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081A -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 Google Patents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081A
KR20130000081A KR1020110060562A KR20110060562A KR20130000081A KR 20130000081 A KR20130000081 A KR 20130000081A KR 1020110060562 A KR1020110060562 A KR 1020110060562A KR 20110060562 A KR20110060562 A KR 20110060562A KR 20130000081 A KR20130000081 A KR 2013000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ration
water
filter material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성상호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081A/ko
Publication of KR2013000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加壓) 여과부 및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과 가압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가압 여과장치에서 여과 후 별도의 충전 여과장치를 거칠 필요가 없는 복합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여과포에 제1여과재를 프리코팅한 후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도록 하는 가압 여과부와, 제2여과재가 충전되어 여과하고자 하는 물이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충전식 여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식 여과장치와 가압식 여과장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filtering equipment and filte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과 가압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가압 여과장치에서 여과 후 별도의 충전 여과장치를 거칠 필요가 없는 복합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대형 탱크(10) 내부에 자갈, 모래, 활성탄 중의 어느 하나의 여과재(11) 또는 여러 여과재(11)를 차례대로 적층한 충전식(充塡式) 여과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충전식 여과장치는 탱크(10)에 물을 가득 채우고 탱크(10)의 상부에서 물을 계속 유입시키면, 유입된 물이 여과재(11)를 통과하면서 여과재(11)에 의해 이물질은 걸러지고 여과된 물이 탱크(10)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잦은 여과로 인해 여과재(11) 상부에 이물질이 걸러져 쌓이게 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물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탱크(10)의 하부에서 물을 유입한 후 탱크(1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여과재(11)의 상부에 쌓여진 이물질이 탈리되어 물과 함께 배출되고 다시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식 여과장치는 여러 종류의 여과재(11)를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 여과할 수 있으므로, 여과수의 결과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는 탱크(10)의 상부에서 유입된 물이 여과재(11)를 거쳐 하부로 이동하는 동안 여과재(11)에 많은 물길을 만들게 되고, 이후부터는 여과재(11)를 거치지 않고 그 물길을 따라 통과를 하면서 여과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여과재(11)의 상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의 흐름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탱크(10)의 하부에서 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면, 상하부 여과재(11)가 물의 압력에 의해 서로 섞이면서 여과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역세척수의 압력을 일정 이상 높이지 못하게 되고 이는 확실한 역세척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 6개월 ~ 1년여가 지나면 역세척에 의해서도 이물질의 탈리가 어렵게 되고, 이후에는 탱크(10) 내부의 여과재(11)를 모두 배출시킨 후 다시 여과재(11)를 충전시켜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충전식 여과장치와는 다른 형태의 가압식(加壓式) 여과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가압식 여과장치는 여과포(30)가 결합된 여과판(20)이 구비되고, 이 여과판(20)의 하부 유입구(21)를 통해 규조토 또는 활성탄 등의 여과재(31)가 희석된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유입시킨다. 유입된 물은 여과포(30)의 하부에서 상부를 거쳐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재(31)는 여과포(30) 하부에 프리코팅 된다.
따라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여과판(20)의 하부 유입구(21)를 통해 가압하여 공급하게 되면, 유입된 물은 여과포(30)의 하부측에 프리코팅된 여과재(31)의 기공을 통해 여과되고, 여과수는 여과포(30) 상부를 거쳐 여과판(20)의 상부 배출구(22)로 배출된다. 물론, 이물질은 여과재(31)에 의해 걸러져 여과재(31) 하부에 남게 된다.
또한, 오랜동안 여과를 하게 되면, 여과재(31)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로 인해 여과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유입구(21)를 차단하고 물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여과판(20)의 상부측 배출구(22)를 통해 역세척수를 가압하여 공급한다.
따라서, 역세척수는 여과포(31)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거치면서 여과포(31) 하부에 부착된 여과재(31)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키게 되고, 탈리된 이물질과 여과재(31)는 별도의 보조배관(23)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여과포(30)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며, 다시 여과재(31)의 프리코팅 공정을 거친 후 여과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식 여과장치는 이물질이 여과포(30)에 직접 접하지 않고 규조토 또는 활성탄 등의 여과재(31)에 의해 걸러지므로, 역세척 시 여과포(30)에 붙은 여과재(31)와 이물질이 탈리되면서 간편하게 역세척이 이루어져 여과포(30)가 항상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고 이는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과재(31)의 교체가 간편하고,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을 유입하여 여과하므로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압식 여과장치는 어느 하나의 여과재(31)만을 통해 여과가 이루어져 원하는 양질의 결과수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가압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별도의 적층식 여과장치를 다시 거쳐 여과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여전히 충전식 여과장치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와 가압식 여과장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한 충전 및 가압 복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가압 여과되고, 충전 여과부에 충전된 제2여과재에 의해 2차 여과되도록 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고자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로 분할되어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과포에 제1여과재를 프리코팅한 후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도록 하는 가압 여과부와, 제2여과재가 충전되어 여과하고자 하는 물이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충전식 여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포 하부에 제1여과재를 프리코팅한 후, 고압으로 가압된 물이 상기 제1여과재의 하부에서 여과포의 상부 측으로 거치면서 여과하도록 하는 가압 여과부; 및,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 상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차단부가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여과포와 차단부 사이에는 제2여과재가 충전되며, 상기 가압 여과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하도록 하여 2차 여과하는 충전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포 상부에 제1여과재를 프리코팅한 후, 고압으로 가압된 물이 상기 제1여과재의 상부에서 여과포의 하부 측으로 거치면서 여과하도록 하는 가압 여과부; 및,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 하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차단부가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여과포와 차단부 사이에는 제2여과재가 충전되며, 상기 가압 여과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하도록 하여 2차 여과하는 충전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여과재는 규조토 또는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여과재는 상기 제1여과재와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가압부는 다수단으로 구획되어 각각 다른 이종(異種)의 제2여과재가 서로 이격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 여과부와 충전 가압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가 병렬로 다수 연결되어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방법은 복합 여과장치에 구비된 가압 여과부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제1여과재가 여과포에 프리코팅 되는 단계; 상기 프리코팅 된 가압 여과부의 제1여과재 측으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1차 여과되는 단계; 및, 상기 가압 여과부에 의해 1차 여과된 물이 충전 여과부의 제2여과재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방법은 상기 충전 여과부 측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역세척수가 충전 여과부의 제2여과재를 통과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한 역세척수가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에 부착된 제1여과재와 이물질을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전식 여과장치와 가압식 여과장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가압 여과되고, 여과재충전부에 충전된 제2여과재에 의해 2차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로 분할되어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가압식 여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가압 여과부에 구비된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가압 여과부에 구비된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가압 여과부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유입시켜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가압 여과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상부 충전 여과부를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상부 가압 여과부에 구비된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상부 가압 여과부에 구비된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상부 가압 여과부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유입시켜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가압 여과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충전 여과부를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충전 여과부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가 다수단으로 충전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를 병렬로 다수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가압 여과부(100)와 충전 여과부(200)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여과부(100)는 내부 중도부에 여과포(110)가 결합되며, 여과하고자 하는 물이 여과포(110)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여과포(110)의 상부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압 여과부(100)의 하단부에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구(120)가 관통 형성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가압 여과부(100)의 상측에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충전 여과부(200)에는 차단부(210)가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충전 여과부(200)의 상측에는 여과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물배출구(220)가 관통 형성된다.
차단부(210)에는 다수의 관통공(211)이 관통 형성되고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와 차단부(210) 사이에는 제2여과재(310)가 충전된다. 이때, 차단부(210)의 관통공(211)을 통해 제2여과재(310)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별도의 차단망(2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여과부(100)가 상부에 마련되고, 가압 여과부(100)의 하단에 충전 여과부(20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내부 중도부에 여과포(110)가 결합된 가압 여과부(100)가 구비되고,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와 하단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차단부(210)가 구비된다. 차단부(210)에는 관통공(211)이 다수 관통 형성되고, 차단부(210)와 여과포(110) 사이에 채워지는 제2여과재(310)가 관통공(21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30)이 설치된다.
제2여과재(31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등의 여과재 중에서 선택 되어지는 바,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300)와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를 선택하여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식 여과장치(C)를 다수개 연결하되, 병렬로 연결하여 유입되는 물을 다수의 복합식 여과장치(C)에서 동시에 여과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6에 도시도니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식 여과장치(C)의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통공(211)이 형성된 다수개의 차단부(21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차단부(210) 사이마다 서로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310)가 충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가압 여과부에 구비된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가압 여과부에 구비된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하부 가압 여과부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유입시켜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가압 여과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상부 충전 여과부를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여과재(300)가 희석된 물을 별도의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가압 여과부(100)의 물유입구(12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되는 물은 여과포(110)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통과하면서 희석된 제1여과재(300)는 여과포(110)를 통과하지 못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포(110)의 하부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300)가 희석된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도 6에서와 같이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20)를 통해 공급시킨다.
공급되는 물은 제1여과재(300)의 하부를 거쳐 여과포(110)의 상측으로 여과되고, 이는 다시 상측의 충전 가압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31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차단부(210)의 관통공(211)을 통해 거쳐 물배출구(220)로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포(110) 하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300)에 의해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31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300)에 의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310)에 의해 제1여과재(300)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2차로 여과되어 걸러지게 된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에 서로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31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의 제2여과재(310)를 거치면서 각각의 제2여과재(310)가 가지는 여과특성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오랜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300)에 많은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2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식 여과부(200)의 제2여과재(310)를 통과하여 여과포(110) 하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30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물유입구(12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30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비된 가압 여과부(100)의 물유입구(120)를 통해 제1여과재(300)가 희석된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여과포(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거쳐 배출되는데,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300)는 도 11에서와 같이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 상부에 프리코팅되고, 물은 하부의 충전 여과부(200)의 하부 물배출구(220)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게 되면, 도 13과 같이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10) 상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30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하부의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310)에 의해 2차 여과된다.
여과된 물은 차단부(210)의 관통공(211)을 통해 배출되어 물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므로, 마찬가지로 제1여과재(300)와 이종의 제2여과재(310)에 의해 여과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물배출구(22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식 여과부(200)의 제2여과재(310)를 통과하여 여과포(110) 상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30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물유입구(12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여과부(200)에 서로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31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의 제2여과재(310)를 거치면서 각각의 제2여과재(310)가 가지는 여과특성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C)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물유입구(120)를 통해 제1여과재(300)가 희석된 물이 공급되면서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C)로 분할된다. 따라서, 각각의 복합 여과장치(C)의 여과포(110)마다 제1여과재(300)가 프리코팅된다.
그리고,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면 각각의 복합 여과장치(C)의 가압 여과부(100)의 제1여과재(300)를 거친 후, 충전 여과부(200)의 제2여과재(310)를 거치면서 2차 여과되어 물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물을 동시에 여과할 수 있게 된다.
100 : 가압 여과부 110 : 여과포
120 : 물유입구 200 : 충전 여과부
210 : 차단부 220 : 물배출구
230 : 차단망 300 : 제1여과재
310 : 제2여과재

Claims (9)

  1. 여과포에 제1여과재를 프리코팅한 후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여과재에 의해 여과되도록 하는 가압 여과부와,
    제2여과재가 충전되어 여과하고자 하는 물이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하는 충전식 여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2. 내부에 여과포가 결합되어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되는 가압 여과부; 및,
    상기 가압여과부의 여과포 상부에 이격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포와 차단부 사이에는 제2여과재가 충전되어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3. 내부에 여과포가 결합되어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되는 가압 여과부; 및,
    상기 가압여과부의 여과포 하부에 이격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포와 차단부 사이에는 제2여과재가 충전되어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재는 규조토 또는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여과재는 상기 제1여과재와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가압부는 다수단으로 구획되어 각각 다른 이종(異種)의 제2여과재가 서로 이격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여과부와 충전 가압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가 병렬로 다수 연결되어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복합 여과장치에 구비된 가압 여과부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제1여과재가 여과포에 프리코팅 되는 단계;
    상기 프리코팅 된 가압 여과부의 제1여과재 측으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1차 여과되는 단계; 및,
    상기 가압 여과부에 의해 1차 여과된 물이 충전 여과부의 제2여과재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를 이용한 여과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여과부 측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역세척수가 충전 여과부의 제2여과재를 통과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여과재를 통과한 역세척수가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에 부착된 제1여과재와 이물질을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여과장치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20110060562A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130000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62A KR20130000081A (ko)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62A KR20130000081A (ko)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81A true KR20130000081A (ko) 2013-01-02

Family

ID=4783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562A KR20130000081A (ko)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0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427A (zh) * 2019-12-09 2020-02-14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分流式电火花线切割工作液箱
CN112206561A (zh) * 2020-09-28 2021-01-12 郭爱堂 一种能够清洁滤网细小碎屑的智能清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427A (zh) * 2019-12-09 2020-02-14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分流式电火花线切割工作液箱
CN112206561A (zh) * 2020-09-28 2021-01-12 郭爱堂 一种能够清洁滤网细小碎屑的智能清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016B1 (ko)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CN102223933B (zh) 水处理方法
US8277665B2 (en) Method of washing a particulate filter bed using an underdrain
RU200913377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фильтров с незакрепленной средой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130000081A (ko)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CN203634952U (zh) 一种废水过滤处理器
KR20100102881A (ko) 멀티 여과층을 구비하는 오폐수 여과장치
US20130264251A1 (en) Membrane module protection
WO2008057753A2 (en) Improved filtration system
KR100771428B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853990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194030B1 (ko) 여과지의 집수거를 이용한 역세공기 공급구조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CN114949994A (zh) 双层过滤器及其应用的氨水过滤系统和工艺流程
US10022654B2 (en) Gas-liquid distribution technique for water or wastewater filters using underdrains
KR101384333B1 (ko) 부유물질 처리장치
CN102773019B (zh) 过滤罐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215137214U (zh) 一种反冲洗过滤装置
KR20120084207A (ko) 가압식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5412402U (zh) 一种胶印机润版液循环过滤装置
JP2016064371A (ja) 水処理装置
CN203763968U (zh) 一种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