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015A -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 Google Patents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015A
KR20120139015A KR1020110058519A KR20110058519A KR20120139015A KR 20120139015 A KR20120139015 A KR 20120139015A KR 1020110058519 A KR1020110058519 A KR 1020110058519A KR 20110058519 A KR20110058519 A KR 20110058519A KR 20120139015 A KR20120139015 A KR 20120139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em
aquatic plant
cradle
aqu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075B1 (ko
Inventor
백용인
Original Assignee
백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인 filed Critical 백용인
Priority to KR102011005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0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생식물의 뿌리 및 줄기를 외부로 보이게 거치시키면서, 흙과 모래 없이도 식재도구에 용이하게 식재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습지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을 모래나 흙 없이도 수반형의 작은 접시, 그릇, 컵, 항아리, 투명한 유리그릇, 어항이나 인공연못 등과 같은 식재도구에 심을 수 있도록 도자기, 유리, 크리스탈,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로 제작하되,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 등을 붙잡아줄 수 있는 거치 구조로 제작하여 수생식물의 줄기 등이 옆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해 줄 수 있고,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제작하여 실내 및 실외 어떤 장소에서든지 자유롭게 성장시키면서 그 생육 과정을 관찰 및 감상할 수 있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Apparatus for supporting aquatic plant}
본 발명은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가나 물속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을 흙이나 모래 없이도 식재도구에 용이하게 식재할 수 있고, 수생식물의 뿌리를 거치대의 몸체 밖으로 자라게 하여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으며, 뿌리와 줄기를 물속에서 보이게 거치시키는 용기와 같은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습지대에 자생하는 수련, 창포, 미나리, 제비붓꽃, 부초, 부들, 갈대 등과 같은 모든 수생식물을 작은 접시, 그릇, 컵, 항아리, 투명한 유리그릇, 어항이나 인공연못 등과 같은 식재도구에 식재하려면, 종래에는 수생식물의 줄기 하단부 및 뿌리 등을 식재하여 지지하기 위한 모래나 흙을 식재도구에 깔아주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요구되는 가장 큰 이유는 모래나 흙에서 영양분을 제공하기 보다는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거치하여 고정시키기 위함에 있다.
그러나, 상기한 수생식물을 관상용으로 생육시키기 위해서 모래나 흙을 이용하여 거치시킴에 따라, 수생식물의 생육 과정이 모래나 흙 등에 가려져 자연적인 감성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식재도구에 모래나 흙 등을 깔아준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염된 모래나 흙 등을 재차 갈아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하고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한 수생식물을 모래나 흙 등에 식재하여 거치시킨 경우에는, 수생식물의 거치 및 지지력이 떨어져 모래나 흙으로부터 수생식물의 뿌리가 쉽게 빠져서 수생식물의 생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습지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을 모래나 흙 없이도 수반형의 작은 접시, 그릇, 컵, 항아리, 투명한 유리그릇, 어항이나 인공연못 등과 같은 식재도구에 심을 수 있도록 도자기, 유리, 크리스탈,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로 제작하되,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 등을 붙잡아줄 수 있는 거치 구조로 제작하여 수생식물의 줄기 등이 물에 뜨거나 옆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해 줄 수 있고,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가 물속 거치대의 용기 외부로 자유롭게 자랄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 실내 및 실외 어떤 장소에서도 거치대에 식물의 뿌리부분을 담아 물속 바닥에 간단히 올려 놓는 방법으로 간단히 식재할 수 있고, 그 성장과 뿌리의 생육 과정을 관찰하고 감상할 수 있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재도구에 안착되는 삼발이 형상의 하부받침대와; 수생식물의 줄기 또는 뿌리를 거치시키기 위한 고리 형상의 상부거치대와; 상부거치대의 저면 및 하부받침대의 상면 간을 일체로 연결하며 성형되되, 사이 사이에 뿌리출구인 다수개의 관통구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와; 상기 상부거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생식물의 줄기를 직립되게 고정시키는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거치대와 하부받침대의 직경 및 지지다리의 길이는 수생식물의 길이 및 두께에 따라 달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각 지지다리에는 다수개의 핀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수생식물의 뿌리를 들어 올려주고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핀이 각 지지다리의 핀 삽입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은: 상부거치대의 사방 위치에 내외부로 관통 형성된 미세홀과; 서로 마주보는 미세홀간에 연결되면서 상부거치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생식물을 직립되게 지지해주는 와이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은: 상부거치대의 상단에 걸어지면서 내경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줄기 지지용 걸이와; 각 줄기 지지용 걸이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부거치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생식물을 직립되게 지지해주는 쐐기 형태의 스폰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은: 상부거치대의 내경에 끼워지는 줄기 고정용 스폰지체로 채택되고, 이 스폰지체의 내경면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수생식물 중, 수평방향으로 자라는 식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식재도구에 반복 배치되는 수단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핀 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역U자 단면의 제1지지체와, 서로 대향되는 핀 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U자형 단면의 제2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습지대에 자생하는 수련, 창포, 미나리, 제비붓꽃, 부초, 부들, 갈대와 같은 모든 수생식물을 모래나 흙 없이도 수반형의 작은 접시, 그릇, 컵, 항아리, 투명한 유리그릇, 어항이나 인공연못 등에 심을 수 있으므로, 누구나 손쉽게 수생식물을 가꾸고 관리하며 감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거치대는 그 둘레부분이 식물뿌리의 출구인 관통구로 형성되어,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가 외부의 막힘을 최소화해 자유롭게 성장하고,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을 늘 곁에 가까이 놓아 자연상태와 같은 성장의 흐름을 감성으로 느낄 수 있다.
또한,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을 거치대에 부가하여, 모래나 흙의 사용없이도 수생식물이 물에 뜨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줄기 및 뿌리를 붙잡아줄 수 있고, 식물줄기가 옆으로 기울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역U자 단면의 제1지지체와, U자형 단면의 제2지지체를 식재도구에 반복 배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자라는 수생식물도 물에 뜨거나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켜 생육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뿌리를 들어올려 고정시키는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을 장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d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을 장착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자라는 식물을 지지하는 거치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식재기구중 수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다른 예로서, 한 줄기의 수생식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형태 및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하부받침대(삼발이)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모래나 흙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식재도구(작은 접시, 그릇, 컵, 항아리, 투명한 유리그릇, 어항이나 인공연못 등)에 배치하여, 수생식물의 뿌리 및 줄기를 외부로 보이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는 도자기, 유리, 크리스탈,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시킨 것으로서, 물이 채워진 식재도구(10)의 표면에 안착되는 하부받침대(16)와, 수생식물의 줄기 또는 뿌리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상부거치대(12)와,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 간을 일체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구조를 첨부한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상기와 같이 도자기, 유리, 크리스탈,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와 다수개의 지지다리(14)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받침대(16)는 삼발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거치대(12)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14)는 부거치대(12)의 저면 및 하부받침대(16)의 상면 간을 일체로 연결하며 성형된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대(16)가 삼발이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를 연결하는 지지다리(14)는 3개로 형성되고, 특히 각 지지대리(14) 사이 사이에는 수생식물(30)의 줄기(32) 및 뿌리(34) 등을 관찰할 수 있는 다수개의 관통구(18)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부받침대(16)를 삼발이 구조로 성형하여, 거치대를 어느 위치에 놓아도 기우뚱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특히 식물의 뿌리가 하부받침대(16)의 중앙 볼록한 부분에 안착되면 자연스럽게 세 방향의 관통구(18)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식재도구(10)에 안착시키되, 삼발이 형상의 하부받침대(16)를 물이 채워진 식재도구(10)의 표면에 닿게 하여 안착시키고, 상부거치대(12)의 내경부를 통하여 하부받침대(16)까지 수생식물을 삽입시킴으로써, 수생식물의 거치가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생식물의 거치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줄기 고정용 가이드 수단(20)에 의하여 수생식물(30)의 줄기 등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첨부한 도 1a에 도시된 거치대는 상부거치대(12)의 내경이 좁고 지지다리(14)를 길게 성형하여, 길다란 관죽식물을 거치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첨부한 도 1b에 도시된 거치대는 지지다리(14)의 상하길이를 짧게 성형하여 작은 키를 갖는 수생식물을 거치시키는데 사용되며, 또한 첨부한 도 1c에 도시된 거치대는 상부거치대(12)의 내경을 넓게 형성하여 복수개의 수생식물을 한꺼번에 거치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거치 대상의 수생식물에 따라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의 넓이를 달리 성형하는 동시에 지지다리(14)의 상하길이를 달리 성형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수생식물도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의 직경 및 지지다리(14)의 길이를 수생식물(30)의 길이 및 두께에 따라 달리 성형하여, 어떠한 형태의 수생식물도 용이하게 거치시키며 감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구조를 첨부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도 도자기, 유리, 크리스탈,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와 다수개의 지지다리(14)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며, 단지 하부받침대(16)의 형상을 달리 성형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거치대(12)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받침대(16)도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지지다리(14)가 상부거치대(12)의 저면 및 하부받침대(16)의 상면 간을 일체로 연결하며 성형된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대(16)가 상부거치대(12)와 함께 원형 또는 사각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를 연결하는 지지다리(14)는 3개 또는 4개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각 지지대리(14) 사이 사이에는 수생식물(30)의 줄기(32) 및 뿌리(34) 등을 관찰할 수 있는 다수개의 관통구(18)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부받침대(16)가 링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큰 길이의 식물과 같이 안정감이 필요한 식물을 지지하는 경우, 식물의 하단부(뿌리부)를 하부받침대(16)까지 삽입하여 후술하는 줄기 고정용 가이드 수단(20)에 의하여 수생식물(3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식재도구(10)에 안착시키되, 원형 또는 사각고리 형상의 하부받침대(16)를 물이 채워진 식재도구(10)의 표면에 닿게 하여 안착시키고, 상부거치대(12)의 내경부를 통하여 하부받침대(16)까지 수생식물을 삽입시킴으로써, 수생식물의 거치가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생식물의 거치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줄기 고정용 가이드 수단(20)에 의하여 수생식물(30)의 줄기 등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첨부한 도 2a에 도시된 거치대는 상부거치대(12)의 내경이 좁고 지지다리(14)를 길게 성형하여, 길다란 관죽식물을 거치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첨부한 도 2b에 도시된 거치대는 지지다리(14)의 상하길이를 짧게 성형하여 작은 키를 갖는 수생식물을 거치시키는데 사용되며, 또한 첨부한 도 2c에 도시된 거치대는 상부거치대(12)의 내경을 넓게 형성하여 복수개의 수생식물을 한꺼번에 거치시키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생식물 거치대에 수생식물을 거치시킨 후, 줄기 및 뿌리가 많이 자라난 경우, 수생식물을 위쪽으로 들어올려 고정시키는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각 지지다리(14)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핀 삽입홀(46)이 관통 형성되고, 이 핀 삽입홀(46)에는 수생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들어올려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핀(48)이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생식물(30)의 줄기(32) 및 뿌리(34)가 많이 자라난 경우, 탄력성이 있는 얇은 지지핀(48)을 핀 삽입홀(46)에 삽입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핀(48)을 직접 식물의 줄기 등에 꼿아주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핀(48)의 탄력성으로 수생식물의 줄기(32) 또는 뿌리부분을 받쳐주게 되며, 특히 길다란 줄기를 갖는 대나무와 같은 관죽식물을 유용하게 잡아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생식물의 줄기 또는 뿌리 부분에 지지핀(48)을 직접 꼿아서 수생식물을 고정시키거나, 대나무와 같은 관죽식물은 그 하단면이 지지핀(48)에 받쳐지게 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상부거치대(12)의 내경부는 수생식물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크므로, 수생식물의 줄기부분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직립성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모두 적용되는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도 4a 내지 도 4c는 제1실시예의 거치대에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도 4d 내지 도 4f는 제2실시예의 거치대에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을 적용한 예를 낱낸다.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의 일 구현예는, 첨부한 도 4a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과 같은 와이어(24)를 이용하여 수생식물(30)의 줄기(32) 부분을 잡아주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부거치대(12)의 각 사방 위치에 2개 이상의 미세홀(22)을 내외부로 관통 형성한 다음, 서로 마주보는 미세홀(22)에 와이어(24)를 삽입하여 엮어줌으로써, 상부거치대(12)의 내경부에 2열 이상의 와이어(24)가 수직 교차되는 배열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수직 교차된 와이어(24)의 중심공간을 통하여 수생식물(30)의 줄기(32)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수생식물(30)의 줄기(32) 부분이 와이어(24)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수직방향의 직립성을 가지며 용이하게 거치되어진다.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의 다른 구현예는, 첨부한 도 4b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대(12)의 상단에 걸어지면서 내경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줄기 지지용 걸이(26)와, 각 줄기 지지용 걸이(26)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부거치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생식물을 직립되게 지지해주는 쐐기 형태의 스폰지(28)로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물론, 상기 스폰지(28)는 쐐기 형태가 바람직하지만, 직육면체 형태 등 어떠한 형상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거치대(12)의 상단에 각 줄기 지지용 걸이(26)의 상단 절곡부를 걸어주게 되면, 줄기 지지용 걸이(26)의 하단부가 상부거치대(12)의 내경부 아래쪽으로 배열되는 상태가 되고, 또한 각 줄기 지지용 걸이(26)의 하단부 표면에 부착된 쐐기 형태의 스폰지(28)가 안쪽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각 줄기 지지용 걸이(26)에 부착된 쐐기 형태의 스폰지(28) 사이로 수생식물(30)의 줄기(32)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스폰지(28)가 줄기(32)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어, 결국 수생식물(30)의 줄기(32)가 스폰지(28)의 탄성 밀착력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직립성을 가지며 용이하게 거치되어진다.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의 또 다른 구현예는, 첨부한 도 4c 및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거치대(12)의 내경 크기에 맞게 구비된 줄기 고정용 스폰지(27)로 채택된 점에 특징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줄기 고정용 스폰지(28)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이면서 상부거치대(12)의 내경 형상과 같이 링 형태로 말아진 구조로 구비되고, 특히 줄기 고정용 스폰지(28)의 내경면은 톱니(29)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줄기 고정용 스폰지(28)의 내경면이 톱니(29) 형상으로 형성된 이유는 줄기의 직경에 따라 줄기 고정용 스폰지(28)의 내둘레면이 압축될 때 내둘레면이 울지 않도록 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거치대(12)의 내경에 끼워진 줄기 고정용 스폰지(27)의 내경공간을 통하여 수생식물(30)의 줄기(32)가 지나가게 함으로써, 줄기 고정용 스폰지(27)의 톱니(29)면에 수생식물(30)의 줄기(32)가 밀착되고, 결국 줄기 고정용 스폰지(27)의 탄성 밀착력에 의하여 수생식물(30)의 줄기(32)가 수직방향의 직립성을 가지며 용이하게 거치되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수생식물 중, 수평방향으로 자라는 식물(예를 들어, 연뿌리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물이 채워진 식재도구(10)의 표면에 반복 배치되는 수평거치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자기, 유리, 크리스탈,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서로 대향되는 핀 삽입홀(46)이 관통 형성된 역U자 단면의 제1지지체(42)를 구비하는 동시에 서로 대향되는 핀 삽입홀(46)이 관통 형성된 U자형 단면의 제2지지체(44)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체(42) 및 제2지지체(44)를 식재도구(10)의 표면에 임의의 방향(예를 들어, 연뿌리가 성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한 다음, 제1지지체(42)의 저부공간 및 제2지지체(44)의 상부 개방공간을 따라 수생식물(30)의 줄기(42) 및 뿌리(44)가 배열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체(42)의 핀 삽입홀(46)을 통해 삽입된 지지핀(48) 위에 줄기 또는 뿌리 부분이 식재도구(10)의 바닥에 닿지 않게 거치될 수 있고, 또한 제2지지체(44)의 핀 삽입홀(46)을 통해 삽입되는 지지핀(48) 위에 줄기 또는 뿌리 부분이 거치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성장하는 수생식물도 물 속에서 흔들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삽입홀(46)에 지지핀(48)을 삽입하지 않고, 스폰지를 핀 삽입홀내에 끼워서 줄기를 눌어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한 도 6은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를 안착시킬 수 있는 식재기구중 수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성형할 때, 일정 깊이를 가지는 동시에 바닥이 막힌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의 거치대 형상을 갖는 수반(50)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의 다른 예로서, 한 줄기의 수생식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형태 및 그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일종으로서, 몸체부(52)는 구 형태의 중공 구조로 제작되는 동시에 하부에 지지다리(14)가 일체로 된 구조로 제작되고, 상부 중앙에는 한 줄기의 수생식물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54)가 형성되며, 특히 상단 일측에는 라벨 부착용 고리(56)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8에서 보듯이 수생식물(30)의 줄기(32)를 삽입구(54)를 통해 삽입하고, 뿌리(34) 부분을 지지다리(14) 사이로 인출시키면서 수생식물을 거치시킬 수 있고, 도 9에서 보듯이 수반과 같은 식재도구(10)내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라벨 부착용 고리(56)에 끼워진 여러가지 형태의 광고라벨(58)이 물 위에 뜨게 되어, 수생식물을 감상하는 동시에 제품의 광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광고라벨(58)은 물 위에 뜬 상태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실이나 끈으로 라벨 부착용 고리(56)에 연결될 수도 있고, 철사로 연결되어서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거치대의 경우, 하부받침대(16)가 삼발이 형태로 성형되는 바, 첨부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받침대(16)를 구성하는 삼발이의 일체가 되는 중심위치를 위쪽으로 솟은 형태의 볼록받침부(19)로 형성하여, 수생식물의 자체무게로 인하여 뿌리의 하단끝 부분이 수반 등의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뿌리가 자연스런 모양으로 성장하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식재도구 12 : 상부거치대
14 : 지지다리 16 : 하부받침대
18 : 관통구 19 : 볼록받침부
20 :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 22 : 미세홀
24 : 와이어 26 : 줄기 지지용 걸이
28 : 스폰지 27 : 줄기 고정용 스폰지체
29 : 톱니 30 : 수생식물
32 : 줄기 34 : 뿌리
42 : 제1지지체 44 : 제2지지체
46 : 핀 삽입홀 48 : 지지핀
50 : 수반 52 : 몸체부
54 : 삽입구 56 : 라벨 부착용 고리
58 : 광고라벨

Claims (9)

  1. 식재도구(10)에 안착되는 하부받침대(16)와;
    수생식물(30)의 줄기(32) 또는 뿌리(34)를 거치시키기 위한 고리 형상의 상부거치대(12)와;
    상부거치대(12)의 저면 및 하부받침대(16)의 상면 간을 일체로 연결하며 성형되되, 사이 사이에 다수개의 관통구(18)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개의 지지다리(14)와;
    상기 상부거치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생식물(30)의 줄기(32)를 직립되게 고정시키는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거치대(12)와 하부받침대(16)의 직경 및 지지다리(14)의 길이는 수생식물(30)의 길이 및 두께에 따라 달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받침대(16)는,
    식재도구(10)에 안착되는 삼발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받침대(16)는,
    식재도구(10)에 안착되는 링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다리(14)에는 다수개의 핀 삽입홀(46)이 관통 형성되고, 수생식물의 뿌리를 들어올려 지지해줄 수 있는 지지핀(48)이 각 지지다리(14)의 상호 대응되는 핀 삽입홀(46) 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은:
    상부거치대(12)의 사방 위치에 내외부로 관통 형성된 미세홀(22)과;
    서로 마주보는 미세홀(22)간에 연결되면서 상부거치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생식물을 직립되게 지지해주는 와이어(2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은:
    상부거치대(12)의 상단에 걸어지면서 내경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줄기 지지용 걸이(26)와;
    각 줄기 지지용 걸이(26)의 내면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부거치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생식물을 직립되게 지지해주는 쐐기 형태의 스폰지(2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기 고정용 가이드수단(20)은:
    상부거치대(12)의 내경에 끼워지는 줄기 고정용 스폰지체(27)로 채택되고, 이 스폰지체(27)의 내경면은 톱니(29)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생식물 중, 수평방향으로 자라는 식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식재도구(10)에 반복 배치되는 수단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핀 삽입홀(46)이 관통 형성된 역U자 단면의 제1지지체(42)와, 서로 대향되는 핀 삽입홀(46)이 관통 형성된 U자형 단면의 제2지지체(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치대(12)의 임의 위치에는 광고라벨(58)를 걸어줄 수 있는 라벨 부착용 고리(56)가 일체로 더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KR1020110058519A 2011-06-16 2011-06-16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KR10129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19A KR101293075B1 (ko) 2011-06-16 2011-06-16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19A KR101293075B1 (ko) 2011-06-16 2011-06-16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15A true KR20120139015A (ko) 2012-12-27
KR101293075B1 KR101293075B1 (ko) 2013-08-05

Family

ID=4790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519A KR101293075B1 (ko) 2011-06-16 2011-06-16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0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50B1 (ko) 2013-10-01 2015-04-07 백용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KR101628040B1 (ko) * 2015-02-24 2016-06-08 엄재연 수경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8Y2 (ko) * 1979-08-31 1982-01-07
JPS5952856U (ja) * 1982-09-30 1984-04-06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水耕栽培用育苗床の保持具
JP2939525B2 (ja) * 1996-03-25 1999-08-25 林野庁森林総合研究所長 次第に沈降して着底する水面緑化用基盤
KR20080000180U (ko) * 2007-03-09 2008-02-14 손윤호 텃밭용 식재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50B1 (ko) 2013-10-01 2015-04-07 백용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WO2015050325A1 (ko) * 2013-10-01 2015-04-09 백용인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KR101628040B1 (ko) * 2015-02-24 2016-06-08 엄재연 수경재배기
WO2016137223A3 (ko) * 2015-02-24 2016-10-20 엄재연 수경재배기
CN107257622A (zh) * 2015-02-24 2017-10-17 严在渊 水耕栽培器
JP2018509179A (ja) * 2015-02-24 2018-04-05 ジェヨン オム 水耕栽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075B1 (ko)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4789A1 (en) Hanging vessel
KR101508650B1 (ko)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KR101293075B1 (ko) 친환경 수생식물 생육 거치대
EP3370505A1 (en) Plant growing stand and plant product
US6684565B2 (en) Self-standing display device
JP3148053U (ja) 植物支持装置及び植物栽培棚の組み立てセット
JP5250799B2 (ja) 花卉球根類の水栽培方法及び球根ホルダ
JP2009516564A (ja) 生け花及び植生用花器
KR100653790B1 (ko) 벽면 부착식 컬러블록화분 및 이를 이용한컬러블록화분세트
US20210321798A1 (en) Vase apparatus
CN203633282U (zh) 水培植物定植篮
JP5913088B2 (ja) 水中観賞物支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体
CA3057484A1 (en) Dual sided open ended floral design mechanic
CN205113896U (zh) 一种可分拆多功能箱体
CN210610724U (zh) 悬挂式景观装置
KR200497496Y1 (ko) 어항용 수경 재배 거치대
CN208462470U (zh) 一种组合式可悬挂花盆
CN209920900U (zh) 一种家居半宝石插花型工艺品
JP2000014260A (ja) フラワーポット外装容器
CN2922460Y (zh) 花瓶鱼缸
RU198397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опора для растений
CN219939229U (zh) 一种盆栽石斛兰专用扶架
KR20210099938A (ko) 화분 및 이를 구비하는 달력구조체
JP3110723U (ja) 懸垂式植木鉢
CN201774853U (zh) 水土两用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