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016B1 -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016B1
KR101282016B1 KR1020110060563A KR20110060563A KR101282016B1 KR 101282016 B1 KR101282016 B1 KR 101282016B1 KR 1020110060563 A KR1020110060563 A KR 1020110060563A KR 20110060563 A KR20110060563 A KR 20110060563A KR 101282016 B1 KR101282016 B1 KR 10128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hole
filtration
filter
filter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82A (ko
Inventor
김종학
성상호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0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2Combinations of filters of different k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式) 여과부가 다중으로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동시에 다수의 가압 여과부와 충전 여과부를 거치면서 여과되는 다중 복합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와 제4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구획부,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와 상기 충전 여과부의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式) 여과부가 다중으로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식 여과부와 충전식 여과부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가 다중으로 결합되어, 동시에 다수의 가압 여과부와 충전 여과부를 거치면서 여과되는 다중 복합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는 대부분 대형 탱크(10) 내부에 자갈, 모래, 활성탄 중의 어느 하나의 여과재(11) 또는 여러 여과재(11)를 차례대로 적층한 충전식(充塡式) 여과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러한 충전식 여과장치는 탱크(10)에 물을 가득 채우고 탱크(10)의 상부에서 물을 계속 유입시키면, 유입된 물이 여과재(11)를 통과하면서 여과재(11)에 의해 이물질은 걸러지고 여과된 물이 탱크(10)의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잦은 여과로 인해 여과재(11) 상부에 이물질이 걸러져 쌓이게 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물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탱크(10)의 하부에서 물을 유입한 후 탱크(1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여과재(11)의 상부에 쌓여진 이물질이 탈리되어 물과 함께 배출되고 다시 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식 여과장치는 여러 종류의 여과재(11)를 거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 또는 세균을 걸러 여과할 수 있으므로, 여과수의 결과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는 탱크(10)의 상부에서 유입된 물이 여과재(11)를 거쳐 하부로 이동하는 동안 여과재(11)에 많은 물길을 만들게 되고, 이후부터는 여과재(11)를 거치지 않고 그 물길을 따라 통과를 하면서 여과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여과재(11)의 상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물의 흐름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탱크(10)의 하부에서 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면, 상하부 여과재(11)가 물의 압력에 의해 서로 섞이면서 여과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역세척수의 압력을 일정 이상 높이지 못하게 되고 이는 확실한 역세척을 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여과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 6개월 ~ 1년여가 지나면 역세척에 의해서도 이물질의 탈리가 어렵게 되고, 이후에는 탱크(10) 내부의 여과재(11)를 모두 배출시킨 후 다시 여과재(11)를 충전시켜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가압식 여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충전식 여과장치와는 다른 형태의 가압식(加壓式) 여과장치는, 여과포(30)가 결합된 여과판(20)이 구비되고, 이 여과판(20)의 하부 유입구(21)를 통해 규조토 또는 활성탄 등의 여과재(31)가 희석된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유입시킨다. 유입된 물은 여과포(30)의 하부에서 상부를 거쳐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고 여과재(31)는 여과포(30) 하부에 프리코팅 된다.
따라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여과판(20)의 하부 유입구(21)를 통해 가압하여 공급하게 되면, 유입된 물은 여과포(30)의 하부측에 프리코팅된 여과재(31)의 기공을 통해 여과되고, 여과수는 여과포(30) 상부를 거쳐 여과판(20)의 상부 배출구(22)로 배출된다. 물론, 이물질은 여과재(31)에 의해 걸러져 여과재(31) 하부에 남게 된다.
또한, 오랜동안 여과를 하게 되면, 여과재(31)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로 인해 여과효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유입구(21)를 차단하고 물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여 여과판(20)의 상부측 배출구(22)를 통해 역세척수를 가압하여 공급한다.
따라서, 역세척수는 여과포(31)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거치면서 여과포(31) 하부에 부착된 여과재(31)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키게 되고, 탈리된 이물질과 여과재(31)는 별도의 보조배관(23)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여과포(30)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며, 다시 여과재(31)의 프리코팅 공정을 거친 후 여과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식 여과장치는 이물질이 여과포(30)에 직접 접하지 않고 규조토 또는 활성탄 등의 여과재(31)에 의해 걸러지므로, 역세척 시 여과포(30)에 붙은 여과재(31)와 이물질이 탈리되면서 간편하게 역세척이 이루어져 여과포(30)가 항상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고 이는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여과재(31)의 교체가 간편하고,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을 유입하여 여과하므로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압식 여과장치는 어느 하나의 여과재(31)만을 통해 여과가 이루어져 원하는 양질의 결과수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가압식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별도의 적층식 여과장치를 다시 거쳐 여과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여전히 적층식 여과장치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와 가압식 여과장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한 충전식 및 가압식 복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가압 여과되고, 여과재충전부에 충전된 제2여과재에 의해 2차 여과되도록 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고자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로 분할되어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와 제4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구획부,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에 이격되어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 상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와 제4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구획부,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상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하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상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2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상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2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2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하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2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상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여과부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2구획부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2구획부 사이마다 제2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 여과장치는 다수단 적층 형성되고, 유입되는 물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로 분할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단으로 충전되는 상기 제2여과재는 각각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전식 여과장치와 가압식 여과장치가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포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에 의해 가압 여과되고, 여과재충전부에 충전된 제2여과재에 의해 2차 여과하여 양질의 여과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된 물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로 분할되어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충전식 여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가압식 여과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절취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제1여과재에 이물질이 여과되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절취 결합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절취 결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가압 여과부(100)의 상측에 충전 여과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압 여과부(100)는 일측 끝단에 제1관통구(11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제2관통구(120)가 나란하게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에는 상하를 구획하기 위한 제1구획부(130)가 연결된다. 또한, 제1관통구(110)에서 제1구획부(130)의 상부측과 연통되도록 제1연통구(140)가 형성된다.
제1구획부(130) 상측에는 여과포(150)가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를 덮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50)의 저면에는 제1여과재(160)가 프리코팅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일측 끝단에 제3관통구(21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제4관통구(220)가 나란하게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3관통구(210)와 제4관통구(220) 사이에는 상하를 구획하기 위한 제2구획부(230)가 연결된다. 제2구획부(23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31)이 관통 형성되며, 제4관통구(220)에서 제2구획부(230)의 상부측과 연통되도록 제2연통구(240)가 형성된다.
또한, 여과포(150)와 제2구획부(230) 사이에는 제2여과재(260)가 충전되고, 제2구획부(230)에는 제2여과재(260)가 관통공(23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구획부(230)의 위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구획부(230)가 다수단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구획부(230) 사이마다 제2여과재(260)가 충전된다. 이때, 각각의 제2여과재(26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안트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모래사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제1여과재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여과포에 제1여과재가 프리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가압 여과부(100)에 형성된 물유입구(17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 하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50)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160)가 여과포(150) 하부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되고, 물만 여과포(150) 상부를 거쳐 충전 여과부(200)의 제2구획부(230)에 형성된 관통공(231)과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4관통구(220)로 배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제1여과재에 이물질이 여과되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제1여과재(160)의 프리코팅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70)를 통해 공급시킨다.
공급되는 물은 마찬가지로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거치면서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여과재(160)의 하부를 거쳐 여과포(150)의 상측으로 거치면서 여과되고, 이는 다시 상측의 충전 가압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을 통해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4관통구(220)와 물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포(150) 하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5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2여과재(26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160)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260)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제1여과재(160)에서 걸르지 못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랜시간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150)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7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 여과부(200)의 제4관통구(220)를 통해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포(150) 하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15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제1관통구(110)를 거쳐 물유입구(17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16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일부 절취 결합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가압 여과부(100)의 하측에 충전 여과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압 여과부(100)는 일측 끝단에 제1관통구(11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제2관통구(120)가 나란하게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에는 상하를 구획하기 위한 제1구획부(130)가 연결된다. 또한, 제1관통구(110)에서 제1구획부(130)의 하부측과 연통되도록 제1연통구(140)가 형성된다.
제1구획부(130) 하측에는 여과포(150)가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를 덮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50)의 상면에는 제1여과재(160)가 프리코팅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일측 끝단에 제3관통구(21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고, 타측 끝단에는 제4관통구(220)가 나란하게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3관통구(210)와 제4관통구(220) 사이에는 상하를 구획하기 위한 제2구획부(230)가 연결된다. 제2구획부(23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31)이 관통 형성되며, 제4관통구(220)에서 제2구획부(230)의 하부측과 연통되도록 제2연통구(240)가 형성된다.
또한, 여과포(150)와 제2구획부(230) 사이에는 제2여과재(260)가 충전되고, 제2구획부(230)에는 제2여과재(260)가 관통공(23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구획부(230)의 하부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구획부(230)가 다수단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구획부(230) 사이마다 제2여과재(260)가 충전된다. 이때, 각각의 제2여과재(26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안트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모래사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가압 여과부(100)에 형성된 물유입구(17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제1관통구(11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 상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50)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160)가 여과포(150) 상면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되고, 물만 여과포(150) 하부를 거쳐 충전 여과부(200)에 구비된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과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4관통구(220)로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제1여과재(160)의 프리코팅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70)를 통해 공급시킨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공급되는 물은 마찬가지로 제1관통구(110)를 거치면서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여과재(160)의 상부를 거쳐 여과포(150)의 하측으로 거치면서 여과되고, 이는 다시 하측의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을 통해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4관통구(220)와 물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포(150) 상면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5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2여과재(26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160)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260)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제1여과재(160)에서 걸르지 못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랜시간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150)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7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 여과부(200)의 제4관통구(220)를 통해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여 여과포(150) 상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16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거쳐 물유입구(17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16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실시예 3]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압 여과부(100)의 상측에 충전 여과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압 여과부(100)는 원형의 제1구획부(130)가 구비되고, 제1구획부(1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관통구(110)가 형성된다. 제1구획부(130) 내측 중앙부에는 제2관통구(1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구(110)에서 제1구획부(130)의 상측으로는 제1연통구(1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제1구획부(130) 상측에는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를 덮도록 여과포(150)가 원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50)의 저면에는 제1여과재(160)가 프리코팅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의 관통공(231)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230)가 구비되고, 제2구획부(2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3관통구(210)가 형성된다. 제2구획부(230) 내측 중앙부에는 제4관통구(2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4관통구(220)에서 제2구획부(230)의 상측으로는 제2연통구(2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여과포(150)와 제2구획부(230) 사이에는 제2여과재(260)가 충전되고, 제2구획부(230)에는 제2여과재(260)가 관통공(23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구획부(230)의 위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구획부(230)가 다수단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구획부(230) 사이마다 제2여과재(260)가 충전된다. 이때, 각각의 제2여과재(26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안트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모래사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가압 여과부(100)에 형성된 물유입구(17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가압 여과부(100)의 외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1관통구(11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 하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50)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160)가 여과포(150) 하부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되고, 물만 여과포(150) 상부를 거쳐 충전 여과부(200)의 제2구획부(230)에 형성된 관통공(231)과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4관통구(220)로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여과포(150) 하부에 제1여과재(160)의 프리코팅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70)를 통해 공급시킨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공급되는 물은 마찬가지로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거치면서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여과재(160)의 하부를 거쳐 여과포(150)의 상측으로 거치면서 여과되고, 이는 다시 상측의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을 통해 제2연통구(240)를 거쳐 중앙의 제4관통구(220)와 물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포(150) 하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5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2여과재(26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160)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260)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제1여과재(160)에서 걸르지 못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랜시간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150)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7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 여과부(200)의 제4관통구(220)를 통해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포(150) 하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15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거쳐 물유입구(17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16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실시예 4]
도 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압 여과부(100)의 하측에 충전 여과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압 여과부(100)는 원형의 제1구획부(130)가 구비되고, 제1구획부(1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관통구(110)가 형성된다. 제1구획부(130) 내측 중앙부에는 제2관통구(1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관통구(110)에서 제1구획부(130)의 하측으로는 제1연통구(1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제1구획부(130) 하측에는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를 덮도록 여과포(150)가 원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50)의 저면에는 제1여과재(160)가 프리코팅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의 관통공(231)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230)가 구비되고, 제2구획부(2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3관통구(210)가 형성된다. 제2구획부(230) 내측 중앙부에는 제4관통구(2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4관통구(220)에서 제2구획부(230)의 하측으로는 제2연통구(2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여과포(150)와 제2구획부(230) 사이에는 제2여과재(260)가 충전되고, 제2구획부(230)에는 제2여과재(260)가 관통공(23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구획부(230)의 위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구획부(230)가 다수단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구획부(230) 사이마다 제2여과재(260)가 충전된다. 이때, 각각의 제2여과재(26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안트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모래사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가압 여과부(100)에 형성된 물유입구(17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가압 여과부(100)의 외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1관통구(11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 상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50)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160)가 여과포(150) 상부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되고, 물만 여과포(150) 하부를 거쳐 충전 여과부(200)의 제2구획부(230)에 형성된 관통공(231)과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4관통구(220)로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여과포(150) 상부에 제1여과재(160)의 프리코팅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70)를 통해 공급시킨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공급되는 물은 마찬가지로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거치면서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여과재(160)의 상부를 거쳐 여과포(150)의 하측으로 거치면서 여과되고, 이는 다시 하측의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을 통해 제2연통구(240)를 거쳐 중앙의 제4관통구(220)와 물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포(150) 상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5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2여과재(26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160)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260)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제1여과재(160)에서 걸르지 못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랜시간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150)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7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 여과부(200)의 제4관통구(220)를 통해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포(150) 상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15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를 거쳐 물유입구(17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16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실시예 5]
도 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압 여과부(100)의 상측에 충전 여과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압 여과부(100)는 원형의 제1구획부(130)가 구비되고, 제1구획부(1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관통구(110)가 형성된다. 제1구획부(130) 내측 중앙부에는 제2관통구(1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2관통구(110)에서 제1구획부(130)의 상측으로는 제1연통구(1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제1구획부(130) 상측에는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를 덮도록 여과포(150)가 원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50)의 저면에는 제1여과재(160)가 프리코팅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의 관통공(231)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230)가 구비되고, 제2구획부(2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3관통구(210)가 형성된다. 제2구획부(230) 내측 중앙부에는 제4관통구(2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3관통구(210)에서 제2구획부(230)의 상측으로는 제2연통구(2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여과포(150)와 제2구획부(230) 사이에는 제2여과재(260)가 충전되고, 제2구획부(230)에는 제2여과재(260)가 관통공(23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구획부(230)의 위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구획부(230)가 다수단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구획부(230) 사이마다 제2여과재(260)가 충전된다. 이때, 각각의 제2여과재(26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안트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모래사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가압 여과부(100)에 형성된 물유입구(17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가압 여과부(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관통구(12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 하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50)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160)가 여과포(150) 하부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되고, 물만 여과포(150) 상부를 거쳐 충전 여과부(200)의 제2구획부(230)에 형성된 관통공(231)과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3관통구(220)로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여과포(150) 하부에 제1여과재(160)의 프리코팅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70)를 통해 공급시킨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공급되는 물은 마찬가지로 가압 여과부(100)의 제2관통구(120)를 거치면서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여과재(160)의 하부를 거쳐 여과포(150)의 상측으로 거치면서 여과되고, 이는 다시 상측의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을 통해 제2연통구(240)를 거쳐 외측의 제3관통구(210)와 물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포(150) 하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5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2여과재(26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160)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260)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제1여과재(160)에서 걸르지 못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랜시간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150)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7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 여과부(200)의 제3관통구(210)를 통해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포(150) 하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15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가압 여과부(100)의 제2관통구(120)를 거쳐 물유입구(17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16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실시예 6]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여과장치(C)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압 여과부(100)의 하측에 충전 여과부(2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가압 여과부(100)는 원형의 제1구획부(130)가 구비되고, 제1구획부(1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관통구(110)가 형성된다. 제1구획부(130) 내측 중앙부에는 제2관통구(1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2관통구(110)에서 제1구획부(130)의 하측으로는 제1연통구(1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제1구획부(130) 하측에는 제1관통구(110)와 제2관통구(120) 사이를 덮도록 여과포(150)가 원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여과포(150)의 상면에는 제1여과재(160)가 프리코팅된다.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의 관통공(231)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230)가 구비되고, 제2구획부(230)의 외측 테두리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3관통구(210)가 형성된다. 제2구획부(230) 내측 중앙부에는 제4관통구(220)가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3관통구(210)에서 제2구획부(230)의 하측으로는 제2연통구(240)가 연통 형성된다.
또한, 여과포(150)와 제2구획부(230) 사이에는 제2여과재(260)가 충전되고, 제2구획부(230)에는 제2여과재(260)가 관통공(231)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망(2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전 여과부(200)는 다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해 제2구획부(230)의 위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구획부(230)가 다수단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구획부(230) 사이마다 제2여과재(260)가 충전된다. 이때, 각각의 제2여과재(260)는 규조토, 활성탄, 백토, 안트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모래사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고압펌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가압 여과부(100)에 형성된 물유입구(170)를 통해 고압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물은 가압 여과부(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2관통구(120)를 통해 유입된 후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 상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50)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통과하면서 물에 희석된 제1여과재(160)가 여과포(150) 상부에 걸러지면서 프리코팅되고, 물만 여과포(150) 하부를 거쳐 충전 여과부(200)의 제2구획부(230)에 형성된 관통공(231)과 제2연통구(240)를 거쳐 제3관통구(220)로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제1여과재(160)가 희석된 물을 공급하여 여과포(150) 상부에 제1여과재(160)의 프리코팅이 완료되면, 이를 중단하고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물유입구(170)를 통해 공급시킨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여과하고자 하는 물을 공급하여 여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공급되는 물은 마찬가지로 가압 여과부(100)의 제2관통구(120)를 거치면서 제1연통구(140)를 통해 여과포(150)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여과재(160)의 상부를 거쳐 여과포(150)의 하측으로 거치면서 여과되고, 이는 다시 하측의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제2구획부(230)의 관통공(231)을 통해 제2연통구(240)를 거쳐 외측의 제3관통구(210)와 물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포(150) 하부에 프리코팅된 제1여과재(160)에 의해 흡착되면서 걸러지고, 양질의 물만 가압 여과부(100)의 여과포(150)를 통과한 후 충전 여과부(200)에 충전된 제2여과재(260)에서 재차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2여과재(260)가 다수단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각각 다른 이종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제1여과재(160)를 거치면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1차 여과된 물은 이종의 제2여과재(260)가 가지는 특성에 의해 제1여과재(160)에서 걸르지 못한 이물질을 2차로 여과하게 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이물질과 제1여과재를 여과포로부터 탈리시켜 배출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랜시간동안의 여과로 인해 제1여과재(150)에 많은 이물질이 흡착되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이때에는 여과하고자 하는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반대로 물배출구(270)(또는, 별도의 역세척수공급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한다.
역세척수는 충전 여과부(200)의 제3관통구(210)를 통해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포(150) 상부에 부착된 제1여과재(150)와 이물질을 모두 탈리시킨 후 가압 여과부(100)의 제2관통구(120)를 거쳐 물유입구(170)(또는, 별도의 슬러지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여과장치(C)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며, 다시 제1여과재(160)의 공급과 프리코팅 및 오염수의 공급과 여과, 역세척의 공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여과장치(C)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다수단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압 여과부(100)의 제1관통구(110)로 유입된 물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통된 제3관통구(210)를 통해 다시 각단의 제1관통구(110)와 제3관통구(210)로 분할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각 단의 여과포(150)와 충전 여과부(200)의 제2여과재(260)를 거치면서 여과된 후 제4관통구(110)로 매출되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구(120)를 통해 다시 각 단의 제4관통구(220)와 제2관통구(120)로 분할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유입된 물은 동시에 다수단의 가압 여과부(100)와 충전 여과부(200)를 거치면서 여과가 되어 배출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가압 여과부 110 : 제1관통구
120 : 제2관통구 130 : 제1구획부
140 : 제1연통구 150 : 여과포
160 : 제1여과재 200 : 충전 여과부
210 : 제3관통구 220 : 제4관통구
230 : 제2구획부 240 : 제2연통구
250 : 차단망 260 : 제2여과재

Claims (9)

  1.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에 이격되어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와 제4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구획부,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2.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는 제1구획부,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에 이격되어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 상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일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타측 끝단에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와 제4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를 구획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2구획부,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가압 여과부의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3.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상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4.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1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하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1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상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4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5.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2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상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2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저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상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6. 원형의 제1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1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관통구, 상기 제1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관통구, 상기 제2관통구에서 상기 제1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통구, 상기 제1구획부 하측에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에 원형으로 결합되는 여과포, 물에 희석되어 상기 제2관통구로 유입되어 여과포의 상면에 프리코팅되는 제1여과재를 포함하는 가압 여과부; 및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제2구획부, 상기 원형의 제2구획부 외측 테두리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관통구, 상기 제2구획부 내측 중앙부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관통구, 상기 제3관통구에서 상기 제2구획부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통구, 상기 여과포와 상기 제2구획부 사이에 충전되는 제2여과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여과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충전 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여과부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2구획부는 다단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2구획부 사이마다 제2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다단으로 충전되는 상기 제2여과재는 각각 다른 이종(異種)의 여과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여과장치는 다수단 적층 형성되고, 유입되는 물이 다수의 복합 여과장치로 분할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여과와 충전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KR1020110060563A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KR10128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63A KR101282016B1 (ko)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563A KR101282016B1 (ko)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82A KR20130000082A (ko) 2013-01-02
KR101282016B1 true KR101282016B1 (ko) 2013-07-04

Family

ID=4783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563A KR101282016B1 (ko) 2011-06-22 2011-06-22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0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7458A (zh) * 2016-05-10 2016-07-27 宜兴市星光宝亿化工有限公司 一种渣油过滤装置
WO2018105851A1 (ko) * 2016-12-08 2018-06-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
KR102312965B1 (ko) * 2021-03-16 2021-10-15 청록엔지니어링(주) 공공하수 처리 시설의 여과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5805A (zh) * 2013-11-25 2014-02-19 无锡俊达测试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过滤装置
CN109289309A (zh) * 2018-11-12 2019-02-01 安徽家思特涂料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涂料生产用滤渣装置
CN111013248B (zh) * 2019-12-26 2021-10-26 山东国大黄金股份有限公司 一种碳纤维过滤板的制备方法
US11833266B2 (en) 2021-01-25 2023-12-05 Wynn Resorts Holdings, Llc Card distribution and sanitizing apparatus using ultraviolet irradiation
KR20230029321A (ko) 2021-08-24 2023-03-03 이석현 카드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701367A (ko) * 1988-11-17 1990-12-01 헤베르하겐 빌헤름 혼탁물 분리용 필터 분리기
JP2000279951A (ja) * 1999-03-31 2000-10-10 Wada Stainless Kogyo Kk 浄水器
JP2003117318A (ja) * 2001-10-19 2003-04-22 Ishigaki Co Ltd 複合精密ろ過方法並びにろ過装置
KR20090011436U (ko) * 2008-05-07 2009-11-11 이봉대 복합정수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701367A (ko) * 1988-11-17 1990-12-01 헤베르하겐 빌헤름 혼탁물 분리용 필터 분리기
JP2000279951A (ja) * 1999-03-31 2000-10-10 Wada Stainless Kogyo Kk 浄水器
JP2003117318A (ja) * 2001-10-19 2003-04-22 Ishigaki Co Ltd 複合精密ろ過方法並びにろ過装置
KR20090011436U (ko) * 2008-05-07 2009-11-11 이봉대 복합정수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7458A (zh) * 2016-05-10 2016-07-27 宜兴市星光宝亿化工有限公司 一种渣油过滤装置
WO2018105851A1 (ko) * 2016-12-08 2018-06-14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
KR101889710B1 (ko) * 2016-12-08 2018-09-2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
KR102312965B1 (ko) * 2021-03-16 2021-10-15 청록엔지니어링(주) 공공하수 처리 시설의 여과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82A (ko)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016B1 (ko)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US3554377A (en) Liquid treating apparatus
US6261453B1 (en) Fluid treatment media support system
KR20090059162A (ko) 개선된 매체 이용에 따른 필터 및 이를 이용하고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8875904B2 (en) Circular filtering disc and filter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002066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940291B1 (ko) 삼투 여과 시스템
CN203634952U (zh) 一种废水过滤处理器
RU273497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KR20130000081A (ko)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CN202410527U (zh) 一种过滤器的开放式渗透过滤膜组件
KR100853374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판
JP2014188415A (ja) 重力式濾過装置
KR100853990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1194030B1 (ko) 여과지의 집수거를 이용한 역세공기 공급구조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KR101217982B1 (ko)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CN201713359U (zh) 一种软片膜法废水处理集约装置
JP4084405B2 (ja) ろ過器及びろ過システム並びにろ過材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JP4688049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の逆洗方法
KR100988274B1 (ko) 담수 가능한 자연 여과식 하천수 정화시설
KR20160128093A (ko) 다중 필터형 2단 빗물 여과기
KR100978489B1 (ko) 6방향 여과기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2040473A (ja) 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