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863B1 -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863B1
KR102352863B1 KR1020180151054A KR20180151054A KR102352863B1 KR 102352863 B1 KR102352863 B1 KR 102352863B1 KR 1020180151054 A KR1020180151054 A KR 1020180151054A KR 20180151054 A KR20180151054 A KR 20180151054A KR 102352863 B1 KR102352863 B1 KR 10235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fastening
pan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674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15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8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다른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2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축 패널이 건축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BRACKET FOR SECURING BUILDING PANEL AND BUILDING PA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패널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도 브래킷과 건축 패널 또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건축 패널이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및 해외에서는 국가의 녹색 성장을 위해 Active(폐기물 저감, 에너지 사용량 저감, 녹색 건설 등) 정책에 집중투자하고 있고,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을 중심으로 모둔 산업 구조가 개편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건설 산업에서도 온실가스 저감 및 자원재활용을 실현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건설공법에서도 이산화탄소(CO2) 저감을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특히, 단열 공법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 단열 공법은 크게 외단열 공법, 중단열 공법, 내단열 공법으로 구분되며, 특히, 외단열 공법이 다른 공법에 비해 단열 성능의 확보가 우수하며 열교 현상 발생 및 온도차에 의한 구조체 열화를 방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외단열로 시공되는 외장 복합패널의 경우 건축물의 구조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건축물의 구조체에 금속재 프레임을 고정하고 외장 복합패널의 단열재와 패널부분을 홀가공을 하여 금속재 브래킷과 볼트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금속재 브래킷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외부 및 내부의 열이 외장패널과 연결되어 있는 볼트와 브래킷 및 구조체에 고정되어 있는 금속재 프레임을 통해 열 손실이 발생하여 열교현상에 의한 단열효과 감소 및 결로의 문제를 발생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제기되어 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 외장 복합단열패널의 고정구조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브래킷은, 볼트 및 너트가 완전히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볼트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볼트와 너트가 서로 조여지면, 브래킷의 일부가 단열재를 가압함으로써 단열재를 건축물 구조체의 외장재에 고정시키되, 외기에 노출된 외장재로부터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볼트와 브래킷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구조물 금속체 프레임 사이의 열전달을 막는 제3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결합부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브래킷 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2351호(2018년 06월 2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건축물 복합단열패널인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브래킷은,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 지진 등의 외력에 의해 건축물 또는 건축 패널에 외력이 반복될 때에 체결부재가 풀리면서 브래킷 및 건축 패널이 유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건축 패널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도 브래킷과 건축 패널 또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건축 패널이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다른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2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축 패널이 건축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를 관통하여 건축물의 지지부에 체결되는 앵커부재;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를 관통하여 건축 패널에 삽입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과 건축 패널을 결합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립방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체결패널;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체결패널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체결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보강리브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패널; 및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연장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는 감싸는 구속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건축물 지지부에 브래킷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건축 패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 및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체결홀부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는 슬립방지부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은, 브래킷에 설치되는 체결부재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의 머리부와 브래킷 사이에 체결패널이 개재되고, 체결패널과 브래킷이 서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가 구비되므로 건축물이나 건축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체결부재가 브래킷으로부터 슬립되면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은, 체결부재와 체결패널이 서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나선홈부가 체결부재가 구비되므로 체결부재의 머리부와 체결패널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면서 체결부재가 브래킷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축 패널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은, 브래킷에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머리부를 구속하여 건축물이나 건축 패널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외력에 의해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건축 패널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격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의 체결부재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의 체결부재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은,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1체결홀부(12)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0)과,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다른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2체결홀부(32)가 형성되며, 제1프레임(10)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30)과,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을 연결하고,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50)와, 제1체결홀부(12) 또는 제2체결홀부(32)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80)와,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과 체결부재(8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결합되는 건축 패널이 건축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70)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측면 형상이 'ㄴ'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의 연결부위에는 용접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제1프레임(10)에는 한 쌍의 제1체결홀부(12)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30)에는 한 쌍의 제2체결홀부(32)가 형성되며, 제1체결홀부(12) 사이의 간격과 제2체결홀부(32) 사이 간격에 세모 형상의 보강리브(50)가 설치되어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의 연결강도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건축물 또는 건축 패널에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과 체결부재(80)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면서 건축 패널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70)가 구비되므로 건축 패널을 브래킷에 의해 건축물의 지지부에 시공한 후에 체결부재(80)가 슬립되면서 건축 패널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체결부재(80)는, 제1체결홀부(12) 또는 제2체결홀부(32)를 관통하여 건축물의 지지부에 체결되는 앵커부재(82)와, 제1체결홀부(12) 또는 제2체결홀부(32)를 관통하여 건축 패널에 삽입되는 볼트부재(84)와, 볼트부재(84)와 결합되어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과 건축 패널을 결합시키는 너트부재(86)를 포함한다.
건축물의 지지부에는 앵커부재(82)를 설치하여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 중 어느 하나를 건축물 지지부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건축물 지지부에 시공되는 건축 패널은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 중 다른 하나에 볼트부재(84) 및 너트부재(86)에 의해 결합시켜 건축 패널을 건축물 지지부에 시공하게 된다.
이때,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설치되는 앵커부재(82) 및 볼트부재(84)가 슬립방지부(70)에 의해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과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앵커부재(82) 및 볼트부재(84)가 슬립되면서 브래킷 및 건축 패널이 건축물 지지부의 정확한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슬립방지부(70)는,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과 체결부재(80) 사이에 개재되는 체결패널과,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구비되는 요철부와, 요철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체결패널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프레임(10)에는 제1체결홀부(12) 주변에 제1요철부(72)가 형성되고, 제2프레임(30)에는 제2체결홀부(32) 주변에 제2요철부(74)가 형성되므로 제1프레임(10) 및 제2프레임(30)에 안착되는 제1체결패널(76) 및 제2체결패널(78)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체결홀부(12)와 제2체결홀부(32)는 장공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제1체결홀부(12) 또는 제2체결홀부(32)를 따라 체결부재(80)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데, 체결부재(80)가 통과되는 홀부를 구비하는 제1체결패널(76) 또는 제2체결패널(78)이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안착되어 체결부재(80)가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체결패널(76)의 저면에는 제1돌출부(76a)가 형성되고, 제2체결패널(78)의 저면에는 제2돌출부(78a)가 형성되므로 제1요철부(72)와 제1돌출부(76a)는 서로 기어연결되어 제1프레임(10)에 안착되는 제1체결패널(76)은 슬립되지 않게 되고, 제2요청부와 제2돌출부(78a)도 서로 기어연결되므로 제2프레임(30)에 안착되는 제2체결패널(78)도 슬립되지 않게 된다.
제1체결패널(76) 및 제2체결패널(78)에는 체결부재(80)가 통과되고 슬립되지 않도록 원형의 홀부가 형성되므로 체결패널은 체결부재(80)가 장공 모양으로 형성되는 체결홀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요철부(72), 제2요철부(74), 제1돌출부(76a) 및 제2돌출부(78a)는, 제1체결홀부(12) 및 제2체결홀부(32)의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체결부재(8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은 체결패널, 요철부 및 돌출부에 의해 방지되고, 체결부재(80) 및 체결패널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은 체결홀부에 의해 방지되므로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80)는 유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요철부 및 돌출부는 그 단면 형상이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요철부의 간격에 돌출부가 삽입되면 기어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밀착되고, 요철부와 돌출부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도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철부 및 돌출부가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제1체결패널(76) 또는 제2체결패널(78)이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 상면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을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은, 건축물 지지부에 브래킷의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단계와,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30) 중 나머지 하나에 건축 패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브래킷을 설치하는 단계와, 건축 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구비되는 체결홀부에 체결부재(80)를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과 체결부재(80) 사이에는 슬립방지부(70)가 개재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10)을 건축물의 지지부에 설치할 때에 앵커부재(82)를 제1체결패널(76) 및 제1프레임(10)을 관통시켜 지지부에 체결하여 브래킷을 건축물 지지부에 설치하고, 볼트부재(84)를 제2체결패널(78) 및 제2프레임(30)을 관통시켜 건축 패널에 삽입한 후에 너트부재(86)와 볼트부재(84)를 체결하여 건축 패널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때, 제1체결패널(76) 또는 제2체결패널(78)의 제1요철부(72) 또는 제2요철부(74)가 제1돌출부(76a) 또는 제2돌출부(78a)와 기어연결되므로 앵커부재(82) 및 볼트부재(84)가 제1체결홀부(12) 및 제2체결홀부(32)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고정용 브래킷은, 보강리브(50)와 볼트부재(84)를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볼트부재(84)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90)를 더 포함한다.
볼트부재(84) 또는 앵커부재(82)가 너트부재(86) 또는 지지부로부터 풀리면서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 외측으로 돌출되면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의 머리부와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는데, 이 간격을 따라 제1체결패널(76) 또는 제2체결패널(78)이 상측으로 유동되면서 제1요철부(72) 또는 제2요철부(74)와 제1돌출부(76a) 또는 제2돌출부(78a)가 기어연결이 해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앵커부재(82) 및 볼트부재(84)가 지지부 및 너트부재(86)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체결패널(76) 및 제2체결패널(78)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부(90)는, 보강리브(50)를 감싸도록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안착되는 고정부재(92)와, 고정부재(92)와 일체로 연결되고, 볼트부재(84)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패널(94)과, 볼트부재(84)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구속하도록 연장패널(94)에 구비되어 볼트부재(84)를 감싸는 구속캡부(98)를 포함한다.
고정부재(92)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보강리브(5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안착되고, 고정부재(92)의 양단부로부터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패널(94)이 형성되며, 연장패널(94)에는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다각형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구속캡부(98)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92)의 양측면에는 보강리브(50)를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통과되면서 고정부재(92)와 보강리브(5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홀부(96)가 형성된다.
보강리브(50)에는 고정홀부(96)에 대향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홀부(96a)가 형성되므로 고정부재(92)를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안착시키면 보강리브(50)가 고정부재(92) 사이로 삽입되고, 이때 연장패널(94)이 볼트부재(84)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제1프레임(10) 또는 제2프레임(30)에 안착된다.
연장패널(94)에 형성되는 구속캡부(98) 내부에는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구속캡부(98)의 내부 공간은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의 머리부와 동일하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구속캡부(98) 내부로 삽입되는 머리부의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의 머리부 저면에는 제1체결패널(76) 또는 제2체결패널(78)의 상면과 마찰되면서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나선홈부(84a)가 형성되므로 앵커부재(82) 또는 볼트부재(84)가 외력에 의해 유동되면서 회전되어 풀리는 것을 2중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건축 패널과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져도 브래킷과 건축 패널 또는 지지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건축 패널이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프레임 12 : 제1체결홀부
30 : 제2프레임 32 : 제2체결홀부
50 : 보강리브 52 : 곡면부
70 : 슬립방지부 72 : 제1요철부
74 : 제2요철부 76 : 제1체결패널
76a : 제1돌출부 78 : 제2체결패널
78a : 제2돌출부 80 : 체결부재
82 : 앵커부재 84 : 볼트부재
86 : 너트부재 90 : 풀림방지부
92 : 고정부재 94 : 연장패널
96 : 고정홀부 96a : 관통홀부
98 : 구속캡부

Claims (6)

  1.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다른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2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축 패널이 건축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를 관통하여 건축물의 지지부에 체결되는 앵커부재;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를 관통하여 건축 패널에 삽입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과 건축 패널을 결합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체결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보강리브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볼트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패널; 및
    상기 볼트부재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연장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부재는 감싸는 구속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92)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리브(5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재(92)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연장패널(94)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패널(94)에는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다각형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상기 구속캡부(9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92)의 양측면에는 상기 보강리브(50)를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통과되면서 상기 고정부재(92)와 상기 보강리브(5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홀부(96)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50)에는 상기 고정홀부(96)에 대향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홀부(96a)가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부재(92)를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안착시키면 상기 보강리브(50)가 상기 고정부재(92)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연장패널(94)이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안착되고,
    상기 구속캡부(98) 내부에는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구속캡부(98)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와 동일하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구속캡부(98) 내부로 삽입되는 머리부의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 저면에는 체결패널의 상면과 마찰되면서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나선홈부(8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체결패널;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요철부; 및
    상기 요철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체결패널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4. 삭제
  5. 삭제
  6. (a) 건축물 지지부에 브래킷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건축 패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 및 상기 (b)단계는,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되는 체결홀부에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는 슬립방지부가 개재되고, 상기 (a)단계 및 상기 (b)단계는,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 중 다른 하나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제2체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의 각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리브; 상기 제1체결홀부 또는 상기 제2체결홀부에 삽입되고, 건축물의 지지부 또는 건축 패널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체결부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는 건축 패널이 건축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을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은, 상기 보강리브와 상기 체결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 또는 건축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가 유동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보강리브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상기 제2프레임에 안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볼트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패널; 및
    상기 볼트부재의 회전운동 및 직선운동을 구속하도록 상기 연장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볼트부재는 감싸는 구속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92)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강리브(5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재(92)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연장패널(94)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패널(94)에는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가 회전되지 않게 삽입되도록 다각형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상기 구속캡부(9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92)의 양측면에는 상기 보강리브(50)를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통과되면서 상기 고정부재(92)와 상기 보강리브(50)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고정홀부(96)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50)에는 상기 고정홀부(96)에 대향되도록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통홀부(96a)가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부재(92)를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안착시키면 상기 보강리브(50)가 상기 고정부재(92)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연장패널(94)이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프레임(10) 또는 상기 제2프레임(30)에 안착되고,
    상기 구속캡부(98) 내부에는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상기 구속캡부(98)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와 동일하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구속캡부(98) 내부로 삽입되는 머리부의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의 머리부 저면에는 체결패널의 상면과 마찰되면서 상기 앵커부재(82) 또는 상기 볼트부재(84)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나선홈부(8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을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KR1020180151054A 2018-11-29 2018-11-29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KR10235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54A KR102352863B1 (ko) 2018-11-29 2018-11-29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054A KR102352863B1 (ko) 2018-11-29 2018-11-29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74A KR20200064674A (ko) 2020-06-08
KR102352863B1 true KR102352863B1 (ko) 2022-01-17

Family

ID=7108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054A KR102352863B1 (ko) 2018-11-29 2018-11-29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8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25B1 (ko) * 2016-12-09 2018-01-09 에이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689U (ko) * 2009-01-20 2010-07-29 최인원 미끄럼 방지구조를 갖는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825B1 (ko) * 2016-12-09 2018-01-09 에이스아이엔씨 주식회사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674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1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유닛
KR101709238B1 (ko) 입상배관용 클램프
KR101391711B1 (ko) 외장판넬 조립구
JP2011149230A (ja)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
KR102352863B1 (ko) 건축 패널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 패널 시공방법
JP2011106174A (ja) 手すり壁用固定具
JP4382590B2 (ja) 鉄骨柱と鉄骨梁との接合方法並びにその接合構造及び接合用梁ブラケット
JP2017120113A (ja) 吊り金具用補助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吊り金具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100968018B1 (ko)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JP5912481B2 (ja) 建築用取付具
JP2009174250A (ja) 折板屋根、折板屋根材及びタイトフレーム
JP5699191B2 (ja) 溝ブロックへのグレーチングの固定方法及びグレーチング
KR102053650B1 (ko) 교량 구조물용 외장재 고정장치 및 이러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교량 구조물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0528591B1 (ko) 도어힌지 체결용 너트 및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453655B1 (ko) 트럭용 연료탱크의 스트랩 마운팅 구조
JP2012122300A (ja) 複合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101872351B1 (ko) 건축물 복합단열패널인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고정재 시공방법
KR20160003162U (ko) 도난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JP4754470B2 (ja) 取付け金物付き根太及び取付け金物付き床パネル
KR200203772Y1 (ko) 건물 외벽 배관재의 오르내림 방지용 방범덮개
JP3693170B2 (ja) 雪庇防止装置
JP5149128B2 (ja) サッシフレームの取付方法
KR20190073054A (ko) 가설 방음벽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