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312A -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312A
KR20120138312A KR1020110057685A KR20110057685A KR20120138312A KR 20120138312 A KR20120138312 A KR 20120138312A KR 1020110057685 A KR1020110057685 A KR 1020110057685A KR 20110057685 A KR20110057685 A KR 20110057685A KR 20120138312 A KR20120138312 A KR 2012013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data
waveform
reproduction
error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312A/ko
Publication of KR2012013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305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 G11B20/1046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signal quality assessment consistency with a reference waveform in a given time period, e.g. by calculating correlations or mean square e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방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재 재생 중인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상기 분석된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SOUND SOURCE IN A MUSIC PLAYER}
본 발명은 음악 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단말기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이렇게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에는 음원 재생 기능이 존재한다. 이러한 음원 재생 기능은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을 재생하는 기능을 말한다. 특히, 음원 재생 기능은 랜덤 모드와 셔플 모드 등을 지원한다. 여기서, 랜덤 모드는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을 랜덤하게 재생하는 모드이며, 셔플 모드는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일부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 데이터를 랜덤하게 재생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모드는 음원 데이터를 랜덤하게 재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현재 재생 중인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상기 분석된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재생 중인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상기 분석된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악 재생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이 없어도,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의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기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휴대폰, 엠피쓰리 플레이어, 엠피포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악 재생기는 제어부(101)와 메모리부(103)와 오디오 출력부(105)와 키입력부(107)와 표시부(109)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오디오 출력부(105)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3)에서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키입력부(107)는 음원의 재생과 정지와 일시 정지와 다른 음원의 선택을 위한 키들과, 녹음 등의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07)는 버튼 방식으로 키 신호를 발생하는 버튼식 또는 터치센서를 통해 키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0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메모리부(103)는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는 엠피쓰리(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3, 이하 'MP3'라 한다.)와 엠피포(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4, 이하 'MP4'라 한다.)와 웨이브 오디오 포멧(Waveform audio format, 이하 'WAV'라 한다.)와 윈도 미디어 오디오(Windows Media Audio, 이하 'WMA'라 한다.) 중 어느 하나의 형식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부(103)는 음원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두 개의 음원들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유사한 음원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키입력부(107)로부터 출력되는 키신호에 따라 음악 재생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1)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101)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서, 제어부(101)는 음원 재생부(201)와 장르 탐색부(203)와 음원 비교부(205)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음원 재생부(2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재생 모드에 따라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디코딩 한 후, 오디오 출력부(105)로 출력한다.
여기서, 음원 재생 모드는 사용자 선택 모드와 셔플(Shuffle) 모드와 랜덤(Random) 모드와 마인드(Mind) 모드 등을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선택 모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셔플 모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랜덤(Random)으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랜덤으로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랜덤 모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마인드 모드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유사한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이때, 음원 재생 리스트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랜덤으로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인드 모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시 예로 동작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 예에 따르면, 음원 비교부(205)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동일한 장르 및 분위기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한다. 그리고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미리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원 데이터로 변경하라는 키신호가 키입력부(107)로부터 입력되거나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에 음원 재생부(201)는 메모리부(103)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시간은 10초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원의 재생 시간까지의 시구간 내에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시간은 최단 시간인 10초로 지정되거나 최대 시간인 현재 재생 중인 음원의 재생 시간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신호는 현재 곡을 다음 곡으로 진행하라는 다음 곡 진행 키신호 또는 현재 곡을 이전 곡으로 진행하라는 이전 곡 진행 키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원 데이터로 변경하라는 키신호가 키입력부(107)로부터 입력되면, 음원 재생부(201)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지 않고,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한다.
두 번째 실시 예에 따르면, 장르 탐색부(203)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동일한 장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음원 비교부(205)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동일한 분위기 및 장르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한다. 그리고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미리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음원 재생부(201)는 메모리부(103)로부터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한다.
그러나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원 데이터로 변경하라는 키신호가 키입력부(107)로부터 입력되면, 음원 재생부(201)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지 않고,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원의 파형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음원 비교부(205)가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동일한 분위기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301 파형은 발라드 장르에 속하는 음성 데이터의 파형이고, 307 파형은 댄스 장르에 속하는 음석 데이터의 파형이 될 수 있다.
음원 비교부(2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제1파형을 분석하고,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의 제2파형을 순차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분석된 제1파형과 분석된 제2파형을 비교하고, 분석된 제1파형과 분석된 제2파형 간의 비교 결과가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면, 분석된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파형과 제2파형을 분석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동일한 분위기 및 장르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파형의 피크 값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 내에서 피크(Peak)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시구간을 계산하고, 제2파형 내에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시구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의 시구간과 제2파형의 시구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구간 차이가 미리 지정된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계산된 시구간 차이가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음원 비교부(2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달리, 계산된 시구간 차이가 제1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음원 비교부(2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의 다음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 내에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시구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의 시구간과 다음 음원 데이터의 시구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이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제1오차 범위가 10초이고 제1파형이 301 파형이고 제2파형이 307 파형인 경우,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의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303, 305)간의 시구간인 60초를 계산하고, 제2파형의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309, 311)간의 시구간인 40초를 계산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과 제2파형 간의 시구간 차이인 20초와 제1오차 범위인 10초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파형과 제2파형 간의 시구간 차이가 제1오차 범위를 벗어나므로, 음원 비교부(2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root-mean-square average, 이하 'RMS 평균'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과 제2파형 각각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하고, 제1파형과 제2파형 간의 제곱 평균 제곱근의 차이 값이 미리 지정된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계산된 제곱 평균 제곱근의 차이 값이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음원 비교부(2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달리, 계산된 제곱 평균 제곱근의 차이 값이 제2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음원 비교부(205)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의 다음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한다. 그리고 음원 비교부(205)는 제1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과 다음 음원 데이터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이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음악 재생기의 제어부(101)는 음원 재생 모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인드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마인드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01)는 403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음원 재생 모드 중에서 마인드 모드 외의 다른 모드가 선택된 경우,제어부(101)는 415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음원 재생 모드는 사용자 선택 모드와 셔플 모드와 랜덤 모드와 마인드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를 살펴보면, 사용자 선택 모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셔플 모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랜덤(Random)으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랜덤으로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랜덤 모드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랜덤으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마인드 모드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과 동일한 분위기 및 장르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이때, 음원 재생 리스트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랜덤으로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에 41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음원 재생 모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음원 데이터를 재생한 후, 401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401 단계에서, 음원 재생 모드 중에서 랜덤 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01)는 랜덤 모드에 다라 음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만약에 40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음원 재생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음원 재생이 요청되면, 제어부(101)는 4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03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만약에, 405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제1파형을 분석한 후, 40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음원 재생 리스트 중에서 분석된 제1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한 후, 409 단계로 진행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제1파형을 분석하고,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의 제2파형을 순차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분석된 제1파형과 분석된 제2파형을 비교하고, 분석된 제1파형과 분석된 제2파형 간의 비교 결과가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면, 분석된 제2파형의 음원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메모리부(103)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파형과 제2파형을 분석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파형의 피크 값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제어부(101)는 제1파형 내에서 피크(Peak)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시구간을 계산하고, 제2파형 내에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시구간을 계산한다. 그리고제어부(101)는 제1파형의 시구간과 제2파형의 시구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시구간 차이가 미리 지정된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계산된 시구간 차이가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제어부(101)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달리, 계산된 시구간 차이가 제1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101)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의 다음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 내에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시구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제1파형의 시구간과 다음 음원 데이터의 시구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이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두 번째는 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제어부(101)는 제1파형과 제2파형 각각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하고, 제1파형과 제2파형 간의 제곱 평균 제곱근의 차이 값이 미리 지정된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계산된 제곱 평균 제곱근의 차이 값이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한다면, 제어부(101)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유사한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달리, 계산된 제곱 평균 제곱근의 차이 값이 제2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101)는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와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 중에서 제2파형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의 다음 음원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제1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과 다음 음원 데이터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음원 데이터의 파형이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409 단계에서 음원 데이터의 재생을 시작한 후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사용자에 의해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원 데이터로 변경하라는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01)는 411 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미리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후, 사용자에 의해 변경 요청이 입력되거나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제어부(101)는 41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미리 지정된 시간은 10초부터 현재 재생 중인 음원의 재생 시간까지의 구간 내에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지정된 시간은 최단 시간인 10초로 지정되거나 최대 시간인 현재 재생 중인 음원의 재생 시간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 요청은 현재 곡을 다음 곡으로 진행하라는 다음 곡 진행 요청 또는 현재 곡을 이전 곡으로 진행하라는 이전 곡 진행 요청이 될 수 있다.
만약에, 411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랜덤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한 후, 40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41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01)는 메모리부(103)에 저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음원 리스트에 포함된 음원 데이터 중에서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연속해서 재생할 수 있다.
만약에, 음원 재생 리스트 내에 분석된 제1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1)는 랜덤으로 음원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01)가 음원 재생이 요청되자마자 현재 재생 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데, 음원 재생이 요청된 후,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음원 재생이 유지되면, 현재 재생중인 음원 데이터의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101: 제어부 103: 메모리부
105: 오디오 출력부 107: 키입력부
109: 표시부 201: 음원 재생부
203: 장르 탐색부 205: 음원 비교부

Claims (12)

  1.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현재 재생 중인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상기 분석된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 내에 포함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제1시구간을 계산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의 파형 내에 포함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제2시구간을 계산하고,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2시구간의 차이 값이 미리 지정된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상기 제2음원 데이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의 제1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의 파형의 제2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하고, 상기 제1제곱 평균 제곱근과 상기 제2제곱 평균 제곱근 간의 차이 값이 미리 지정된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상기 제2음원 데이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원 데이터로 변경하라는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랜덤 방식과 사용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은 10초부터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 시간까지의 범위 내에서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7.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재생 중인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리스트에서 상기 분석된 파형과 미리 지정된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파형을 가지는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음원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 내에 포함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제1시구간을 계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의 파형 내에 포함된 피크 값을 가지는 두 점간의 제2시구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시구간과 상기 제2시구간의 차이 값이 미리 지정된 제1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상기 제2음원 데이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파형의 제1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의 파형의 제2제곱 평균 제곱근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제곱 평균 제곱근과 상기 제2제곱 평균 제곱근 간의 차이 값이 미리 지정된 제2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를 상기 제2음원 데이터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은,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1음원 데이터를 다른 음원 데이터로 변경하라는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데이터 중에서 랜덤 방식과 사용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시간은 10초부터 상기 제1음원 데이터의 재생 시간까지의 범위 내에서 지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KR1020110057685A 2011-06-14 2011-06-14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138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85A KR20120138312A (ko) 2011-06-14 2011-06-14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85A KR20120138312A (ko) 2011-06-14 2011-06-14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312A true KR20120138312A (ko) 2012-12-26

Family

ID=4790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685A KR20120138312A (ko) 2011-06-14 2011-06-14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3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1030B2 (en) Audio player and operating method automatically selecting music type mode according to environment noise
US75250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eat mixing a plurality of songs using an electronic equipment
US7822318B2 (en) Smart random media object playback
US99841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usic play system and method
JP2007149313A5 (ko)
KR20110053397A (ko)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검색 방법 및 그 휴대기기
JP2006301276A (ja) 携帯用楽曲再生装置
JP554152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楽曲推薦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38312A (ko) 음악 재생기에서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8299631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JP4461233B2 (ja) メディアデータ選択装置、メディアデータ選択方法、メディアデータ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3054335A (ja) 電子機器
JP554153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楽曲推薦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068474A1 (en) Content selection apparatus, content selec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50041268A (ko) 배경음악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4326907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2011008869A (ja) 情報検索装置
JP5441582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イントロスキャン方法
JP2006252051A (ja) 楽音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音楽再生装置
JP6464754B2 (ja)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JP5561853B2 (ja) 楽曲再生装置
JP2020009515A (ja) プレイリスト作成装置及びプレイリスト作成プログラム
JP2010170619A (ja) 楽曲再生表示装置
JP2009245547A (ja) 記録データ再生装置等
JP2016192245A (ja) 楽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