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813A - Oct단층화상의 표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Oct단층화상의 표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813A
KR20120138813A KR1020127027156A KR20127027156A KR20120138813A KR 20120138813 A KR20120138813 A KR 20120138813A KR 1020127027156 A KR1020127027156 A KR 1020127027156A KR 20127027156 A KR20127027156 A KR 20127027156A KR 20120138813 A KR20120138813 A KR 20120138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mographic
tomographic image
photographing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100B1 (ko
Inventor
유키오 사카가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8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95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spatially resolved investigating of object in scatter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61B5/0037Performing a preliminary scan, e.g. a prescan for identifying a region of inter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0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controlling or generating intrinsic radiation properties
    • G01B9/02007Two or more frequencies or sources used for interferometric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17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with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light beams, e.g. beam reflections occurring from different locations
    • G01B9/02019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with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light beams, e.g. beam reflections occurring from different locations contacting different points on same face of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27Two or more interferometric channels or interfe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29Combination with non-interferometric systems, i.e. for measuring the object
    • G01B9/0203With imag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83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signal processing and presentation
    • G01B9/02089Displaying the signal, e.g. for user intera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9Low-coherence interferometers
    • G01B9/02091Tomographic interferometers, e.g. based on optical coh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6Optical coherence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저 코히어런스 광에 의해 촬영 대상을 소정의 주 주사선을 따라 스캔하도록 구성된 OCT촬영 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OCT단층화상을 취득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이 화상처리장치는, 방향이 다른 복수의 주 주사선을 따라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취득하는 화상취득부와,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각각의 주 주사선의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각각의 OCT단층화상에 반영하도록 각 주 주사선의 방향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배치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OCT촬영 장치, 단층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IMAGE PROCESSING APPARATUS, OCT IMAGING APPARATUS, TOMOGRAPHIC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단층화상을 표시하는 화상처리장치, 광간섭 단층촬영(OCT)촬영장치, 단층촬영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광간섭 단층촬영(OCT)촬영 장치는, 광간섭 단층촬영(OCT)의 원리에 의거하여, 촬영 대상의 내부 구조를 영상화한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OCT촬영 장치에 의해, 안구의 내부구조를 관찰하면서 질병의 단계를 안과 의사나 어떤 다른 전문가가 진단 가능하게 한다.
OCT촬영 장치는, 신호 광을 안저에 조사하여 그 조사된 위치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OCT촬영 장치는, 일반적으로 "B스캔"이라고 알려진 주사를 행하여, 상기 신호 광을 안저에 있어서 선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위치에 조사함으로써 촬영 대상의 소정 단면의 이차원 단층화상을 얻는다.
또한, OCT촬영 장치는, 안저 표면의 이차원 영역에서 광으로 복수의 위치를 조사하여서 주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OCT촬영 장치는, 최후에 망막의 삼차원 볼륨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진단적 관찰에 있어서는, 망막의 복수의 단면에서 촬영된 이차원 단층화상을 비교하는 것은, 진단에 이용 가능한 충분한 정보를 얻는데 효과적이다. 특허문헌 1에는, 조작자가 안저 화상상에서의 대상 단면을 지정하게 하여 단층화상을 전환하여(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B스캔의 방향으로 서로 다른 대상의 복수의 단층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2개 이상의 단층화상이 동시에 표시될 때,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특별히 언급하지 않으면, 상기 표시된 단층화상이 촬영 대상에 대한 B스캔 방향으로 서로 같거나 다른지가, 뷰어에게는 불명확할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117714호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09166호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저 코히어런스 광에 의해 촬영 대상을 소정의 주 주사선을 따라 스캔하도록 구성된 OCT촬영 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OCT단층화상을 취득 가능하다. 그 화상처리장치는, 방향이 다른 복수의 주 주사선을 따라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취득하는 화상취득 수단과,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각각의 주 주사선 방향간의 상대적 관계를 각각의 OCT단층화상에서 반영하도록 각 주 주사선의 방향으로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배치를 사용하여 표시 화면에 상기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는, 표시 화면에 B스캔 방향의 정보를 명시하도록 각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단층화상에 있어서 B스캔의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촬영된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에서 행해질 수 있는 처리의 흐름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단층화상과 함께 안저 화상을 포함한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스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선을 따라 배열된 신호 광빔Bm1, Bm2, 및 Bm3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신호 광빔의 스캔 방향과 신호 광빔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열된 신호 광빔Bm1, Bm2, 및 Bm3의 예를 나타낸다.
도 9d는 도 9c에 나타낸 신호 광빔의 스캔 방향과 신호 광빔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e는 도 9a 내지 도 9d에 인가되는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에서 행해질 수 있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 빔형 OCT촬영장치로 촬영된 단층화상을 표시하는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각 신호 광빔에 대응하는 코히어런스 게이트간의 상대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각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이용 가능한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각 신호 광빔에 대응하는 코히어런스 게이트간의 상대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종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100)은, 화상처리장치(110), 단층촬영장치(120) 및 표시장치(130)를 구비한다.
화상처리장치(110)는, 단층촬영장치(120)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단층화상을 B스캔의 방향으로 그들간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식으로 표시 패턴을 결정한다. 화상처리장치(110)는, 상기 결정된 표시 패턴에 따라 복수의 단층화상을 표시장치(130)에 표시시킨다.
도 1은 단층촬영 시스템(100)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단층촬영 시스템(100)은, 화상처리장치(110), 단층촬영장치(예를 들면, OCT촬영 장치)(120) 및 표시장치(130)를 구비한 광간섭 단층촬영 시스템이다.
화상처리장치(110)는, 상기 OCT촬영장치(120)로부터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취득하고, 그 취득된 단층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장치(110)는, 단층촬영장치(120)에 대하여 촬영 지시와 촬영 조건을 전송하는 촬영 제어장치로서 기능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단층촬영장치(120)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호 광으로 피검안의 망막을 스캔하여서 그 망막의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촬영한다.
표시장치(130)는, 예를 들면 촬영 대상의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 화상처리장치(110)에 의해 가공된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 및 촬영제어 파라미터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다.
화상처리장치(110)는, 화상취득부(101), 지시 취득부(102), 제어부(103), 화상형성부(104), 표시 제어부(105) 및 기억부(106)를 구비한다.
화상취득부(101)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입/출력부다. 화상취득부(101)는,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촬영 대상의 단층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화상취득부(101)는, 촬영 대상의 표면의 화상을 취득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촬영 대상이 눈의 망막이다. 그러므로, 화상취득부(101)는, 상기 대상의 표면의 화상으로서, 안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안저 화상을 취득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층화상 및 안저 화상을 이차원 화상으로서 취득한다.
또한, 화상취득부(101)는, 단층촬영장치(120)에 및 이 장치로부터의 화상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취득부(101)는, 후술하는 촬영 파라미터와 촬영시작 지시 등의 각 종 정보를, 단층촬영장치(120)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촬영시작의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단층촬영장치(120)가 촬영동작을 행한다. 화상취득부(101)는, 단층촬영장치(120)가 단층 촬영을 행할 때, 그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단층화상을 취득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대상의 단층화상이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주 주사선을 따라 촬영된다고 한다.
지시 취득부(102)는, 조작자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조작부를 거쳐 일반적으로 입력한 촬영 시작 지시와 촬영 조건을 취득할 수 있다. 지시 취득부(102)에서 취득된 촬영 조건은, 단층화상의 촬영 위치(즉, B스캔의 위치), 주사의 방향,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코히어런스 게이트는, 신호 광의 축방향의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값이다. 조작부는,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110)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키보드와 마우스다. 지시 취득부(102)는 취득된 지시를 제어부(103)에 송신한다.
제어부(103)는, 지시 취득부(102)가 취득한 지시에 의거하여, 신호 광의 촬영 위치(즉, B스캔 위치) 및 스캔 속도등의 단층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그 후, 제어부(103)는, 단층화상 촬영지시와 안저 화상 촬영 지시와 함께 상기 설정 파라미터를 화상취득부(101)에 송신한다.
화상취득부(101)는, 그 촬영지시에 응답하여 촬영하는 촬영동작을 행한다. 제어부(103)는 촬영된 화상을 화상취득부(101)로부터 수신하고, 그 취득된 화상을 화상형성부(104)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촬영 파라미터와 함께 상기 화상형성부(104)에서 생성된 화상을 표시 제어부(105)에 송신한다.
화상형성부(104)는, 상기 얻어진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에 관한 화상처리를 행하여, 진단에 보기 쉽고 사용 가능한 정교한 화상을 얻는다. 화상형성부(104)에서 행해지는 화상처리는, 예를 들면, 개개의 화상에 적용된 노이즈 저감 처리와 콘트라스트 조정 처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부(104)는, 상기 생성 처리로서, 콘트라스트 조정처리를 행할 수 있다.
우선, 화상형성부(104)는, 화상 전체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산출한다. 다음에, 화상형성부(104)는, 상한값과 하한값을 설정한다. 상기 상한값은, 상기 산출된 히스토그램 분포에서, 최고위 5%를 제외한 최대값에 해당한다. 상기 하한값은, 상기 산출된 히스토그램 분포에서, 최하위 5%를 제외한 최소값에 해당한다.
그리고, 화상형성부(104)는, 상기 결정된 상한값과 하한값을 참조하여 각 화소값을 256(즉, 0부터 255까지)계조 중 하나로 선형으로 변환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형성부(104)는, 상기 콘트라스트 조정처리 이외에, 감마 보정처리 또는 의사 색채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상기 처리된 화상을 표시 제어부(105)에 전송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05)는 배치 결정부(107)를 구비한다. 배치 결정부(107)는, 촬영 대상에 대한 각각의 주 주사선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각각의 OCT단층화상에서 반영하도록 각 주 주사선의 방향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배치를 사용하여 표시 화면에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표시시킨다.
복수의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할 때에는, 배치 결정부(107)는, 제어부(103)가 취득한 주사선(B스캔 라인)간의 상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각 단층화상의 주사선간에 이루는 각도의 차이를 명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5)는, 촬영동작에서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생성된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가공(수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05)는,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에 새로운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표시 제어부(105)는, 표시되는 화상들의 표시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3)가 송신하고 상기 배치 결정부(107)가 수신한 데이터는,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얻어진 정보로서, 촬영 대상에 대한 각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B스캔의 위치는, 단층촬영장치(120)에서 사용된 신호 광의 주사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상기 B스캔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B스캔의 위치는, 단층화상과는 별도의 부속 정보로서 취득될 수 있거나, 각 화상과 관련된 B스캔 위치 정보로서 취득될 수 있다. 또한, B스캔의 위치는, 지시 취득부(102)를 거쳐 입력된 지시 정보로서 취득될 수 있거나, 각 화상으로부터 취득 가능한 B스캔 위치를 나타내는 해석된 정보로서 취득될 수 있다.
상기 B스캔 위치를 상기 단층화상과는 별도의 부속 정보로서 취득하는 경우에, 화상취득부(101)는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상기 부속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05)는 복수의 단층화상간의 B스캔 방향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직접 상기 제어부(103)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2개 이상의 B스캔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 정보나, 2개 이상의 단층화상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를 나타낸 정보다.
상기의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105)의 배치 결정부(107)는, 복수의 단층화상간의 B스캔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 복수의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화상이 B스캔 위치에서 서로 직교하는 경우에는, 배치 결정부(107)는, 한쪽의 화상의 방위를 다른쪽의 화상의 방위에 대하여 90도 기울이는 식으로 이들의 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그 결정된 배치에 따라 표시장치(130)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를 행한다.
상기 표시방법은, 2개 이상의 단층화상간에 B스캔 방향의 차이를 유저에 직감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유저는, 매번 B스캔 방향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억부(106)는, 촬영된 진단용 단층화상을 기억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단층촬영장치(120)의 구성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단층촬영장치(120)는, 광간섭 단층촬영(OCT)의 원리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광간섭 단층촬영장치다. 단층촬영장치(120)는, 저 코히어런스 광에 의해 촬영 대상을 소정의 주 주사선을 따라 스캔 함으로써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단층촬영장치(120)는, 촬영 대상의 일례인 안구EB의 망막RT의 단층화상을 신호 광으로 스캔해서 취득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층촬영장치(120)는 간섭 광을 분광해서 검출한 신호를 푸리에 변환 처리를 행해서 단층화상을 생성 가능한 스펙트럴 도메인 방식의 촬영장치다.
아래의 설명에서, Z축은 촬영 대상에 도달하는 신호 광의 광축방향을 나타낸다. X축 및 Y축은, 협력하여 Z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규정한다.
도 2에 있어서, 파이버 커플러(203)는, 저 코히어런스 광원인 초발광 다이오드(SLD)(201)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신한다. 파이버 커플러(203)는 입사한 광을 신호 광Bm과 참조 광Br로 분리한다. 신호 광Bm은 광파이버를 거쳐 주사 광학계(204)에 출력된다. 참조 광Br는 참조 광 콜리메이터(208)에 출력된다.
주사 광학계(204)는 입력된 신호 광Bm을 갈바노(galvanometer) 미러(206)에 집광하고, 그 집광된 신호 광의 망막RT에의 입사위치를 순차로 변화시킴으로써 망막RT의 주사를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갈바노 미러(206)는, 수평 스캔을 행할 수 있는 수평 스캐너와 수직 스캔을 행할 수 있는 수직 스캐너로 구성된다.
스캐너 제어부(205)는 갈바노 미러(206)를 구동 제어한다. 주사된 신호 광Bm은 대물광학계(207)를 통해 망막RT(즉, 피측정물)에 도달한다. 그 후, 망막RT에서 반사된 신호 광은, 대물광학계(207) 및 주사 광학계(204)를 순차로 거쳐서 끝으로 파이버 커플러(203)에 도달한다.
한편, 파이버 커플러(203)로부터 출력된 참조 광Br은, 참조 광 콜리메이터(208)를 통해 참조 미러(209)에 도달한다. 참조 미러(209)에서 반사된 참조 광Br은, 다시 파이버 커플러(203)에 도달한다. 그 후, 참조 광Br은, 파이버 커플러(203)에서 신호 광Bm과 간섭한다. 이렇게 하여, 파이버 커플러(203)는, 신호검출부(210)에 입력될 수 있는 간섭 광을 생성한다.
참조 미러 제어부(212)는 참조 미러(209)의 위치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참조 미러 제어부(212)는, 참조 미러(209)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참조 광Br의 광로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참조 미러 제어부(212)는, 신호 광과 참조 광이 간섭하는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 간섭 광이 생성되어 영상화될 수 있는 상기 Z축방향의 범위를 코히어런스 게이트 또는 코히어런트 게이트라고 한다.
신호검출부(210)는 파이버 커플러(203)로부터 생성된 간섭 광을 검출하고, 전기적인 간섭 신호로서 상기 검출된 간섭 광을 신호 처리부(화상형성부)(211)에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11)는 상기 수신된 간섭 신호를 신호 처리(예를 들면, 푸리에 변환)를 행하여 망막RT의 Z방향에 따른 반사율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부(211)는, 그 생성된 신호에 의거하여 망막RT의 단층화상을 재구성한다. 1차원의 화상을 취득하도록 행해진 상기 처리를, Z축방향으로 행해지는 주사를 나타내는 "A스캔"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기 얻어진 1차원 화상을 "A스캔 화상"이라고 부른다.
상기의 단층촬영장치(120)는, 대상 안저의 소정의 위치에 신호 광Bm을 조사하여서, 그 조사된 위치에 대응한 A스캔 화상을 얻는다. 상기 단층촬영장치(120)는, 이 신호 광Bm을 조사하는 상기 소정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선택된 주사선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주사(B스캔)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211)는, 종래의 주지의 보간처리를 행하여, 상기 주사선을 포함하도록 Z축방향으로 확장되는 이차원의 단층화상(B스캔 화상)을 얻는다.
또한, 상기 단층촬영장치(120)는, 대상 안저의 소정 영역내에서 소정간격으로 A스캔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211)는, 상기 얻어진 A스캔 화상에 관해 종래의 주지의 보간처리를 행하여 상기 소정영역을 포함해 Z축방향으로 확장되는 삼차원의 단층화상을 얻는다.
또한, 상기 단층촬영장치(120)는, 대상 안저표면과 대략 평행한 임의의 깊이영역을 영상화한 이차원 단층화상(C스캔 화상)등, 임의의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B스캔 방향은, Z축에 수직한 평면 위의 임의의 방향이다. 주 주사선은, 주 주사 방향을 따라 배열된 신호 광Bm의 조사 위치를 잇는 선분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신호 처리부(211)는, 주사 광학계(204)를 거쳐 망막RT를 복수의 다른 B스캔 방향을 따라 주사할 때 얻어진 상기 신호 광Bm의 귀환광에 의거하여 B스캔의 방향이 다른 복수의 단층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단층촬영장치(120)는, 피검안EB의 망막RT(즉, 촬영 대상)가 위치하는 안저를 촬영할 수 있는 유닛으로서 안저 카메라(202)를 구비한다. 안저 카메라(202)는, 안저에 대하여 적외광이나 가시광선을 촬영 광으로서 조사하고, 안저로부터의 반사광에 의거하여 안저 화상을 형성한다.
대물광학계(207)는, 안저 카메라(202)로부터 방출된 촬영 광과, SLD(201)로부터 방출된 신호 광을 수신한다. 그 후, 상기 촬영 광과 상기 신호 광 각각은, 대물광학계(207)를 거쳐 안저 또는 망막RT에 도달한다.
상기 파이버 커플러(203)에 의한 광로의 상기 분리는, 적절한 파장 선택성을 갖는 다이클로익 미러 또는 비교할 만한 광학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플립업(flip-up) 미러를 이용하는데 유용하기도 하다.
상기의 단층촬영장치(12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단층화상의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피검안의 망막RT의 안저 카메라(202)로 촬영될 수 있는 안저 화상(301)과, 단층촬영장치(120)에 의해 얻어진 망막층의 단층화상(303)의 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망막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깊이 방향으로 순차로 위치된 복수의 망막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갖는다.
X축(305), Y축(306) 및 Z축(307)은, 도 3에 나타낸 좌표계에서의 위치를 규정하는데 이용된다. X축(305)은, 기준선에 평행하다. 그 기준선은, 안저 및 황반을 통과하는 직선이다. X축(305)의 방향은, 수평 스캔 방향과 같다. Y축(306)은 X축(305)과 직교한다. Y축(306)의 방향은, 수직 스캔 방향과 같다. 수평 스캔 방향과 수직 스캔 방향 양쪽은 B스캔 방향의 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임의의 방향을 B스캔의 방향으로서 설정할 수 있지만, 촬영동작에 있어서 B스캔의 방향 중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B스캔의 방향을 주 주사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주 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및 A스캔 방향을 부주사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Z축(307)은 X축(305) 및 Y축(306)과 직교하도록 설정된다. Z축의 방향은 촬영 대상에 도달하는 신호 광Bm의 광축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Z축의 방향은 A스캔의 방향과 일치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B스캔 방향은, B스캔 방향이 그의 정방향 및 부방향이라고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신호 광Bm에 의한 주사동작이 행해지는 주사 방향(또는 그 주사 방향과 반대의 방향)이라고 하기도 한다.
단층화상(303)을 재구성하기 위해서, 단층촬영장치(120)는 갈바노 미러(206)를 주 주사 방향(즉,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신호 처리부(211)가 A주사선(304)에 해당하는 각 영역에서의 화상을 재구성되게 한다.
그 후, 단층촬영장치(120)는, 인접하는 A스캔 화상 사이에 존재하는 영역을 보간하기 위해 종래의 주지의 보간처리를 행한다. 끝으로, 단층촬영장치(120)는, 이차원 화상 또는 삼차원 화상으로서 단층화상(303)을 재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단층화상(303)이 이차원 화상인 경우, 그 얻어진 단층화상(303)을 B스캔 화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층화상(303)(B스캔 화상)은, 망막의 깊이 방향과 그 깊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는 이차원의 단면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층화상(303)은, 도 3에 나타낸 X축(305) 및 Z축(307)으로 규정될 수 있는 평면에 해당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수평선(302)은 안저 화상(301) 위에 보여질 때 단층화상(303)의 B스캔 위치 및 범위를 나타낸다.
단층화상을 복수의 다른 B스캔 위치에서 얻고 그 얻어진 복수의 단층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단층촬영 시스템(100)에서 행할 수 있는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스텝S410에서, 지시 취득부(10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조작자가 입력한 촬영 조건을 취득한다. 지시 취득부(102)가 취득한 촬영 조건은, 피검안의 망막에 대하여, 복수의 단층화상 각각에 대한 촬영 처리에서 필요한, 촬영 위치 및 촬영의 스캔 방향과 아울러,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촬영심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화상처리장치(110)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조작부를 거쳐 상기 촬영 위치로서 상기 망막을 나타내는 부위를 지정하는 지시를 입력한다. 그 얻어진 지시는, 제어부(103)에 송신된다.
스텝S420에서, 화상취득부(101)는,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취득한다. 제어부(103)는,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취득된 상기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수신한다.
제어부(103)는,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상기 수신된 화상들을 화상형성부(104)에 전송한다. 이 스텝에서는, 제어부(103)는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파라미터를 조정하는데 요구된 프리스캔(pre-scan)동작에서 사용되는 제1촬영의 스캔 파라미터와 제2촬영의 스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촬영의 스캔 파라미터에 포함된 주사 방향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망막의 X방향에 평행하게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망막의 X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한다. 촬영 범위의 설정은, 지시 취득부(102)를 거쳐 입력된 지시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그 촬영 범위는,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파라미터와 일치하도록 한다.
제어부(103)는, 제2촬영의 스캔에 대해, 제1촬영의 스캔 라인과 제2촬영의 스캔 라인이 직교하도록 설정하는 식으로 상기 촬영 위치와 상기 촬영 방향을 결정한다. 이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한다.
촬영 범위(스캔 거리)는, 제1촬영 스캔의 촬영 범위와 일치하도록 한다. 제어부(103)는, 이 제1촬영 파라미터와 제2촬영 파라미터를 화상취득부(101)에 전송한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직교한다.
화상취득부(101)는, 제1촬영 파라미터와 제2촬영 파라미터가 각각의 단층화상의 촬영지시와 함께 단층촬영장치(120)에 전송한다.
단층촬영장치(120)는, 제1촬영 파라미터와 제2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망막의 단층화상을 촬영한다. 이 촬영된 단층화상을 각각 제1 단층화상 및 제2 단층화상이라고 한다.
단층촬영장치(120)의 스캐너 제어부(205)는, 화상취득부(101)로부터 전송된 촬영 파라미터에 포함된 촬영 위치와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따라 갈바노 미러(206)를 구동 제어한다. 스캐너 제어부(205)가 구동 제어한 갈바노 미러(206)는, 망막RT상에서 신호 광Bm을 사용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스캔하는 것을 행한다.
한층 더, 단층촬영장치(120)는, 화상취득부(101)로부터 전송된 촬영 파라미터에 포함된 코히어런스 게이트 정보에 의거하여 참조 미러 제어부(212)가 참조 미러(209)를 구동되게 한다.
그 참조 미러(209)를 구동함으로써, 단층촬영장치(120)는, 참조 광Br의 광로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망막RT에 있어서의 목적 깊이 범위에서의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한층 더, 안저 카메라(202)는, 망막RT의 안저 화상을 촬영한다. 촬영된 안저 화상은, 화상취득부(101)에 전송된다.
다음에, 촬영 파라미터와 갈바노 미러(206)의 구동의 관계 예에 아래에서 설명한다. 제1촬영 파라미터에서 지정된 스캔 방향과 제2촬영 파라미터에서 지정된 스캔 방향은 직교한다. 그러므로, 제1촬영 파라미터로 망막RT의 단면을 촬영하는 경우에, 스캔 방향을 수평방향이라고 할 때, 수평 스캔에 대응하는 갈바노 미러(206)가 주 주사동작을 행한다.
한편, 제2촬영 파라미터로 망막RT의 단면을 촬영하는 경우에, 스캔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할 때, 수직 스캔에 대응하는 갈바노 미러(206)가 주 주사동작을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한 촬영처리를 먼저 행한다. 이어서, 제2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한 촬영처리를 행한다. 그렇지만, 그 촬영순서는 적절한 경우 역순일 수 있다.
단층촬영장치(120)가 복수의 저 코히어런트 광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제1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한 촬영처리와 제2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한 촬영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촬영된 단층화상을 제1 단층화상이라고 부른다. 제2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촬영된 단층화상을 제2 단층화상이라고 부른다. 화상취득부(101)는,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을,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취득한다.
스텝S430에서, 화상형성부(104)는, 화상처리를 행하여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을 수정한다. 화상형성부(104)에서 행해지는 화상처리는, 상기 얻어진 단층화상(또는 안저 화상)을 보기에 쉽고 진단에 사용 가능한 화상으로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부(104)는, 복수의 화상에서 계조가 공통되도록 계조변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화상간의 비교가 보다 용이해진다.
스텝S440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화상형성부(104)에서 형성된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배치 결정부(107)는, 제어부(103)로부터 받은 촬영 조건을 참조하여, 제1 단층화상의 B스캔의 방향과 제2 단층화상의 B스캔의 방향간의 관계를 확인한다.
상기 두개의 B스캔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05)는, 두개의 단층화상의 표시 패턴을 바꾸기 위해 배치를 결정한다. 그 후, 표시 제어부(105)는 그 결정된 배치에 근거하여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배치 결정부(107)는, 두개의 B스캔 방향간의 상대적인 관계가 보존되도록, 두 개의 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그 두 개의 화상을 표시할 때, 한쪽의 화상을 고정하고, 다른쪽의 화상을 기울인다.
입력된 제1 단층화상의 B스캔 방향(촬영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망막의 X축방향과 같도록 설정된다. 그 때문에, 배치 결정부(107)는, 제1 단층화상에 있어서의 망막의 깊이 방향이 표시장치(130)의 표시 화면의 수직방향에 평행하도록 설정하는 식으로 상기 표시 화면의 배치를 결정한다.
또한, 제2 단층화상의 B스캔 방향이 제1 단층화상의 B스캔 방향과 직교하므로, 배치 결정부(107)는, 두개의 B스캔 방향간의 관계를 표현하도록 상기 배치를 결정한다. 배치 결정부(107)는, 제2 단층화상의 망막의 깊이 방향이 표시 화면의 수평방향이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배치 결정부(107)는, 상기 단층화상들과 관련지어 안저 화상의 표시 배치를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그 결정된 배치에 따라 제1 단층화상 및 제2 단층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그 생성된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130)에 송신한다. 표시장치(130)는, 다른 표시용 화상 데이터가 새롭게 입력될 때까지, 표시 화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계속적으로 표시한다. 이 표시 화면의 예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S450에서, 제어부(103)는, 지시 취득부(102)에 의해 표시를 종료하는 지시가 수신된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화상처리장치(110)에 대해 지시 취득부(102)를 거쳐 새로운 단층화상의 촬영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지시 취득부(102)는, 표시 종료 지시를 제어부(103)에 송신한다.
조작자는, 화상처리장치(110)에 대해 단층화상을 촬영하는 스캔동작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지시 취득부(102)는, 유저에 의해 그 스캔동작을 지시 가능하게 하는 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은)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조작자는, 키보드 키를 눌러도 되거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의 표시된 버튼을 클릭하여도 된다.
지시 취득부(102)가 단층화상의 촬영 시작의 지시를 수신하면, 지시 취득부(102)는 그 수신된 지시를 화상취득부(101)에 전송한다. 화상취득부(101)는 복수의 단층화상의 촬영동작을 시작한다.
화상취득부(101)에서 행해지는 촬영동작에 있어서, 단층화상의 주 주사방향은, 제1 단층화상 촬영 파라미터에서 지정된 것과 같도록 설정된다. 부주사 방향은, 제2 단층화상 촬영 파라미터에서 지정된 것과 같도록 설정된다. 화상취득부(101)는, B스캔의 위치가 다른 복수의 단층화상을 취득한다.
화상취득부(101)에서 촬영된 단층화상은 기억부(106)에 기억된다. 지시 취득부(102)가 새로운 단층화상 촬영시작 지시를 수신하면, 지시 취득부(102)가 새롭게 촬영 지시를 취득하는 스텝S41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표시된 단층화상에 의거하여 의사에 의해 진단이 행해질 때와, 그 후에 이용 종료 지시가 상기 장치에 입력되는 경우, 표시제어부(105)는, 표시장치(130)를 제어하여 표시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표시 제어부(105)에 의한 표시장치(130)에서의 표시 화면의 예들을 후술한다. 도 5a는, 표시장치(130)의 표시 화면영역(501)을 나타낸다. 이 표시 화면영역(501)은, 이차원적으로 표시된 제1 단층화상(502)과 제2 단층화상(503)을 포함한다.
제1 단층화상(502)은, 망막의 X방향을 B스캔 방향과 같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촬영된 화상이다. 제2 단층화상(503)은, Y방향을 B스캔 방향과 같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촬영된 화상이다.
표시제어부(105)는, 표시 화면영역(501)의 수직방향과 제1 단층화상(502)에 있어서의 망막의 깊이 방향(즉, 망막의 Z축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제1 단층화상(502)의 배치를 결정한다.
또한, 표시제어부(105)는, 표시 화면영역(501)의 수직방향과 제2 단층화상(503)에 있어서의 망막의 깊이 방향(즉, 망막의 Z방향)과 직교하도록 제2 단층화상(503)의 배치를 결정한다.
표시 화면영역(501)에서, 깊은측은 그 표시 화면영역의 오른쪽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단층화상의 B스캔 방향은, 제2 단층화상의 B스캔 방향이 직교한다.
도 5a에 나타낸 표시 예는, B스캔 라인이 평행하지 않은 두개의 단층화상의 예이다. 두개의 단층화상의 B스캔 라인이 서로 평행한 경우에는, 표시제어부(105)는, 이들 단층화상에 있어서의 망막의 깊이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두 개의 단층화상의 배치가 이차원적으로 표시되게 결정한다.
이렇게, 본 예시적 실시예는, 이들 화상의 B스캔 라인이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경우 2개 이상의 단층화상간의 비평행 관계를 뚜렷하게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패턴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표시장치(130)는, 화면상에 있어서 다른 B스캔 라인과 함께 단층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유저는, 이들 화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 단층화상간의 상대적인 관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표시된 화상간의 B스캔 라인의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내도록, 복수의 화상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표시된 화상을 유저에 의해 용이하고 직감적으로 이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화상을 이차원적으로 배치해서 표시하는 상기 방법은, 유저가 3차원적 입체 표시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진단상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3차원적 입체 표시를 이용하는 경우,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화상의 형상은, 장방형이 아니고 평행사변형이다. 이 때문에, 3차원적으로 표시된 화상에 대해 진단을 행하는 경우, 그 진단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도 5b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b에 나타낸 표시화면은, 도 5a에 나타낸 내용에 더하여, 두 개의 단층화상이 교차하는 교차 위치의 표시를 포함한다. 두 개의 단층화상의 교차란, 단층화상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의 단면이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표시 제어부(105)는, 각각의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부(103)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제어부(105)는, 그 단층화상이 상기 취득된 정보에 의거하여 교차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그 단층화상이 교차하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05)는, 망막을 스캔해서 서로가 교차하는 교차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추가한다. 마크의 예로서, 단층화상상에서 교차하는 위치를 선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선은, 표시화면에 그려졌을 때, 망막의 Z축방향과 평행하다. 상기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은, 상기 추가된 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서로 교차한다.
도 5b에서, 제1 단층화상(508)에 추가된 (점선)마크(509)는, 제1 단층화상(508)이 제2 단층화상(506)과 교차하는 교차위치를 나타낸다. 한층 더, 제2 단층화상(506)에 추가된 (점선)마크(507)는, 제2 단층화상(506)이 제1 단층화상(508)과 교차하는 교차위치를 나타낸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교차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는, 상기 점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차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적절하면, 별 마크나 어떠한 다른 마크도 이용 가능하다. 한층 더,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 중 한쪽에만 상기 마크를 추가하는 것이 적절하기도 한다.
도 5a 및 5b에 나타낸 표시 예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직교하는 B스캔 라인을 따라 이들 단층화상이 촬영된 경우, 각각의 단층화상의 B스캔 라인이 깊이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표시장치(130)가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화상에서의 대상은, B스캔 방향으로 차이에 상관없이 구조가 유사하기도 하다. 이러한 경우에, 유저는, 도 5a 및 5b에 나타낸 것처럼 한쪽의 화상을 표시 배치에서 기울인 경우에도 상기 표시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기울인 배치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다.
망막은 전체 영역에서 대략 균일한 층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상기 예들은, 망막의 층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상기 예들은, 상기 망막의 단층화상에 대해 유효하게 이용 가능한 표시 패턴이다.
한층 더, 망막의 촬영동작에서, 시신경 유두부(시각유두)와 황반을 통과하는 기준선에 평행하도록 주 주사 방향을 설정하고, X축방향에 직교하는 Y축방향에 평행하도록 부주사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통상이다. X축방향으로 B스캔을 행하는 화상을 종횡측 반전시키지 않고 제1 단층화상(502)으로서 배치함에 의해, 단층화상의 진단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이 단층촬영장치(120)로부터 취득된 화상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으로서 이들의 화상이 사용 가능한 경우, 데이터 서버(미도시됨)에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화상을 취득하는데 유용하기도 하다.
이 경우에, 스텝S420에서, 화상취득부(10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데이터 서버에 취득 요구를 송신하여, 상기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표시제어부(105)는, 표시장치(130)가 상기 취득된 화상들을 표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단층이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그렇지만, 표시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화상의 수는, 2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3개 이상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시적 실시예의 스텝S440에서, 상기 배치 결정부(107)는, 2개 이상의 단층화상간의 B스캔 위치의 차이를 확인한다. 그렇지만, 각 단층화상과 B스캔 방향의 촬영 대상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표시 패턴을 바꾸어도 좋다.
또한, 표시된 각 단층화상에 대해서, 스캔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를 부착해도 좋다. B스캔의 방향의 차이를 강조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화상의 B스캔 방향이 서로 직교한다. 그렇지만, 두 개의 화상의 B스캔 방향은 비스듬한 각도로 교차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배치 결정부(107)는 한쪽의 화상을 비스듬히 배치 가능한 배치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배치 결정부(107)는, 도 5a 및 5b에 나타낸 것처럼 두 개의 화상 사이의 각도를 9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표시 제어부(105)는, 촬영 대상에 대응한 위치에서 두개의 단층화상이 이루는 교차각도를 명백하게 나타내는 문자열이나 마크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화상의 배치는, 화상간의 상대 위치 관계뿐만 아니라 B스캔 방향의 차이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비스듬히 단층화상을 표시시키는 대신에, 단층화상의 사시도를 표시시켜도 좋다.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단층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조작자가 상기 기울어진 단층화상을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기도 하다. 그러므로, 복수의 표시 모드를 설치하는 것이 유용하다. 예를 들면, 제1 표시 모드를 선택하면, 표시 제어부(105)는 도 5a 및 5b에 나타낸 표시 패턴을 이용한다. 제2 표시 모드를 선택하면, 표시 제어부(105)는 선택된 한쪽의 화상의 확대된 화상을 기울이지 않고 표시한다.
제어부(103)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표시 모드의 전환을 조작부를 거쳐 한쪽의 단층화상의 조작자의 선택(또는 지정)에 따라 행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그 선택된 단층화상의 확대된 화상을 표시장치(130)상에 기울이지 않고 표시한다.
조작자의 선택이 해제되면, 제어부(103)는 제2 모드로부터 제1 모드로 표시 모드를 변경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표시 화면을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일반적인 표시화면으로 바꾼다. 상기 동작을 행하는 것은, B스캔 방향을 직감적으로 확인하면서, 유저가 화상을 용이하게 보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설명된 단층화상에 더해서, 안저 화상을 화면 위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처리장치는, 추가된 안저 화상 위에 복수의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를 중첩할 수 있는 표시 패턴을 선택한다. 표시장치는, 그 단층화상과 관련지어 상기 중첩된 B스캔 위치를 표시시킨다.
또한, 제2 예시적 실시예는, 화상처리장치가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방향을 고려하여,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의 표시 배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복수의 단층화상과 함께 안저 화상을 표시 화면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5)는, 제어부(103)로부터 얻어진 B스캔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안저 화상 위에 각 B스캔 위치를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5)는, 상기 안저 화상 위에 중첩된 각 B스캔의 위치와, 대응한 단층화상간의 대응관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105)에 의해 표시장치(130)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예들을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6a는, 안저 화상(604)과, 상기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이 촬영되는 촬영위치(605)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촬영 위치(605)는, 제1 단층화상 촬영 방향과 제2 단층화상 촬영 방향 모두를 나타내는 십자형 마크다.
도 6a에 나타낸 예에 의하면, 안저에 있어서의 망막의 Y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은, 제1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를 나타낸다. 한층 더, 망막의 X방향(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분은, 제1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에 직교하는 제2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선분은 색으로 구별된다.
도 6a에 나타낸 예에서는, 그들의 색을 구별하여 두 개의 단층화상간의 B스캔 위치를 식별하는 대신에, 점선을 사용하여 수직 연장 선분을 표현하고, 실선을 사용하여 수평 연장 선분을 표현한다.
그렇지만, 제1 단층화상으로부터 제2 단층화상을 식별하는 방식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안저 화상상의 대응한 B스캔 위치를 나타내는 선분의 색과 관련지어 단층화상의 프레임의 색을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도 6a에 나타낸 화면 예는, 제1 단층화상(602)은 수직방향의 스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단층화상이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와 다르다. 제2 단층화상(603)은 수평방향의 스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단층화상이다.
즉, 도 6a에 나타낸 화면의 예에서는, 최종 촬영동작의 주 주사 방향이 도면의 수직방향이도록 설정되고, 시신경 유두부와 황반을 연결하는 기준선과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보통, 단층촬영장치(120)는 기준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주 주사동작을 행한다. 그렇지만, 단층촬영장치(120)는, 병변의 상태를 고려할 때 필요한 경우 최종 촬영의 주 주사 방향을 기준선에 대해 비스듬히 설정하여도 된다. 도 6a는, 최종 촬영동작을 행하기 전에 임시로 촬영된 단층화상의 표시의 일례다.
이렇게, 안저 화상상에 중첩된 B스캔의 방향은, 단층화상상에 중첩된 B스캔의 방향을 굳이 구별하는데, 그 이유는, 기울이지 않은 표시 패턴(제1 단층화상(602) 참조)이 자연스럽고 그 화상의 확인이 쉽기 때문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주 주사 방향의 설정에서 병변 진단시의 용이함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표시장치(130)는, 유저가 진단에 사용되는 화상을 쉽게 보기 쉬울 수 있도록 주 주사 방향을 따라 취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문맥에서는, 상기 임시 촬영이란, 최종적으로 단층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위치 결정을 행하고 촬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촬영을 가리킨다. 최종 촬영은, 이러한 임시 촬영이 종료된 뒤에 행해지는 촬영을 가리킨다.
도 6b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b에 나타낸 예시 화면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단층화상이 교차하고 그 교차 위치가 각 단층화상에 중첩된다.
도 6b에 나타낸 화면에는, 배치 결정부(107)는, 안저 화상상에 중첩된 B스캔의 방향이 대응한 단층화상상에 중첩된 B스캔의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두 개의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 6b에 나타낸 표시 패턴은, 도 6a에 나타낸 표시 패턴과 다르다.
이렇게, 도 6a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안저 화상의 B스캔의 방향과 단층화상의 B스캔의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안저 화상과 단층화상간의 관계를 유저가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도 6a 또는 도 6b에 나타낸 표시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안저 화상과 단층화상을 유저가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층화상과 관련지어 안저 화상상에 B스캔의 위치를 중첩시킴으로써, 그 안저 화상 상에 중첩된 각 단층화상의 위치를 참조하여서 진단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보를 유저가 얻을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턴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상기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표시 패턴은 이용 가능하다.
일례로서, 표시 제어부(105)는 조작부를 거쳐 입력된 조작자의 지시에 따라 안저 화상 또는 단층화상 중 어느 한쪽을 표시하는 식으로 전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가 조작부에 의해 안저 화상의 선택 지시를 입력하면, 지시 취득부(102)는 그 입력된 지시에 따라 제어부(103)에 선택 지시를 송신한다. 제어부(103)는, 상기 지정된 화상을 선택하고 표시 전환을 행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를 송신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부(103)는 선택부로서 기능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제어부(103)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따라, 표시 제어부(105)는 그 선택된 안저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1 표시 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제1 표시 모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안저 화상 위에 표시된 B스캔 위치 중 한쪽을 선택하는 지시를 입력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지시 취득부(102)는 그 입력 지시를 제어부(103)에 송신한다. 제어부(103)는 표시의 전환을 행하는 상기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03)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따라, 표시 제어부(105)는, 상기 선택된 B스캔 위치에 대응하는 단층화상을 표시시킨다.
특히, 안저 화상과 복수의 단층화상을 제한된 화면 영역 위에 동시에 표시시키는 경우나, 또는 동시에 표시되는 단층화상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는 2개 이상의 표시 패턴간의 전환은 효과적이다.
안저 카메라(202)가 촬영할 수 있는 안저 화상을 사용하는 대신에, 안저의 화상으로서, 삼차원적으로 단층화상을 깊이 방향으로 적산해서 얻어질 수 있는 적산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안저 화상을 표시시키지 않고, 표시 제어부(105)에 의해 촬영 대상에 대응한 위치에서 2개 이상의 단층화상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유용하기도 하다.
표시 제어부(105)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화상의 일례는, 안저 화상을 나타내는 원과, 원내에 위치된 B스캔 위치를 나타내는 선분을 포함한 화상이다. 상기 예시 표시는, 유저가 단층화상과 별도의 안저 화상을 확인하기를 원하는 경우나, 단층화상간의 위치 관계를 명시하고 싶은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효과적이다.
상기의 제1 또는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 처리는, 최종 촬영전의 임시 촬영에서 얻어진 화상의 표시에 적용되는 것이 요구된다. 표시 제어부(105)는, 최종 촬영이 시작하기 전에 상기 임시로 얻어진 화상을 표시장치(130)에 표시시킨다. 유저는, 상기 임시로 얻어진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 조건의 조정을 행한다. 상기 임시 촬영에 있어서 복수의 단층화상을 다른 B스캔 방향에서 얻은 경우에도, 유저는 B스캔 방향간의 위치 관계를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예시적 실시예는, 최종 촬영전의 임시 촬영(또는 프리(pre)스캔)에서 촬영된 화상의 표시 제어에 관한 것이다.
단층촬영 시스템(100)에서 행할 수 있는 동작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유저는, 촬영 조건의 조정을 위해 임시 촬영으로서 촬영된 표시장치(130)에 표시된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관찰하면서, 최종 촬영 조건에 대한 조정을 지시한다. 지시에 따라 제어부(103)가 새로운 촬영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단층촬영장치(120)에 촬영동작의 지시를 행한다.
이 점에서, 지시 취득부(102)는 촬영 대상의 단층화상에 대한 촬영 조건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부로서 기능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표시 제어부(105)는, 상기 조정부에서 수신된 입력에 따라 조정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도록 단층화상을 가공해서, 표시장치(130)에 가공된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렇게, 유저의 지시에 의거한 촬영 조건의 조정을 행하면서, 단층촬영 시스템(100)은, 임시 촬영 재촬영 지시를 지시 취득부(102)를 거쳐 단층촬영장치(120)에 송신한다.
상기 촬영 조건에 대한 조정이 종료되었을 때, 유저는, 최종 촬영의 지시를 입력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그 조정 후에 행해진 경우 임시 촬영 또는 상기 최종 촬영을 재촬영이라고 부른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화상 촬영 시스템은, 아래에 설명된 것과 같이 스텝S450에서 행해지는 처리에서 제1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된 단층화상 촬영 시스템과 다르다.
스텝S450에서, 제어부(103)는, 지시 취득부(102)가 프리스캔 촬영 종료 지시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 프리스캔 촬영 종료 지시는, 예를 들면, 지시 취득부(102)를 거쳐 조작자가 입력하는 진단용 단층화상 촬영의 스캔의 시작 지시다.
통상, 조작자는, 진단용 단층화상을 촬영하도록 스캔의 시작의 지시를 입력하여, 지시 취득부(102)의 버튼(미도시됨)을 누른다. 그렇지만, 스캔의 시작의 지시를 입력하는 방식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키보드 키를 누를 수 있거나, GUI화면의 표시된 버튼에 클릭할 수 있다.
진단용 단층화상 촬영시작의 지시가 입력되면, 그 입력 지시는 화상취득부(101)를 통해 단층촬영장치(120)에 전송된다. 이 점에서, 화상취득부(101)는, 지시 송신부로서 기능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단층촬영장치(120)는 복수의 단층화상의 촬영을 시작한다.
진단용 단층화상의 주 주사 방향은, 제1 단층화상 촬영 파라미터에 지정된 것과 같도록 설정된다. 부주사는, 제2 단층화상 촬영 파라미터에 지정된 것과 같도록 설정된다. 단층촬영장치(120)는, 복수의 단층화상을 따로따로 선택된 위치에서 취득한다.
촬영된 진단용 단층화상은 기억부(106)에 기억된다. 단층화상 촬영종료 지시가 입력되는 경우에, 단층촬영장치(120)는, 프리스캔 촬영동작을 종료한다.
단층촬영장치(120)가 프리스캔 촬영동작을 종료하면, 단층촬영 시스템(100)은 도 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단층촬영장치(120)가 프리스캔 촬영동작을 계속 행하면, 상기 지시취득부(102)가 새롭게 촬영 지시를 취득하는 스텝S41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7은, 단층촬영장치(120)가 망막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진단용 단층화상을 촬영할 때 임시 촬영 화상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표시 예는, 제1 단층화상(708) 및 제2 단층화상(710)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단층화상(710)에서의 교차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점선)(709)는, 제1 단층화상(708) 위에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층화상(710) 위에, 제1 단층화상(708)에서의 교차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점선)(711)가 표시되어 있다.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프레임(712)도, 제2 단층화상(710) 위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안저 화상(714) 위에,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범위를 나타내는 프레임(713)이 표시되어 있다. 단층촬영장치(120)는 촬영동작을 행하고, 상기 제어부(103)는 안저 화상(714)을 취득한다.
한층 더, 제어부(103)는, 촬영된 안저 화상, 단층화상 및 촬영 조건(예를 들면, 촬영 범위)을 표시 제어부(105)에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입력에 따라, 안저 화상 및 단층화상에 있어서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범위를 중첩시키도록 표시제어를 행한다.
또한, 지시 취득부(102)가 유저로부터 촬영 조건(예를 들면, 촬영 범위, 임시 촬영에서의 B스캔 위치,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에 대해 변경 지시를 취득하는 경우, 제어부(103)는 입력된 지시에 따라 촬영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화상취득부(101)를 거쳐 단층촬영장치(120)에 대해 재촬영을 지시한다. 단층촬영장치(120)에 의해 재촬영된 단층화상은, 화상취득부(101)를 거쳐 화상처리장치(110)에 입력되고,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표시장치(130)에 표시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방법을 상기 임시 촬영에 의해 촬영되는 단층화상의 표시에 적용할 때, 유저는, 복수의 단층화상간의 관계를 직감적으로 인식하면서, 촬영 범위의 설정, B스캔 처리에서의 주 주사 방향의 선택, B스캔 위치의 설정, 및 코히어런트 게이트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단층촬영 시스템(100)은, 안저 화상 또는 단층화상에 관련된 촬영 범위를 유저가 쉽게 인식 가능하게 하는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6a에 나타낸 표시 예와 같이, 표시 제어부(105)는, 주 주사 방향으로 평행하게 행해진 B스캔동작에 의해 얻어진 단층화상을 기울이지 않고 표시시키는 식으로 상기 배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이용 가능한 장치가 B스캔 처리에 대한 주 주사 방향을 변경하면서 임시 촬영을 행하고, 주 주사 방향을 결정하면, 상기 조정 조작은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보통, 단층촬영 시스템(100)은, 주 주사 방향을 병변의 형상에 따라 조정한다. 그러므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방법은, 병변의 화상에 대한 촬영 조정을 유저가 쉽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예시적 실시예는, 단층촬영 시스템이, 복수의 신호 광빔Bm에 의해 복수의 위치를 동시에 주사 가능한 멀티 빔형의 광간섭 단층촬영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는, 최종 촬영동작을 시작하여 진단에 사용하는 단층화상을 촬영하기 전의 프리스캔 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의 기본구성은 제1 예시적 실시예와 같다. 그러므로, 단층촬영 시스템(100)에 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 820은, 상기 단층촬영장치 120과 구성이 다르다. 이하에 도 8을 참조해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820)의 구성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층촬영장치 120의 것들과 같은 부품이나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층촬영장치(820)는 3개의 신호 광빔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SLD 301a, SLD 30lb 및 SLD 301c는, 파이버 커플러(303)에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저 코히어런스 광원이다. 파이버 커플러(303)는 입사한 광속을 신호 광속Bm과 참조 광속Br로 분리할 수 있다. 신호 광속Bm은 광파이버를 거쳐 주사 광학계(304)에 출력된다. 참조 광속Br는 광파이버를 거쳐 참조 광 콜리메이터(308)에 출력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SLD(301a)로부터 방출된 광으로부터 분리된 신호 광은 Bm1, 참조 광은 Br1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SLD(30lb)로부터 방출된 광으로부터 분리된 신호 광과 참조 광은, Bm2와 Br2로 나타낸다. 또한, SLD(301c)로부터 방출된 광으로부터 분리된 신호 광과 참조 광은, Bm3과 Br3이라고 한다.
파이버 커플러(303)로부터 출력된 참조 광속Br의 3개의 참조 광빔Br1,Br2,Br3에 광파이버를 거쳐 참조 광 콜리메이터(308)에 입사될 수 있고, 각각 참조 미러309a, 참조 미러309b, 참조 미러309c에 도달될 수 있다.
참조 미러(309a, 309b, 309c)에서 반사된 참조 광빔Br1,Br2,Br3은 다시 파이버 커플러(303)에 도달한다. 파이버 커플러(303)는, 그 참조 광빔Br1, Br2, Br3을 신호 광속Bm과 간섭시켜서 간섭 광빔을 출력하여, 신호검출부(310)에 입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3개의 신호 광빔Bm1, Bm2, Bm3과 참조 광빔Br1, Br2, Br3간의 간섭에 의거하여 생성된 3개의 간섭 광빔은, 신호검출부(310)에 입력된다.
참조 미러 제어부(312)는 참조 미러309a, 참조 미러309b 및 참조 미러309c의 위치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신호검출부(310)는, 각 간섭광을 검출하여 그 검출된 간섭 광빔을, 전기적인 3개의 간섭 신호로서 신호 처리부(311)에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11)는, 각 간섭 신호에 관해 신호 처리(예를 들면, 푸리에 변환)를 행하여 망막RT의 Z방향에 따른 반사율에 대응하는 3개의 A-스캔을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11)는, 망막RT의 3개의 단층화상을 그 생성된 A-스캔에 의거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e는 주사 광학계(304)에 있어서의 신호 광빔의 배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a는 스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선을 따라 배열된 신호 광빔Bm1, Bm2 및 Bm3의 예를 나타낸다. 도 9c는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신호 광빔Bm1, Bm2 및 Bm3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9b 및 9d는, 망막RT상에서의 각 신호 광빔의 스캔 방향과 정렬을 나타낸다. 도 9e는 도 9a 내지 도 9d에 적용되는 X축방향 및 Y축방향을 나타낸다.
다음에,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가 실행할 수 있는 처리의 순서의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스텝S1010에서, 지시 취득부(10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조작자가 입력한 지시정보를 취득한다. 그 취득된 지시정보는,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위치, 촬영동작의 스캔 방향,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촬영심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촬영 위치로서 망막의 소정 부위를 지정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층촬영장치(820)는, 3개의 신호 광빔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조작자는, 하나의 지시만을 입력하여 그 신호 광빔의 3개의 촬영 위치를 지정한다. 이와는 달리, 필요한 경우, 각 신호 광빔의 측정 위치는, 독립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한층 더, 지시 취득부(102)는, 3개의 신호 광빔의 배치에 대해 지시를 취득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도 6a의 배치를 참조하여, 망막을 X방향으로 스캔을 해서 행해질 수 있는 촬영동작의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촬영 지시는, 화상처리장치(110)에 구비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키보드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마우스에 의해, 조작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그 얻어진 지시는, 제어부(103)에 송신된다.
스텝S1020에서, 제어부(103)는, 진단용의 단층화상의 촬영 파라미터를 조정하기 위해서 프리스캔동작용의 제1 촬영 스캔 파라미터와 제2 촬영 스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1 촬영 스캔 파라미터는, 스텝S1010에서 얻어진 촬영 지시에 포함된 것과 기본적으로 같은 촬영 위치, 촬영 범위(스캔 거리), 심도 및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촬영 스캔 파라미터는, 제1 촬영 스캔과 서로의 스캔 라인의 중점에서 직교하도록 제2 촬영 스캔을 설정하는 식으로 그 촬영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촬영 범위(스캔 거리)는, 제1촬영 스캔과 같도록 설정된다. 제1 촬영 스캔 방향은 망막의 X방향과 같게 설정된다. 제2 촬영 스캔 방향은 망막의 Y방향과 같게 설정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X축방향의 정 및 부방향은 규정되지 않는다.
한층 더, 3개의 신호 광빔이 제1 촬영 스캔 방향으로 스캔을 행하는데 사용되므로, 제2 촬영 스캔은, 3개의 제1 촬영 스캔과 교차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최종 촬영에 있어서의 주 주사 방향을 수평방향과 같게 설정한다.
상기 제1촬영 스캔 파라미터와 제2촬영 스캔 파라미터를 결정의 예는 일례일 뿐이다. 그 파라미터 결정 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다른 방법도 적절한 경우 이용 가능하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1개의 주사 광학계만이 3개의 신호 광빔으로 스캔한다. 그러므로, 그 광학계는 3개의 신호 광빔으로 제2 촬영 스캔을 행한다.
스텝S1030에서, 제어부(103)는, 스텝S1020에서 결정된 제1촬영 스캔 파라미터와 제2촬영 스캔 파라미터를 화상취득부(101)에 전송한다. 화상취득부(101)는 단층촬영장치(820)에 그 수신된 파라미터를 송신한다.
스텝S1040에 있어서, 단층촬영장치(820)는, 제1 촬영 스캔 파라미터와 제2 촬영 스캔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망막의 단층화상과 안저 화상을 촬영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단층촬영장치(820)는, 도 9a에 나타낸 신호 광 배치에 따라, 제1 촬영동작을 망막을 X방향을 따라 스캔하여서 행한다.
그러므로, 신호 광Bm1, 신호 광Bm2, 신호 광Bm3은 각각 다른 위치를 주사한다. 형성되는 3개의 화상은 다른 위치에서 촬영 대상의 단층화상이다.
다음에, 단층촬영장치(820)는, 같은 신호 광 배치에 따라 제2 촬영 파라미터로 망막을 Y방향을 따라 주사한다. 그러므로, 신호 광Bm1, 신호 광Bm2, 신호 광Bm3은 망막의 단층화상을 거의 같은 위치에서 얻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단층촬영장치(820)는, 제1 촬영 스캔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스캔을 행하여서 3개의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고, 제2 촬영 스캔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스캔을 행하여서 3개의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스텝S1050에서, 제어부(103)는, 제1 촬영동작에 의해 얻어진 상기 3개의 단층화상과 제2 촬영동작에 의해 얻어진 3개의 단층화상을 화상취득부(101)를 통해 취득한다. 제어부(103)는, 상기 취득된 단층화상을 화상형성부(104)에 전송한다.
스텝S1060에서, 화상형성부(104)는, 화상취득부(101)로부터 수신된 단층화상에 의거하여 진단에 이용 가능한 화질이 충분한 화상들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화상형성부(104)에서 행할 수 있는 화상 생성 처리의 일례는 콘트라스트 조정 처리, 감마 보정처리, 또는 의사 색채처리가 있다. 제어부(103)는, 스텝S1060에서 생성된 단층화상을 표시 제어부(105)에 전송한다.
스텝S1070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상기 생성된 단층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층촬영장치(820)는, 최종 촬영에 있어서의 주 주사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촬영동작을 행한다.
그러므로, 표시 제어부(105)의 배치 결정부(107)는, 제1 촬영동작에 의해 얻어진 3개의 단층화상의 깊이 방향이 표시 화면영역의 수직방향과 평행하게 설정하는 식으로 상기 생성된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아울러, 배치 결정부(107)는, 3개의 단층화상을 수직방향으로 정렬하는 식으로 상기 배치를 결정한다.
제2 촬영동작에 의해 얻어진 3개의 단층화상의 촬영 위치는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표시 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표시 제어부(105)는, 중앙의 신호 광(즉, 신호 광Bm1)을 사용하여 얻어진 단층화상만을 표시한다.
제2 촬영 방향은 진단용 화상의 주 주사 방향과 직교한다. 그러므로, 표시 제어부(105)는, 상술한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표시제어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105)의 배치 결정부(107)는, 단층화상상에 있어서의 망막의 깊이 방향이 표시 화면영역의 가로방향과 평행하게 설정하는 식으로, 또한, 표시 화면영역의 오른쪽에 보다 깊은 쪽의 화소를 위치 결정하는 식으로,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본 스텝에서 결정된 배치에 따른 상기 단층화상의 표시 예는 후술한다.
스텝S1080에서, 제어부(103)는, 지시 취득부(102)에 의해 프리스캔 촬영 종료 지시가 수신되었는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그 프리스캔 촬영 종료 지시가 입력되면, 화상처리장치(110)는 도 10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프리스캔 촬영 계속 지시가 입력되면, 처리는 스텝S1010에 되돌아가서, 새롭게 취득된 촬영 지시에 의거하여 단층화상이 촬영되어, 표시장치(130)에 표시된다.
상기의 처리에 의해 표시장치(130)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예들을 도 11a 내지 11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1a는, 신호 광Bm1로 얻어진 단층화상 1102와, 신호 광Bm2로 얻어진 단층화상 1103과, 신호 광Bm3으로 얻어진 단층화상 1104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30)의 표시 영역(1101)을 나타낸다.
단층화상(1102, 1103, 1104)을 촬영하도록 결정된 상기 촬영방향과 촬영 범위는, 진단용 촬영 파라미터에 포함된 것과 같다. 단층화상 1102, 단층화상 1103 및 단층화상 1104의 깊이 방향(즉, 망막의 Z축방향)이 표시 화면영역(1101)의 수직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제2 촬영 방향에 대응하도록 신호 광Bm1에 의해 얻어진 단층화상(1105)을 더 포함한다. 이 단층화상(1105)은, 표시 화면영역(1101)의 수직방향에 대해 90도 기울어져 있다. 단층화상상에 있어서의 망막의 깊이 방향은 표시 화면의 수직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다 깊은 측은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위치 결정된다.
한층 더, 표시 제어부(105)는 각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를 중첩한 안저 화상(1106)을 표시한다. 안저 화상(1106)은, 스텝S1040에서 단층촬영장치(820)가 촬영하고, 스텝S1050에서 제어부(103)가 취득하고, 스텝S1060에서 단층화상과 함께 처리될 수 있다.
그 후, 스텝S1070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안저 화상(1106) 위에 각 단층화상의 B스캔 위치(1107)를 중첩하도록 표시제어를 행한다. 도 11a에서, 표시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그려진 3개의 선은, 단층화상 1102, 단층화상 1103 및 단층화상 1104의 B스캔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수직방향으로 그려진 선은, 단층화상 1105의 B스캔 위치를 나타낸다.
도 11b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의 예이며, 각 단층화상이 교차하는 위치를 단층화상상에 있어서 나타낸다. 이 경우, 스텝S1060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05)는, 신호 광Bm1, 신호 광Bm2 및 신호 광Bm3으로 얻어진 단층화상의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B스캔 위치에서 신호 광Bm1을 사용하여 얻어진 단층화상의 교차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추가한다.
한층 더, 화상형성부(104)는 신호 광Bm1의 제2촬영동작에 의해 얻어진 단층화상에, 신호 광Bm1, 신호 광Bm2 및 신호 광Bm3에 의한 제1 촬영동작으로 얻어진 단층화상의 각각의 교차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추가한다.
도 11b에서, 점선(1116)은, 신호 광Bm1에 대응한 단층화상(1110)에 신호 광Bm1이 교차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신호 광Bm1에 의한 제2 촬영동작으로 얻어진 단층화상(1112)에, 점선 1114, 점선 1113 및 점선 1115가 추가된다. 점선 1114, 점선 1113 및 점선 1115는, 단층화상 1109, 단층화상 1110 및 단층화상 1111의 교차위치를 나타낸다.
도 11c는 또 다른 표시 화면의 예이며, 신호 광Bm1에 의한 제2 촬영동작으로 얻어진 단층화상 1112에, 각 신호 광Bm1, 신호 광Bm2 및 신호 광Bm3에 의한 최종 촬영동작의 촬영 범위가 추가된다. 스텝S1060에서, 표시 제어부(105)가 상기 정보를 추가한다. 도 11c에서, 신호 광Bm1에 의한 제2 촬영동작으로 얻어진 단층화상 1117에, 프레임 1119, 프레임 1118 및 프레임 1120이 추가된다. 프레임 1119, 프레임 1118 및 프레임 1120은, 신호 광Bm1, 신호 광Bm2 및 신호 광Bm3 각각에 대응하는 촬영 범위를 나타낸다.
일례로서, 프레임 1119 및 프레임 1120 각각은 일점쇄선으로 보이고 있다. 프레임 1118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각 신호 광빔의 촬영 범위는, 일부 중첩된다. 한층 더, 안저 화상(1121)에, 프레임 1122가 추가된다. 프레임 1122는, 각각의 신호 광빔의 단층화상 측정 영역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서술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신호 광빔을 동시에 이용해서 진단용의 단층화상 촬영을 행하는 촬영동작을 행할 때, 각각의 신호 광빔에 대응하는 촬영 파라미터의 조정에 사용되는 프리스캔 단층화상간의 상대 관계를 유저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2 촬영동작에 의해 얻어진 단층화상을 표시할 때에 신호 광Bm1에 의거한 단층화상의 선택적 표시를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 선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호 광Bm2에 의거한 단층화상이나, 신호 광Bm3에 의거한 단층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한층 더, 2개 이상의 단층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한층 더, 단층촬영장치(820)는 1개의 신호 광만을 사용하여 단층화상을 촬영해도 좋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단층촬영장치(820)는 신호 광Bm1을 사용하여 측정을 행하고, 프리스캔의 단층화상이 표시될 때에, 신호 광Bm2와 신호 광Bm3에 대응한 단층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진단용 단층화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단층촬영장치(820)는, 3개의 신호 광빔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신호 광빔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들에서, 단층촬영장치는 각각의 신호 광빔으로 프리스캔 작을 행하고, 표시장치(130)는 상기 촬영된 단층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3개의 신호 광빔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주사하는 것이 가능한 광간섭 단층촬영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은, 조정의 복잡성을 고려할 때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5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신호 광빔간의 코히어런스 게이트 위치(촬영심도) 관계를 뚜렷하게 표시할 수 있는 단층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은, 다른 신호 광빔으로 촬영된 복수의 단층화상 중 표시되는 한정된 수의 단층화상을 결정한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은, 복수의 신호 광빔을 사용하여 촬영된 제2 단층화상을 합성해서 새로운 제2 단층화상을 생성해서 표시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의 기본구성은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의 것과 같다(도 1 참조). 그러므로, 단층촬영 시스템(100)에 관련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는, 제4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층촬영장치(820)와 같다. 그러므로, 그 단층촬영장치에 관련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가 실행 가능한 처리의 순서의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4 예시적 실시예에 설명된 것과 다른 처리를 상세히 설명하고, 나머지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스텝S1010에서, 지시 취득부(102)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조작자가 입력하는 지시 정보를 취득한다. 그 취득된 정보는, 진단용 단층화상의 촬영 위치, 촬영동작의 B스캔 방향, 및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촬영심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조작자가, 각각의 신호 광빔으로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조정을 독립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지시 취득부(102)는, 그 얻어진 지시를 제어부(103)에 송신한다.
스텝S1040에서, 단층촬영장치(820)는, 제1촬영 파라미터와 제2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망막의 단층화상을 촬영한다. 아울러, 안저 카메라(302)에 의해 안저 화상의 촬영도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제4 예시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9a의 신호 광 배치에 따라, 단층촬영장치(820)는, X방향을 따라 망막을 주사하여서 제1 촬영동작을 행한다.
그러므로, 단층촬영장치(820)는, 각각 신호 광Bm1, 신호 광Bm2, 및 신호 광Bm3으로 다른 단면에서 단층화상을 촬영한다. 다음에, 단층촬영장치(820)는, 같은 신호 광 배치에 따라 제2촬영 파라미터로 망막을 Y방향으로 스캔한다.
그러므로, 신호 광Bm1, 신호 광Bm2, 및 신호 광Bm3은 망막의 단층화상을 거의 같은 위치에서 얻는다. 이에 따라, 단층촬영장치(820)는, 제1 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스캔을 행하여서 3개의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고, 또 제2 촬영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스캔을 행하여서 3개의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층촬영장치(820)는, 각 신호 광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 즉, 참조 광Br의 광로 길이를 조정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103)는 참조 미러 제어부(312)를 제어하여, 신호 광빔Bm1, Bm2, Bm3에 대응하는 참조 미러309a, 309b, 309c의 위치를 조정한다. 단층촬영장치(820)는, 각 신호 광에 대한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을 상기 조정된 같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촬영심도)에서 촬영한다.
스텝S1060에서, 화상형성부(104)는, 3개의 제1 단층화상과 3개의 제2 단층화상을 형성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형성부(104)는, 화상형성 처리(예를 들면, 콘트라스트 조정)에 더해서, 다른 신호 광빔에 대응한 복수의 제2 단층화상을 합성하여서 합성의 제2 단층화상을 생성한다.
화상형성부(104)는, 생성 처리 예로서, 이하의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할 수 있다.
(a) 화상형성부(104)는, 복수의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으로부터 일부분을 분할하여서(잘라서) 합성의 제2 단층화상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분할 또는 잘라지는 영역은, 각 신호 광으로 진단용 단층화상을 촬영하는 영역과 같도록 설정된다.
(b) 화상형성부(104)는, 모든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을 혼합한다. 이 경우에, 화상형성부(104)는, 모든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을 나타내는 평균 단층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부(104)는, 신호 광마다 그 제2 단층화상에 무게를 주어서 평균 단층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 광 1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에 가중치 2를 할당할 수 있고, 그 밖의 신호 광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에는 가중치 1을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 처리는 상기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에 의거하여 합성의 제2 단층화상을 생성해도 좋다.
스텝S1070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스텝S1060에서 형성된 3개의 제1 단층화상과, 3개의 제2 단층화상과, 합성의 제2 단층화상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105)의 배치 결정부(107)는, 3개의 제1 단층화상의 깊이방향이 표시 영역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평행하게 설정하는 식으로, 또한, 보다 깊은 쪽의 화소를 표시 영역의 하부쪽에 위치 결정하는 식으로, 각각의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배치 결정부(107)에서 결정된 배치에 따라 표시장치(130)에 상기 3개의 제1 단층화상을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105)는, 3개의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과, 스텝S1060에서 얻어진 상기 합성의 제2 단층화상 중 하나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성의 제2 단층화상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각각의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의 촬영방향은, 진단용 촬영 파라미터에 규정된 촬영 방향과 직교하다. 그러므로, 표시 제어부(105)는, 상기 관계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05)의 배치 결정부(107)는, 합성의 제2 단층화상의 깊이방향을 표시 영역의 수평방향에 평행하게 설정하는 식으로, 또한, 보다 깊은 쪽의 화소를 표시 영역의 오른쪽에 위치 결정하는 식으로, 각 화상의 배치를 결정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배치 결정부(107)에 의해 결정된 배치에 따라 상기 합성의 제2 단층화상을 표시장치(130)에 표시시킨다.
표시되는 제2 단층화상은, 상기 합성의 제2 단층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층 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처리장치가 작동하는 동안에 표시되는 제2 단층화상을 전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자는, 특정 신호 광의 촬영 파라미터, 이를테면,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촬영심도)를 잠깐 조작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텝S1070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상기 관련된 신호 광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제어부(105)에 의한 표시장치(130)에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2a는, 표시장치(130)의 표시 영역(1201)에 배치된, 신호 광Bm1에 대응하는 제1 단층화상 1202와, 신호 광Bm2에 대응하는 제1 단층화상 1203과, 신호 광Bm3에 대응하는 제1 단층화상 1204를 나타낸다.
상기 단층화상 1202, 1203, 1204에 대해 설정된 촬영 방향과 촬영 범위는, 진단용 단층화상 정보 파라미터에 규정된 것들과 마찬가지다. 제1 단층화상 1202, 제1 단층화상 1203 및 제1 단층화상 1204의 깊이 방향(망막의 Z방향)은 표시 영역(1201)의 수직방향과 같게 설정된다.
3개의 신호 광빔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으로부터 취득가능한 합성의 제2 단층화상(1205)의 깊이 방향(망막의 Z방향)은, 표시 영역(1201)의 수평방향과 같게 설정된다. 또한, 제2 단층화상(1205)의 보다 깊은 쪽은, 표시 영역(1201)의 오른쪽에 있다.
합성의 제2 단층화상(1205)은, 영역 1206, 영역 1207 및 영역 1208을 포함하고, 이 영역들은 각각 신호 광 1, 신호 광 2 및 신호 광 3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의 같은 영역으로부터 추출된다.
도 12b는, 신호 광 2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 조정을 위해 조작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표시장치(130)의 표시 영역(1201)에 표시된 신호 광 2에 대응한 제2 단층화상(1209)을 나타낸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신호 광빔에 대응하는 제1 단층화상과 제2 단층화상의 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각각의 신호 광빔의 망막상의 촬영위치간의 상대 관계뿐만 아니라, 코히어런스 게이트간의 상대 관계도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c는, 각 신호 광빔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표시 가능한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a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상대 관계 표시를 추가한 점에서 도 11b에 나타낸 표시 화면과 다르다. 이미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a에서, 제1 단층화상(1302, 1303, 1304)과 제2 단층화상(1105)이 교차하는 위치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굵은 실선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표시에 의해, 다른 신호 광빔에 대해, 다른 주사 위치에서 촬영된 단층화상간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상대 위치 관계를 알기 쉽고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3b 및 도 13c는, 1개의 B스캔 화상 촬영동작중에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다른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3b에 나타낸 제2 단층화상(1310)은,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각각 가리키는 실선을 포함한다.
1개의 단층화상의 촬영동작중에 코히어런스 게이트가 변경되기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도 13b에서, 가는 실선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변동 폭을 나타낸다. 굵은 실선은, 항상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었던 부분을 나타낸다. 이렇게 하여, 도 13b에 나타낸 표시 방법은, 1개의 단층화상의 촬영동작 중에 코히어런스 게이트가 가변하는 경우에, 그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변동 폭과, 고정 촬영 범위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유저는, 코히어런스 게이트에 대해 다른 단층화상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도 13c에서, 각 가는 실선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변동 폭을 나타낸다. 또한, 표시 영역(1101)은, 제1 단층화상(1302, 1303, 1304)의 A스캔 위치를 나타내는 점선을 포함한다. 또한, A스캔을 나타내는 점선에 대응하는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선은,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변동의 폭의 표시에 중첩된다. 지정된 A스캔의 위치의 변경에 따라,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표시는, 상기 가는 실선으로 표시된 폭의 범위내에서 가변된다. 또한, 도 13c에 나타낸 표시 예는, 상기 제2 단층화상을 포함하지 않는다.
표시 제어부(105)는 이러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표시에 의해, 유저는 단층화상의 각 위치에 대응한 코히어런스 게이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에 의해, 유저는 다른 단층화상간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표시 제어방법은, 각각의 신호 광빔간의 촬영처리중의 상대 관계를 뚜렷하게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 시스템은, 유저가 현재 조정된 신호 광을 쉽게 인식 가능하게 하는 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의 기본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제1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같다. 그러므로, 화상처리장치(110)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한층 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층촬영장치는, 제4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된 것(도 8 참조)과 같다. 그러므로, 단층촬영장치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한층 더, 화상처리장치(110)는, 제4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된 것(도 10 참조)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그러므로, 그 같은 처리의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는, 스텝S1070에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S1070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스텝S1060에서 형성된 3개의 제1 단층화상과, 3개의 제2 단층화상과, 상기 합성의 제2 단층화상에 대한 표시 제어를 행한다.
상기 단층화상에 대한 표시 제어에서, 표시 제어부(105)는, 현재 촬영 파라미터를 조정한 신호 광을 나타내도록 아래의 표시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행한다.
(a) 표시 제어부(105)는, 조정 대상의 신호 광에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을 확대한다
(b) 표시 제어부(105)는, 조정 대상의 신호 광에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을 제2 단층화상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c) 표시 제어부(105)는, 조정 대상의 신호 광에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을 표시화면의 앞면에 위치 결정된다.
(d) 표시 제어부(105)는, 조정 대상의 신호 광에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의 프레임의 색이나 형상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는, 이상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정 대상의 신호 광에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을 강조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표시 제어가, 이용 가능하다.
도 14a 내지 14d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110)에 의해 표시장치(130)에 표시될 수 있는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4a는, 제1 단층화상(1402)에 대응한 신호 광이 조정 대상이기 때문에 확대된 제1 단층화상(1402)을 나타낸다. 도 14b는, 제1 단층화상(1403)에 대응한 신호 광이 조정 대상이기 때문에 제2 단층화상의 표시 위치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단층화상(1403)을 나타낸다.
또한, 도 14c는, 제1 단층화상(1404)에 대응한 신호 광이 조정 대상이기 때문에 표시화면의 앞쪽에 위치결정된 제1 단층화상(1404)을 나타낸다. 도 14d는, 제1 단층화상(1405)에 대응한 신호 광이 조정 대상이기 때문에 프레임 형상이 강조된 제1 단층화상(1405)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조정되는 신호 광에 대응한 제1 단층화상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유저가 조정 대상의 신호 광을 쉽게 인식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취득부(101)는, OCT단층화상과 함께 안저 카메라에서 촬영된 안저 화상을 취득한다. 그렇지만, 안저 화상은 안저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주사형 레이저 검안경(SLO)(공초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이용 가능하다.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화상처리장치 또는 광간섭 단층촬영 시스템내의 각 기능 블록을 구성하는 전기회로는,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처리를 함께 동작하여 행하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 블록은, 비교가능한 처리를 함께 동작하여 행하는 복수의 회로 또는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서, 광간섭 단층촬영장치에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 및 표시장치에 필적할만한 기능을 갖는 광간섭 단층촬영장치를 제공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예시적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시스템이나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이나 장치에 설치된 컴퓨터(또는 CPU 또는 마이크로처리장치(MPU))는,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은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상기 예시적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컴퓨터는 2개 이상의 CPU를 포함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경우, 복수의 CPU는, 본 발명을 실현하도록 함께 동작하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한다. 그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한층 더,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부속의 기능 확장 카드의 메모리내 또는 기능 확장 유닛의 메모리내에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능 확장 카드나 상기 기능 확장 유닛내에 설치된 연산장치는,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여, 전술한 예시적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하드웨어 구성을 구성하는 회로의 기능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구성간의 협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0년 3월 31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0-082811과, 2011년 2월 17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1-032218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7)

  1. 저 코히어런스 광에 의해 촬영 대상을 소정의 주 주사선을 따라 스캔하도록 구성된 OCT촬영 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OCT단층화상을 취득 가능한 화상처리장치로서,
    방향이 다른 복수의 주 주사선을 따라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취득하는 화상취득 수단; 및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각각의 주 주사선의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각각의 OCT단층화상에 반영하도록 각 주 주사선의 방향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배치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에 대응한 위치에서 각각의 주사선의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보존하는 식으로 상기 취득된 복수의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는 배치 결정 수단을 더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결정 수단은, 한쪽의 상기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기 한쪽의 상기 단층화상의 배치와, 상기 상대 관계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다른쪽의 상기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취득 수단은, 상기 촬영 대상에 도달하는 신호 광으로 상기 촬영 대상을 제1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얻어질 수 있는 제1 단층화상과, 상기 신호 광으로 상기 촬영 대상을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얻어질 수 있는 제2 단층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배치 결정 수단은, 상기 제1 단층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제2 단층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방향이 직교되도록 상기 제1 단층화상 및 상기 제2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각각의 단층화상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단면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에, 적어도 한쪽의 상기 단층화상에 교차 위치를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대상은 망막이며,
    상기 화상취득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층화상에 대응하는 B스캔의 위치를 포함한 안저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된 안저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층화상과 상기 안저 화상에 포함된 상기 B스캔의 위치를 관련지어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결정 수단은, 상기 안저 화상에 표시된 B스캔의 방향이 상기 단층화상상에 있어서의 B스캔의 방향과 평행이 되게 설정하는 식으로 상기 안저 화상 또는 상기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결정 수단은, 상기 표시 화면의 수평방향과 상기 단층화상의 B스캔 방향이 평행이 되게 설정하는 식으로, 상기 복수의 단층화상 중 최종 촬영동작의 B스캔 방향에 평행한 B스캔 방향을 따라 촬영된 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단층화상 또는 상기 안저 화상 중 한쪽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의거하여 상기 단층화상 또는 상기 안저 화상 중 한쪽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단층촬영장치가 상기 촬영 대상의 단층화상을 촬영할 때 사용된 촬영 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상기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단층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상기 단층촬영장치에 대하여 재촬영의 지시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한, 화상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층화상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시에 따라 촬영되는 단층화상의 촬영 범위를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취득 수단은, 복수의 신호 광빔으로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위치를 동시에 주사 가능한 광간섭 단층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각각의 신호 광빔을 사용하여 얻어진 복수의 단층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취득된 복수의 단층화상에 대한 촬영 범위를 표시시키는, 화상처리장치.
  14. 저 코히어런스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복수의 측정 광빔의 광속을 촬영 대상의 복수의 위치에 동시에 도달하도록 인도하고, 상기 대상에서 반사된 상기 측정 광빔의 귀환 광빔과, 상기 측정 광빔에 대응한 참조 광빔간의 간섭에 의거하여 생성된 간섭 광빔을 사용하여 단층화상을 얻을 수 있는 OCT촬영 장치로서,
    주 주사선의 위치에서 다른 OCT단층화상간의 코히어런스 게이트의 상대 위치 관계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OCT촬영 장치.
  15. 저 코히어런트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방출한 저 코히어런트 광을 신호 광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신호 광이 촬영 대상에 도달하는 위치를 순차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촬영 대상을 주사하는, 주사 수단;
    상기 주사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대상을 복수의 다른 방향을 따라 주사시켜서 얻어진 상기 신호 광의 귀환 광을 사용하고, 상기 귀환 광에 의거하여 상기 주사 방향으로 다른 복수의 단층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수단; 및
    상기 형성된 단층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주사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명시할 수 있는 배치에 따라 상기 단층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단층촬영 시스템.
  16. 저 코히어런스 광에 의해 촬영 대상을 소정의 주 주사선을 따라 스캔하도록 구성된 OCT촬영 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OCT단층화상을 표시 가능한 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방향이 다른 복수의 주 주사선을 따라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취득하는 스텝; 및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각각의 주 주사선의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각각의 OCT단층화상에 반영하도록 각 주 주사선의 방향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배치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한, 제어방법.
  17. 저 코히어런스 광에 의해 촬영 대상을 소정의 주 주사선을 따라 스캔하도록 구성된 OCT촬영 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OCT단층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방향이 다른 복수의 주 주사선을 따라 상기 촬영 대상의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각각의 주 주사선의 방향간의 상대 관계를 각각의 OCT단층화상에 반영하도록 각 주 주사선의 방향의 차이를 표현하는 식으로 표시 화면에 상기 복수의 OCT단층화상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및
    상기 결정된 배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OCT단층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기 위해 표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한, 프로그램.
KR1020127027156A 2010-03-31 2011-03-25 Oct단층화상의 표시 제어장치 KR101413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2811 2010-03-31
JP2010082811 2010-03-31
JP2011032218A JP5754976B2 (ja) 2010-03-31 2011-02-17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JP-P-2011-032218 2011-02-17
PCT/JP2011/001765 WO2011121959A2 (en) 2010-03-31 2011-03-25 Image processing apparatus, oct imaging apparatus, tomographic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813A true KR20120138813A (ko) 2012-12-26
KR101413100B1 KR101413100B1 (ko) 2014-07-01

Family

ID=4434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156A KR101413100B1 (ko) 2010-03-31 2011-03-25 Oct단층화상의 표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01004B2 (ko)
EP (1) EP2552296B1 (ko)
JP (1) JP5754976B2 (ko)
KR (1) KR101413100B1 (ko)
CN (1) CN102858231B (ko)
WO (1) WO20111219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8841B1 (de) * 2011-04-06 2016-03-23 Agfa HealthCare N.V. Verfahren und System zur optischen Kohärenztomographie
JP2013075035A (ja) * 2011-09-30 2013-04-25 Canon Inc 光断層像撮像方法、光断層像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45869A (ja) * 2012-08-30 2014-03-17 Canon Inc 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DE102012022058A1 (de) * 2012-11-08 2014-05-08 Carl Zeiss Meditec Ag Flexibles, multimodales Retina-Bildaufnahme- und Messsystem
JP6281177B2 (ja) * 2013-01-23 2018-02-2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
JP6217185B2 (ja) * 2013-07-02 2017-10-2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及び眼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5098912A1 (ja) * 2013-12-25 2015-07-02 興和株式会社 断層像撮影装置
US9211064B2 (en) 2014-02-11 2015-12-15 Welch Allyn, Inc. Fundus imaging system
US9237847B2 (en) 2014-02-11 2016-01-19 Welch Allyn, Inc. Ophthalmoscope device
JP6499398B2 (ja) 2014-04-01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6101298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撮影装置
US10799115B2 (en) 2015-02-27 2020-10-13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US11045088B2 (en) 2015-02-27 2021-06-29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US10136804B2 (en) 2015-07-24 2018-11-27 Welch Allyn, Inc. Automatic fundus image capture system
CN105635561A (zh) * 2015-07-31 2016-06-0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像获取系统及方法
JP6632285B2 (ja) * 2015-09-17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12106B2 (ja) * 2015-10-13 2020-06-17 株式会社吉田製作所 光干渉断層画像生成装置
US10772495B2 (en) 2015-11-02 2020-09-15 Welch Allyn, Inc. Retinal image capturing
US9675244B1 (en) * 2015-12-02 2017-06-13 Novartis Ag Location indicator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ophthalmic visualization
WO2017104700A1 (ja) * 2015-12-17 2017-06-22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0413179B2 (en) 2016-01-07 2019-09-17 Welch Allyn, Inc. Infrared fundus imaging system
JP6243957B2 (ja) * 2016-04-18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眼科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602926B2 (en) 2016-09-29 2020-03-31 Welch Allyn, Inc. Through focus retinal image capturing
CA3034577A1 (en) * 2016-10-14 2018-04-19 Novartis A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ross view imaging
EP3547897A4 (en) * 2016-11-30 2020-06-10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SYSTEM WITH IMPROVED IMAGE QUALITY
EP3922165A1 (en) 2017-01-28 2021-12-15 Cylite Pty Ltd Optical coherence metrology and tomography with improved registration
JP6940960B2 (ja) * 2017-02-28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53310B2 (en) * 2017-02-28 2020-05-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7223276B (zh) * 2017-04-26 2020-03-2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眼球遥控系统及电子装置
JP6526154B2 (ja) * 2017-11-08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眼科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8083106A (ja) * 2018-01-24 2018-05-31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撮影装置およ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6701250B2 (ja) * 2018-03-15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577802B (zh) * 2018-05-18 2021-02-26 深圳市斯尔顿科技有限公司 结合oct成像的眼科手术显微镜系统
CN108852617B (zh) * 2018-05-18 2021-06-25 深圳市斯尔顿科技有限公司 一种眼科手术显微镜系统
US11096574B2 (en) 2018-05-24 2021-08-24 Welch Allyn, Inc. Retinal image capturing
NL2023578B1 (en) * 2019-07-26 2021-02-18 Optos Plc Functional OCT Data Processing
JP2023039761A (ja) * 2021-09-09 2023-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検査装置、放射線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7902T3 (de) * 1991-04-29 2010-04-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Vorrichtung für optische abbildung und messung
DE10225316A1 (de) * 2002-06-06 2003-12-18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Verfahren zur Optimierung der Darstellung von mittels Bedienelemente frei platzier-und skalierbaren Objekten einer Benutzeroberfläche auf einem Bildschirm
GB2429522A (en) * 2005-08-26 2007-02-28 Univ Kent Canterbury Optical mapping apparatus
JP4916779B2 (ja) 2005-09-29 2012-04-1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
JP4850495B2 (ja) * 2005-10-12 2012-01-1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及び眼底観察プログラム
JP4855150B2 (ja) 2006-06-09 2012-01-1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眼科画像処理装置及び眼科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0403087C (zh) 2006-09-26 2008-07-16 浙江大学 基于数字微镜器件的无串扰并行oct成像方法及系统
JP5085086B2 (ja) 2006-10-04 2012-11-2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観察装置、眼底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223143B2 (en) * 2006-10-27 2012-07-17 Carl Zeiss Meditec, Inc. User interface for efficiently displaying relevant OCT imaging data
JP4996917B2 (ja) * 2006-12-26 2012-08-08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及び光画像計測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JP4921201B2 (ja) * 2007-02-23 2012-04-25 株式会社トプコン 光画像計測装置及び光画像計測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
US7997729B2 (en) * 2007-10-19 2011-08-16 Oti Ophthalmic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rrecting patient motion when obtaining retina volum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P5739323B2 (ja) 2008-04-14 2015-06-24 オプトビュ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光干渉断層法のアイレジストレーション法
JP5127649B2 (ja) 2008-09-29 2013-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GB0907277D0 (en) * 2009-04-29 2009-06-10 Univ Kent Kanterbury Method for depth resolved wavefront sensing, depth resolved wavefront senso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imaging
JP5436076B2 (ja) 2009-07-14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55203B2 (ja) 2009-08-03 2014-03-26 森下仁丹株式会社 フィルム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26960B2 (ja) * 2009-08-04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8231A (zh) 2013-01-02
WO2011121959A2 (en) 2011-10-06
WO2011121959A4 (en) 2012-03-08
EP2552296B1 (en) 2017-07-05
KR101413100B1 (ko) 2014-07-01
CN102858231B (zh) 2016-06-01
US20130002711A1 (en) 2013-01-03
EP2552296A2 (en) 2013-02-06
JP5754976B2 (ja) 2015-07-29
US9201004B2 (en) 2015-12-01
JP2011224347A (ja) 2011-11-10
WO2011121959A3 (en)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100B1 (ko) Oct단층화상의 표시 제어장치
JP2011224347A5 (ko)
US8804127B2 (en) Image acquisition apparatus,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437755B2 (ja) 眼底観察装置
JP6217085B2 (ja) 眼科撮影装置
JP4864515B2 (ja) 眼底観察装置
JP646304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
JP2016026108A (ja) 眼科装置
CN110226915B (zh) Oct数据处理装置及方法、存储介质
JP2019080793A (ja) 断層画像撮影装置、画像処理装置、断層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02719B2 (ja) 断層像撮像装置及び断層像撮像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WO2021074960A1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9767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85838A (ja) Oct装置およ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712360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81288B2 (ja) 眼科撮影装置及び眼科撮影プログラム
JP708670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13519B2 (ja) 眼底観察装置
JP707146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78008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306482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97183B2 (ja) 撮像装置、制御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9449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
JP705904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76162A (ja) 眼底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