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928A -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928A
KR20120136928A KR1020110056142A KR20110056142A KR20120136928A KR 20120136928 A KR20120136928 A KR 20120136928A KR 1020110056142 A KR1020110056142 A KR 1020110056142A KR 20110056142 A KR20110056142 A KR 20110056142A KR 20120136928 A KR20120136928 A KR 20120136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filler
support bars
lower support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선
Original Assignee
이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선 filed Critical 이정선
Priority to KR102011005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928A/ko
Publication of KR2012013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B26F3/08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 B26F3/12Severing by using heat with heated members with heated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백업 충진재를 절단하기 위한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선을 이용하여 백업 충진재를 경사지게 절단할 수 있는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는 백업 충진재(B)를 일측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테이블(110);
상기 이송테이블(110)의 양측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B)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지지바(130);
백업 충진재(B)가 진입하는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의 전방에 상기 이송테이블(110)의 양측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B)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스크류봉(140); 및
상기 상,하부스크류봉(140)의 나선홈(141)에 끼워져 지지되는 중앙부(151)와, 상,하부지지바(130)에 고정되는 양단부(152)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와 상,하부스크류봉(140) 사이의 구간에 형성된 탄성부(153)로 이루어지고, 백업 충진재(B)의 절단 두께에 따른 대응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열선(15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Cutter for backup-filler}
본 발명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백업 충진재를 절단하기 위한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선을 이용하여 백업 충진재를 경사지게 절단할 수 있는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백업 충진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외벽면에는 마감용패널(10)이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부착되는데, 상기 마감용 패널(10)의 사이에는 형성된 틈새(10a)를 방치하면 누수, 열손실, 각종 이물질의 혼입 및 내부자재의 부식등이 유발되므로 상기 틈새(10a)로 실란트(30)를 충진하여 밀봉시키는 마감작업이 필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틈새(10a)로 실란트(30)가 과다하게 충진되는 것을 막고 실란트(30)가 틈새(10a)로 침하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해 실란트(30)가 충진되기 전에 상기 틈새(10a)에 백업 충진재(20)가 밀착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백업 충진재(20)는 틈새(10a)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수축력을 지녀야 하고 실란트(30)와의 접촉성도 고려해야 하는바, 통상 발포 폴리스틸렌이나 폴리에틸렌 필름또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제작되며, 이러한 발포 폴리스틸렌이나 백업 충진재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우레탄폼들은 규격화된 크기의 보드형태(이하, '백업 충진재'로 총칭함)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틈새(10a)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절단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띠톱, 띠칼, 왕복톱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수동식으로 백업 충진재를 절단하는 방법이 전부였으므로 절단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절단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지 못하고 작업시간 또한 길어지며 불량도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백업 충진재가 틈새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틈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는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백업 충진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는 백업 충진재를 일측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테이블; 상기 이송테이블의 양측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지지바; 백업 충진재가 진입하는 상기 상,하부지지바의 전방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양측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스크류봉; 및 상기 상,하부스크류봉의 나선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중앙부와, 상,하부지지바에 고정되는 양단부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바과 상,하부스크류봉 사이의 구간에 형성된 탄성부로 이루어지며, 백업 충진재의 절단 두께에 따른 대응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열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지지바에는 열선의 고정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열선은 상,하부스크류봉에 형성된 나선홈들과의 지지위치를 달리하면서 중앙부의 설치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백업 충진재를 절단하는 열선의 중앙부가 상,하부스크류봉의 나선홈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으므로 나선홈과의 지지위치를 달리해가면서 중앙부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백업 충진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백업 충진재가 마감용 판재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란트를 충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상세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100)는 백업 충진재(B)를 일측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테이블(110)과, 상기 이송테이블(110)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하부지지바(130)와,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의 전방에 상기 이송테이블(110)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상,하부스크류봉(140)과, 백업 충진재(B)의 절단 두께에 따른 대응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와 상,하부스크류봉(140)을 통해 설치된 열선(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테이블(110)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지지대(12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이송테이블(110)을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대(120)에는 상부이송롤러(R1)와 하부이송롤러(R2)들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이송롤러(R1)와 하부이송롤러(R2)는 서로 마주하는 지지대(120)에 양단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이송될 백업 충진재(B)의 두께만큼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상부이송롤러(R1)와 하부이송롤러(R2)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이송롤러(R1)와 하부이송롤러(R2)의 사이로 백업 충진재(B)가 인입되면 상부이송롤러(R1) 또는 하부이송롤러(R2)가 구동되면서 백업 충진재(B)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평 이송된다.
한편, 상기 이송테이블(110)의 중앙 상부에는 상,하부지지바(130)가 설치된다. 상,하부지지바(130)는 지지대(120)를 통해 상기 이송테이블(110)의 상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B)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백업 충진재(B)가 진입하는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의 전방에는 상,하부스크류봉(140)이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스크류봉(140)은 이송테이블(110)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120)를 통해 이송테이블(110)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B)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하부스크류봉(140)이 상,하부지지바(130)의 전방에 설치되도록 한 것은 후술할 열선(150)이 이송되는 백업 충진재(B)로부터 가해지는 횡압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스크류봉(140) 사이로 백업 충진재(B)가 통과하도록 상기 상,하부스크류봉(140)은 상,하부지지바(13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하부스크류봉(140)이 상,하부지지바(130)의 외측에 위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이 경우 상,하부스크류봉(140)의 이격거리가 확장되어야 하므로 열선(150)의 중앙부(151)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면서 백업 충진재(B)로부터 가해지는 횡압에 취약해 질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와 상,하부스크류봉(140)에는 열선(150)들이 설치된다. 상기 열선(15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통상의 열선(150)으로서, 재질은 보통 니켈-크롬 합금과 같은 인장 강도가 높고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전기적 저항이 높은 것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열선(150)의 직영은 통상 0.3?0.8㎜ 정도이며 열선(150)의 직경이 클수록 쉽게 끊어지지는 않지만 절단되는 블록의 두께 손실이 크며 직경이 얇을수록 절단면 표면은 좋으나 쉽게 끊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열선(150)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직경을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열선(150)에는 전압조절기(미도시)가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열선(150)의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150)은 백업 충진재(B)의 절단 두께에 따른 대응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하부스크류봉(140)을 경유하여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선(150)은 상,하부스크류봉(140)의 나선홈(141)에 지지되는 중앙부(151)와, 상,하부지지바(130)에 고정되는 양단부(152)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와 상,하부스크류봉(140) 사이의 구간에 형성된 탄성부(153)로 구성된다.
상기 열선(150)의 중앙부(151)는 이송되는 백업 충진재(B)가 통과하는 구역으로서 백업 충진재(B)의 이송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백업 충진재(B)는 이송과정에서 중앙부(151)를 통과하면서 절단된다. 상기 열선(150)의 중앙부(151)는 상,하부스크류봉(140)의 나선홈(141)에 끼워져 지지되므로 백업 충진재(B)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양측으로 이탈됨 없이 항상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백업 충진재(B)가 중앙부(1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선(150)에 가해지는 횡압의 변화로 인해 열선(150)의 장력은 변화하게 되며, 열선(150)이 발열하는 과정에서도 열선(150)이 열변형으로 신축되면서 열선(150)의 장력은 수시로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선(150)의 장력변화는 탄성부(153)로 반영되며, 탄성부(153)는 이러한 장력의 변화에 반응하여 자체적으로 신축하면서 장력변화를 흡수한다. 따라서, 열선(150)의 중앙부(151)에는 항상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열선(150)의 양단부(152)는 상,하부지지바(130)를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단부(152)가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고리형상으로 제작하였다. 작업자들은 고리형상으로 제작된 열선(150)의 양단부(152)를 상,하부지지바(130)에 걸어서 매우 쉽고 간편하게 열선(15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열선(150)들은 기본적으로는 백업 충진재(B)를 수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백업 충진재(B)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나, 백업 충진재(B)를 경사지게 절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앙부(151)를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151)의 지지위치를 상,하부스크류봉(140)의 다른 나선홈(142a)으로 바꾸어줌으로써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중앙부(151)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열선(150)의 양단부(152)는 중앙부(151)의 위치변화에 따라서 상,하부지지바(13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사용자는 이동이 완료된 열선(150)의 양단부(152)를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백업 충진재(B)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열선(150)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지지바(130)에는 열선(150)의 고정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131)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선(150)의 이동 및 각도조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요구하는 규격대로 백업 충진재(B)를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하부스크류봉(140)에 형성된 나선홈(141)의 피치를 계산하여 열선(150)의 이동 및 각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이송테이블(110)에 설치된 롤러들이 구동되는 동시에 열선(15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되기 시작하면, 롤러들 사이로 가공될 판상형태의 백업 충진재(B)가 투입된다. 이에 따라 백업 충진재(B)는 이송테이블(110)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백업 충진재(B)는 상,하부스크류봉(140)에 설치된 열선(15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의 열선(150)은 이미 고온으로 발열된 상태이므로 백업 충진재(B)와 열선(150)과의 접촉부위는 순간적으로 용융되게 되며 그 결과 백업 충진재(B)는 열선(150)을 경계로 이송방향으로 전단부에서부터 절단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절단된 상태로 상,하부스크류봉(140) 사이를 통과하여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백업 충진재(B)는 열선(150)들의 배열 및 설치상태에 따라서 각기 다른 두께와 형상으로 절단되며, 용융을 통해 순간적으로 절단이 이루어지므로 매끈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백업 충진재(B)의 절단 경사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150)의 중간부를 다른 나선홈(142a)에 끼우는 매우 단순한 동작만으로 매우 간편하고 정밀하게 절단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상,하부지지바(130)에 눈금(131)이 형성된 경우 열선(150)의 경사각도와 고정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열선(150)에 의해 다수로 절단된 백업 충진재들은 열선(150)의 후방에 배치된 상부이송롤러(R1)와 하부이송롤러(R2)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이송테이블 120...지지대
130...상,하부지지바 140...상,하부스크류봉
141,142...나선홈 150...열선
151...중앙부 152...양단부
153...탄성부 B...백업 충진재
R1...상부이송롤러 R2...하부이송롤러

Claims (3)

  1. 백업 충진재를 일측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테이블;
    상기 이송테이블의 양측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지지바;
    백업 충진재가 진입하는 상기 상,하부지지바의 전방에 상기 이송테이블의 양측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백업 충진재의 이송높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스크류봉; 및
    상기 상,하부스크류봉의 나선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중앙부와, 상,하부지지바에 고정되는 양단부와, 항상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지지바와 상,하부스크류봉 사이의 구간에 형성된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백업 충진재의 절단 두께에 따른 대응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열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바에는 열선의 고정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은 상,하부스크류봉에 형성된 나선홈들과의 지지위치를 달리하면서 중앙부의 설치각도가 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KR1020110056142A 2011-06-10 2011-06-10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KR20120136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142A KR20120136928A (ko) 2011-06-10 2011-06-10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142A KR20120136928A (ko) 2011-06-10 2011-06-10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928A true KR20120136928A (ko) 2012-12-20

Family

ID=4790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142A KR20120136928A (ko) 2011-06-10 2011-06-10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9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514A (zh) * 2017-12-10 2018-07-13 葛滨 一种电线的裁剪装置
CN109676692A (zh) * 2019-01-07 2019-04-26 北京力达塑料制造有限公司 安全帽帽带断带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5514A (zh) * 2017-12-10 2018-07-13 葛滨 一种电线的裁剪装置
CN109676692A (zh) * 2019-01-07 2019-04-26 北京力达塑料制造有限公司 安全帽帽带断带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77897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eds for polycrystalline silicon manufacture
US20120272944A1 (en) Wire saw work piece support device, support spacer and method of sawing using same
KR101439764B1 (ko) 몰딩 절단장치
JP6269608B2 (ja) H形鋼フランジ直角度矯正装置
KR10168747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KR20120136928A (ko) 백업 충진재 절단장치
CN205130477U (zh) 薄膜制袋机的热切机构
JP2011073088A (ja) パイプ切断用治具
KR102583667B1 (ko) 얇은 유리 리본을 프로세스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07277B1 (ko) 원 스톱 핀 가공장치
KR20150084451A (ko) 슬리터 장치
JP6721433B2 (ja) 発泡樹脂ブロック用可搬式切断装置
KR101509107B1 (ko) 금속판재로 만들어진 다각형 금속 파이프의 용접장치
JP5518963B2 (ja) 発泡合成樹脂材の切断加工装置
KR20190086256A (ko) 두부 절단장치
KR20170074026A (ko) 전기매트 제조를 위한 초음파융착장치
JP2008183900A5 (ko)
CN210758111U (zh) 一种用于锂电池隔膜产线夹边切边的一体式切刀
KR100669176B1 (ko) 사면밀봉 처리된 단프라시트 및 단프라시트의 사면밀봉장치
CN109890598B (zh) 具有倒角边缘的密封模具
JP3761044B2 (ja) 発泡体の加工装置
JP6597953B2 (ja)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JP2019084737A (ja) ゴムシート材料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140005135U (ko) 열변형 방지용 지그
CN209580463U (zh) 一种吹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