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028A - 홀로그램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028A
KR20130000028A KR1020110060454A KR20110060454A KR20130000028A KR 20130000028 A KR20130000028 A KR 20130000028A KR 1020110060454 A KR1020110060454 A KR 1020110060454A KR 20110060454 A KR20110060454 A KR 20110060454A KR 20130000028 A KR20130000028 A KR 2013000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bbin
hologram
coating liquid
hologra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657B1 (ko
Inventor
전지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레이저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레이저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케이레이저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60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6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characterised by the light-to-heat convert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 heat or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30Arrangements for tripping, lifting, adjusting, or removing inking rollers; Supports, bearings, or forks therefor
    • B41F31/3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조로 이루어진 배통롤러와 소통롤러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일련의 자동화 공정을 통해 홀로그램을 인쇄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 자원의 낭비 방지 및 범용성이 뛰어난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홀로그램 인쇄 장치{HOLOGRAM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홀로그램을 피인쇄물에 인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은 입체화상으로서, 이러한 홀로그램이 주는 독특한 입체화상은 기존의 인쇄방식으로는 복제가 불가능하여 각종 위변조 방지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피대상물(종이나 필름 등과 같이 홀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는 평판 형태의 물체로 정의 함)에 홀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홀로그램 필름을 피대상물에 부착하는 제1 방식과 피대상물에 홀로그램을 인쇄하는 제2 방식이 있다.
제1 방식의 경우에는 피이티(PET) 등의 재질인 홀로그램 필름을 종이와 같은 피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로 제품을 완성시키기 때문에 피대상물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1 방식은 자원의 낭비와 그로 인한 환경오염의 유발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점 때문에 제1 방식에 의해 생산된 제품은 몇몇 국가에서 그 사용이 금지되어 있기도 하다.
제2 방식의 경우에는 홀로그램 필름을 피인쇄물(홀로그램이 인쇄될 수 있는 피대상물)에 부착하지 않고 홀로그램만을 피인쇄물에 인쇄하기 때문에 종이와 같은 피인쇄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기는 하다. 그러나 제2 방식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7067호(발명의 명칭 : 인테리어 자재의 홀로그램 인쇄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쇄물)에 제시된 기술(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와 같이, 스크린 기법 등으로 피인쇄물에 패턴 인쇄층을 형성한 후 홀로그램 필름(종래기술에서는 '홀로그램 시트'로 명명 됨)을 피인쇄물에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롤러와 같은 별개의 가압수단을 이용해 홀로그램 필름을 피대상물에 가압한 후 홀로그램 필름을 제거하는 등과 같은 불연속적이면서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렵고 작업이 까다로워 그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연속적인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상에서 피인쇄물(홀로그램이 인쇄되는 피대상물)에 홀로그램이 인쇄될 수 있도록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인쇄 장치는, 홀로그램 필름의 일 측이 감겨져 있으며, 감겨진 홀로그램 필름을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제1 공급 보빈; 홀로그램 필름의 타 측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 공급 보빈으로부터 풀려 나오는 홀로그램 필름을 수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수거 보빈; 피인쇄물의 일 측이 감겨져 있으며, 감겨진 피인쇄물을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수거 보빈; 피인쇄물의 타 측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 수거 보빈으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피인쇄물을 수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 수거 보빈; 및 상기 제1 공급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1 수거 보빈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있는 홀로그램 필름과 상기 제2 공급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2 수거 보빈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있는 피인쇄물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밀착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기는, 배통롤러; 및 상기 배통롤러와 한 조를 이루며, 상호 밀착된 홀로그램필름과 피인쇄물이 가압되면서 통과될 수 있는 간격만큼 상기 배통롤러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소통롤러; 를 포함한다.
상기 소통롤러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로그램 인쇄 장치는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코팅액을 도포시키기 위한 도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기는, 코팅액을 홀로그램 필름에 도포하기 위해 마련되는 실리콘롤러; 상기 실리콘롤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실리콘롤러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메쉬롤러; 및 상기 메쉬롤러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공급기; 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는, 상기 메쉬롤러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코팅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용기; 및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코팅액을 상기 분사노즐 측으로 이동시키는 펌프; 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는 상기 메쉬롤러로부터 떨어지는 코팅액을 받는 받침접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접시에 받아진 코팅액은 상기 수용용기로 재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포기는 홀로그램 필름을 상기 실리콘롤러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실리콘롤러 측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홀로그램 인쇄 장치는 홀로그램 필름과 피인쇄물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홀로그램 필름에 도포되었던 코팅액을 경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인쇄 장치는 상호 부착된 홀로그램 필름과 피인쇄물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흡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통롤러와 소통롤러의 사이의 상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연속적인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해 홀로그램을 피인쇄물에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피인쇄물의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홀로그램 필름의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궁극적으로 자원의 낭비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셋째, 배통롤러와 소통롤러 간의 간격만을 조정하면 보빈에 감길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는 어떠한 종류의 홀로그램 필름과 피인쇄물에도 적용될 수 있어서 범용성이 뛰어나다.
더 나아가 그라비아 인쇄 및 윤전 인쇄물 등의 필름 및 종이, 수축필름 및 코팅된 원단 위 등 두께와 재질에 관계없이 롤 투 롤(Roll to Roll)에 의해 나온 인쇄법에 홀로그램을 전사하여 인쇄물에 홀로그램 효과를 줄 수 있어서, 위조방지용 포장재, 팬시용품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인쇄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인쇄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홀로그램 인쇄 장치(10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인쇄 장치(100)는 제1 공급 보빈(110), 제1 수거 보빈(120), 제2 공급 보빈(130), 제2 수거 보빈(140), 밀착기(150), 제1 내지 제3 자외선조사기(161 내지 163), 도포기(170), 흡입기(180), 제1 및 제2 장력조정롤러(191, 19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공급 보빈(110)에는 홀로그램 필름(HF)의 일 측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제1 공급 보빈(110)은 밀착기(150)로 홀로그램 필름(HF)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회전에 의해 감겨져 있는 홀로그램 필름(HF)이 풀려 나오면서 밀착기(150)로 공급된다.
제1 수거 보빈(120)에는 홀로그램 필름(HF)의 타 측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제1 수거 보빈(120)의 회전에 의해 밀착기(150) 측으로부터 오는 홀로그램 필름(HF)이 감겨지면서 수거된다. 여기서 홀로그램 필름(HF)은, 제1 공급 보빈(110)과 제1 수거 보빈(120)에 감길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비되며,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급 보빈(130)에는 피인쇄물(PP)의 일 측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제2 공급 보빈(130)은 밀착기(150)로 피인쇄물(PP)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회전에 의해 감겨져 있는 홀로그램 필름(HF)이 풀려 나오면서 밀착기(150)로 공급된다.
제2 수거 보빈(140)에는 피인쇄물(PP)의 타 측이 감겨져 있다. 이러한 제2 수거 보빈(140)의 회전에 의해 밀착기(150) 측으로부터 오는 홀로그램이 인쇄된 피인쇄물(PP)이 감겨지면서 수거된다. 여기서 피인쇄물(PP)은 제2 공급 보빈(130)과 제2 수거 보빈(140)에 감길 수 있는 유연성 있는 종이 등과 같은 재질로 구비된다.
밀착기(150)는,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을 밀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배통롤러(151), 제1 소통롤러(152) 및 제2 소통롤러(153)로 구성된다.
두 개의 소통롤러(152, 153)는,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호 밀착된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가압되면서 통과될 수 있을 정도만큼만 (두개의 소통롤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반지름이 큰 배통롤러(151)와 간격을 유지한 채로 구비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하나의 배통롤러와 하나의 소통롤러만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소통롤러(152, 153)를 구비시킴으로써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제1 소통롤러(152)가 있는 지점에서 제2 소통롤러(153)가 있는 지점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밀착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의 밀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제1 자외선조사기(161)에 의한 자외선 조사영역을 확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인쇄물의 종류가 달라 두껍거나 얇을 수 있으므로, 배통롤러(151)과 소통롤러(152, 153) 사이의 상호 간격은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 및 사용의 편리성을 더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UV코팅액은 산소가 없을 시에 경화 효과가 좋아진다(보통,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UV코팅액이 경화되지 않는 것을 산소장애현상이라고 하는데, 산소장애현상이 없는 UV경화제는 고가여서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배통롤러(151)와 두 개의 소통롤러(152, 153)에 의해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을 지속적이면서도 긴밀하게 밀착시킴으로 인하여 UV코팅액을 가급적 공기로부터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게 함으로써,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제1 자외선조사기(161)에 의해서 60~70%의 경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소통롤러(152, 153)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배통롤러(151)를 사용하는 이유는, 제1 자외선 조사기(161)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이 넓은 면적에 걸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작은 롤러를 사용하게 되면, 제1 자외선 조사기(161)에 의해 UV코팅액을 경화시키는 면적이 좁아, 피인쇄물(PP)이 빠른 속도로 이동할 시에 UV코팅액의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차후에 제2 및 제3 자외선 조사기(162, 163) 측 부분을 통과하기 직전에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정확하게 1:1로 밀착되지 않고 흔들리게 되면 후술되는 2차(실시하기에 따라서는 2차 이상) 경화에서 홀로그램 효과가 깨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배통롤러(151)는 지름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장치의 구조적인 구현면에서 소통롤러(152, 1253)의 지름은 배통롤러(151)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제1 내지 제3 자외선조사기(161 내지 163)는, 열량과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피인쇄물(PP)에 밀착된 홀로그램 필름(HF)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UV코팅액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기로서 구비된다. 따라서 상호 밀착된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제1 내지 제3 자외선조사기(161 내지 163)가 위치하는 지점들을 지나가면서 홀로그램 필름(HF)에 도포된 UV코팅액이 피인쇄물(PP)에 전이되면서 경화되게 된다.
제1 자외선조사기(161)는 제1 소통롤러(152)와 제2 소통롤러(153) 사이에 구비되며, 제2 및 제3 자외선조사기(162, 163)는 제2 소통롤러(153)와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분리되는 한 쌍의 종단롤러(193a, 193b)가 위치하는 지점 사이에 구비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자외선조사기(161 내지 163)를 구비시키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1개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자외선 조사기를 구비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참고로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피인쇄물로부터 홀로그램 필름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UV코팅액이 피인쇄물(PP)에 전이되어 경화되어야만 하므로 자외선조사기를 복수개로 구비시킴으로써 그 생산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다.
도포기(170)는, 제1 공급 보빈(110)으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홀로그램 필름(HF)에 UV코팅액을 도포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실리콘롤러(171), 가압롤러(172), 메쉬롤러(173), 공급기(174) 및 받침접시(17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리콘롤러(171)는, 그 표면이 연질의 실리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홀로그램 필름(HF)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UV코팅액을 홀로그램 필름(HF)에 도포시킨다.
가압롤러(172)는 홀로그램 필름(HF)을 실리콘롤러(171)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다.따라서 가압롤러(172)는 실리콘롤러(171) 측 방향으로 진퇴 이동(화살표 a 참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쉬롤러(173)는 실리콘롤러(171)와 접촉한 상태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실리콘롤러(171)로 UV코팅액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공급기(174)는, 메쉬롤러(173)에 UV코팅액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분사노즐(174a), 수용용기(174b), 펌프(174c) 및 받침접시(174d)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노즐(174a)은 메쉬롤러(173)에 UV코팅액을 분사하기 위해 마련된다.
수용용기(174b)는 UV코팅액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다.
펌프(174c)는 수용용기(174b)에 수용된 UV코팅액을 공급라인(L1)을 통해 분사노즐(174a)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받침접시(174d)는 메쉬롤러(173)로부터 떨어지는 UV코팅액을 받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받침접시(174d)에 의해 받아진 UV코팅액은 수용라인(L2)을 통해 수용용기(174b)로 재 수용된다.
흡입기(180)는 자외선조사기(162, 163)가 구비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피인쇄물(PP)의 열을 제거해야만 제2 수거 보빈(140)에 의한 권취작업 시에 원형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전사는 16~300㎛의 두께를 가지는 피인쇄물(PP)에 모두 가능하므로 얇은 피인쇄물(PP)에는 열에 의한 변형이 올 수 있어서, 만일 열이 있는 상태에서 피인쇄물(PP)을 권취하면 원단에 변형이 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피인쇄물(PP)로부터 열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UV코팅액의 경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제1 장력조정롤러(191)는 홀로그램 필름(HF)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1의 화살표 a에서와 같이 그 위치가 조정된다.
2 장력조정롤러(192)는 피인쇄물(PP)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1의 화살표 c에서와 같이 그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홀로그램 인쇄 장치(100)에는 제1 공급 보빈(110), 제1 수거 보빈(120), 제2 공급 보빈(130), 제2 수거 보빈(140), 배통롤러(151) 등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원(예: 모터) 등이 더 구비되나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홀로그램 인쇄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1 공급 보빈(110), 제1 수거 보빈(120), 제2 공급 보빈(130), 제2 수거 보빈(140) 등을 제자리에 위치시킨 후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을 도1에서와 같이 설치한다. 이 때, 배통롤러(151)와 소통롤러(152, 153) 간의 간격은 조정이 되기 때문에 배통롤러(151)와 소통롤러(152, 153) 사이에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을 삽입하여 끼워 넣는 것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도1과 같이 모든 구조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100)의 동작전원을 켠다.
동작전원이 켜짐에 따라 제1 공급 보빈(110), 제1 수거 보빈(120), 제2 공급 보빈(130), 제2 수거 보빈(140), 배통롤러(151) 등이 회전하게 되고, 펌프(174c)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홀로그램 필름(HF)에 UV코팅액이 도포된 후 밀착기(150)에 의해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밀착되게 된다. 이와 함께 제1 내지 제3 자외선조사기(161 내지 163)도 동작하여 홀로그램 필름(HF)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UV코팅액을 경화시키고, 흡입기(180) 또한 동작하여 상호 밀착된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의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입하여 UV코팅액의 경화를 촉진시킨다. 그리고 상호 밀착된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한 쌍의 종단롤러(193a, 193b) 사이로 빠져나오면서 제1 수거 보빈(120) 및 제2 수거 보빈(1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각각 잡아당겨짐으로 인하여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이 상호 분리되며, 상호 분리된 홀로그램 필름(HF)과 피인쇄물(PP)은 각각 제1 수거 보빈(120)과 제2 수거 보빈(140)에 감기게 된다.
참고로 제1 수거 보빈(120)에 의해 수거된 홀로그램 필름(HF)은 제1 수거 보빈(120)과 제1 공급 보빈(110)의 위치를 바꾸어 장착함으로써 재사용될 수 있게 되며, 제2 수거 보빈(140)에 의해 수거된 홀로그램이 인쇄된 피인쇄물(PP)은 제품화되어 출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홀로그램 인쇄 장치
110 : 제1 공급 보빈
120 : 제1 수거 보빈
130 : 제2 공급 보빈
140 : 제2 수거 보빈
150 : 밀착기
151 : 배통롤러 153 : 제1 소통롤러
153 : 제2 소통롤러
161 : 제1 자외선조사기
162 : 제2 자외선조사기
163 : 제3 자외선조사기
170 : 도포기
171 : 실리콘롤러 172 : 가압롤러
173 : 메쉬롤러 174 : 공급기
174a : 분사노즐 174b : 수용용기
174c : 펌프 174d : 받침접시
180 : 흡입기

Claims (11)

  1. 홀로그램 필름의 일 측이 감겨져 있으며, 감겨진 홀로그램 필름을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제1 공급 보빈;
    홀로그램 필름의 타 측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 공급 보빈으로부터 풀려 나오는 홀로그램 필름을 수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수거 보빈;
    피인쇄물의 일 측이 감겨져 있으며, 감겨진 피인쇄물을 풀기 위해 마련되는 제1 수거 보빈;
    피인쇄물의 타 측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제1 수거 보빈으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피인쇄물을 수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제2 수거 보빈; 및
    상기 제1 공급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1 수거 보빈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있는 홀로그램 필름과 상기 제2 공급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2 수거 보빈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있는 피인쇄물을 상호 밀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밀착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기는,
    배통롤러; 및
    상기 배통롤러와 한 조를 이루며, 상호 밀착된 홀로그램필름과 피인쇄물이 가압되면서 통과될 수 있는 간격만큼 상기 배통롤러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소통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롤러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필름에 코팅액을 도포시키기 위한 도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는,
    코팅액을 홀로그램 필름에 도포하기 위해 마련되는 실리콘롤러;
    상기 실리콘롤러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실리콘롤러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메쉬롤러; 및
    상기 메쉬롤러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공급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메쉬롤러에 코팅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코팅액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용기; 및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코팅액을 상기 분사노즐 측으로 이동시키는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기는 상기 메쉬롤러로부터 떨어지는 코팅액을 받는 받침접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접시에 받아진 코팅액은 상기 수용용기로 재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는 홀로그램 필름을 상기 실리콘롤러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실리콘롤러 측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필름과 피인쇄물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홀로그램 필름에 도포되었던 코팅액을 경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호 부착된 홀로그램 필름과 피인쇄물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입하기 위해 마련되는 흡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통롤러와 소통롤러의 사이의 상호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인쇄 장치.



KR1020110060454A 2011-06-22 2011-06-22 홀로그램 인쇄 장치 KR101265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54A KR101265657B1 (ko) 2011-06-22 2011-06-22 홀로그램 인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454A KR101265657B1 (ko) 2011-06-22 2011-06-22 홀로그램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28A true KR20130000028A (ko) 2013-01-02
KR101265657B1 KR101265657B1 (ko) 2013-05-22

Family

ID=4783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454A KR101265657B1 (ko) 2011-06-22 2011-06-22 홀로그램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6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4473A (zh) * 2020-08-11 2022-02-22 光群雷射科技股份有限公司 转印滚轮的制造方法、及滚轮母膜与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74473A (zh) * 2020-08-11 2022-02-22 光群雷射科技股份有限公司 转印滚轮的制造方法、及滚轮母膜与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657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6303B2 (en) System and method to apply topping materials to print products
DE102017112259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koration von Objekten
CA11989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bels
TW200846195A (en) Tip printing embossed surfaces
EP2844493B1 (en) System and method to apply topping materials to print products
JP2005501761A (ja) 金型を用いない箔押し
US20140305577A1 (en) Foil stamping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CN105189120A (zh) 用于对三维物件冷压印的方法和设备
US20120193024A1 (en) Cold foil printing system and method
KR101507067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장치
JP6751602B2 (ja) 転写加工方法、転写加工装置、及び転写加工製品
JPH05345407A (ja) 紙面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65657B1 (ko) 홀로그램 인쇄 장치
KR100944271B1 (ko) 유성 잉크용 병렬 인쇄장치
KR101175598B1 (ko) 패턴드 시트의 마이크로 임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드 시트의 제조방법
CN113165376A (zh) 用于在基底上获得凸起图案的方法和装置
KR101297153B1 (ko) 홀로그램 인쇄 방법
JP2005528260A (ja) 物体の印刷方法と装置
JP3695948B2 (ja) 紙面のコ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コーティング装置
JPH0836352A (ja) ホログラムの製造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の製造装置
JP3015267B2 (ja) 紙面加工装置
JP5346432B2 (ja) ロール基材用印刷機
JP6184298B2 (ja) 印刷機においてシートをフィルムでコーティングする方法
JP3031604U (ja) 転写フィルム
KR101298103B1 (ko) 미세 회로 패턴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미세 회로 패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