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961A -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961A
KR20120136961A KR1020110056203A KR20110056203A KR20120136961A KR 20120136961 A KR20120136961 A KR 20120136961A KR 1020110056203 A KR1020110056203 A KR 1020110056203A KR 20110056203 A KR20110056203 A KR 20110056203A KR 20120136961 A KR20120136961 A KR 20120136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headlamp
shield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421B1 (ko
Inventor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4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8Shaft-shaped screens rotating along its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은, 제1 및 제2 헤드램프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여 광차단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광 조사를 제어하는 광차단부, 상기 광차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차단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헤드램프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도로가 곡선도로인 경우, 상기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 중 하나 이상을 곡률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곡률방향 측 상기 제1 헤드램프와 상기 제2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O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형 차로에서 헤드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 중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제동등 및 차폭등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 중에서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조등은 광 조사 방향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1a과 같이 차량이 직선로에서 곡선로로 진입하기 전에 운전자의 시야을 확보하기 어렵고, 도 1b와 같이 곡선로에서도 지속적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도 1c과 같이, 차량 전방에 갈림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주행 도로에 대한 시야을 확보하기 어렵고, 도 1d와 같이 차량이 곡선로에서 직선로로 진입하기 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정보,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나 휠(Wheel)의 회전 각도 등과 같은 정보를 근거로 하여 차량용 전조등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차량의 주행 정보, 즉 차량의 주행 속도, 휠의 회전 각도 및 차량의 수형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며, 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는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전달되고, 전자 제어 유닛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차량용 전조등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 정보를 근거하여 차량용 전조등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것은 차량이 직선로에서 곡선로로 진입하는 경우 직선로 주행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휠을 회전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이 직선로에서 곡선로로 진입하기 이전에 차량용 전조등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차량이 곡선로에서 직선로로 진입하는 경우 곡선로 주행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휠을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이 곡선로에서 직선로로 진입하기 이전에 차량용 전조등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전방 도로에 갈림길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주행 정보만으로는 갈림길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갈림길에 대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차량이 직선로에서 곡선로로 진입하거나, 곡선로에서 직선로로 진입하거나, 차량 전방에 갈림길이 존재하는 등의 경우에도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곡선로에서 특히 야간주행시에 충분한 광량 및 조사범위로 인해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은 불측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들에 근거해 착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이 곡선도로 주행시에 곡률방향의 도로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헤드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야간에 곡선도로 주행시에 자동으로 좌우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다르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대향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한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은, 제1 및 제2 헤드램프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여 광차단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광 조사를 제어하는 광차단부, 상기 광차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차단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헤드램프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도로가 곡선도로인 경우, 상기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 중 하나 이상을 곡률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곡률방향 측 상기 제1 헤드램프와 상기 제2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차로 측 제1 헤드램프를 제1 배광패턴으로 설정하는 단계, 차량의 대향차로 측 제2 헤드램프를 제2 배광패턴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광패턴과 상기 제2 배광패턴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주행차로 전방의 곡률을 인식하는 단계, 차량의 상기 곡률방향 측의 제1 헤드램프를 상기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차량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하향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의 보다 상세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부분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에 의하면, 차량이 곡선도로 주행시에 곡률방향의 도로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곡률방향으로 헤드램프를 조사함으로써, 급선회로에서 전방의 차량 정보를 미리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야간주행시에 곡선차로에서 곡률방향으로 헤드램프를 조사함으로써, 해당 곡선차로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전방의 선행차량 또는 대향차량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전방의 보행자 또는 장애물의 존재를 미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야간에 곡선도로 주행시에 자동으로 좌우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고, 특히 대향차량 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대향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 운전자가 직접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가 자동으로 전방 도로정보를 감지하여 적절한 배광패턴을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헤드램프 조사 방향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헤드램프(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광차단부(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제1 및 제2 헤드램프에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의 제1 및 제2 헤드램프에 구비된 상향광 차단실드(124)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배광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헤드램프와 제2 헤드램프는 한 쌍의 헤드램프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제1 헤드램프가 좌측 헤드램프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헤드램프가 우측 헤드램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헤드램프가 우측 헤드램프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헤드램프가 좌측 헤드램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우측 헤드램프는 본 차량의 운전자를 기준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헤드램프(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헤드램프(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 상으로는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램프(1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램프(100)는 빛을 한곳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 면에서 유리하고, 차량 전면 형상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한다.
광원부(110)에서 방출된 빛은 소정 형상(예: 타원형)의 반사면(130)에 반사되어 상기 광원부(110)의 전방향 일 지점(160)에 집중된다. 상기 집중된 빛은 전방에 구비된 렌즈부(150)에서 굴절되어 실질적으로 전방향으로 조사된다. 상기 렌즈부(150)는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출된 빛 중 상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반사면(130)에 반사되어 하방향으로 진행되고, 하방향으로 방출된 빛은 반사면(140)에 반사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런데, 상향광(high beam)을 조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하방향으로 방출되어 상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은 광차단부(120)의 실드 돌기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다른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다.
광원부(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전압방출(HID) 램프, 할로겐 램프 또는 LED 광원 등의 공지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10)는 방전 밸브와, 방전 밸브로 인해 발광하는 광원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밸브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밸브와 같은 방전 밸브이고, 방전 발광에 의해 직접적으로 발광부에서 발광된다. 광원부(110)에 공급되는 광전력에 따라 발광되어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광원부(110)에 광전력을 소정의 전력량만큼 증가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cd; candela)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110)는 기본적으로 좌우 헤드램프가 동일한 소정의 광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 헤드램프와 타측 헤드램프에 서로 다른 광전력이 공급되어 광량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50)의 전방에는 투과된 빛을 통과시키는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헤드램프(100)의 최외곽면을 구성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버는 헤드램프(100)의 광원부(110)로부터 발생한 광을 전방으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램프(100)는 클리어 타입의 헤드램프와는 달리 반사면(130)에서 반사된 빛이 실질적으로 일 지점(160)에 집중되므로, 광차단부(120) 중 상기 일 지점(160) 부근의 형상을 약간만 다르게 하더라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빔 조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조립체의 광차단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광차단부(12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제1 및 제2 헤드램프에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광차단부(120)는 원통형의 몸체(122)에 하나 이상의 실드 돌기(123)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드 돌기의 패턴은 생성하려는 빔 패턴에 따라서 형태 및 개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실드 돌기는 원통의 외주면에 각도에 따라 분리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드 돌기(123)의 일부분은 합쳐져 있고 일부분만 실드 돌기를 형성하여 분리될 수도 있다. 또는 일부 실드 돌기(1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광차단부(1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 선상의 최상부에 위치한 실드 돌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차단부(120)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실드 돌기(123) 중 하나를 '활성화'시켜 광차단부(12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는 원기둥의 몸체(122)에 부착된 실드 돌기가 수직 선상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전면으로 조사되는 광을 일부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광차단부(120)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면 광차단부(120)에 부착된 실드 돌기(123)가 차례로 활성화되면서 생성되는 빔 패턴이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실드 돌기는 상기 광차단부(120)의 원주면 상에서 상기 광차단부(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차단부(120)는 실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각각의 실드 돌기를 활성화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 조립체는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광차단부(120)를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실드 돌기를 원하는 위치로 변위시켜 선택된 실드 돌기(123)를 활성화시키는 실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구동부는 도 3에 도시된 광차단부(120)의 길이방향(가로방향)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드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수단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AC 서보 모터, DC 서보 모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드 구동부는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상기 광차단부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는 한 쌍의 헤드램프 중 제1 헤드램프에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내며, 도 4는 나머지 제2 헤드램프에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추가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향광 차단실드(124)는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후술하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암영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향광 차단실드(124)에 의해 형성되는 암영대는 전방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향광 차단실드(124)는 앞서 설명한 복수의 실드 돌기(123)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에는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형성됨으로써 실드 돌기(123)가 간략하게 도시되었으나, 광차단부(120)는 복수의 실드 돌기(123) 간의 간격이 적절히 조절됨으로써, 이에 추가로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더 추가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광차단부(120)는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향등에 대한 광 차단 영역이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회전축의 장축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형성되는 상향광 차단실드(124)의 측면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121)과 단차부 사이의 각도는 도로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는 일단이 몸체(12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몸체(122)의 둘레를 따라 점차적으로 몸체(122)의 일단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향광 차단실드(124)의 측면 단차부가 몸체(12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몸체(122)의 일단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나, 몸체(122)의 일단까지는 연장되지 않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 하향등에 대한 광 조사 패턴이 필요치는 않으나 상향등에 대해 전체 영역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차부가 몸체(122)의 일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활성화되고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회전하게 되면, 단차부에 의해 상향광을 차단하는 영역이 증가 또는 감소되어, 전방의 차량 유무에 따라 광 차단 영역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광 차단실드(124)의 A 지점이 활성화되는 경우 전방으로 상향광을 최대로 조사하기 때문에, 전방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상향등 광 조사 패턴에 해당하며,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B 지점이 활성화되는 경우 광 차단 영역이 증가하여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은, 제1 및 제2 헤드램프(100)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110), 상기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여 광차단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광 조사를 제어하는 광차단부(120), 상기 광차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차단부(120)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헤드램프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00)는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도로가 곡선도로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헤드램프(100)를 곡률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곡률방향 측 상기 제1 헤드램프와 상기 제2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한다.
광원부(110) 및 광차단부(120)에 관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광차단 영역은 주행차량의 조사광 특히 상향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거리 내에 위치한 선행차량과 대향차량의 위치를 기초로 상향등이 조사되지 않아야 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차단 영역을 구현하기 위해, 대향차로 측의 헤드램프(우측 도로주행 국가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시야에서 왼쪽 헤드램프)는 상향등을 차단하거나 광량을 낮추거나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제 도로 상황에 따라 광차단 영역을 실시간(real time)으로 설정하기 위해 별도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광원부(110) 및 광차단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광차단부(120)의 실드 돌기를 제어하여 전방에 조사되는 전체 광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광차단부(120)의 실드 중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헤드램프(100)에 서로 다른 실드가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도 있다.
특히, 야간 주행시에 시야확보를 위해 상향등을 조사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대향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불측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향차량 측 제1 헤드램프(100)는 상향등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고 하향등만이 조사될 수 있도록 실드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2 헤드램프(100)는 상대적으로 대향차량 또는 선행차량에 눈부심 유발 정도가 경미하기 때문에, 상향광을 조사할 수 있는 실드 돌기를 활성화시켜서 클래스 H 또는 클래스 E의 빔패턴을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대향차량 측 헤드램프(100)의 배광패턴을 상향광으로 설정하고, 곡률방향 측 헤드램프(100)의 배광패턴을 하향광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대향차량 측 헤드램프(100)의 광차단부(120)를 제어하여, 대향차량 측 상향광의 일부가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우측주행시 좌측 헤드램프는 하향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되고, 우측 헤드램프는 상향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되더라도 우측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가 대향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우측 헤드램프의 상향광 중 좌측 일부를 차단하여 대향차량 운전자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이 곡선도로를 주행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되면, 제1 및/또는 제2 헤드램프(100)를 곡률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각 헤드램프의 회전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대향차량 측 제1 헤드램프(100)를 직선도로 주행시와 동일한 각도로 전방을 조사하도록 설정하거나, 소정의 각도만큼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제2 헤드램프(100)를 상기 소정의 각도보다 큰 각도로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도로 형상에 따라 각 헤드램프(100)의 배광패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도로 형상에 따라 배광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은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영상획득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300)는 주행 방향 전방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제어부(200)로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야간주행시 상향등은 운전자의 시야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반면, 반대편 차로의 대향차량 또는 전방의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사고 발생 확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향등을 켜고 도로, 특히 곡선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제어부(200)는 영상획득부(300)를 통해 획득한 전방의 도로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헤드램프의 배광패턴 및/또는 조사방향을 곡선도로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곡선도로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곡선도로 상의 정보(대향차량, 선행차량의 존재, 보행자의 존재, 장애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운전자의 조작 없이 헤드램프의 빔패턴 특히 상향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향등을 켜고 주행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 없이 상향등 조사여부 및 조사방향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되, 선행차량 또는 대향차량의 시야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향등을 조절하여 선행차량 또는 대향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하는 동시에, 주행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300)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은 특히 헤드램프(100)의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야간 시간대에 정확한 급선회로의 도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야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획득부(300)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입수된 주행 방향 전방의 영상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200)로 전송하며, 전송 전에 데이터 전송이 용이할 수 있도록 영상 정보를 압축 포맷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압축 포맷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또는 MPEG-4 등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상향광 차단실드(124)로 인한 배광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의 제1 및 제2 헤드램프에 구비된 상향광 차단실드(124)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배광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차량(1000) 전방에 전방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상향등에 대한 광 조사 패턴 및 노면 패턴으로서, 제1 헤드램프(좌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에서 A지점이 초점 부근에 위치하며 활성화되고, 제2 헤드램프(우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에서 A' 지점이 초점 부근에 위치하여 활성화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최대의 광량을 조사할 수 있어서, 시야 확보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도 6b는 차량(1000)의 전방 차량(1100)으로서 대향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등에 대한 광 조사 패턴 및 노면 패턴으로서, 대향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헤드램프(좌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회전하여 B지점이 활성화 되며, 이로 인해 대향 차량의 위치에 따른 암영대(D)를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제2 헤드램프(우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는 회전되지 않고 A' 지점이 활성화 된다.
도 6c는 차량(1000)의 전방 차량(1100)으로서 선행 차량, 특히 다른 차선으로 주행하는 선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등에 대한 광 조사 패턴 및 노면 패턴으로서, 다른 차선의 선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제2 헤드램프(우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회전하여 B'지점이 초점 부근에 위치하도록 활성화 되며, 이로 인해 다른 차선의 선행 차량(1100)에 대한 암영대(D)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제1 헤드램프(좌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는 회전되지 않고 A 지점이 초점 부근에 위치하도록 활성화 된다.
도 6d는 차량(1000)의 전방 차량(1100)으로서 선행 차량, 특히 동일한 차선으로 주행하는 선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향등에 대한 광 조사 패턴으로서, 동일한 차선의 선행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제1 헤드램프(좌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 및 제2 헤드램프(우측)의 상향광 차단실드(124)가 각각 회전하여 각 단차부의 B 및 B' 지점이 초점에 위치되도록 활성화 되며, 이로 인해 동일 차선의 선행 차량에 대한 암영대(D)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의 단차부에서 A, A', B, B' 지점만 초점 부근에 위치하여 활성화 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 차량의 위치나 거리에 따라 A에서 B 사이의 임의의 지점과 A'에서 B' 사이의 임의의 지점이 활성화 되어 적절한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에 각각 포함된 광차단부(120)를 회전시켜 상향광 차단실드(124)를 활성화 시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른 암영대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드돌기(123)가 활성화 되어 적절한 하향광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곡선도로에서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0)의 제1 및 제2 헤드램프를 적절히 회전시켜 암영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 가능한 범위는 차종이나 도로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이어서, 도 7a 내지 도 7d을 참조하여, 도로 형태에 따른 광원제어시스템의 광원제어 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차량이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에 진입하기 전의 광원제어 패턴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차량이 야간에 직선도로를 주행하다 전방에 곡선도로를 만나게 될 경우, 곡선도로에 완전히 진입하기 전까지는 전방의 곡선도로 상에 대향차량 및/또는 선행차량이 주행중인 것을 인식하기 어렵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제어시스템을 가지는 차량(1000)은 곡선도로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좌측 헤드램프 및 우측 헤드램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헤드램프를 곡선도로의 곡률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헤드램프는 서로 다른 회전각을 가질 수 있으며, 좌우측 헤드램프 모두 상향등을 조사할 수도 있으며, 대향차량이 존재할 경우 대향차량 측 좌측 헤드램프는 하향등만을 조사하고, 우측 헤드램프는 상향등을 조사할 수도 있다. 또한, 우측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상향등의 일부가 차단되어 대향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야간 주행시 급선회로 상에 장애물 또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 급선회로에 진입하기 전에 도로정보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헤드램프는 전방의 일정한 범위만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직선도로가 아닌 지점에서는 전방의 정보를 미리 파악하기 곤란한 경우가 존재한다.
반면, 도 7a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제어시스템을 가지는 차량(1000)의 헤드램프를 미리 곡선차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되, 일측 또는 양측 헤드램프의 광차단부(120)를 적절히 제어하여 배광패턴을 상향광 및 또는 하향광으로 설정하거나 특히 상향광 차단실드(124)의 회전각도를 적절히 설정하여 원거리에서도 전방의 도로형태 및 도로상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의 발생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전방의 대향차량(1100)의 존재 및 전방의 장애물(2000)이 존재하는 것을 미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감속하거나 다른 차선으로 이동하여 장애물(2000)을 피할 수 있다. 즉, 전방의 곡률방향에 따라 일측 또는 양측 헤드램프를 회전시켜 전방의 도로 정보를 미리 확보할 수 있되, 광차단부(120)를 적절히 제어하여 전방의 대향차량(1100) 운전자의 눈부심은 방지할 수 있도록, 각 헤드램프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차량이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에 진입한 후의 광원제어 패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제어시스템을 가지는 차량(1000)이 곡선도로에 진입하게 되면, 헤드램프의 방향을 곡선도로의 곡률에 맞게 전방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곡선도로에 완전히 진입하여 도로의 곡률이 0이 되면, 제어부(200)는 헤드램프(100)를 직선도로 주행시의 배광패턴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배광패턴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헤드램프(100)의 조사방향만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도로의 주행이 종료한 경우, 제어부(200)는 곡률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었던 헤드램프(100)를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는 대향차량(1100)이 지나간 후에도 여전히 본 차량(1000)이 곡선로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향차량 쪽 헤드램프를 하향등으로 유지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향차량(1100)이 완전히 지나간 후에는 상향등을 제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광차단부(120)를 적절히 제어하여 다시 제1 및 제2 헤드램프에 동일하게 상향광이 조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차량이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에 진입하기 전의 광원제어 패턴을 나타내며, 도 7d를 참조하면, 차량이 곡선도로에서 직선도로에 진입한 후의 광원제어 패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제어시스템을 가지는 차량(1000)은 앞서 설명한 직선도로에서 곡선도로로 진입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곡선도로 상에서 주행하는 방향에 따라 헤드램프(100)의 방향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곡선도로 전방의 직선도로에 보행자, 장애물이나 선행차량 및 대향차량의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곡률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전방의 직선도로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차로 측 제1 헤드램프를 제1 배광패턴으로 설정하는 단계(S11), 차량의 대향차로 측 제2 헤드램프를 제2 배광패턴으로 설정하는 단계(S1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배광패턴은 상기 제2 배광패턴 보다 광량이 많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1 헤드램프는 주행차로 측 헤드램프(우측 주행도로 국가에서 운전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우측 헤드램프)이고, 제2 헤드램프는 대향차로 측 헤드램프(우측 주행도로 국가에서 운전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좌측 헤드램프)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측 주행법규에 따라 제1 및 제2 헤드램프의 구분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차량의 주행차로 측 제1 헤드램프를 제1 배광패턴으로 설정하고(S110), 차량의 대향차로 측 제2 헤드램프를 제2 배광패턴으로 설정한다(S120). 차량에 구비된 한 쌍의 헤드램프는 서로 다른 광량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광차단부에 의해 서로 다른 배광패턴이 형성되어 각각 다른 빔패턴을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차로 측 제1 헤드램프에서 구현되는 상기 제1 배광패턴은 상기 제2 배광패턴 보다 광량이 많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대향차량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2 배광패턴의 전체 광량은 적게 설정하고, 주행도로의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제1 헤드램프의 제1 배광패턴의 전체 광량은 제2 헤드램프에 비해 크게 설정하여, 전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곡선도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도로 상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로의 형태나 종류를 불문하고 대향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 대향차량 측의 제2 헤드램프의 제2 배광패턴의 전체 광량을 제1 배광패턴에 비해 적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광패턴은 제2 배광패턴 보다 조사거리가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광패턴은 제2 배광패턴 보다 상향광이 더 많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향광으로 인해, 조사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제1 배광패턴은 직선 또는 곡선도로에서 가능한한 멀리 떨어진 전방의 도로정보까지도 미리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배광패턴에 비해 조사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제1 헤드램프와 제2 헤드램프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헤드램프와 제2 헤드램프의 광차단부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1 헤드램프와 제2 헤드램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되, 대향차량 측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2 헤드램프에서 조사되는 제2 배광패턴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 전력량을 적게 공급하거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제1 헤드램프 측으로 회전시키거나, 광차단부의 특정 실드돌기를 활성화시켜서 배광패턴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광패턴은 전방의 충분한 광량 및 가시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원거리를 넓게 비쳐주기 때문에 전방에 타 차량이 없으면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환경에 적합한 빔 패턴인 클래스 H 또는 전방 원거리 시야가 클래스 C에 비하여 긴 빔 패턴인 클래스 E 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헤드램프는 상향광을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헤드램프는 하향광만을 조사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제1 헤드램프의 제1 배광패턴은 대향차로 측 일부가 차단된 형태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주행차로 전방의 곡률을 인식하는 단계(S210), 차량의 상기 곡률방향 측의 제1 헤드램프를 상기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220), 상기 제1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S240), 차량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하향광을 조사하는 단계(S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행차로 전방의 곡률을 인식한다(S210). 직선도로가 계속 이어지는 경우 헤드램프를 제어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전방 도로의 곡률을 인식하여 곡선도로로 판단될 경우에는, 미리 해당도로의 상황을 운전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헤드램프의 방향 및 배광패턴을 직선도로에서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곡률을 인식하는 단계(S210)는, 영상획득부에 의해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주행차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차로의 형상을 분석하여 곡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획득부는 주행 방향 전방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제어부로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를 구성하는 카메라 모듈은 특히 헤드램프의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야간 시간대에 정확한 급선회로의 도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야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스티어링휠의 조향각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곡률 결정 과정에 반영할 수 있다.
획득된 영상정보는 제어부에 의해 분석되어 도로의 형태가 결정되고, 전방의 도로의 곡률을 추출할 수 있다.
도로의 형태를 결정함에 있어서는 영상정보에 포함된 현재 주행중인 차로의 양 차선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차선이 불분명한 경우에는 중앙차선을 기준으로 도로의 연장된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차선이 없는 1차로 또는 비포장길인 경우에는 차량의 좌우측의 도로의 경계를 먼저 결정한 후 경계를 통해 연장된 도로의 형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방 도로 정보가 도출된 경우에는 이로부터 전방 도로의 곡률을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의 곡률방향 측의 제1 헤드램프를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킨다(S220).
이어서, 차량 진행방향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230). 즉, 전방의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를 통해 전방의 대향차량 및/또는 선행차량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한 영상에서 차량의 외형을 추출하여 차량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야간 주행시에는 차량의 후미등(tail lamp)의 파장을 인식하여 차량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30) 이후, 차량 진행방향 전방에 차량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S240). 특히,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곡률방향 측에 구비된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행차량 운전자는 시야에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한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
이어서, 곡률방향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하향광을 조사할 수 있다(S250). 곡률방향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는 제1 헤드램프에 비해 운전자 시야확보의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향광으로 조사범위를 낮춰서, 전방차량 운전자 특히 대향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곡선도로를 완전히 통과하거나,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30)에서 전방에 차량이 없음이 감지된 경우, 대향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제2 헤드램프가 하향등 만을 조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 및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상항광을 조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S260, S270).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은, 주행차로 전방의 곡률을 인식하는 단계(S310), 차량의 상기 곡률방향 측의 제1 헤드램프를 상기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320), 상기 제1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S340), 및 차량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하향광을 조사하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차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330)에서 전방에 차량이 없음이 감지된 경우에, 제1 헤드램프는 상향등을 조사하도록 설정하되(S350) 곡률방향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는 하향광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360).
즉, 곡률방향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는 곡선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하향광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곡률방향의 반대측을 조사하는 제2 헤드램프는 진행방향 전방의 정보를 전달하는 제1 헤드램프에 비해 차량 운전자에게 중요도가 크지 않기 때문이며, 대향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야간 주행시에 시야확보를 위해 상향등을 조사하는 경우, 도로 상황 즉 전방 차량 유무에 따라서, 제어부는 대향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불측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곡률방향과 무관하게 대향차량 측 헤드램프의 상향등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또는 전체를 차단하고 하향등만이 조사될 수 있도록 실드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1 헤드램프는 상대적으로 대향차량 또는 선행차량에 눈부심 유발 정도가 경미하기 때문에, 상향광을 조사할 수 있는 실드 돌기를 활성화시키거나, 상향광 차단실드의 회전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는 대향차량 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상향광으로 설정하고, 곡률방향 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하향광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대향차량 측 헤드램프의 광차단부를 제어하여, 대향차량 측 상향광의 일부가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광원제어방법에 의하면, 차량이 곡선도로 주행시에 곡률방향의 도로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곡률방향으로 헤드램프를 조사함으로써, 급선회로에서 전방의 차량 정보를 미리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야간주행시에 곡선차로에서 곡률방향으로 헤드램프를 조사함으로써, 해당 곡선차로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전방의 선행차량 또는 대향차량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전방의 보행자 또는 장애물의 존재를 미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야간에 곡선도로 주행시에 자동으로 좌우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다르게 설정되도록 하고, 특히 곡률방향 측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대향차량의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인바,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00: 헤드램프 110: 광원부
120: 광차단부 130, 140: 반사면
150: 렌즈부 160: 일 지점
200: 제어부 300: 영상획득부

Claims (18)

  1. 제1 및 제2 헤드램프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여 광차단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광 조사를 제어하는 광차단부;
    상기 광차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차단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헤드램프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도로가 곡선도로인 경우, 상기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 중 하나 이상을 곡률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곡률방향 측 상기 제1 헤드램프와 상기 제2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이 서로 다르도록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헤드램프의 상기 곡률방향으로의 회전각도가 서로 상이한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헤드램프의 상기 광차단부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광차단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상향광으로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기 광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기 상향광의 일부가 차단되도록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헤드램프의 배광패턴을 하향광으로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8. 제1 및 제2 헤드램프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하여 광차단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광 조사를 제어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몸체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실드돌기를 포함하는 광차단부;
    상기 광차단 영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광차단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헤드램프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차단부는 상기 몸체의 장축 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는 상향광 차단실드를 포함하되, 상기 상향광 차단실드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몸체의 일단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광차단부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향광 차단실드의 광차단 영역이 가변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도로가 곡선도로인 경우, 상기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 중 하나 이상을 곡률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의 상기 곡률방향으로의 회전각도가 서로 상이한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헤드램프의 상기 광차단부를 각각 다른 회전각도로 제어하여 상기 상향광 차단실드의 광차단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헤드램프의 상기 광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헤드램프가 하향등을 조사하도록 설정하는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12. 주행차로 전방의 곡률을 인식하는 단계;
    차량의 상기 곡률방향 측의 제1 헤드램프를 상기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
    차량의 반대측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하향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을 인식하는 단계는,
    영상획득부에 의해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상기 주행차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차로의 형상을 분석하여 곡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를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헤드램프의 상향광을 차단하여 하향광만을 조사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광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헤드램프를 상기 곡률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차량 진행방향 전방의 차량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차량 진행방향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상항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차량 진행방향 전방에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헤드램프 및 제2 헤드램프의 광실드를 제어하여 양측 헤드램프로부터 상항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광원제어방법.
KR1020110056203A 2011-06-10 2011-06-10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KR10135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03A KR101356421B1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03A KR101356421B1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961A true KR20120136961A (ko) 2012-12-20
KR101356421B1 KR101356421B1 (ko) 2014-01-27

Family

ID=4790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203A KR101356421B1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58B1 (ko) * 2013-09-24 2015-02-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132279A (ko) * 2017-06-02 2018-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 정보를 이용한 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581B1 (ko) * 2002-03-06 2005-08-23 에스엘 주식회사 조명패턴 자동 변환기능을 갖는 차량용 지능형 전방조명시스템
KR101057649B1 (ko) * 2008-12-23 2011-08-1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95018B1 (ko) * 2008-12-31 2011-12-20 에스엘 주식회사 안전 장치 기능을 구비한 램프 어셈블리 및 램프 시스템
DE102009054228A1 (de) * 2009-11-21 2011-05-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Schweinwerf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Scheinwerferanordn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58B1 (ko) * 2013-09-24 2015-02-2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80132279A (ko) * 2017-06-02 2018-1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 정보를 이용한 배광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391433B2 (en) 2017-06-02 2022-07-19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using steer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421B1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4771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JP5779028B2 (ja) ヘッドランプの配光制御手段
KR101195110B1 (ko) 헤드램프 조립체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4442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524961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438405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RU247538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фар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фар для него
KR101344424B1 (ko) 차량의 헤드 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2308B1 (ko) 헤드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5394901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2016193689A (ja) 車両用描画装置
JP7155124B2 (ja) 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前照灯
EP2399777A2 (en) Control device,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system
JP5819153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415237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KR101356421B1 (ko) 차량의 광원제어시스템 및 광원제어방법
JP2020009683A (ja) 車両用ランプと車両システム
JP6923583B2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の制御方法
KR101430189B1 (ko) 차량용 램프 제어방법
JP2017177941A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WO2021039577A1 (ja) 車両用灯具
KR101224515B1 (ko) 헤드램프 조립체
KR20150125808A (ko) 차량용 램프
KR101232312B1 (ko) 헤드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60059681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