징 외장(23)에 의해 둘러싸인다.
자기 밸브(1)는 복귀 부재(24)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부재는 밸브 부재(7) 또는 자기 아마추어(6)의 이동을 코일(21)에 의해 저지한다. 이 경우 코일(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복귀 부재(24)는 자기 아마추어(6) 및 밸브 부재(7)를 그 출발 위치로 밀어낸다. 상기 출발 위치는 예컨대 자기 밸브(1)의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일 수 있다. 복귀 부재(24)는 여기에서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은 밸브 부재(7)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상기 복귀 부재의 한 단부는 밸브 부재(7)의 지지 노즈(25)에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밸브 바디(5)의 단부면(26)에 지지된다. 밸브 부재(7)의 지지 노즈(25)는 방사방향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동시에 밸브 부재(7)를 자기 아마추어(6)의 리세스(14) 내로 삽입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27)를 형성한다.
체크 밸브가 제 1 유체 접속부(19) 및 제 2 유체 접속부(20)와 유체 연결되는 것은, 체크 밸브(1)의 적절한 작동을 위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밸브 하우징(2) 또는 자기 아마추어(6)와 밸브 부재(7) 사이에 제 1 유동 채널(28)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유동 채널은 이 경우 밸브 하우징(2) 또는 유동 챔버(13)의 내벽(29) 및 밸브 부재(7)의 외벽(30)에 의해 규정된다. 제 1 유동 채널(28)을 형성하기 위해, 체크 밸브 바디(17)는 축방향으로 통과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채널은 예컨대 가장자리 개방형 리세스로서 상기 체크 밸브 바디의 외부면에 배치된다(도시되지 않음).
체크 밸브(10)를 제 1 유체 접속부(19)에 유체 연결하는 제 2 유동 채널(31)은 밸브 부재(7)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 2 유동 채널(31)은 밸브 부재(7)를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관통 보어이다. 제 1 유동 채널(28)은 체크 밸브(10)의 유입측(32)에 대한 제 2 유체 접속부(20)의 유체 연결을 형성하는 한편, 제 2 유동 채널(31)은 배출측(33)에 대한 제 1 유체 접속부(19)의 유체 연결을 형성한다. 밸브 부재(7)의 단부면(18)은 스페이서(3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체크 밸브 부재(12)가 제 2 유동 채널(31)의 자기 아마추어측 유입부(35)를 폐쇄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34)는 실질적으로 확장된 직경을 가진 제 2 유동 채널(31)의 연장부를 형성하고, 가장자리 개방형 리세스(36)를 포함한다. 밸브 부재(7) 또는 상기 밸브 부재의 스페이서(34)의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가장자리 개방형 리세스들(36)에 의해, 체크 밸브 부재(12)가 밸브 부재(7)의 단부면(18) 위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유체는 유동할 수 있다.
밸브 바디(5)는 자기 아마추어(6)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에 밸브 시트(9)를 함께 형성하는 관통 개구(9')를 갖고, 상기 개구는 동시에 제 1 유체 접속부(19)를 형성한다. 제 1 유체 접속부(19)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유체 접속부(20)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된다. 자기 밸브(1)는 특히, 밸브 부재(7)가 자기 밸브 수용부(도시되지 않음) 내로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해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자기 밸브(1) 및 자기 밸브가 지지되는 자기 밸브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밸브(1)의 밸브 부재(7)에는 자기 밸브 수용부에 대한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이 제공된다. 압력 끼워맞춤 방식의 결합은 특히 밸브 부재(7)가 자기 밸브 수용부 내로 압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1 자기 밸브
2 밸브 하우징
6 자기 아마추어
7 밸브 부재
9 밸브 시트
10 체크 밸브
19 제 1 유체 접속부
20 제 2 유체 접속부

Claims (10)

  1. 밸브 하우징(2)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자기 아마추어(6), 상기 자기 아마추어(6)와 작용 결합되고 자기 밸브(1)의 적어도 하나의 밸브 시트(9)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해 자기 아마추어(6)에 의해 배치될 수 있는 밸브 부재(7), 및 상기 자기 밸브(1)의 제 1 유체 접속부(19)와 제 2 유체 접속부(20) 사이에 배치된 체크 밸브(10)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1)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자기 아마추어(6)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는 부분적으로 상기 자기 아마추어(6)의 리세스(14)에 삽입되고, 상기 리세스(14)에서 상기 밸브 부재(7)와 베이스(15) 사이에 유동 챔버(13)가 제공되도록 상기 리세스(14)의 상기 베이스(15)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10)는 상기 유동 챔버(13) 내에 배치된 체크 밸브 시트(11) 및 체크 밸브 부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 밸브 부재는 상기 제 1 유체 접속부(19)와 상기 제 2 유체 접속부(20) 사이의 유동 연결을 해제 또는 중단하기 위해 상기 체크 밸브 시트(11)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시트(11)는 체크 밸브 바디(17)에 제공되고, 상기 체크 밸브 바디는 방사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상기 자기 아마추어(6)와 상기 밸브 부재(7) 사이에 제공되고, 특히 이들 사이에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2) 및/또는 상기 자기 아마추어(6)와 상기 밸브 부재(7) 사이에 제 1 유동 채널(28)이 제공되고, 상기 유동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유체 접속부(20)는 상기 체크 밸브(10)의 유입측(32)과 유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7)에 제 2 유동 채널(31)이 제공되고, 상기 유동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유체 접속부(19)는 상기 밸브 부재(7)의 폐쇄 위치에서도 상기 체크 밸브(10)의 배출측(33)과 유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 부재(12)는 스페이서(34)에 의해 상기 제 2 유동 채널(31)의 자기 아마추어측 유입부(35)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2)에 밸브 바디(5)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 바디는 상기 자기 아마추어(6)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면에 상기 밸브 시트(9)를 함께 형성하는 관통 개구(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밸브(1)의 복귀 부재(24)의 한 단부는 상기 밸브 부재(7)에 및/또는 상기 자기 아마추어(6)에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밸브 바디(5)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5)에 특히 축방향으로 상기 제 1 유체 접속부(19)가 형성되고, 특히 방사방향으로는 상기 제 2 유체 접속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밸브.
KR1020120067831A 2011-06-29 2012-06-25 자기 밸브 KR20130002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78325.3 2011-06-29
DE102011078325.3A DE102011078325B4 (de) 2011-06-29 2011-06-29 Magnetvent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41A true KR20130002941A (ko) 2013-01-08

Family

ID=4735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831A KR20130002941A (ko) 2011-06-29 2012-06-25 자기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3731B2 (ko)
JP (1) JP2013011350A (ko)
KR (1) KR20130002941A (ko)
DE (1) DE102011078325B4 (ko)
FR (1) FR2977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9171B (en) * 2013-10-14 2016-02-17 Redd & Whyte Ltd Micro-Valve
DE102016216836A1 (de) 2016-09-06 2018-03-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Luftfeder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1119A (en) * 1967-03-31 1969-10-07 Coast Elevator Co Ball valve
DE2208183A1 (de) * 1972-02-22 1973-08-30 Bosch Gmbh Robert Magnetventil
DE3427526A1 (de) * 1984-07-26 1986-02-06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ventil
JP3035999B2 (ja) * 1990-06-29 2000-04-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絞り調節弁
JP3365151B2 (ja) * 1994-08-05 2003-01-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磁弁
JPH08296759A (ja) 1995-04-25 1996-11-12 Akebono Brake Ind Co Ltd 電磁弁
US6176208B1 (en) 1997-07-03 2001-01-23 Nippon Soken, Inc. Electromagnetic valve driving apparatus
DE10104241A1 (de) * 2000-12-27 2002-08-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anordnung,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DE102006019464A1 (de) * 2006-03-21 2007-09-2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DE102006055831A1 (de) 2006-11-27 2008-05-29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KR100863548B1 (ko) * 2007-11-13 2008-10-15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DE102009019534A1 (de) * 2009-04-30 2010-12-0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Elektromagnetisches Hydraulikventil
BR112012018612B1 (pt) * 2010-02-03 2020-02-18 Kelsey-Hayes Company Válvula eletromagnét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78325A1 (de) 2013-01-03
US8833731B2 (en) 2014-09-16
FR2977293A1 (fr) 2013-01-04
US20130001451A1 (en) 2013-01-03
DE102011078325B4 (de) 2023-08-03
JP2013011350A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5493B2 (en) Electromagnetic valve
KR101710878B1 (ko) 자기 밸브 및 상기 타입의 자기 밸브를 구비한 운전자 보조 장치
EP3919796A1 (en) Solenoid valve for gas
JP5174919B2 (ja) 電磁弁
EP2853790B1 (en) Control valve
JP5677574B2 (ja) 閉止体を備えるピストンポンプのバルブ
US20160298786A1 (en) Electromagnetic valve
US20130099146A1 (en) Solenoid valve
KR101710880B1 (ko) 자기 밸브
CN104930206A (zh) 截止阀
US20120012765A1 (en) Solenoid Valve and Driver Assistance Device
RU2647577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правляемым клапанным диском (варианты)
KR20130002941A (ko) 자기 밸브
US20150137014A1 (en) Solenoid valve
US11156308B2 (en) Electromagnetic valve
JP2004360748A (ja) 常開型電磁弁
US10612684B2 (en) Electromagnetic valve assembly
EP2439433B1 (en) Safety valve and electromagnetic valve
KR20170044200A (ko) 전자기 작동식 팽창 밸브
KR20020007611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20130200283A1 (en) Solenoid Valve and Driver Assistance Device having such a Valve
JP4673832B2 (ja) 電磁弁
US9303787B2 (en) Thermostatic slide valve for a motor vechicle
KR101833859B1 (ko) 유압식 밸브용 차단부 및 유압식 밸브
JP2010270895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