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880B1 - 자기 밸브 - Google Patents

자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880B1
KR101710880B1 KR1020127016604A KR20127016604A KR101710880B1 KR 101710880 B1 KR101710880 B1 KR 101710880B1 KR 1020127016604 A KR1020127016604 A KR 1020127016604A KR 20127016604 A KR20127016604 A KR 20127016604A KR 101710880 B1 KR101710880 B1 KR 10171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fluid passage
magnetic valve
fluid
clos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79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카를
플로리안 리히터
올리버 홀츠
니콜라스 호우이스
외르크 프리케-슈미트
안드레 가르트
엘마르 피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1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밸브(1)의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5), 작동 장치(9)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폐쇄 피스톤(10), 및 작동 장치(9)에 대항해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15)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1)에 관한 것이다. 링 부재(6)가 제공되고, 상기 링 부재는 챔버(5)를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7, 8)로 분할하고, 링 부재(6)의 가이드 개구(17)에 배치된 자기 밸브(1)의 폐쇄 피스톤(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관통되고, 가이드 개구(17)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18, 2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 밸브{SOLENOID VALVE}
본 발명은 자기 밸브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 작동 장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폐쇄 피스톤, 및 작동 장치에 대항해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자기 밸브들이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밸브들은 예컨대 ABS, TCS, ESP 시스템과 같은 운전자 지원 장치에서 사용된다. 상기 자기 밸브는 2/2-자기 밸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게이트 밸브라고도 한다. 자기 밸브는 특히 유체를 조량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자기 밸브는 작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장치에 의해 자기 밸브의 관통 개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작동 장치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즉 자기 밸브는 전기 작동될 수 있다. 관통 개구를 통해 자기 밸브의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의 유체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관통 개구는 자기 밸브의 정지 위치에서 폐쇄되고, 전자석에 전압이 인가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관통 개구가 자기 밸브의 정지 위치에서 개방되고, 작동 장치의 작동에 의해서만, - 즉 예컨대 전자석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 폐쇄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자기 밸브는 전자석에 대항해서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챔버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작동 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 자기 밸브를 정지 위치에 머물게 하거나 또는 상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스프링 부재,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작동 장치에 다른 한편으로는 밀봉 바디에 복귀력을 가한다. 밀봉 바디는, 관통 개구를 밀봉 방식으로 폐쇄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작동 장치에 의해 이동 가능한 폐쇄 피스톤과 상호 작용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밀봉 바디에 자기 밸브의 유입부 또는 배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밀봉 바디는 폐쇄 피스톤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한편으로는 작동 장치와 상호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밀봉 바디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전체 챔버를 통해 연장된다. 이로 인해 밀봉 바디에는 경우에 따라서 밀봉 바디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변형은 밀봉 작용을 저하시킨다. 또한 밀봉 바디는 흔히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스프링 부재를 위해 규정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 부재는 유체력에 노출되고, 상기 유체력은 챔버를 통한 유체의 유입에 의해 야기된다. 자기 밸브의 유입부와 배출부의 유동 연결은 특히 챔버를 통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프링 부재가 원치 않는 유체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자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자기 밸브에 의해 해결된다.
청구범위 제 1 항에 제시된 특징을 포함하는 자기 밸브는, 스프링 부재가 바람직하지 않은 유체력에 노출되지 않고, 폐쇄 피스톤에 의해 상기 밀봉 바디를 변형시키는 힘이 밀봉 바디에 가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링 부재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링 부재는 챔버를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로 분할하고, 링 부재의 가이드 개구에 배치된 자기 밸브의 폐쇄 피스톤에 의해 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관통되고, 가이드 개구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를 포함한다. 즉, 링 부재는 챔버 내에 또는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는 전체 챔버와 마찬가지로 유체로 채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입부와 배출부는 부분 챔버들 중 하나에만 할당되는 한편, 다른 부분 챔버에는 스프링 부재, 작동 장치 및 폐쇄 피스톤의 영역이 배치된다. 링 부재는 원주방향으로 중단될 수 있고, 즉 - 원주방향으로 볼 때 - 챔버를 완전히 관통해서는 안 된다. 링 부재는 가이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링 부재에 자기 밸브의 폐쇄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폐쇄 피스톤은 링 부재를 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관통한다. 가이드 개구는 폐쇄 피스톤에 맞게 조정되고, 즉 상기 폐쇄 피스톤과 유사한 직경을 가지므로, 폐쇄 피스톤은 링 부재에서 확실하게 안내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는 실질적으로 유체 기술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고, 즉 상기 챔버들 사이의 유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로 인해 유체 통행 리세스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는 가이드 개구와는 다르고, 상기 개구와 반드시 이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유체 통행 리세스는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의 유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자기 밸브의 기능은 링 부재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다. 링 부재는 폐쇄 피스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상기 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내벽에 지지되거나 또는 상기 내벽에 고정된다. 링 부재는 스프링 부재의 확실한 지지를 가능하게 하므로, 폐쇄 피스톤은 정지 위치에서 확실한 복귀 또는 지지된다. 또한 이로 인해 스프링 부재에는 예컨대 유체가 챔버를 관류할 때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유체력이 가해지지 않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링 부재는 고정 슬리브 또는 클램핑 슬리브로서 형성된다. 고정 슬리브 및 클램핑 슬리브는 챔버에서 또는 하우징의 내벽에 클램핑 방식으로 지지된다. 고정 슬리브 및 클램핑 슬리브가 클램핑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이들은 챔버와 동일한 치수, 바람직하게는 더 큰 치수를 갖는다. 고정 슬리브는 축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슬롯은 고정 슬리브를 간단하게 챔버 내로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와 달리 클램핑 슬리브는 축방향 슬롯 없이 형성되고, 즉 폐쇄 피스톤을 원주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싼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체 통행 리세스는 유체 통행 포켓으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링 부재의 베이스 바디를 방사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유체 통행 포켓은, 링 부재의 원주면을 향해 뒤로 쑥 들어가 있고, 즉 링 부재의 벽 두께는 유체 통행 포켓의 영역에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유체 통행 리세스는 링 부재를 방사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고정 슬리브에서 예를 들어 축방향 슬롯이 유체 통행 리세스를 형성하는 경우이다. 유체 통행 리세스는 가이드 개구와 무관하게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의 유체 연결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체 통행 포켓은 링 부재의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에 형성된다. 유체 통행 포켓이 외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유체 통행 포켓은 방사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유체 통행 포켓이 내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유체 통행 포켓은 방사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유체 통행 포켓은 부분적으로만 외주면에 걸쳐 또는 내주면에 걸쳐 연장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체 통행 포켓은 그루우브, 홈 및/또는 노치 형태이다. 기본적으로 유체 통행 포켓은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그루우브, 홈 또는 노치 형태이다. 그루우브 형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횡단면을 갖고, 홈 형태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횡단면을 갖고, 노치 형태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체 통행 포켓 옆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바는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한다. 지지 바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내벽에 대한 연결 및 링 부재의 고정을 제공한다. 지지 바는 원주방향으로 임의의 폭을 가질 수 있고, 축방향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중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유체 통행 포켓이 제공되면, 지지 바는 상기 유체 통행 포켓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의 가능한 양호한 유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유체 통행 포켓의 전체 횡단면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바가 차지하는 전체 횡단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체 통행 리세스는 유체 통행 보어로서 링 부재에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의 유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유체 통행 보어는 링 부재를 축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한다. 유체 통행 보어는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축방향으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유체 통행 리세스 또는 유체 통행 보어가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에 스로틀이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유체 통행 보어들이 링 부재에 제공되면, 상기 유체 통행 보어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유체 통행 리세스는 축방향으로 직선, 사선 및/또는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유체 통행 리세스의 경로에 의해 상기 리세스의 관류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유체 통행 리세스의 직선 경로가 바람직하지만, 대안으로서 사선 또는 나선형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링 부재의 원주에 걸쳐 다수의 유체 통행 리세스들이 특히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 사이에 가능한 양호한 유동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다수의 유체 통행 리세스들이 배치된다. 상기 유체 통행 리세스들은 링 부재에 임의로 배치될 수 있지만, 원주에 걸쳐 분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로 인해 압력 손실이 낮은 특히 양호한 관류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유체 통행 리세스가 균일하게 분포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링 부재는 자기 밸브의 스프링 부재용 지지면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 부재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부재를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스프링 부재에 가압될 수 있는 지지면이 제공된다. 특히 지지면은 스프링 부재의 고정 및/또는 안내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챔버에 배치된 링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의 횡단면도.
도 2는 링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링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하우징(2)을 포함하는 자기 밸브(1)를 도시하고,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슬리브(3) 및 적어도 하나의 구조 부재(4)로 이루어진다. 자기 밸브(1)의 하우징(2)에 챔버(5)가 배치되고, 상기 챔버는 링 부재(6)에 의해 제 1 부분 챔버(7)와 제 2 부분 챔버(8)로 분할된다. 자기 밸브(1)는 작동 장치(9)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도시되지 않은) 전자석을 포함한다. 작동 장치(9)에 의해 폐쇄 피스톤(10)이 축방향으로 - 자기 밸브(1)의 종축선(11)에 대해서 - 이동될 수 있다.
자기 밸브(1)는 유체를 위한 유입부(12)와 배출부(13)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입부들(12)이 제공될 수도 있다. 유입부(12)는 제 2 부분 챔버(8)와 영구적으로 유체 연결된다. 제 2 부분 챔버(8)와 배출부(13) 사이 또는 유입부(12)와 배출부(13) 사이의 유체 연결은 자기 밸브(1)에 의해 폐쇄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폐쇄 피스톤(10)은 밀봉 바디(14)와 상호 작용한다. 폐쇄 위치에서 폐쇄 피스톤(10)은, 유체 연결이 중단되도록 밀봉 바디(14) 상에 배치된다. 그와 달리 개방 위치에서 폐쇄 피스톤(10)은 축방향으로 위로 이동되므로, 유체 연결은 개방된다. 자기 밸브(1)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방 위치는 폐쇄 피스톤(10)의 정지 위치에 해당한다. 즉, 유입부(12)와 배출부(13) 사이의 유체 연결은, 폐쇄 피스톤(10)이 작동 장치(9)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까지 제공되므로, 상기 폐쇄 피스톤은 밀봉 바디(14) 위로 이동하고, 유체 연결의 중단을 위해 상기 밀봉 바디와 상호 작용한다. 이를 위해 제 1 부분 챔버(7)에 압축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 부재(15)가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편으로는 작동 장치(9)로 복귀력을 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링 부재(6)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링 부재(6)는 지지면(16)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스프링 부재(15)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폐쇄 위치는 정지 위치이다.
지지면(16)에 의해 한편으로는 스프링 부재(15)의 확실한 지지가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 스프링 부재(15)는 원치 않는 유체력이 가해지는 영역에 배치된다. 유입부(12)와 배출부(13) 사이의 유체 연결이 개방되면, 유체가 자기 밸브(1)를 관류할 때 상기 유체력이 발생한다. 폐쇄 피스톤(10)은 축방향 안내를 위해 링 부재(6)의 가이드 개구(17)에서 지지된다. 링 부재(6)는 폐쇄 피스톤(1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방향으로 둘러싼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피스톤(10)은 링 부재를 축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완전히 관통한다. 상기 링 부재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유체 통행 리세스(18)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제 1 부분 챔버(7)와 제 2 부분 챔버(8) 사이의 유체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유체 연결은, 2개의 부분 챔버들(7, 8) 사이의 확실한 유체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작동 장치(9)에 의한 폐쇄 피스톤(10)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유체 연결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제 1 부분 챔버(7)에는 작동 장치(9)의 작동시 압력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압력은 폐쇄 피스톤(1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는 유체 통행 리세스(18)에 의해 방지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이드 개구(17)를 통해서도 유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폐쇄 피스톤(10)의 확실한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개구는 상기 폐쇄 피스톤과 적어도 유사한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가이드 개구(17)와는 다른 통행 리세스(18)가 제공되어야 한다.
도 2는 링 부재(6)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링 부재(6)는 이 실시예에서 - 횡단면으로 볼 때 - 라운드, 특히 원형 고정 슬리브(19)로서 형성되고, 이것은, 링 부재(6)의 베이스 바디(20)에 축방향 슬롯(21)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축방향 슬롯(21)은 자기 밸브(1)의 하우징(2)에 장착시 방사방향으로 링 부재(6)의 축소를 가능하게 한다. 축방향 슬롯(21)은 동시에 유체 통행 리세스(18)로서 이용된다. 또한 베이스 바디(20)에 가이드 개구(17)가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체 통행 리세스(18)는 베이스 바디(20)를 방사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한다. 상기 유체 통행 리세스는 링 부재(6)의 외주면(22) 및 내주면(23) 내로 통하고, 따라서 가이드 개구(17) 내로 통한다. 링 부재(6)는 외주면(22)에 의해 하우징(2)의 내벽(24;도 1 참조)에 접촉하고, 이로 인해 상기 링 챔버는 2개의 부분 챔버들(7, 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분리하도록 챔버(5) 내에 지지된다. 가이드 개구(17)는 실질적으로 폐쇄 피스톤(10)에 의해 채워지기 때문에, 부분 챔버들(7, 8) 사이의 유동 연결은 축방향 슬롯(21) 또는 유체 통행 리세스(18)에 의해 형성된다.
링 부재(6)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다. 상기 링 부재는 고정 슬리브(19)로서 형성되고, 즉 축방향 슬롯(21)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슬롯은 유체 통행 리세스(18)로서 이용된다. 이와 관련해서 전술한 설명이 참조된다. 또한 링 부재(6)는 4개의 다른 유체 통행 리세스들(26)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들은 외주면(22)에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내주면(23)에 유체 통행 리세스들(25)이 배치될 수도 있다. 유체 통행 리세스들(25)은 유체 통행 포켓(26)으로서 형성된다. 즉, 상기 유체 통행 리세스들은 외주면(22)을 향해 방사방향으로 뒤로 쑥 들어가 있으므로, 베이스 바디(20)에 홈이 형성된다. 유체 통행 포켓들(2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루우브 형태로 형성된다.
유체 통행 포켓들(26) 사이에 지지 바(27)가 배치되고, 링 부재(6)를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 바를 통해 링 부재는 챔버(5) 또는 하우징(2)의 내벽(25)에 연결된다. 지지 바(27)를 통해 고정 슬리브(19)의 클램핑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바(27) 및 유체 통행 포켓들(26)은 링 부재(6)의 원추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로 인해 부분 챔버들(7, 8) 사이의 확실한 유동 연결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통행 포켓(26)은 축방향으로 직선으로 링 부재(6) 또는 상기 링 부재의 외주면(22)을 통해 연장된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유체 통행 포켓(26)의 사선 또는 나선형 경로가 주어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유체 통행 리세스들(25)은 유체 통행 보어(도시되지 않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링 부재(6)의 단부면(28) 내로 통하고 베이스 바디(20)를 통해 연장되는 보어들이다.
선행기술에 공지된 자기 밸브와 달리 자기 밸브(1)는, 스프링 부재(15)를 위한 지지면(16)이 제공되고, 스프링 부재(15)는 자기 밸브(1)의 영역에 배치되고(즉 제 1 부분 챔버(7) 내에), 상기 영역에서 스프링 부재는 원치 않는 유체력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예를 들어 링 부재(6)가 제공되지 않고 따라서 스프링 부재(15)가 밀봉 바디(14) 상에 지지되어야 하는 경우일 수 있다. 스프링 부재(15)는 유입부(12)와 배출부(14) 사이의 유동 연결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유체 유동은 자기 밸브(1)에 의해 유입부를 통해 스프링 부재(15)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복귀력은 작동 장치(9) 또는 폐쇄 피스톤(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링 부재(6)의 배치에 의해 방지되므로, 전술한 자기 밸브(1)는 특히 확실하게 작동한다.
1 자기 밸브
2 하우징
5 챔버
6 링 부재
7 제 1 부분 챔버
8 제 2 부분 챔버
9 작동 장치
10 폐쇄 피스톤
17 가이드 개구

Claims (12)

  1. 유체로 채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한정하는 하우징, 작동 장치, 상기 작동 장치에 의해 이동 가능한 폐쇄 피스톤, 상기 작동 장치에 반작용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챔버를 제 1 및 제 2 부분 챔버들로 분할하도록 형성되는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폐쇄 피스톤에 의해 축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되고,
    상기 링 부재는 가이드 개구를 형성하는 베이스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피스톤은 상기 가이드 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링 부재는 상기 가이드 개구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 부재가 "C"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링 부재의 베이스 바디를 방사 방향 및 축 방향의 양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유체 통행 슬롯으로서 형성되는, 자기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고정 슬리브 또는 클램핑 슬리브로서 형성되는, 자기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 중 적어도 하나는 유체 통행 포켓으로서 형성되는, 자기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포켓은 상기 링 부재의 베이스 바디의 외주면 및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는, 자기 밸브.
  5.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포켓은 채널 형태, 홈 형태 및 노치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자기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포켓 옆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바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 부재에 형성되는 유체 통행 보어로서 형성되는, 자기 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 중 적어도 하나는 축 방향으로 직선, 사선 및 나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연장하는, 자기 밸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통행 리세스는 상기 링 부재(6)의 원주에 대하여 분포되는 복수의 유체 통행 리세스를 포함하는, 자기 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스프링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자기 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폐쇄 피스톤에 의해 축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되는, 자기 밸브.
  12.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유체 통행 리세스들은 상기 링 부재의 원주에 대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는, 자기 밸브.
KR1020127016604A 2009-12-28 2010-10-29 자기 밸브 KR101710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5339.8 2009-12-28
DE102009055339A DE102009055339A1 (de) 2009-12-28 2009-12-28 Magnetventil
PCT/EP2010/066451 WO2011079980A1 (de) 2009-12-28 2010-10-29 Magnet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796A KR20120117796A (ko) 2012-10-24
KR101710880B1 true KR101710880B1 (ko) 2017-02-28

Family

ID=4346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04A KR101710880B1 (ko) 2009-12-28 2010-10-29 자기 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74701B2 (ko)
EP (1) EP2519428B1 (ko)
JP (1) JP5546643B2 (ko)
KR (1) KR101710880B1 (ko)
CN (1) CN102686463B (ko)
BR (1) BR112012015908B1 (ko)
DE (1) DE102009055339A1 (ko)
WO (1) WO2011079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4421A1 (de) * 2015-12-07 2017-06-08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Einlassventil und Hochdruckpumpe mit Einlassventil
KR101937466B1 (ko) * 2017-02-15 2019-01-1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DE102017207685A1 (de) * 2017-05-08 2018-11-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nsteuern mindestens eines Magnetventils
DE102017208937A1 (de) * 2017-05-29 2018-11-29 Robert Bosch Gmbh Bistabiles Magnetventil für ein hydraulisches Bremssystem und korrespondierendes hydraulisches Bremssystem
WO2020080824A1 (ko) * 2018-10-16 2020-04-23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밸브
DE102018222610A1 (de) * 2018-12-20 2020-06-25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e Betätigungseinrichtung
EP3736474B1 (en) * 2019-05-09 2022-02-23 Carrier Corporation Solenoid valve lo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3855A1 (de) * 2005-09-19 2007-03-29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US20080197308A1 (en) * 2007-02-16 2008-08-21 Harald Guggenmos Solenoid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4771C1 (ko) * 1989-10-18 1991-03-28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Gb
DE4426796A1 (de) * 1994-07-28 1996-02-01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Bremsanlagen in Kraftfahrzeugen
US5603483A (en) * 1995-12-11 1997-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Solenoid valve
DE19716856B4 (de) * 1997-04-22 2004-09-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aueinheit für ein Hydraulikventil
DE19826076C1 (de) * 1998-06-12 1999-08-19 Dungs Karl Gmbh & Co Doppelsicherheitsventil
CN100354561C (zh) * 2001-12-11 2007-12-12 萱场工业株式会社 电磁比例流量控制阀
KR100466952B1 (ko) * 2002-04-24 2005-0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티로크 브레이크 액압 제어용 밸브
WO2004055420A2 (de) * 2002-12-13 2004-07-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DE102006002638A1 (de) 2006-01-19 2007-07-26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DE102007031855A1 (de) * 2007-07-09 2009-01-15 Robert Bosch Gmbh Ventilpatrone für ein Magnetventil
DE102007053134A1 (de) * 2007-11-08 2009-05-14 Robert Bosch Gmbh Ventilpatrone für ein Magnetventil und zugehöriges Magnetventil
DE102008042731A1 (de) * 2008-10-10 2010-04-15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3855A1 (de) * 2005-09-19 2007-03-29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US20080197308A1 (en) * 2007-02-16 2008-08-21 Harald Guggenmos Solenoid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55339A1 (de) 2011-06-30
EP2519428A1 (de) 2012-11-07
US20130146796A1 (en) 2013-06-13
JP5546643B2 (ja) 2014-07-09
WO2011079980A1 (de) 2011-07-07
US9074701B2 (en) 2015-07-07
BR112012015908A2 (pt) 2016-06-21
BR112012015908B1 (pt) 2020-03-10
JP2013515218A (ja) 2013-05-02
EP2519428B1 (de) 2015-12-23
KR20120117796A (ko) 2012-10-24
CN102686463A (zh) 2012-09-19
CN102686463B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880B1 (ko) 자기 밸브
EP3919796A1 (en) Solenoid valve for gas
KR101710878B1 (ko) 자기 밸브 및 상기 타입의 자기 밸브를 구비한 운전자 보조 장치
US5199769A (en) Valve, in particular for slip-controlled hydraulic brake systems
US20040026643A1 (en) Solenoid valve
EP2853790B1 (en) Control valve
CN111828723B (zh) 比例液压阀
JP5664873B2 (ja) 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バルブ
EP1484538B1 (en) Normally open solenoid valve
KR20160091565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US20150137014A1 (en) Solenoid valve
JP5710640B2 (ja) 電磁弁およびこのような電磁弁を有する運転手支援装置
US6488047B1 (en) Excess flow valve
CN108644389B (zh) 受控制动器电磁阀组件
US6916003B2 (en) Directional-control valve
KR20150092908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4988775B2 (ja) ハイドロリック式の弁アッセンブリ
JP5309362B2 (ja) 電磁弁
KR20130002941A (ko) 자기 밸브
EP1371889A2 (en) Three-way switching valve
JP7463355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5982476B2 (ja) 電磁弁
JP7134800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JP5216840B2 (ja) 電磁弁
KR101833859B1 (ko) 유압식 밸브용 차단부 및 유압식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