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80U - 드릴십용 붐레스트 - Google Patents

드릴십용 붐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80U
KR20130002180U KR2020110008746U KR20110008746U KR20130002180U KR 20130002180 U KR20130002180 U KR 20130002180U KR 2020110008746 U KR2020110008746 U KR 2020110008746U KR 20110008746 U KR20110008746 U KR 20110008746U KR 20130002180 U KR20130002180 U KR 20130002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om
drillship
rest
boom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혜민
최정호
심왕보
이환식
고창길
김영호
이승민
정기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180U/ko
Publication of KR20130002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릴십용 붐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구비되되,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너클 붐 크레인의 붐 대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조가 단순화되고,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후행작업이 감소하여 보수비용이 줄어들 수 있는 드릴십용 붐레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릴십용 붐레스트{Boom rest for drillship}
본 고안은 드릴십용 붐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은 중량물을 들어올려서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운반시키는 기계장치를 칭하며, 기중기(起重機)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레인은 각종 공장, 항만 및 창고 등에서 재료나 제품 또는 기타 중량물(重量物)을 이동시키는 작업에 쓰이며, 호이스트(Hoist)나 체인블록에 비하여 무거운 중량물을 다루는데 사용된다.
특히, 드릴십(drillship)에 설치되는 너클 붐 크레인(knuckle boom crane)은 드릴십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선미에서 선수로 혹은 선수에서 선미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너클 붐 크레인의 붐(boom) 대는 작동하지 않을 때, 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붐레스트(boom rest)에 걸쳐져 보관 및 지지된다.
한편, 도 1의 일반적인 드릴십용 붐레스트(1)를 도시한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붐레스트(1)는 중량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트러스(truss)구조로 설계된다.
이때, 붐레스트(1)는 트러스 구조상 납품 후 페인팅 또는 수리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게다가, 붐레스트(1)는 파이프(3)를 이용한 트러스 구조로서, 다수의 파이프(3)를 연결하여 제조하므로 제작 공수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납품 후 수리 등의 후행 작업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제조가 단순해 질 수 있는 드릴십용 붐레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는, 선박에 구비되되,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너클 붐 크레인의 붐 대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으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그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는 지지대 및 받침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후행작업이 감소하여 보수유지비용이 줄어들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릴십용 붐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가 장착된 드릴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100)가 장착된 드릴십(1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십용 붐레스트(100)는 지지대(110) 및 받침대(cradle; 120)를 포함하며, 드릴십용 붐레스트(100)는 선체(11)에 구비된다.
여기서, 드릴십(10)의 선체(11)에는 뱃머리인 선수와 선미 사이에 문풀(moon pool: 13)이 마련되며, 문풀(13)은 선체(1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로 형성된다. 여기서, 문풀(13)은 시추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드릴 장비가 구비되어 시추 작업을 이룬다.
또한, 선체(1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너클 붐 크레인(knuckle boom crane; 15)은, 드릴십(10)에 필요한 각종 장비들을 선미에서 선수로 혹은 선수에서 선미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너클 붐 크레인(15)에 인접하여 선체(11)에 구비되는 지지대(110)는, 너클 붐 크레인(15)의 붐(boom) 대를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다면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대(110)는 다수의 플레이트를 가지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량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강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지지대(110)의 하단부에는 지지대(110)의 내측으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개구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지지대(110)를 돌아 이동할 필요없이 개구부(110A)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함은 물론, 지지대(110)의 내부로 들어가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대(110)는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그 하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10)의 하단부 중 양측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0)의 상단부는 받침대(120)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스티프너(stiffener)를 이용한 격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10)는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구조에서 평면형태가 연결된 박스 형태로 변경되는 바와 같이, 구조물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구조물의 유지 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 공수가 줄고, 제조단가가 감소할 수 있다.
받침대(120)는 지지대(110)의 상단부인 플레이트부재(112)에 연결되어 너클 붐 크레인(15)의 붐 대를 지지한다. 여기서, 받침대(10)는 너클 붐 크레인(15)의 붐 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20)는 강철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너클 붐 크레인(15)이 작동하지 않을 때 붐 대 하단부를 받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드릴십용 붐레스트 110 : 지지대
110A : 개구부 111 : 외피부
113 : 내피부 120 : 받침대

Claims (3)

  1. 선박에 구비되되,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너클 붐 크레인의 붐 대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는 드릴십용 붐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으로 작업자가 이동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십용 붐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그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십용 붐레스트.
KR2020110008746U 2011-09-29 2011-09-29 드릴십용 붐레스트 KR201300021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46U KR20130002180U (ko) 2011-09-29 2011-09-29 드릴십용 붐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46U KR20130002180U (ko) 2011-09-29 2011-09-29 드릴십용 붐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80U true KR20130002180U (ko) 2013-04-08

Family

ID=5242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46U KR20130002180U (ko) 2011-09-29 2011-09-29 드릴십용 붐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1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179A (ko) 2018-09-04 2020-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붐 지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179A (ko) 2018-09-04 2020-03-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붐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65312U (zh) 一种船用伸缩起重机
CN105984562A (zh) 一种散货船舱口围与舱口盖的建造方法
KR20130002180U (ko) 드릴십용 붐레스트
KR20130114844A (ko) 드릴링 파이프 핸들링 장치의 오버로드 테스트용 웨이트
CN202594598U (zh) 一种船舶舷侧吊耳
CN106315042A (zh) 可拆卸钢制容器
JP5358969B2 (ja) デッキクレーンの試運転用架台
TWI557299B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CN104724623A (zh) 船用可移动式杂物吊
JP2015217749A (ja) 液化ガスタンクの船体支持構造及び液化ガス運搬船
TWI537459B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KR20130073616A (ko) 재사용이 용이한 t 형상의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KR20140046903A (ko)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100958040B1 (ko) 하중작용점을 변경하는 하중조절 지그 및 이를 이용한블록조립방법
KR101691585B1 (ko) 구명 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3921141U (zh) 一种半潜生活平台
KR20120077938A (ko)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KR20130061866A (ko) 선박의 레그용 가이드조립체 및 그의 설치방법
KR102027274B1 (ko) 선박
KR20140006359U (ko)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KR101844274B1 (ko) 리프팅 러그
CN107672756A (zh) 月池及具有其的海工设备和设置在该月池上的滑移装置
KR20130129640A (ko) 컨테이너선의 이중저 거더
KR20170001619U (ko) 크래들 기능을 갖는 스러스터 트렁크 해치 및 그 스러스터 트렁크 해치를 포함하는 스러스터 유지보수장치
KR20170059773A (ko) 블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