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28U -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 Google Patents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28U
KR20130001728U KR2020110008055U KR20110008055U KR20130001728U KR 20130001728 U KR20130001728 U KR 20130001728U KR 2020110008055 U KR2020110008055 U KR 2020110008055U KR 20110008055 U KR20110008055 U KR 20110008055U KR 20130001728 U KR20130001728 U KR 201300017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tting
support
fittings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병재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728U/ko
Publication of KR20130001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2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관이음쇠를 안정적으로 지지할수 있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이음쇠를 받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며, 배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 및 상기 받침부 타측에 설치되고, 관이음쇠를 배관 측단의 용접 부위에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Jig for tack of pipe fittings}
본 고안은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관이음쇠를 안정적으로 지지할수 있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원거리에 이송할 경우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이러한 배관은 공기단축을 위함과 방향전환 및 갈래를 나누는 데 관이음쇠가 적용된다.
이런 관이음쇠는 관의 직경이나 이송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관이음구조는 밀봉성, 내구성 및 작업 편의성 등이 요구된다.
여기서 관이음쇠에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게 형성되는데, 그 종류를 보게 되면, 배관의 방향전환을 위해 다양한 각도로 꺾어져 있는 엘보(elbow) 형태가 있으며, 가지달기 및 합류를 위한 T자형, Y자형 등이 있고, 서로 다른 지름.유량조절을 위해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리듀서(reducer) 등이 있다.
이러한 관이음쇠는 직선으로 형성된 배관에 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이음방식이 적용되고 있는데, 예를들면, 배관과 관이음쇠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서 체결하는 방식이나 배관과 관이음쇠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하는 방식 또는 배관 일측과 관이음쇠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배관과 관이음쇠를 체결하는 방식 중 밀봉성이 뛰어나고 부피를 작게하며 체결이 용이한 용접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작업자 2인이 필요로 하며, 이때, 1명의 작업자는 관이음쇠(20)를 잡고 있고 다른 작업자가 용접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이로 인해 부피가 큰 관이음쇠(20)의 경우 작업자가 들기에는 무리가 있어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이 야기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흔들림으로 인해 수평유지가 어려워 용접 이음에 있어서 배관(10)과 관이음쇠(20)가 맞닺는 이음부 높낮이 불량으로 충분한 용입을 주기 위한 루트간격(0.8mm~3.2mm)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배관라인 직선도 불량.용접비파괴 결함으로 품질불량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 1명으로도 관이음쇠를 가용접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정확한 루트간격을 유지한 채 안정적으로 가용접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관이음쇠를 받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며, 배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 및 상기 받침부 타측에 설치되고, 관이음쇠를 배관 측단의 용접 부위에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부는 측단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부는 받침부 일측에 형성된 제 1 암나사부에 관통되는 제 1 회전바; 상기 제 1 회전바 일측에 설치되고, 관이음쇠를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밀착판; 및 상기 제 1 회전바 타측에 설치되고, 제 1 회전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판에는 엘보(elbow) 형태의 관이음쇠를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관이음쇠는 받침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작업자 1명으로도 배관과 관이음쇠에 대한 취부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 인력에 대한 운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취부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작업자는 관이음쇠를 들고 있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관이음쇠는 받침부에 안착되고, 밀착판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관이음쇠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루트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배관과 관이음쇠의 용접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용접결함 방지로 품질향상과 능률향상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과 관이음쇠를 취부 및 가용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는 크게, 받침부(100), 클램프(200), 밀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받침부(100)는 관이음쇠(20)가 수평을 이루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이음쇠(20)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홈부(111)가 형성된 받침면(110)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100)는 절곡된 형태로 측단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면(110) 하측으로는 후술하는 클램프(200)가 설치되는 부착부(120)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착부(120)에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다수개의 중공부(1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면(110) 상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밀착부(300)의 제 1 회전바가 결합되기 위해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암나사부(13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클램프(200)는 배관(10)과 관이음쇠(20)를 취부.가용접하기 위해, 작업대(T)에 고정된 배관(10)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클램프(200)는 부착부(120) 일측에 설치되고, ‘C’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본체(210)와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 2 암나사부(220)와 상기 제 2 암나사부(220)에 관통되며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형태의 제 2 회전바(230)와 상기 제 2 회전바(230) 하측으로 가압부(240)이 형성되며, 상부에 설치되는 조작 레버(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240)는 배관(10)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관(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회전바(2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작 레버(250)는 제 2 회전바(230)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250)을 잡고 회전시키면 제 2 회전바(230)가 수직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밀착부(300)는 배관(10) 측단의 취부.가용접을 실시하는 이음부에 관이음쇠(20)를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착부(300)는 제 1 회전바(310)와 밀착판(320)과 핸들(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바(310)는 막대 형태로 구성되며, 앞서 설명한 받침부(100)에 설치된 제 1 암나사부(130)에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제 1 암나사부(130) 내측으로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밀착판(320)은 상기 제 1 회전바(310) 일측에 설치되어 직접적으로 관이음쇠(20)를 배관(10) 측으로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 회전바(310)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착판(320)에 걸림홈(32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322)은 받침부(100)의 받침면(110)에 끼움되며, 밀착판(320) 하부 측단에는 받침면(110)과 맞대어 지지될 수 있는 가이드판(3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착판(320) 상부에는 다양한 각도로 꺾어져 있는 엘보(elbow) 형태의 관이음쇠(20)를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홈(3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바(310) 타측에는 제 1 회전바(310)를 회전시키기 위해 핸들(33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핸들(330)을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핸들(330) 일측에는 노브(knob)(331)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1, 2를 참고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의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클램프(200)를 이용하여 작업대(T)에 고정되어 있는 배관(10)에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를 고정시킨다.
그 다음 관이음쇠(20)를 받침면(110)에 형성된 홈부(111)에 안착시킨다.
그 다음 핸들(330)을 회전시켜 제 1 회전바(310)로 하여금 밀착판(320)이 관이음쇠(20)에 밀착되도록 한 후, 계속해서 배관(10)에 관이음쇠(20)가 가까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핸들(330)을 계속해서 회전시킨다.
이로써 관이음쇠(20)는 안정적으로 수평이 유지됨으로써, 배관(10)과 관이음쇠(20) 사이의 루트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된 채 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또는 리듀서(reducer) 등의 다양한 형태의 관이음쇠(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배관(10)과 관이음쇠(20)가 일정한 수평과 루트간격이 유지된 상태가 되면, 일단 가용접을 실시한다.
가용접이 끝나면 클램프(200)를 해제하여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본 용접을 실시하면 배관(10)과 관이음쇠(20)를 연결하는 용접이 완료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는 클램프(200)를 이용하여 배관(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관이음쇠(20)는 흔들림 없이 수평을 유지하고 일정하게 루트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관(10)에 관이음쇠(20) 부착하는 취부 및 가용접작업을 작업자 1명으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관이음쇠(20)를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일정하게 루트간격을 유지한 채 견고하게 용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배관 20: 관이음쇠
100: 받침부 110: 받침면
111: 홈부 120: 부착면
121: 중공부 130: 제 1 암나사부
200: 클램프 210: 본체
220: 제 2 암나사부 230: 제 2 회전바
231: 제 2 수나사 240: 가압부
250: 조작 레버 300: 밀착부
310: 제 1 회전바 311: 제 1 수나사
320: 밀착판 321: 지지홈
322: 걸림홈 323: 가이드판
330: 핸들 331: 노브(knob)
T: 작업대

Claims (4)

  1. 관이음쇠를 받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일측에 설치되며, 배관에 고정 설치되는 클램프; 및
    상기 받침부 타측에 설치되고, 관이음쇠를 배관 측단의 용접 부위에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측단면이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받침부 일측에 형성된 제 1 암나사부에 관통되는 제 1 회전바;
    상기 제 1 회전바 일측에 설치되고, 관이음쇠를 밀착시키거나 지지하는 밀착판; 및
    상기 제 1 회전바 타측에 설치되고, 제 1 회전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에는 엘보(elbow) 형태의 관이음쇠를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KR2020110008055U 2011-09-05 2011-09-05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KR201300017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055U KR20130001728U (ko) 2011-09-05 2011-09-05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055U KR20130001728U (ko) 2011-09-05 2011-09-05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28U true KR20130001728U (ko) 2013-03-13

Family

ID=5242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055U KR20130001728U (ko) 2011-09-05 2011-09-05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7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8234A (zh) * 2018-02-08 2018-06-01 东莞市合力激光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焊接固定夹具
CN108188975A (zh) * 2018-02-05 2018-06-22 洛阳理工学院 一种快速接头拆卸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8975A (zh) * 2018-02-05 2018-06-22 洛阳理工学院 一种快速接头拆卸装置
CN108188975B (zh) * 2018-02-05 2023-09-19 洛阳理工学院 一种快速接头拆卸装置
CN108098234A (zh) * 2018-02-08 2018-06-01 东莞市合力激光设备有限公司 一种管道焊接固定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7756B2 (en) Clamp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pipeline segments
KR101161687B1 (ko) 플랜지의 접합용 지그
JP2011152566A (ja) 配管部材端部仮固定装置
CN207534268U (zh) 用于管道焊接的夹具
JP4548804B2 (ja) 締結装置
CN109175846A (zh) 一种焊接工作台
KR20130001728U (ko) 관이음쇠 취부용 지그
JP5738003B2 (ja) 溶接用治具
KR20140145405A (ko) 수평기가 구비된 파이프 정렬 보조장치
KR101221245B1 (ko) 용접용 지그장치
JP3164320U (ja) 足場固定具
KR20140006148U (ko) 파이프 고정용 지그장치
JP2011064058A (ja) 鋼管ポールの接合構造及びこれによって接合された鋼管ポール
CN209998668U (zh) 一种管道组矫正连接工具
KR101004010B1 (ko) 파이프 연결 작업용 클램프
JP5356981B2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KR20130006352U (ko) 엘보우 단관파이프용 고정지그
CN210587934U (zh) 一种特种管线管道焊接支架
KR20140006149U (ko) 파이프 고정용 지그장치
CN212443978U (zh) 一种钢管对焊扶正器
CN211248554U (zh) 一种管材切割夹具
CN204248325U (zh) 一种薄壁管道组装工具
CN213946314U (zh) 用于室内外管道的对接辅助工装
CN220739996U (zh) 一种方管多角度焊接夹具
CN110000504A (zh) 一种带有可调节装置的焊接平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