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897U -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 Google Patents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897U
KR20130002897U KR2020110009825U KR20110009825U KR20130002897U KR 20130002897 U KR20130002897 U KR 20130002897U KR 2020110009825 U KR2020110009825 U KR 2020110009825U KR 20110009825 U KR20110009825 U KR 20110009825U KR 20130002897 U KR20130002897 U KR 201300028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lding
welding gun
be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897U/ko
Publication of KR20130002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1Attachments between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and the carri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건을 용접 대상물에 지지한 상태에서 전진법 및 후진법으로 수동용접을 실시할 수 있는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용접건에 탈부착되고 다수개로 배열된 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를 조이거나 푸는 손잡이 기어부로 이루어진 밴드클램프; 상기 밴드클램프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대 결합부; 상기 지지대 결합부의 끼움홈에 끼움되고, 단부가 갈라진 분지지지부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굽은 지지대;를 포함하는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건용 도움지지대{Supporting apparatus for welding gun}
본 고안은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접건을 용접 대상물에 지지한 상태에서 전진법 및 후진법으로 수동용접을 실시할 수 있는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를 만드는 과정에서 주판(철판) 가장자리를 따라 소부재를 세워서 취부(본 용접 앞에 먼저 도면에 따라 구조물을 가용접하는 작업)를 할 경우, 안쪽은 바닥이 넓어 캐리지(carriage)용접(반자동)이 가능하나 바깥쪽은 주판 폭이좁아 정상적인 캐리지(carriage)용접이 불가능하다.
이때는 받침대와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캐리지(carriage) 용접을 하고 있는데, 작업여건이 좋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타원형으로 밴딩된 소부재는 용접사가 직접 수동용접으로 실시한다.
특히 주판바닥 폭이 20mm 이하인 경우에는 용접사가 아크(arc)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용접건(gun)을 주판바닥에 대지 못하고 신체일부를 구조물에 의지 하거나 용접사 스스로 용접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수동용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협소하고 열악한 공간에서의 수동용접방법은 용접사의 어깨와 팔, 목에 많은 힘을 들여야 하므로 장시간 동일한 용접작업을 지속시 용접사의 근골격계 직업병을 유발할 수 있고, 작업 여건상 한번에 용접할 수 있는 길이도 한정적이어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용접 대상물에 지지한 상태로 용접을 실시할 수 있는 용접건용 도움지지대가 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는 바와 같이, 용접건에 탈부착되는 밴드클램프(1)와 상기 밴드클램프(1)에 설치되고 일측 끝단부가 굽어지면서 두 갈래로 갈라진 굽은 지지대(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는 용접 대상물에 굽은 지지대(3)를 지지한 채 용접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하지만 상기 굽은 지지대(3)가 일측에 고정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이 가능하여, 후진법에 의한 용접작업만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전진법을 이용하여 일정방향으로 진행하는 용접작업을 실시할 경우, 굽은 지지대(3)의 굽어진 각도에 따라 용접 대상물과 도움지지대 간의 마찰저항이 발생하여 매끄럽게 용접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용접방법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4663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접용 도움지지대에 있어 용접 대상물에 지지되는 부분이 상측과 하측으로 방향전환이 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실시할 때 일정 방향으로 진행시 발생되는 용접 대상물과 도움지지대 간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전진법과 후진법에 의한 용접작업을 가능하게 한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용접건에 탈부착되고 다수개로 배열된 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를 조이거나 푸는 손잡이 기어부로 이루어진 밴드클램프; 상기 밴드클램프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대 결합부; 상기 지지대 결합부의 끼움홈에 끼움되고, 단부가 갈라진 분지지지부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굽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는 상측과 하측에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굽은 지지대에는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는 돌부가 설치되어, 굽은 지지대가 방향전환시 돌부가 일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부는, 상기 굽은 지지대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 안착홈;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고, 지지대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접용 도움지지대에 있어 용접 대상물에 지지되는 부분인 굽은 지지대가 상측과 하측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실시할 때 일정 방향으로 진행시 발생되는 용접 대상물과 도움지지대 간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한 방향에 제한받지 않고 양방향 모두 진행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진법과 후진법에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있어 굽은 지지대가 하측 방향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있어 굽은 지지대가 상측 방향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는 크게, 주판(철판) 끝단부 바닥 폭이 20mm 이하일 때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수동용접을 용이하게 돕도록 용접건에 탈부착되는 밴드(11)를 조이거나 푸는 밴드클램프(1), 상기 밴드클램프(1)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결합부(2), 상기 지지대 결합부(2)의 끼움홈(21)에 끼움되고, 단부가 굽어지면서 갈라진 분지지지부(31)가 형성된 굽은 지지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밴드클램프(1)는 용접건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클램프(1)는 밴드(11)와 손잡이 기어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11)는 용접건 둘레를 감고 풀을 때 편리하도록 탄성력을 있는 클립밴드 같은 것을 사용한다.
이때, 꼭 상기와 같은 타입만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단지 후술하는 손잡이 기어부(12)의 회전에 의해 풀림과 조임 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비스듬하게 가공된 밴드홈(111)이 가공되어 있으면 된다.
한편, 손잡이 기어부(12)는 손잡이가 형성된 일종의 웜기어가 웜기어를 수납하고 일측에는 밴드(11)의 일측이 고정된 수납부 내에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밴드(11)에 형성된 비스듬하게 배열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밴드홈(111)과 접촉 회전하여 밴드(11) 타측을 조이거나 풀리도록 구성된다.
즉, 조임과 풀림의 작동원리는 웜기어와 이 웜기어의 기어 각도에 대응하는 기어 결합과 같은 작동원리를 가진다.
다음으로, 지지대 결합부(2)는 후술하는 굽은 지지대(3)을 끼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대 결합부(2)는 손잡이 기어부(12)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끼움홈(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 결합부(2)에는 상측과 하측에 걸림공(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22) 내부는 걸림공(22)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단턱(2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공(22)에 의해 굽은 지지대(3)가 끼움된 상태에서 방향전환 후 일정 위치에서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측단에는 굽은 지지대(3)가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이탈방지부(33)가 걸림되는 걸림홈부(2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굽은 지지대(3)는 용접건이 아크(arc)거리를 유지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접 대상물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굽은 지지대(3)는 단부가 굽어지면서 갈라지도록 형성된 분지지지부(31)와, 상기 걸림공(22)에 걸림되는 돌부(32)와, 굽은 지지대(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지지지부(31)는 용접 대상물에 지지되어 용접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분지지지부(31)는 끝단부가 굽어지면서 갈라지도록 분지지지부(31)가 형성되는데, 이때, 두 갈래로 갈라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두 갈래가 아닌, 예컨대, 세 갈래 및 네 갈래 등과 같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돌부(32)는 상기 지지대 결합부(2)에 형성된 걸림공(22)에 걸림되는 부분이다.
상기 돌부(32)는 굽은 지지대(3)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310)과, 상기 스프링 안착홈(310)에 삽입되는 스프링(320)과,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는 걸림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안착홈(310)은 굽은 지지대(3) 일측에 형성되며, 최소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20)은 스프링 안착홈(310)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310) 측단에 걸림돌기(330)가 끼움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30) 외주면에는 돌출부(3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공(22)에 형성된 단턱(210)에 돌출부(331)가 걸림되어, 걸림돌기(330)가 외부로 완전히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이탈방지부(33)는 상기 굽은 지지대(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탈방지부(33)는 지지대 결합부(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갖고, 걸림홈부(23)에 걸림된다.
한편, 상기 굽은 지지대(2)의 재질은 스텐레스, 알미늄 또는 티타늄 재질로 구성할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은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좋기 때문이다.
물론 철재 또는 기타 금속 또는 또는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는 주판 끝단부 바닥 폭이 20mm 이하인 곳(물론 20mm이상인 곳에서도 사용할수 있음)을 수동 용접할 때 용접건에 부착시키는 기능과 용접각도를 맞추는 쓰임새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굽은 지지대(3)는 밴드클램프(1)와 100도 이상 각도를 가지게 부착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각도일 때 용접시의 가용접부 또는 본용접부 또는 용접부위의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해준다.
여기서 굽은 지지대(3)와 밴드클램프(1)에 대한 100도의 기준은 밴드클램프(1)의 손잡이 기어부(12)에 부착된 굽은 지지대(3)의 일측부분, 즉, 굽어지지 않은 직선 형태의 굽은 지지대(3)가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또한, 상기 굽은 지지대(3)의 두 갈래로 갈라진 분지지지부(31)는 일측 갈래는 주판(철판) 바닥을, 또 다른 갈래는 세워진 소부재를 따라 용접건보다 앞서 용접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용을 한다.
즉, 끝이 두 개로 나누어진 굽은 지지대(3)는 용접하는 사람이 쉽게 아크(arc)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동할 때 가용접(tack welding)된 곳에 걸리지 않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를 이용하여 전진법과 후진법에 의한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있어 굽은 지지대가 하측 방향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에 있어 굽은 지지대가 상측 방향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전진법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기 위해, 밴드클램프(1)에 용접건을 고정시킨다.
그 다음 굽은 지지대(3)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킨다.
그 다음 굽은 지지대(3)를 용접 대상물에 지지한 상태에서 아크(arc)거리를 유지하도록 자세를 취한 후 전진법으로 용접을 실시한다.
한편, 후진법에 의한 용접을 실시하기 위해, 굽은 지지대(3)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굽은 지지대를 용접가공물에 지지한 상태로 후진법을 이용하여 일정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용접을 실시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접건용 도움지지대는 굽은 지지대(3)가 상측과 하측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전진법과 후진법을 제한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용접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밴드클램프 2: 지지대 결합부
3: 굽은 지지대 11: 밴드
12: 손잡이 기어부 21: 끼움홈
22: 걸림공 23: 걸림홈부
31: 분지지지부 32: 돌부
33: 이탈방지부 111: 밴드홈
210: 단턱 310: 스프링 안착홈
320: 스프링 330: 걸림돌기
31: 돌출부

Claims (3)

  1. 용접건에 탈부착되고 다수개로 배열된 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를 조이거나 푸는 손잡이 기어부로 이루어진 밴드클램프;
    상기 밴드클램프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지지대 결합부;
    상기 지지대 결합부의 끼움홈에 끼움되고, 단부가 갈라진 분지지지부가 형성되며, 상측과 하측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한 굽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는 상측과 하측에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굽은 지지대에는 상기 걸림공에 대응되는 돌부가 설치되어, 굽은 지지대가 방향전환시 돌부가 일정 위치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는,
    상기 굽은 지지대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프링 안착홈;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결합되고, 지지대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공에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KR2020110009825U 2011-11-07 2011-11-07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KR201300028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25U KR20130002897U (ko) 2011-11-07 2011-11-07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25U KR20130002897U (ko) 2011-11-07 2011-11-07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97U true KR20130002897U (ko) 2013-05-15

Family

ID=5242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25U KR20130002897U (ko) 2011-11-07 2011-11-07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89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79B1 (ko) * 2013-08-14 2013-11-08 (주)한산리니어시스템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링이 형성된 볼스크류축
CN108903230A (zh) * 2018-06-19 2018-11-30 安徽名扬刷业有限公司 一种环卫刷用的边角压紧装置
KR20200028206A (ko) * 2018-09-06 2020-03-16 김경수 레이저 용접 및 절단 시스템
KR20220004510A (ko) 2020-07-03 2022-01-11 백경린 분리형 손잡이 텀블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79B1 (ko) * 2013-08-14 2013-11-08 (주)한산리니어시스템 베어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링이 형성된 볼스크류축
CN108903230A (zh) * 2018-06-19 2018-11-30 安徽名扬刷业有限公司 一种环卫刷用的边角压紧装置
CN108903230B (zh) * 2018-06-19 2024-02-20 安徽名扬刷业有限公司 一种环卫刷用的边角压紧装置
KR20200028206A (ko) * 2018-09-06 2020-03-16 김경수 레이저 용접 및 절단 시스템
KR20220004510A (ko) 2020-07-03 2022-01-11 백경린 분리형 손잡이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897U (ko)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US20120319342A1 (en) Pipe Clamp
KR20130003836U (ko)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JP3152623U (ja) 釣竿の保持装置
KR20130006352U (ko) 엘보우 단관파이프용 고정지그
KR20140000174U (ko) 래싱 파이프 지그
JP6381299B2 (ja) パネル設備の固定具
KR20110054663A (ko) 용접건용 도움지지대
JP6171192B2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決め工具
JP3939728B2 (ja) セグメント用継手構造
JP6432112B2 (ja) 樹脂被覆鋼管の部分剥離装置
JP2011136359A (ja) 溶接用棒状電極の自動交換用ホルダ
JP2012139723A (ja) 下部ノズルの固定装置
US8729428B1 (en) Welding rod expander assembly
KR101875281B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플럭스 회수호스 지지장치
JP3160839U (ja) アーク溶接用ホルダ
US20220315162A1 (en) Bicycle crank arm coupling assistance device
JP5395976B1 (ja) 締めバンド用締付工具および締付方法
US9302352B2 (en) Line up tool
KR20140000710U (ko) 엘보우 고정용 클램프
US20210040966A1 (en) Band clamp
KR20160003471U (ko) 다목적 도구
JP5284495B2 (ja) 小型バンドソー切断補助装置
JP2018204329A (ja) 仮設足場用連結具
JP3209270U (ja) 軒鼻締機及び軒鼻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