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256A - 두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256A
KR20190086256A KR1020180004566A KR20180004566A KR20190086256A KR 20190086256 A KR20190086256 A KR 20190086256A KR 1020180004566 A KR1020180004566 A KR 1020180004566A KR 20180004566 A KR20180004566 A KR 20180004566A KR 20190086256 A KR20190086256 A KR 20190086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ing
conveyance
cutt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266B1 (ko
Inventor
김석원
Original Assignee
김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원 filed Critical 김석원
Priority to KR102018000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2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53Cutting members therefor having a special cutting edge section or blad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재료를 압출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수직절단부, 및 상기 수직절단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수평절단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두부를 압출시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수직절단시켜 일정 길이로 절단시키고, 수평절단시켜 일정 두께로 절단시킬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절단장치{Bean-curd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하여 이송시키는 과정상에 수직 및 수평으로 절단시킬 수 있어 새로운 형태 및 다양한 형태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두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는 콩을 물에 담갔다가 갈아 그 액을 가열하여 비지를 짜내고 응고제를 첨가하여 굳힌 식품이다. 두부는 콩 제품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가공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한 식품이다. 두부에 포함된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한 질이 좋은 것으로, 소화흡수율도 매우 높다. 두부는 밭의 고기라고도 하는 콩을 원료로 하여 예로부터 한국 국민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그 조리방법도 100여 종이 넘는다.
종래 두부는 사용처에서 직접 콩으로 제조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 포장 두부를 구입하여 두부요리를 하고 있다. 포장 두부의 크기는 한모(약 200g)약 씩 포장하는 두부에서부터 급식소 등의 대량으로 요리를 하는 곳에서 사용하는 대용량(일예로 약 3Kg) 포장 등 다양한 크기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부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0-1075486호에서와 같이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포장하는 방법이 개발되기도 하며, 대한민국특허 제10-1581647호에서와 같이 콩 이외의 다른 물질을 추가하여 두부의 상품가치를 높이고자 노력이 진행되고도 있다.
대부분의 두부요리는 두부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두부요리에 사용한다. 그런데 두부를 균일한 크기로 자르는 것은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어 익숙하지 못한 사람은 두부를 균일한 크기로 자르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두부를 자르는 동안 두부가 뭉개지거나 형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큰 덩어리로 잘려진 두부와 작은 두부로 잘려진 두부는 조리사가 균일한 맛을 내거나 시각적으로 고품격의 두부요리를 만드는 것에 어려움이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특허 제10-1646487호에서와 같이 두부를 상온이하로 식혀서 수직으로 가로 및 세로로 절단한 절단 두부를 제조하여 판매하기도 하였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절단된 두부의 크기가 커서 요리시에는 다시 두부를 수평 절단하여 사용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급식센타 등 한번에 다량의 요리를 제조하는 곳에서 두부요리를 하는 경우 두부를 자르는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고 있어 두부 요리시에 두부를 다시 절단할 필요가 없는 절단된 포장 부두에 대한 요청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원재료를 압출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수직절단부, 및 상기 수직절단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수평절단부,를 포함하여 두부를 압출시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수직절단시켜 일정 길이로 절단시키고, 수평절단시켜 일정 두께로 절단시킬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두부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원재료를 압출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수직절단부, 및 상기 수직절단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수평절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압출부의 전측에 위치되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 및 상기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제2이송부로 연결하기 위한 이송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1이송프레임, 복수의 제1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제1이송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되, 상기 제1이송프레임을 지나며 전환되는 제1이송벨트, 및 상기 제1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이송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는, 복수의 제2이송롤러, 상기 제2이송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제2이송벨트, 및 상기 제2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이송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연결부는, 상기 제1이송벨트와 제2이송벨트 사이에 위치되는 이송연결판, 및 상기 이송연결판을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부의 제2이송벨트의 상면은, 상기 제1이송부의 제1이송벨트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연결판의 상면은, 상기 제2이송벨트의 상면과 제1이송벨트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설치부는, 상기 제1이송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설치브래킷, 및 상기 이송연결판을 상기 설치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고정부는, 상기 설치브래킷에 형성되는 장공의 설치공,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연결판의 돌출형성되는 설치돌기, 및 상기 설치돌기를 설치공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너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절단부는, 수직칼날, 및 상기 수직칼날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절단부는, 상기 제1이송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두부를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벨트는, 상기 제1이송벨트보다 빠르게 회전되어 상기 수직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두부는 제2이송베트를 따라 이송 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또한, 상기 수평절단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한 두부 이송방향에 위치되는 수평칼날, 상기 수평칼날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수평절단블럭, 및 상기 수평칼날을 각 수평절단블럭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칼날의 두께는 1mm이다.
또한, 상기 수평칼날은, 중간부가 볼록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절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각 수평절단블럭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조절수직프레임, 상기 수평절단블럭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조절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절하부프레임, 상기 수평절단블럭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각 조절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조절상부프레임,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상기 수평절단블럭에 형성되는 위치조절공, 상기 위치조절공에 위치되며, 하단부와 상단부가 상기 조절하부프레임과 조절상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위치조절봉, 상기 위치조절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위치조절모터, 상기 수평절단블럭에 형성되는 가이드공, 및 상기 가이드공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하부프레임과 조절상부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위치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관, 상기 냉각수공급관에 복수 개 구비되는 공급노즐, 및 상기 냉각수공급관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부 절단장치에 의하면, 두부를 압출시켜 이송하는 과정에서 수직절단시켜 일정 길이로 절단시키고, 수평절단시켜 일정 두께로 절단시킬 수 있어 새로운 형태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이송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절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칼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절단부의 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절단장치에 물공급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의 이송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절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칼날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절단부의 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절단장치에 물공급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부 절단장치(10)는 압출부(100)와 이송부(200), 수직절단부(300) 및 수평절단부(400)로 구성된다.
압출부(100)는 원재료를 압출하여 두부를 제조하고, 이송부(200)는 압출부(100)에 의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절단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수평절단부(400)는 수직절단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두부 절단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압출부(100)에 의해 압출된 두부가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수직절단부(30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후, 수평절단부(400)에 의해 높이방향 두께가 수평절단된다.
이를 위한, 이송부(200)는 제1이송부(210)와 제2이송부(220) 및 이송연결부(230)로 구성된다.
제1이송부(210)는 압출부(100)의 전측에 위치되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이송부(220)는 제1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연결부(230)는 제1이송부(210)와 제2이송부(220) 사이에 위치되어 제1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제2이송부(220)로 연결되도록 가이드한다.
먼저, 제1이송부(210)는 제1이송프레임(212)과 제1이송롤러(214), 제1이송벨트(216) 및 제1이송모터(218)로 구성된다.
제1이송프레임(212)은 제2이송부(220)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제1이송롤러(214)는 제1이송프레임(212)와 압출부(100) 사이에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제1이송벨트(216)는 제1이송프레임(212)과 제1이송롤러(214)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되, 제1이송프레임(212)을 지나며 전환된다.
제1이송모터(218)는 제1이송롤러(2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제1이송벨트(216)를 무한궤도 회전시킴에 따라, 두부를 이송시킨다.
또한 제2이송부(220)는 제2이송롤러(222)와 제2이송벨트(224) 및 제2이송모터(226)로 구성된다.
제2이송롤러(222)는 복수 개 구비되고, 제2이송벨트(224)는 복수의 제2이송롤러(222)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
그리고 제2이송모터(226)는 제2이송롤러(22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제2이송벨트(224)를 무한궤도 회전시킴에 따라, 제1이송부(210)에서 이송된 두부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연결부(2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연결판(232)과 연결설치부(234)로 구성된다.
이송연결판(232)은 제1이송벨트(216)와 제2이송벨트(224) 사이에 위치되고, 연결설치부(234)는 이송연결판(232)을 제1이송프레임(212)에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2이송부(220)의 제2이송벨트(224)의 상면은 제1이송부(210)의 제1이송벨트(216)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이송연결판(232)의 상면은 제2이송벨트(224)의 상면과 제1이송벨트(216)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제1이송부(210)의 제1이송벨트(216)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는 하측에 위치된 이송연결판(232)을 거쳐 보다 하측에 위치된 제2이송부(220)의 제2이송벨트(224)로 이송된다.
그리고 연결설치부(234)는 설치브래킷(2342)과 설치고정부(2344)로 구성된다.
설치브래킷(2342)은 제1이송프레임(212)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설치고정부(2344)는 이송연결판(232)을 설치브래킷(2342)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설치고정부(2344)는 설치공(2344a)과 설치돌기(2344b) 및 설치너트(2344c)로 구성된다.
설치공(2344a)은 설치브래킷(2342)에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돌기(2344b)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설치공(2344a)에 대응되도록 이송연결판(232)의 돌출형성된다.
설치너트(2344c)는 설치돌기(2344b)를 설치공(2344a)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설치공(2344a)이 형성된 설치브래킷(234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설치돌기(2344b)를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절단부(300)는 수직칼날(310)과 수직이동실린더(320)로 구성된다.
수직이동실린더(320)는 수직칼날(310)을 수직이동시켜 압출부(100)에 의해 압출된 후,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시킨다.
이 수직절단부(300)는 제1이송부(2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두부를 절단한다.
그리고 제2이송벨트(224)는 제1이송벨트(216)보다 빠르게 회전되어 수직절단부(300)에 의해 절단된 두부는 제2이송벨트(224)를 따라 이송 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이후, 제2이송벨트(224)를 따라 이송되는 두부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 이송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절단부(400)는 수평칼날(410)과 수평절단블럭(420) 및 수평고정부(430)로 구성된다.
수평칼날(410)은 이송부(200)에 의한 두부 이송방향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수평칼날(410)의 길이는 두부 이송방향과 직교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수평칼날(410)은 일직선으로 형성되거나 복수 번 굴곡지게 형성된다.
한편, 수평칼날(41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가 볼록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 호형상의 수평칼날(410)에는 복수 번 굴곡 형성되어 두부를 더욱 용이하게 절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평칼날(410)의 두께는 0.5 ~ 1.5mm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1mm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칼날(41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높은 열의 두부가 다시 붙는 문제가 발생되고, 두께가 너무 두꺼울 경우, 절단된 상단두부가 밀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수평절단블럭(420)은 수평칼날(41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수평고정부(430)는 수평칼날(410)을 각 수평절단블럭(42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절단부(4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 위치조절부(500)는 조절수직프레임(510)과 조절하부프레임(520), 조절상부프레임(530), 위치조절공(540), 위치조절봉(550), 위치조절모터(560), 가이드공(570) 및 가이드봉(580)으로 구성된다.
조절수직프레임(510)은 각 수평절단블럭(420)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조절하부프레임(520)은 수평절단블럭(42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각 조절수직프레임(510)에 구비된다.
조절상부프레임(530)은 수평절단블럭(4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각 조절하부프레임(520)에 구비된다.
또한 위치조절공(540)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수평절단블럭(420)에 형성된다.
위치조절봉(550)은 위치조절공(540)에 위치되며, 하단부와 상단부가 조절하부프레임(520)과 조절상부프레임(5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위치조절모터(560)는 위치조절봉(55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가이드공(570)은 수평절단블럭(4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위치조절공(54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봉(580)은 가이드공(570)에 위치되도록 조절하부프레임(520)과 조절상부프레임(530)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600)를 더 포함한다.
이 물공급부(600)는 냉각수공급관(610)과 공급노즐(620) 및 냉각수공급부(630)로 구성된다.
냉각수공급관(610)은 이송부(200)의 상측에 위치되어 냉각수가 공급된다.
또한 공급노즐(620)은 냉각수공급관(610)에 복수 개 구비된다.
냉각수공급부(630)는 냉각수공급관(610)으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에, 압출되는 고온의 두부를 냉각시킴은 물론, 수직절단부(300)의 수직칼날(3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냉각수는 수평절단부(400)의 수평칼날(410)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수평절단부(400)는 별도의 냉각부가 더 구비된다.
이 냉각부는 수평칼날(410)의 후단을 따라 냉매관이 구비되고, 이 냉매관으로 냉매를 이동시켜 수평칼날(410)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절단된 두부의 내부를 냉각시킨다.
이에, 수평칼날(41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방향으로 절단된 두부가 다시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두부 절단장치 100 : 압출부
200 : 이송부 300 : 수직절단부
400 : 수평절단부 500 : 위치조절부
600 : 물공급부

Claims (12)

  1. 원재료를 압출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수직절단부; 및
    상기 수직절단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수평절단부;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압출부의 전측에 위치되어 압출되는 두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 및
    상기 제1이송부와 제2이송부 사이에 위치되어 제1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를 제2이송부로 연결하기 위한 이송연결부;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상기 제2이송부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제1이송프레임;
    복수의 제1이송롤러;
    상기 제1이송프레임과 제1이송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되, 상기 제1이송프레임을 지나며 전환되는 제1이송벨트; 및
    상기 제1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이송모터;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복수의 제2이송롤러;
    상기 제2이송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는 제2이송벨트; 및
    상기 제2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이송모터;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연결부는,
    상기 제1이송벨트와 제2이송벨트 사이에 위치되는 이송연결판; 및
    상기 이송연결판을 상기 제1이송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연결설치부;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치부는,
    상기 제1이송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설치브래킷; 및
    상기 이송연결판을 상기 설치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고정부;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단부는,
    수직칼날; 및
    상기 수직칼날을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한 두부 이송방향에 위치되는 수평칼날;
    상기 수평칼날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수평절단블럭; 및
    상기 수평칼날을 각 수평절단블럭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칼날의 두께는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절단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칼날은,
    중간부가 볼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절단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두부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두부 절단장치.
KR1020180004566A 2018-01-12 2018-01-12 두부 절단장치 KR102023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66A KR102023266B1 (ko) 2018-01-12 2018-01-12 두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566A KR102023266B1 (ko) 2018-01-12 2018-01-12 두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256A true KR20190086256A (ko) 2019-07-22
KR102023266B1 KR102023266B1 (ko) 2019-09-19

Family

ID=6746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66A KR102023266B1 (ko) 2018-01-12 2018-01-12 두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276A (ko) * 2019-10-31 2019-11-06 김석원 깍두기 형상으로 분리되는 절단 포장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3779B1 (ko) * 2022-03-03 2022-07-20 김성주 도토리 묵국수 제조방법
KR20230043579A (ko) * 2021-09-24 2023-03-31 (주)한솔기계 두부 각설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50Y1 (ko) * 2005-06-30 2005-09-07 서신식품 주식회사 두부포장장치
JP2010213592A (ja) * 2009-03-13 2010-09-30 R corp 豆腐製造装置及び保持装置
KR101234529B1 (ko) * 2012-06-01 2013-02-19 일흥자동기계(주) 두부 자동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250Y1 (ko) * 2005-06-30 2005-09-07 서신식품 주식회사 두부포장장치
JP2010213592A (ja) * 2009-03-13 2010-09-30 R corp 豆腐製造装置及び保持装置
KR101234529B1 (ko) * 2012-06-01 2013-02-19 일흥자동기계(주) 두부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276A (ko) * 2019-10-31 2019-11-06 김석원 깍두기 형상으로 분리되는 절단 포장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3579A (ko) * 2021-09-24 2023-03-31 (주)한솔기계 두부 각설기 장치
KR102423779B1 (ko) * 2022-03-03 2022-07-20 김성주 도토리 묵국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266B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6256A (ko) 두부 절단장치
TW58037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product in manufacturing process
US202003970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rmed meat patties
CA2530387C (en) Moulding and cooling device
CN207707176U (zh) 一种白吉馍切块机
KR20170050265A (ko) 생면 쌀국수 제면기 및 제면방법
CN110558481B (zh) 细粉生产线
KR100770002B1 (ko) 패스추리 생지용 레이어 이송장치
CN209017830U (zh) 全自动刮肉片一体机
US20060099312A1 (en) Casting food products to controlled dimensions
US5904950A (en) 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bean curd with garnish wrapped therein
KR101004345B1 (ko) 라면 제조장치
US59570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bean curd with garnish wrapped therein
CN206629932U (zh) 荞片挤出生产线
CN205337490U (zh) 一种用于制造鱼豆腐的生产系统
JP2006506956A5 (ko)
KR200194676Y1 (ko) 어묵 생산 기계
EP4162793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and forming a food product into a sheet
KR100348213B1 (ko) 꽈배기 자동제조기
CN103610108A (zh) 一种蛋菇及制备蛋菇装置
KR20010027803A (ko) 어묵 생산 기계
CN117546882A (zh) 一种用于小麦胚芽饼干的制备生产设备
JP2001057870A (ja) 焼肉用骨付カルビ肉の段違い切れ目入れ装置
JPS6235350Y2 (ko)
JP6355594B2 (ja) ミンチ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