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359U -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 Google Patents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359U
KR20140006359U KR2020130004742U KR20130004742U KR20140006359U KR 20140006359 U KR20140006359 U KR 20140006359U KR 2020130004742 U KR2020130004742 U KR 2020130004742U KR 20130004742 U KR20130004742 U KR 20130004742U KR 20140006359 U KR20140006359 U KR 201400063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rane
crane pedestal
pedestal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김용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359U/ko
Publication of KR20140006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3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66C23/525Double slewing cranes on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원기둥부; 상기 원기둥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해양프로젝트 상부데크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기둥부;로 이루어지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해양프로젝트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탑사이드 모듈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탑사이드 모듈의 작동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 CRANE PEDESTAL FOR OFFSHORE PROJECT }
본 고안은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해양프로젝트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원유 생산 저장 하역 설비(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이나 드릴쉽(Drillship) 등의 선박형(Ship Type) 해양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크레인(Crane)은 선체 데크(Hull Deck), 상부 설비(Topside Module)에 있는 장비들의 이동 및 해양작업지원선(Offshore Supply Vessel)에서의 물품 하역을 위해 대부분 높이가 높고 운용하는 용량이 크다.
이에 크레인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인 크레인 페데스탈(Pedestal)은 운용 용량에 적합한 강도가 요구되며, 작업자가 느낄 수 있는 처짐 및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로 사각기둥형(Rectangular Type))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크레인 페데스탈은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의 작동공간확보를 위해 해양프로젝트 선체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계되는 예가 많다.
크레인 페데스탈이 해양프로젝트 선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항구에 접안할 때에 시야가 좋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되며, 외부 환경에 의한 충돌의 우려가 많게 된다.
또한, 크레인 페데스탈이 해양프로젝트 선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돌출 연결 부위의 너클 형상이 구조 강도 측면에서 좋지 못하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일체형 나선 계단이 형성된 극지용 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철골기둥(페데스탈)과 하부구조물(페데스탈)은 모두 사각기둥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키프리스(KIPRIS)를 통한 특허문헌 검색 결과 해양 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에 대한 선행 기술은 검색되지 않았다.
하기의 비특허문헌 1에는 해양프로젝트의 하나인 드릴십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피로해석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비특허문헌 1은 크레인 운용시 발생하는 동하중을 비롯하여 각종 중량물에 의한 동하중이 걸리는 크레인 페데스탈의 피로해석에 대한 연구 결과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359호(2011년 6월 1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998호(2009년 6월 10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5886호(2010년 3월 10일 공개)
드릴십의 대형 크레인 페데스털의 피로해석에 관한 연구(대한조선학회 논문집 Vol. 48, No. 4, pp. 342-345, 2011년 8월, 이정훈외)
전술한 특허문헌들이나 비특허문헌에서는 크레인 페데스탈이 탑사이드 모듈과의 간섭을 회피할 목적으로 해양프로젝트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기술이나 그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프로젝트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탑사이드 모듈과 간섭을 일으키지도 않으면서도 견고하게 탑사이드 모듈의 작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해양 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은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원기둥부; 상기 원기둥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해양프로젝트 선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데크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기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은 상기 원기둥부의 높이가 전체 높이의 20~50%의 범위에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은 상기 연결부의 높이가 원기둥부 직경의 130~180%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은 상기 사각기둥부의 높이가 전체 높이의 40~70%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에 의하면, 우선 해양프로젝트의 선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항구에 접안할 때에 좋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사고를 대폭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외부 환경에 의한 충돌의 우려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각기둥부가 상부데크에 장착되므로 크레인 페데스탈의 강도 및 휨 기준을 만족하는 설계를 하는 데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게 된다.
또한, 원기둥부에 탑사이드 모듈이 장착되므로 중량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탑사이드 모듈의 효율적인 배치 및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정면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원기둥부의 평면도,
도 4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연결부의 평면도,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사각기둥부의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원기둥부의 평면도, 도 4은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연결부의 평면도, 도 5는 동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의 사각기둥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 페데스탈(100)은 원기둥부(110), 연결부(120), 사각기둥부(130)로 이루어진다.
원기둥부(110)는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이며, 원기둥부(110)의 높이는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의 간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상기 원기둥부(110)의 직경은 사각기둥부(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원기둥부(10)의 높이는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전체 높이의 20%가 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원기둥부(110)의 높이가 높을수록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과 간섭을 회피가 쉬운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크레인 페데스탈(100)의 일정 설계 높이일 때에 상기 원기둥부(110)의 높이가 높게 설정될수록 지지 부분인 사각기둥부(130)의 높이가 낮게 설정될 수밖에 없다.
또한, 사각기둥부(130)의 높이가 너무 낮아지게 되면 크레인 페데스텔(100)의 전체 강도가 약해지게 되므로 상기 원기둥부(110)의 높이를 너무 높게 설정하는 것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기둥부(110)의 높이는 전체 높이의 50%가 넘지 않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연결부(120)는 원기둥부(110)와 사각기둥부(130)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120)의 높이는 원기둥부(110) 직경의 130~180% 범위로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연결부(120)의 높이를 원기둥부(110) 직경의 130% 미만으로 설정하게 되면 연결부(120)에 가하지는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의 하중을 연결부(120)가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되어 연결부(120)가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높이를 180% 초과로 설정하게 되면 그만큼 원기둥부(110)의 높이 또는 사각기둥부(1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과의 간섭 회피나 전체 지지강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사각기둥부(130)는 해양프로젝트의 데크(210)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으로, 해양프로젝트 선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사각기둥부(130)는 페데스탈의 강도, 특히 페데스탈의 휨(Pedestal Deflection)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크레인 페데스탈(100)의 일정 설계 높이일 때에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가 다른 부위보다 높을수록 크레인 페데스탈(100)의 강도가 높게 되고, 휨에 대한 응력이 좋게 됨은 당연하다.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를 너무 높게 설정하는 경우 연결부(120) 및 원기둥부(110)의 높이를 낮게 설정할 수밖에 없다.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는 적어도 전체 높이의 40% 이상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가 전체 높이의 40%가 되지 않으면 전체 크레인 페데스탈(100)의 강도가 약해지게 되고, 사각기둥부(130)가 지지 부위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는 전체 높이의 70%가 넘지 않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가 전체 높이의 70%를 넘게 되면 크레인 페데스탈(100)의 강도는 좋아지게 되지만 원기둥부(110)의 높이가 탑사이드 모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없는 정도로 낮아지게 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100)은 상부데크(210)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기둥부(130)가 해양프로젝트의 선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사각기둥부(130)의 상부에 연결부(120)가 마련되고, 연결부(120)의 상부에 마련된 원기둥부(120)에 탑사이드 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원기둥부(120)는 사각기둥부(130)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탑사이드 모듈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크레인 페데스탈
110 : 원기둥부
120 : 연결부
121 : 사각기둥부
200 : 해양프로젝트 선체
210 : 상부데크

Claims (4)

  1. 크레인 탑사이드 모듈이 장착되는 원기둥부(110);
    상기 원기둥부(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부(120);
    상기 연결부(120)의 하부에 마련되고, 해양프로젝트 선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데크(210)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기둥부(130);로 이루어지는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부(10)의 높이는 전체 높이의 20~50%의 범위에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0)의 높이는 원기둥부(110) 직경의 130~180%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기둥부(130)의 높이는 전체 높이의 40~70% 범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KR2020130004742U 2013-06-12 2013-06-12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KR201400063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742U KR20140006359U (ko) 2013-06-12 2013-06-12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742U KR20140006359U (ko) 2013-06-12 2013-06-12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359U true KR20140006359U (ko) 2014-12-22

Family

ID=5361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742U KR20140006359U (ko) 2013-06-12 2013-06-12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3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723A (ja) * 2017-02-28 2018-09-13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723A (ja) * 2017-02-28 2018-09-13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832B1 (ko) 선박용 계류 장치
KR101300707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의 지지구조
KR101853917B1 (ko) 탑사이드 모듈이 설치된 선박
KR20140006359U (ko)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KR20160150417A (ko) 선체 상부 데크 상의 구조물 지지장치
CN204587263U (zh) 钢制护舷
KR20140025696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751833B1 (ko) 드릴쉽
CN202469231U (zh) 用于单支柱汽车滚装船活动甲板的电缆绑扎件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CN203111446U (zh) 浮式生产储油轮供给船护舷平台
KR101259077B1 (ko) 중량물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60005887A (ko) 해상 크레인의 리깅장치
CN104802932A (zh) 备锚基座及包括其的船舶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KR200484765Y1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580802B1 (ko) 패널 인양 지그
KR101873982B1 (ko) 탑 사이드 모듈
KR20120044879A (ko) 선박용 컨테이너 적재 구조물
KR101952978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50060319A (ko) 선박용 빌지킬
KR101722088B1 (ko) 크레인선의 연동작업을 위한 계류설비
KR101834303B1 (ko) 위치 유지 기능을 가진 플로트 오버용 바지선
KR102087177B1 (ko)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