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990B1 -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990B1
KR100853990B1 KR1020080070404A KR20080070404A KR100853990B1 KR 100853990 B1 KR100853990 B1 KR 100853990B1 KR 1020080070404 A KR1020080070404 A KR 1020080070404A KR 20080070404 A KR20080070404 A KR 20080070404A KR 100853990 B1 KR100853990 B1 KR 10085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lets
inlet
outlet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대식
Original Assignee
케이원레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레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레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2Cell-type filters
    • B01D25/26Cell-type stack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다수 적층된 여과판의 여과포에 여과재가 균일하게 도포되어 여과효율이 향상되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어 여과재를 교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과포에 부착된 여과재의 탈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세척이 용이한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하로 견고히 적층되는 다수의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유입구 및 배출구를 차단하는 상단판과; 일측에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판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하단판과; 상기 여과판의 하측에서 상측 수로 측으로 고압의 물과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재의 도포가 용이하고 두껍게 도포되어 종래의 여과장치보다 여과효율이 향상되고, 여과재의 교체주기가 길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여과재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노즐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와 물에 의해 여과재포로부터 여과재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여과재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과판, 여과포, 여과재, 슬러지, 역세척

Description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water filte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다수 적층된 여과판의 여과포에 여과재가 균일하게 도포되어 여과효율이 향상되고, 여과효율이 저하되어 여과재를 교체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여과포에 부착된 여과재의 탈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세척이 용이한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원을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 상수원에 포함된 다양한 슬러지를 여과하고 정화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영장 등에 물을 공급하거나, 수영장 등에서 사용한 물을 다시 걸러 수영장으로 순환시키기 위해서도 물속에 포함된 아주 미세한 슬러지까지 확실하게 걸러 공급하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 여과판(10)은 양측으로 각각 원수 공급구(14)와 정수 배출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원수 공급구(14)와 정수 배출구(15)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11)이 형성되며, 중간판(11)의 상하에는 각각 분리대가 다수 형성되어 분리대의 사이마다 수로(12)(12a)가 형성되어 그 상면에는 여과포(13)가 씌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수로(12)와 원수 공급구(14)가 서로 연통되도록 공급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수로(12a)와 정수 배출구(15)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출공(15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과판(10)을 상하로 다수 적층 후 상하부판으로 마감하여 견고히 결속하게 되면 여과장치가 구성되며, 원수 공급구(14)를 통해 원수를 공급하여 여과를 하게 된다.
이때, 여과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위해 여과포(13)에 활성탄 등의 여과재를 도포하게 되며, 이를 위해 여과를 하기 전에 먼저, 원수에 활성탄 등의 여과재를 첨가하여 원수 공급구(14)를 통해 공급함으로써 활성탄이 여과포(13)의 저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도록 한다.
이렇게 여과재의 도포가 마무리 되면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원수를 원수 공급구(14)로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여과판(10)의 여과포(13) 저면을 거치면서 여과가 되고, 여과된 정수는 정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여과재가 여과포(13)의 저면에 도포되도록 많은 양의 여과재를 투여하여도 여과재가 여과포(13)의 저면에 잘 부착되지 않고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량 이상의 여과재를 도포하고자 하여도 도포가 용이하지 않고, 여과재의 도포가 너무 얇아 여과 정밀도 및 여과효율이 떨어지고 여과 주기가 짧아 자주 교체를 해 주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여과포에 도포되는 여과재의 두께를 두껍게 도포할 수 있도록 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재의 교체를 위해 역세척 시 여과재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여과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에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로 견고히 적층되는 다수의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유입구 및 배출구를 차단하는 상단판과; 일측에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판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하단판과; 상기 여과판의 하측에서 상측 수로 측으로 고압의 물과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여과판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이격되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사이 상하 중도부에는 상하구획대에 의해 구획되어 상하 수로가 형성되며, 상측 수로 상면에는 여과포가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측 수로 사이는 차단되고 유입구와 하측 수로 사이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하측 수로 사이는 차단되고 유입구와 상측 수로 사이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과재의 도포가 용이하고 두껍게 도포되어 종래의 여과장치보다 여과효율이 향상되고, 여과재의 교체주기가 길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여과재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노즐로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와 물에 의해 여과재포로부터 여과재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여과재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여과판(100)은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유입구(110)와 배출구(12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 상하 중도부에는 상하구획대(130)가 상하를 구획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구획대(130)의 상하에는 각각 상하수로(131)(132)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 수로(131)의 위에는 여과포(140)가 차단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10)의 상측은 상측 수로(131)와 차단되고, 하측은 하측 수로(132)와 관통되는 제1관통공(13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20)의 하측은 하측 수로(132)와 차단되고, 상측은 상측 수로(131)와 관통되는 제2관통공(134)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여과판(100)을 다수 적층하고, 여과판(100)의 최상측에는 상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를 차단하는 상단판(200)을 적층하며, 최하단에는 상기 유입구(110)와 연통되는 유입관(310)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배출관(320)이 연결되는 하단판(300)이 적층되어 여과판(100)과 함께 견고히 결속되어 여과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판(100)의 하측에서 각각의 여과판(100) 상측 수로(131) 측으로는 고압의 에어와 물을 분사하는 노즐(150)을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60은 수밀을 요하기 위해 체결하는 고무패킹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를 하기 전에 먼저, 각각의 여과판(100) 상측에 결합된 여과포(140)에 여과재(F)를 도포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하단판(300)과 결합된 유입관(310) 측으로 활성탄 등의 여과재(F)가 포함된 물을 공급한다.
그러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하는 물과 여과재(F)는 각각의 여과판(100)에 형성된 유입구(110)를 통해 제1관통공(133)을 거치게 되고, 이는 다시 각각의 여과판(100) 하측 수로(132)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하측 수로(132)는 배출구(120)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여과판(100a)의 여과포(140a)를 거쳐 다시 하단 여과판(100a)의 상측 수로(131a)로 유입된 후 제2관통공(134a)을 통해 배출구(120)측으로 배출된 후 하단의 배출관(320)으로 배출된다.
이때, 여과포(140a)를 거치는 동안 활성탄 등의 여과재(F)는 여과포(140a)를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포(140a)의 상측에 골고루 도포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여과포(140)의 하측에 여과재(F)가 부착되도록 함에 따라 부착이 용이하지 않고 두껍게 도포하기도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여과포(140)의 상측에 여과재(F)가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재(F)의 부착이 용이하고 필요한 두께만큼 두껍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여과재(F)의 투입이 완료되면 여과재(F)의 투입을 중단하고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유입관(310)을 통해 상측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여과재(F)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여과판(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제1관통공(133)을 거쳐 하측 수로(132)로 유입되며, 유입되는 물은 하측 수로(132)가 배출구(120) 측으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 여과판(100a)의 여과포(140a)를 통과하여 하단 여과판(100a)의 상측 수로(131a)로 유입된다.
이때, 물이 상기 여과포(140a)를 통과하는 동안 여과포(140a) 상측에 도포된 여과재(F)에 의해 물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이 여과되어 깨끗한 정수가 여과포(140a)의 하측을 거쳐 제2관통공(134)을 통해 배출구(120)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장시간 여과를 하게 되면, 여과재(F)에 의해 걸러지는 물에 포함된 찌꺼기 등의 아주 미세한 슬러지가 여과포(140)의 구멍을 막아 여과기능을 점차 상실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여과재(F)와 찌꺼기를 탈리시키는 역세척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유입관(110) 측의 밸브를 차단하고, 배출관(120) 측으로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하며, 공급되는 물은 배출구(120)를 통해 상측으로 유입되면서 제2관통공(134)을 거쳐 상측 수로(131)로 유입된다.
또한, 유입된 세척수는 상측 수로(131)와 유입구(110)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의 여과포(140)로 상승하며, 상승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140) 상측의 여과재(F)와 슬러지가 탈리되면서 제1관통공(133)을 통해 유입구(110) 측으로 하강하면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여과재(F)를 탈리시키기 위해 역세척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여과재(F)의 탈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척수의 공급과 별도로 고압의 에어와 물을 노즐(150)을 통해 분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와 물의 압력에 의해 여과포(140) 위에 부착된 여과재(F)가 보다 용이하게 탈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여과판(100)은 여과재(F)의 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두께로 부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부착된 여과재(F)의 탈리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여과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여과장치의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여과판 일부 절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의 여과판 횡방향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서 여과판이 다수단으로 적층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이 다수단 적층된 상태의 여과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이 적층된 여과장치의 여과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이 적층된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더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판이 적층된 여과장치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역세척을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여과판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상하 구획대
131,132 : 수로 133,134 : 관통공
140 : 여과포 150 : 노즐
200 : 상단판 300 : 하단판
310 : 유입관 320 : 배출관

Claims (2)

  1. 상하로 견고히 적층되는 다수의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유입구 및 배출구를 차단하는 상단판과;
    일측에는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출관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판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하단판과;
    상기 여과판의 하측에서 상측 수로 측으로 고압의 물과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이격되어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사이 상하 중도부에는 상하구획대에 의해 구획되어 상하 수로가 형성되며, 상측 수로 상면에는 여과포가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측 수로 사이는 차단되고 유입구와 하측 수로 사이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하측 수로 사이는 차단되고 유입구와 상측 수로 사이에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20080070404A 2008-07-21 2008-07-21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085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404A KR100853990B1 (ko) 2008-07-21 2008-07-21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404A KR100853990B1 (ko) 2008-07-21 2008-07-21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936A Division KR100853374B1 (ko) 2008-05-15 2008-05-15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990B1 true KR100853990B1 (ko) 2008-08-25

Family

ID=3987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404A KR100853990B1 (ko) 2008-07-21 2008-07-21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5904B2 (en) 2010-04-19 2014-11-04 K-1 Ecotech Co., Ltd. Circular filtering disc and filter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27483B1 (ko) 2016-01-18 2016-06-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여과재 순환코팅 시스템이 구비되는 가압형 수처리장치
CN109011784A (zh) * 2016-08-29 2018-12-18 钱红双 一种液体过滤颗粒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48U (ko) * 1994-07-21 1996-02-14 세탁장치가 설치된 욕조
KR19980046193U (ko) * 1996-12-23 1998-09-25 한규선 필터프레스여과판의 여과포 세척장치
KR20060111987A (ko) * 2005-04-26 2006-10-31 경윤현 여과판 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필터프레스
KR20070022454A (ko) * 2005-08-22 2007-02-27 한국 중수기술 주식회사 액상을 고용량으로 처리하기 위한 여과판 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48U (ko) * 1994-07-21 1996-02-14 세탁장치가 설치된 욕조
KR19980046193U (ko) * 1996-12-23 1998-09-25 한규선 필터프레스여과판의 여과포 세척장치
KR20060111987A (ko) * 2005-04-26 2006-10-31 경윤현 여과판 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필터프레스
KR20070022454A (ko) * 2005-08-22 2007-02-27 한국 중수기술 주식회사 액상을 고용량으로 처리하기 위한 여과판 유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5904B2 (en) 2010-04-19 2014-11-04 K-1 Ecotech Co., Ltd. Circular filtering disc and filter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27483B1 (ko) 2016-01-18 2016-06-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여과재 순환코팅 시스템이 구비되는 가압형 수처리장치
CN109011784A (zh) * 2016-08-29 2018-12-18 钱红双 一种液体过滤颗粒设备
CN109011784B (zh) * 2016-08-29 2020-10-16 诸暨市景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过滤颗粒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411B1 (en) Membrane module system with bundle enclosures and pulsed aeration
KR101014159B1 (ko) 원형 여과판 및 이 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장치
US6505744B1 (en) Solid-liquid separation equipment in particular f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water
KR101282016B1 (ko)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KR100853990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0853374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판
US10071924B2 (en) Diffusion pipe and method for cleaning diffusion pipe
JP2010075850A (ja) 膜カートリッジ
KR101435017B1 (ko)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KR100853386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방법
CN108371843B (zh) 集成水路板组件以及集成水路系统
KR101217982B1 (ko)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1151908B1 (ko) 초기우수와 오염하천수를 동시에 처리 가능한 시설 및 그 처리방법
KR200156598Y1 (ko)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KR100857033B1 (ko) 여과판이 경사지는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1294720B1 (ko) 수처리에서 조류 및 슬러지 제거 장치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JP5248938B2 (ja) 汚水処理装置
KR100338525B1 (ko)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CN203154918U (zh) 一种微滤机
KR101639307B1 (ko) 공기층과 접촉되는 유입수로를 겸비한 가압 공기부상식 여과지
KR100561186B1 (ko) 물 여과장치의 여과판
CN215137214U (zh) 一种反冲洗过滤装置
KR100718791B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20120084207A (ko) 가압식 여과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