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008U -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 Google Patents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008U
KR20130000008U KR2020110005660U KR20110005660U KR20130000008U KR 20130000008 U KR20130000008 U KR 20130000008U KR 2020110005660 U KR2020110005660 U KR 2020110005660U KR 20110005660 U KR20110005660 U KR 20110005660U KR 20130000008 U KR20130000008 U KR 201300000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turnbuckle
joint
greas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417Y1 (ko
Inventor
이상표
채수창
이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2020110005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1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가 양단으로 관통되며, 양단에 제1·2붙임너트(11a,11b)가 일체로 형성된 관 형상의 체결구(11)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왼나사부(12a)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1결속구(12b)를 갖추고서, 체결구(11)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이음볼트(12)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오른나사부(13a)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2결속구(13b)를 갖추고서, 체결구(11)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이음볼트(13)로 구성된 턴버클본체(10)와; 왼나사부(12a)와 오른나사부(13a)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그리스(20)와;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그리스(20)를 보호하는 불투습시트(30,30')와; 불투습시트(30,30')의 양단부를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밀착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턴버클본체의 왼·오른나사부에 그리스를 도포하고, 도포된 그리스를 고정수단을 매개로 턴버클본체에 설치되는 불투습시트를 통해 그리스와 이물질 간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왼·오른나사부에 녹이나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녹이나 부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Turnbuckle For Preventing Rust}
본 고안은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턴버클본체의 왼·오른나사부에 그리스를 도포하고, 도포된 그리스를 고정수단을 매개로 턴버클본체에 설치되는 불투습시트를 통해 그리스와 이물질 간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왼·오른나사부에 녹이나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턴버클(Turnbuckle)이라 함은, 밧줄, 체인, 구조체, 구조물을 상호 연결 및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당겨 죄는데 사용하는 죔기구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턴버클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23452호가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턴버클몸체와, 턴버클몸체의 양측으로 제1이음볼트 및 제2이음볼트가 각각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턴버클몸체를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턴버클몸체의 양측에 체결된 제1이음볼트 및 제2이음볼트가 체결되면서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길이 및 장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턴버클은 통상 아무런 보호수단 없이 외부에 노출된 체 방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먼지, 습기, 등과 같은 오염원이 턴버클의 외면에 부착되기 쉽고, 특히, 제1이음볼트 및 제2이음볼트의 나사부는 이러한 오염원에 의해 녹이나 부식이 발생하게 되면서 길이조정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자주 턴버클을 교체해야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턴버클의 녹이나 부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양단으로 관통되며, 양단에 제1·2붙임너트가 일체로 형성된 관 형상의 체결구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왼나사부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1결속구를 갖추고서, 체결구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이음볼트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오른나사부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2결속구를 갖추고서, 체결구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이음볼트로 구성된 턴버클본체와;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그리스와;
체결구와 제1·2이음볼트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그리스를 보호하는 불투습시트와;
불투습시트의 양단부를 체결구와 제1·2이음볼트의 둘레면에 밀착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턴버클본체의 왼·오른나사부에 그리스를 도포하고, 도포된 그리스를 고정수단을 매개로 턴버클본체에 설치되는 불투습시트를 통해 그리스와 이물질 간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왼·오른나사부에 녹이나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녹이나 부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의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에서 불투습시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턴버클은, 턴버클본체(10), 그리스(20), 불투습시트(30,30'),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턴버클본체(10)는 내부가 양단으로 관통되며, 양단에 제1·2붙임너트(11a,11b)가 일체로 형성된 관 형상의 체결구(11)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왼나사부(12a)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1결속구(12b)를 갖추고서, 체결구(11)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이음볼트(12)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오른나사부(13a)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2결속구(13b)를 갖추고서, 체결구(11)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이음볼트(13)로 구성되어, 공간상에 중량물을 매달아 설치높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밧줄·체인·구조체 등을 당겨 장력을 조절하는 공지의 연결수단이다.
상기 제1·2이음볼트(12,13)의 나사부(12a,13a)는 필요에 따라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체결구(11)의 경우 제1·2붙임너트(11a,11b)가 생략되는 대신 체결구(11)의 내주면에 나사부(12a,13a)에 상응하는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2이음볼트(12,13)의 말단에 제1·2결속구(12b,22b) 즉, 공지의 섀클(Shackle)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필요에 따라 링(Ring), 후크(Hook)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의 형상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2이음볼트(12,13)의 왼나사부(12a)와 오른나사부(13a)에는 반고체타입의 그리스(20)가 도포되며, 그리스(20)는 왼나사부(12a)와 오른나사부(13a)가 먼지, 습기 등과 같은 오염물에 의해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불투습시트(30,30')는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그리스(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불투습시트(30)는 전체적으로 관 형상을 이루나 자유변형이 가능하고, 재질은 비닐 또는 내화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불투습시트(30)는 그리스(20)가 도포된 왼나사부(12a)와 오른나사부(13a)를 감쌀 수 있도록 제1·2이음볼트(12,13)의 양단부를 통해 각각 삽입하거나 또는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를 상호 체결하기 전 체결구(11) 또는 제1·2이음볼트(12,13)에 우선 삽입한 다음,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를 상호 체결하여 자연스럽게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배치되도록 하며, 삽입된 불투습시트(30)의 양단부는 이후에 설명될 고정수단(40)을 매개로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 4는 다른 불투습시트(3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되, 상면 일단부와 하면에는 훅부재(31)와 루프부재(32)가 각각 구비되며, 자유변형이 가능한 비닐 또는 내화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훅부재(31)와 루프부재(32)는 탈부착이 가능한 공지의 밸크로(Velcro)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플레이트 형태의 불투습시트(30')를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에 배치한 상태에서 양단부를 말아 훅부재(31)와 루프부재(32)를 매개로 상호 고정하며, 이를 통해 그리스(20)가 도포된 왼나사부(12a)와 오른나사부(13a)를 감싼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불투습시트(30')를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을 감쌀 경우 매우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수단(40)은 불투습시트(30,30')의 양단부를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밀착고정하는 공지의 고정수단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무밴드 또는 타이밴드 또는 클램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실시된다.
상기 고무밴드, 타이밴드, 클램프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성 및 설치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T)의 내부에 송풍기(F)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턴버클본체(10)를 이용하여 설치해 주면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터널(T)에 내부 상면에 설치된 브라켓(B)에는 턴버클본체(10)의 제1결속구(12b)를 고정해 주고, 송풍기(F)에는 턴버클본체(10)의 제2결속구(13b)를 설치하여 터널(T) 내에 메달아 주며, 체결구(11)를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적당한 설치높이 및 장력을 조정하면 된다.
한편, 설치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터널(T) 내부를 지나는 차량의 진동에 의해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 간에 체결상태가 서서히 풀려 송풍기(F)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는 앞서 언급한 방법과 같이 체결구(11)를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설치높이 및 장력을 재조정하면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턴버클본체 11: 체결구 12: 제1이음볼트
12a: 왼나사부 13: 제2이음볼트 20: 그리스
30.30': 불투습시트 40: 고정수단 T: 터널
B: 브라켓

Claims (4)

  1. 내부가 양단으로 관통되며, 양단에 제1·2붙임너트(11a,11b)가 일체로 형성된 관 형상의 체결구(11)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왼나사부(12a)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1결속구(12b)를 갖추고서, 체결구(11)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이음볼트(12)와, 둘레면에 형성되는 오른나사부(13a)와, 일단에 형성되는 제2결속구(13b)를 갖추고서, 체결구(11)의 타측에 체결되는 제2이음볼트(13)로 구성된 턴버클본체(10)와;
    왼나사부(12a)와 오른나사부(13a)의 둘레면에 도포되는 그리스(20)와;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그리스(20)를 보호하는 불투습시트(30,30')와;
    불투습시트(30,30')의 양단부를 체결구(11)와 제1·2이음볼트(12,13)의 둘레면에 밀착고정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습시트(30)는,
    자유변형이 가능한 비닐 또는 내화재질로 구성된 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습시트(30')는,
    자유변형이 가능한 비닐 또는 내화재질로 구성되며, 상면 일단부와 하면에 훅부재(31)와 루프부재(32)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고무밴드 또는 타이밴드 또는 클램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KR2020110005660U 2011-06-22 2011-06-22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KR200469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60U KR200469417Y1 (ko) 2011-06-22 2011-06-22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660U KR200469417Y1 (ko) 2011-06-22 2011-06-22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08U true KR20130000008U (ko) 2013-01-02
KR200469417Y1 KR200469417Y1 (ko) 2013-10-11

Family

ID=5073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660U KR200469417Y1 (ko) 2011-06-22 2011-06-22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26Y1 (ko) 2018-03-16 2018-12-05 김종욱 접이식 옷걸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6597A (zh) * 2020-06-02 2020-09-25 毛尘 一种带缓冲的花篮螺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186A (ja) * 1997-09-17 1999-04-09 Izumi Kk 管の保護カバー
JP3939997B2 (ja) 2002-02-07 2007-07-04 東拓工業株式会社 波形管の接続構造
KR200447465Y1 (ko) * 2008-03-31 2010-01-25 김종호 턴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26Y1 (ko) 2018-03-16 2018-12-05 김종욱 접이식 옷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417Y1 (ko)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2690A1 (zh) 设内衬盾构隧道的预制抗震构造
KR200469417Y1 (ko)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턴버클
JP2019509232A (ja) 引揚用締結具
JP3174698U (ja) 配管支持の補強材
KR20130092356A (ko) 앵커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178808U (ja) 配管支持の補強材
KR10094433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 슬리브
CN108590699B (zh) 一种可替换的预埋式锚固槽道及其安装方法
ITBS20100173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linee vita
KR20110003965U (ko) 갱폼 하부 고정용 볼트
JP4143793B2 (ja) トンネル構造体の覆工構造
JP6464481B2 (ja) 吊りアンカーの支持工法及び吊りアンカーの支持構造
JP5751943B2 (ja) 防煙垂壁取り付け装置
RU18250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CN208456667U (zh) 一种挂耳捷装装置
RU166818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оздани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в грунтозасыпных арках из металлических гофрированных листов
JP2009270339A (ja) ワイヤーロープ緊張力維持具
JP5823997B2 (ja) ロープ係止具
JP3224626U (ja) グレーチングの外れ防止構造
KR102630186B1 (ko) 건설 공사장용 보호망 고정장치
KR200424505Y1 (ko) 비굴착관로 보수장치의 보강튜브 체결구조
KR102352863B1 (ko)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KR20180002185U (ko) 천장 또는 바닥용 배관고정 브래킷
JP7121543B2 (ja) 橋梁支承部におけるサイドブロックの落下防止装置
JPS5911989Y2 (ja) 角当付ロ−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