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106A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106A
KR20120134106A KR1020127020613A KR20127020613A KR20120134106A KR 20120134106 A KR20120134106 A KR 20120134106A KR 1020127020613 A KR1020127020613 A KR 1020127020613A KR 20127020613 A KR20127020613 A KR 20127020613A KR 20120134106 A KR20120134106 A KR 20120134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resin
layer
acid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이시 카와사키
마사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1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65Next to polyest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양호한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용도인,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 등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수지 및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고, 당해 도포층 표면의 입자의 면적 함유율이 1~50% 범위이고, 다른 한쪽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면에,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Lamina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터치패널용 부재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며,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이 양호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액정 디스플레이가 텔레비젼,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등의 표시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표시 유닛 단독으로는 발광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측으로부터 백라이트를 사용하여 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표시시키는 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백라이트의 광학적인 효율을 개선하여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등, 각종의 광학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학 시트에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렌즈층, 프리즘층, 광확산층 등의 광학 기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백코트층을 형성한다. 백코트층은 일반적으로, 1~15 ㎛ 정도의 막 두께이고, 1~30 ㎛ 정도의 입자와 수지 바인더를 다량의 유기용매와 혼합한 코팅액으로서, 오프라인코팅에 의해 형성된다(특허문헌 1, 2).
최근에는, 환경부하 저감을 위해, 이산화탄소 삭감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어, 유기용매의 사용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폭적인 가격 저하에 의해, 광학 시트의 가공 공정에 있어서 대폭적인 비용절감이 요구되고 있지만, 상술한 백코트층이 오프라인코팅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한 비용상승이 문제이었다.
특허문헌 1: 특개2004-4598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7-28616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한 것이며, 그 해결과제는, 수계의 인라인코팅에 의해 형성되고,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을 가지며,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용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면, 상술한 과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수지 및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고, 당해 도포층 표면의 입자의 면적 함유율이 1~50% 범위이고, 다른 한쪽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면에,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하면,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이 우수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어, 그의 공업적 가치는 높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구성이어도 다층 구성이어도 좋고, 2층, 3층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4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이어도 좋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에스테르이어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호모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경우,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한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옥시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폴리에스테르층 중에는, 이활성의 부여 및 각 공정에서의 상처발생 방지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하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가능한 입자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특공소 59-5216호 공보, 특개소 59-21775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유기 입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외의 내열성 유기 입자의 예로서, 열경화성 요소 수지,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중, 촉매 등의 금속 화합물의 일부를 침전, 미분산시킨 석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하는 입자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상, 괴상, 봉상, 편평상 등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그의 경도, 비중, 색 등에 관해서도 특히 제한은 없다. 이들 일련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입자경은, 통상 0.01~3 ㎛, 바람직하게는 0.1~2 ㎛ 범위이다. 평균입자경이 0.01 ㎛ 미만인 경우에는, 이활성을 충분하게 부여할 수 없거나, 입자가 응집하여, 분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기도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3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조도가 너무 거칠어져서, 후공정에 있어서 프리즘층이나 광확산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경우 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층 중의 입자 함유량은, 통상 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3 중량% 범위이다. 입자 함유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이활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 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층 중에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후,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 벤트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압출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상술한 입자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열안정제, 윤활제, 염료,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가능한 범위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10~350 ㎛, 바람직하게는 50~250 ㎛ 범위이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의 제조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서술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사용하고,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시트를 냉각 롤로 냉각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인가밀착법 및/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어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이축방향으로 연신된다. 그 경우, 먼저, 상기 미연신 시트를 일방향으로 롤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 연신한다. 연신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이고, 연신배율은 통상 2.5~7배, 바람직하게는 3.0~6배이다. 이어서, 일단째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지만, 그 경우, 연신온도는 통상 70~170℃이고, 연신배율은 통상 3.0~7배, 바람직하게는 3.5~6배이다. 그리고, 연속하여 180~270℃의 온도에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이축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기 연신에 있어서는, 일방향의 연신을 2단계 이상으로 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최종적으로 이방향의 연신배율이 각각 상기 범위로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에 관해서는 동시 이축연신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동시 이축연신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에서 온도 콘트롤된 상태에서 기계방향 및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 배향시키는 방법이고, 연신배율로서는, 면적배율로 4~50배, 바람직하게는 7~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배이다. 그리고, 연속하여,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연신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술한 연신 방식을 채용하는 동시 이축연신장치에 관해서는, 스크류 방식, 팬터그래프 방식, 리니어 구동방식 등, 종래 공지의 연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도포층의 형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포층에 관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연신 공정 중에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인라인코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막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포층을 고온에서 처리할 수 있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합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인라인코팅에 관하여는,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축차이축 연신에 있어서는, 특히 종연신이 종료한 횡연신 전에 코팅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수지 및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층(이하, 제1 도포층으로 약기하는 수가 있음)을 갖고, 당해 도포층 표면의 입자의 면적 함유율이 1~50% 범위이고, 다른 한쪽의 면에,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층(이하, 제2 도포층으로 약기하는 수가 있음)을 갖는 것을 필수의 요건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은,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백코트층이고, 제2 도포층은, 마이크로렌즈층, 프리즘층, 광확산층 등의 광학 기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 중에 함유하는 수지라는 것은 종래 공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라는 것은, 주된 구성 성분으로서 예컨대, 하기와 같은 다가 카복시산 및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즉, 다가 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디카복시산, 2,5-나프탈렌디카복시산, 1,5-나프탈렌디카복시산 및 2,6-나프탈렌디카복시산, 2,7-나프탈렌디카복시산, 1,4-시클로헥산 디카복시산, 2-칼륨설포테레프탈산, 5-소듐설포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칸디카복시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프탈산, p-히드록시 벤조산, 트리멜리트산모노칼륨염 및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p-크실릴렌글리콜, 비스페놀 A-에틸렌글리콜 부가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 글리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에틸설폰산나트륨, 디메틸올프로피온산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각각 적절히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상법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하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크릴 수지라는 것은,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어느 것이어도 차이가 없다. 또, 그들 중합체와 다른 폴리머(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컨대,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동일하게 하여 다른 폴리머의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 굴절률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플루오르 원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수산기나 아미노기등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복시기 함유 모노머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실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 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과 같은 각종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각종의 질소 함유 화합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각종의 비닐에스테르류;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각종의 규소 함유 중합성 모노머류; 인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과 같은 각종의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역 디엔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라는 것은, 우레탄 수지를 분자 내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통상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작성된다. 폴리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 폴리에테르 폴리올류, 폴리올레핀 폴리올류, 아크릴 폴리올류를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는, 다가 알코올류와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탈알코올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3,3-디메틸올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반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로서는, 예컨대, 폴리(1,6-헥실렌) 카보네이트, 폴리(3-메틸-1,5-펜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로서는, 다가 카복시산(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또는 그들의 산무수물과 다가 알코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5-디메틸-2,5-헥산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헥실-1,3-프로판디올, 시클로헥산 디올, 비스히드록시 메틸시클로헥산, 디메탄올벤젠, 비스히드록시 에톡시벤젠, 알킬디알칸올아민, 락톤디올 등)의 반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류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병용하여도 좋다.
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때에 사슬연장제를 사용하여도 좋고, 사슬연장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하는 활성 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등의 지방족 글리콜, 크실릴렌글리콜, 비스히드록시 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히드록시 피발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글리콜이라는 글리콜류를 들 수 있다. 또,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컨대, 트릴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산디아민, 2,2-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트리메틸헥산디아민, 2-부틸-2-에틸-1,5-펜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이소프로필리덴시클로헥실-4,4'-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는, 용매를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을 매체로 하는 것이다. 우레탄 수지를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강제유화형, 우레탄 수지 중에 친수성 기를 도입하는 자기유화형 또는 수용형 등이 있다. 특히, 우레탄 수지의 골격 중에 이온기를 도입하여 아이오노머화한 자기유화 타입이, 액의 저장안정성이나 얻어지는 도포층의 내수성, 투명성, 밀착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 도입하는 이온기로서는, 카복시기, 설폰산, 인산, 포스폰산, 제4급 암모늄염 등, 각종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카복시기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에 카복시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반응의 각 단계 중에서 각종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리폴리머 합성 시에, 카복시기를 가진 수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나, 폴리올이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슬연장제 등의 일성분으로서 카복시기를 가진 성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카복시기 함유 디올을 사용하여, 이 성분의 투입량에 따라서 소망하는 양의 카복시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우레탄 수지의 중합에 사용되는 디올에 대하여,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디메틸올 부탄산, 비스-(2-히드록시에틸) 프로피온산, 비스-(2-히드록시에틸) 부탄산 등을 공중합시킬 수 있다. 또 이 카복시기는 암모니아, 아민, 알칼리 금속류, 무기 알칼리류 등으로 중화시킨 염의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도포후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중화제가 제거된 카복시기를, 다른 가교제에 의한 가교반응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포전의 액의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한 이외에, 얻어지는 도포층의 내구성, 내용매성, 내수성, 내블로킹성 등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으로 할 때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도포외관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광선 투과율이 높은 설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도포층 중에 함유하는 수지는 굴절율이 낮은 설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중에서는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 특히 아크릴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에 있어서는, 마이크로렌즈층, 프리즘층, 광확산층 등의 광학 기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도포외관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마이크로렌즈층이나 프리즘층을 형성하는 경우는, 밀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의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포층에 점하는 수지의 비율은, 통상 10~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90 중량%이고, 제2 도포층에 점하는 수지의 비율은, 통상 2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80 중량%이다. 제1 도포층에 있어서, 수지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도포외관이 악화하는 경우, 전광선 투과율이 낮은 경우가 있고, 제2 도포층에 있어서, 수지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밀착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자라는 것은, 이활성이나 스티킹 방지성 향상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예컨대, 실리카, 알루미나, 금속산화물 등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도포층으로의 분산성이나 얻어지는 도막의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실리카 입자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 중의 입자의 함유량은, 도포층의 표면을 관찰할 때의 입자의 면적비율(면적 함유율)이 1~50%, 바람직하게는 2~30% 범위이다. 면적 함유율이 1%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이활성이나 스티킹 방지성을 얻을 수 없는 가능성이 있고, 50%를 초과하는 경우는, 입자가 도포층에 고정되기 어렵게 되어, 탈락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에 점하는 입자의 비율은, 통상 1~15중량%, 바람직하게는 3~10중량%이다. 이들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도포층의 투명성이 악화하는 경우나, 블록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제1 도포층에 함유되는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통상 0.03~5 ㎛, 바람직하게는 0.05~0.5 ㎛ 범위이다. 평균 입자경이 0.03 ㎛ 미만인 경우, 이활성이나 스티킹 방지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또, 5 ㎛를 초과하는 경우, 입자가 도포층으로부터 탈락하기 쉽게 된다.
제1 도포층에는, 내찰상성이나 미끄럼성 향상을 위하여 이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라는 것은, 예컨대, 왁스, 플루오르 화합물, 장쇄 알킬 화합물 및 실리콘이다.
왁스라는 것은, 천연 왁스, 합성 왁스, 그들을 배합한 왁스 중에서 선택된 왁스이다. 천연 왁스라는 것은, 식물계 왁스, 동물계 왁스, 광물계 왁스, 석유 왁스이다. 식물계 왁스로서는, 칸데릴라 왁스, 카루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납(木蠟), 호호바유를 들 수 있다. 동물계 왁스로서는, 밀랍, 라놀린, 고래왁스를 들 수 있다. 광물계 왁스로서는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을 들 수 있다. 석유 왁스로서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로레이텀(petrolatum)을 들 수 있다. 합성 왁스로서는, 합성 탄화수소, 변성 왁스, 수소화 왁스, 지방산, 산아미드, 아민, 이미드, 에스테르, 케톤을 들 수 있다. 합성 탄화수소로서는, 피셔?트롭스 왁스(별명 사조루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가 유명하지만, 이 외에 저분자량의 고분자(구체적으로는 점도 수평균 분자량 500 내지 20000의 고분자)인 이하의 폴리머도 포함된다. 즉,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결합체가 있다. 변성 왁스로서는 몬탄 왁스 유도체, 파라핀 왁스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서의 유도체라는 것은, 정제, 산화, 에스테르화, 검화의 어느 처리,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화합물이다. 수소화 왁스로서는 경화 피마자유,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플루오르 화합물로서는, 화합물 중에 플루오르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도포면상의 점에서 유기계 플루오르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예컨대,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 플루오르 원자를 함유하는 올레핀 화합물의 중합체, 플루오로벤젠 등의 방향족 플루오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전사시에 의한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 화합물이라는 것은, 탄소수가 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의 직쇄 또는 분기(分岐)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예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아민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에테르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전사시에 의한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실리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고, 실리콘 에멀젼, 아크릴 그라프트 실리콘, 실리콘 그라프트 아크릴, 아미노변성 실리콘, 퍼플루오로알킬 변성 실리콘, 알킬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전사시에 의한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여,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이형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복수 사용하여도 좋다. 또, 이들의 이형제 중에서는 소량으로 양호한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왁스가 더욱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1 도포층 중에 점하는 이형제의 비율은, 통상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이다.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도포층의 면상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에는, 도막을 강고하게 하기 위하여,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금속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멜라민 화합물이라는 것은, 화합물 중에 멜라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예컨대,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에 알코올을 반응시켜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에테르화시킨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테르화에 사용하는 알코올로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단량체, 또는 2량체 이상의 다량체 중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멜라민의 일부에 요소 등을 공축합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멜라민 화합물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분자 내에 에폭시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그 프리폴리머 및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비스페놀A 등의 수산기나 아미노기와의 축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등이 있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글리시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 프로판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레조르신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모노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 에테르, 페닐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아민 화합물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 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린 화합물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옥사졸린 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특히 옥사졸린 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부가중합성 옥사졸린 기 함유 모노머 단독 또는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부가중합성 옥사졸린 기 함유 모노머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도 입수하기 쉬워 아주 적합하다. 다른 모노머는, 부가중합성 옥사졸린 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라면 제한없고, 예컨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설폰산 및 그의 염(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3급 아민염 등) 등의 불포화 카복시산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메타)아크릴 아미드, N-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N,N-디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플루오르화비닐 등의 함할로겐 α,β-불포화 모노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도포층에 점하는 가교제의 비율은, 통상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20 중량% 이하이고, 제2 도포층에 점하는 가교제의 비율은, 통상 5~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50 중량%이다. 도막에 적절한 온도를 갖게 하기 위하여는 이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도포층에 있어서는, 가교제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밀착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유기계 윤활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안료, 염료 등이 함유되어도 좋다.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 중의 각종 성분의 분석은, 예컨대, TOF-SIMS 등의 표면 분석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라인 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상술한 일련의 화합물을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로서, 고형분 농도가 0.1~50중량% 정도를 기준으로 조정한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하는 요령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물로의 분산성 개량, 조막성 개량 등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액 중에는 소량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유기 용매는 1종류만이어도 좋고, 적당히, 2종류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제공되는 제1 도포층의 도포량은, 통상 0.03~1.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5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0.2 g/m2 범위이다. 도포량이 0.03 g/m2 미만인 경우, 입자가 탈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1.0 g/m2를 초과하는 경우는, 외관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제2 도포층의 도포량은, 통상 0.002~1.0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0.5 g/m2, 또한 바람직하게는 0.01~0.2 g/m2 범위이다. 도포량이 0.002 g/m2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는 가능성이 있고, 1.0 g/m2를 초과하는 경우는, 외관이나 투명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을 제공하는 방법은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 롤 코트, 다이 코트, 바 코트, 커텐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및 경화 조건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 70~280℃에서 3~200초간을 기준으로 하여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좋다.
또,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와 자외선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은, 휘도 향상의 관점에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포층의 영향도 있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9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1.5% 이상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헤이즈는, 1.0~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5~5.0% 범위이다. 헤이즈가 너무 낮은 경우는, 백라이트 유닛에 조합된 경우, 백라이트의 휘선이 눈에 띌 가능성이 있고, 헤이즈가 너무 높은 경우는 투과율의 저하를 초래하여, 휘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2 도포층 위에는, 휘도를 향상시키는 등을 위하여, 프리즘층, 마이크로렌즈층, 광확산층 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리즘층은, 근년, 휘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의 형상이 제안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단면 삼각형상의 프리즘열을 배열시킨 것이다. 또, 마이크로렌즈층도 동일하게 각종의 형상이 제안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수의 반구상 볼록 렌즈를 필름 상에 제공한 것이다. 광확산층은, 투과하는 광을 다방향으로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하여 등에 사용되며, 입자와 바인더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어떤 층도 종래 공지의 형상의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프리즘층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두께 10~500 ㎛, 프리즘열의 피치 10~500 ㎛, 꼭지각 40°~ 100°의 단면 삼각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프리즘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층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두께 10~500 ㎛, 직경 10~500 ㎛의 반구상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원추, 다각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도 좋다. 마이크로렌즈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프리즘층과 동일하게,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확산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광을 확산하는 것과 같은 성질을 갖는 것이라면 좋고, 아크릴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비닐 수지 등의 유기 입자나, 실리카, 금속 산화물,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 양호한 아크릴 수지나 아크릴 우레탄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이들 입자의 입경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평균입경으로서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이다.
광확산층에 함유시키는 바인더는 입자를 고정하여 광확산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플루오르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가공성을 고려하면 폴리올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되며, 예컨대, 아크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을 바인더로서 사용한 경우는,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를 함유시키면 좋다.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더욱 강고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광확산층으로서의 물성이 향상한다. 또 바인더로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광확산층의 경도의 향상에 유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에는 광확산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면활성제, 미소 무기 충전재, 가소제, 경화제, 항산화제, 자외선흡수제, 방청제 등을 함유하여도 좋다.
광확산층에 있어서의 바인더와 입자의 혼합비율은, 얻으려고 하는 광확산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중량비로, 바인더/입자가 0.1~50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0 범위이다.
광확산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바인더와 입자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제조하고, 도포?건조시키는 것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방법으로서는,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 롤 코트, 다이 코트, 바 코트, 커텐 코트, 스프레이 코트, 스핀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광확산층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확산성, 막 강도 등을 고려하여, 1~100㎛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3~30㎛ 범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초과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성인 다른 폴리머 성분 및 안료를 제거한 폴리에스테르 1g을 정칭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 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ml를 첨가하여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평균 입자경의 측정:
전자현미경(HITACHI제조 S-4500)을 사용하여 도포층의 표면을 관찰하고, 입자 10개의 입자경의 평균치를 평균 입자경으로 하였다.
(3) 입자의 면적 함유율의 측정:
전자현미경(HITACHI제조 S-4500)을 사용하여 도포층의 표면을 관찰하고, 관찰한 면적에 대한 입자의 면적비율을 측정하였다.
(4)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제 헤이즈메터 HM-150을 사용하여, JIS K7361에서 측정하였다.
(5) 헤이즈의 측정: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제 헤이즈메터 HM-150을 사용하여, JIS K7136에서 측정하였다.
(6) 내찰상성의 평가 방법:
제1 도포층 면상에 프리즘 시트를 중첩하고, 그 위에 200 g의 추를 놓고, 프리즘 시트를 움직였을 때의 제1 도포층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표면에 프리즘에 의한 상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 상처가 확인되는 경우를 ×로 하였다.
(7) 미끄럼성의 평가 방법:
제1 도포층 면상을 손톱으로 문질렀을 때, 걸리는 느낌이 없고, 미끄러지는 느낌이 있는 경우를 ○, 걸리는 느낌이 없고, 미끄러지는 느낌이 없는 경우를 △, 걸리는 느낌이 있는 경우를 ×로 하였다.
(8) 도막강도의 평가 방법:
제1 도포층 면상을 손가락의 바닥으로 문질렀을 때, 자취가 남겨지지 않는 경우를 ○, 자취가 남겨지는 입자가 탈락하여 버리는 경우를 ×로 하였다.
(9) 제2 도포층측 프리즘 밀착성의 평가방법:
프리즘층 형성을 위하여, 피치 50㎛, 꼭지각 65°의 프리즘열이 다수 병렬되어 있는 형 부재에, 수지, 니폰가야꾸 제조 KAYARAD DPHA-40H를 배치하고, 그 위로부터 제2 도포층이 수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중첩하고, 롤러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균일하게 연장시키고, 자외선조사장치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켰다. 이어서, 필름을 형부재로부터 벗기고, 프리즘층이 형성된 필름을 얻었다. 그 직후, 컷터 나이프로 5 mm 간격으로 상처를 내고, 24 mm 폭의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셀로테이프(등록상표) CT-24)를 점착시키고, 180도의 박리각도로 급격하게 벗긴 후, 박리면을 관찰하고, 박리면적이 10% 이하이면 ○, 10%를 초과하고 20% 이하이면 △, 20%를 초과하면 ×로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는, 이하와 같이 하여 준비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A)의 제조 방법>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 중량부를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테트라부톡시티타네이트를 가하여 반응기에 넣고, 반응개시 온도를 150℃로 하며, 메탄올의 증류제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킨 후, 4시간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으로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개시후, 반응조의 교반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 점도 0.63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에서 폴리머를 토출시켜, 극한점도 0.63의 폴리에스테르 (A)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B)의 제조 방법>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 중량부를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마그네슘?4수염을 가하여 반응기에 넣고, 반응개시 온도를 150℃로 하며, 메탄올의 증류제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중축합조로 옮기고, 오르토인산을 첨가한 후, 이산화 게르마늄을 가하여, 4시간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으로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개시후, 반응조의 교반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 점도 0.65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에서 폴리머를 토출시켜, 극한점도 0.65의 폴리에스테르 (B)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C)의 제조 방법>
폴리에스테르 (A)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평균 입자경 2㎛의 실리카 입자를 0.2부를 가하고, 극한점도 0.66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중축합 반응을 정지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 (A)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극한점도 0.66의 폴리에스테르 (C)를 얻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 예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 예)
● 아크릴 수지: (IA) 하기 조성으로 중합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
에틸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메틸올 아크릴 아미드/아크릴산 = 65/21/10/2/2 (중량%)의 유화중합체 (유화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폴리에스테르 수지: (IB)
하기 조성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체:
모노머 조성:(산성분)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소듐설포이소프탈산//(디올성분)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디에틸렌글리콜=56/40/4//70/20/10(몰%)
● 우레탄 수지: (IC)
1,6-헥산디올과 디에틸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400부, 네오펜틸글리콜을 10.4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8.4부, 디메틸올 부탄산이 74.3부로 이루어지는 프리폴리머를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키고, 이소포론디아민으로 사슬연장시켜 얻을 수 있는 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
● 이형제: (II)
교반기, 온도계, 온도 콘트롤러를 구비한 용량 1.5L의 유화 설비에 융점 105℃, 산가 16 mgKOH/g, 밀도 0.93 g/mL, 평균 분자량 5000의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300 g, 이온교환수 650 g과 데카글리세린 모노올레에이트 계면활성제를 50 g, 48% 수산화칼륨수용액 10g을 가하여 질소로 치환한 후, 밀봉하고 150℃에서 1시간 고속 교반한 후 130℃로 냉각하고,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400 기압하에서 통과시켜 40℃로 냉각한 왁스 에멀젼.
● 가교제 (멜라민 화합물): (IIIA)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 가교제(옥사졸린 화합물): (IIIB) 옥사졸린 기가 아크릴계 수지에 브랜치된 폴리머형 가교제인, 에포크로스 WS-500(일본 촉매사 제조).
● 입자: (IVA) 평균입경 0.07 ㎛의 실리카 입자
● 입자: (IVB) 평균입경 0.12 ㎛의 실리카 입자
● 입자: (IVC) 평균입경 0.30 ㎛의 실리카 입자
● 입자: (IVD) 평균입경 0.45 ㎛의 실리카 입자
● 입자: (IVE) 평균입경 0.30 ㎛의 가교 폴리스티렌?아크릴 수지 입자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A), (B), (C)를 각각 85%, 5%,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며, 폴리에스테르 (A), (B)를 각각 95%, 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 하여, 2대의 압출기에 각각을 공급하고, 각각 290℃에서 용융시킨 후, 40℃로 설정된 냉각 롤 상에, 2종 3층(표층/중간층/표층 = 1:18:1의 토출량)의 층 구성으로 공압출하여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롤 주속차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5℃에서 종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편면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1을 건조 후 0.09 g/m2 로 되도록 도포하고, 반대측의 면에 도포액 11을 건조후 0.03 g/m2로 되도록 도포하여, 텐터에 걸고, 횡방향으로 120℃에서 4.0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18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도 높고, 제1 도포층 측의 내찰상성이나 미끄럼성이 양호하였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10: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을 제공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이 낮고, 내찰상성이나 미끄럼성이 나쁜 것이었다.
비교예 2, 3: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내찰상성이나 미끄럼성이나 도막강도가 나쁜 경우가 보였다.
비교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제2 도포층을 제공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프리즘층과의 밀착성이 약한 것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등에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터치패널용 부재 등으로서, 이활성, 스티킹 방지성이 필요한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수지 및 입자를 함유하는 제1 도포층을 갖고, 당해 도포층 표면의 입자의 면적 함유율이 1~50% 범위이고, 다른 한쪽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면에, 수지를 함유하는 제2 도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점하는 수지의 비율이 10~95 중량%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에 함유되는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도포층에 점하는 수지의 비율이 20~90 중량%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함유되는 입자가, 평균 입자경 0.03~5 ㎛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이 이형제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점하는 이형제의 비율이 50 중량% 이하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점하는 가교제의 비율이 30 중량% 이하이고, 제2 도포층에 점하는 가교제의 비율이 5~70 중량%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127020613A 2010-02-07 2011-02-03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1341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4914 2010-02-07
JP2010024914A JP5307050B2 (ja) 2010-02-07 2010-02-07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CT/JP2011/052290 WO2011096492A1 (ja) 2010-02-07 2011-02-03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106A true KR20120134106A (ko) 2012-12-11

Family

ID=4435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613A KR20120134106A (ko) 2010-02-07 2011-02-03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328868A1 (ko)
EP (1) EP2532516A4 (ko)
JP (1) JP5307050B2 (ko)
KR (1) KR20120134106A (ko)
CN (1) CN102741050B (ko)
WO (1) WO20110964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078A (ko) * 2014-09-19 2016-03-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고내열성 및 고내광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계 적층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3627B2 (ja) * 2010-02-07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65484B1 (ko) * 2011-10-19 2017-08-0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5021014A (ja) * 2013-07-16 2015-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22992B2 (ja) * 2014-01-07 2015-11-25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18283B2 (ja) * 2014-01-07 2015-11-18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139925A (ja) * 2014-01-28 2015-08-0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471490B2 (ja) * 2014-12-24 2019-02-2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感光性樹脂積層体
JP5907642B2 (ja) * 2015-01-10 2016-04-26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07085A (ko) * 2015-06-13 2017-01-18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점착 필름
JP6690537B2 (ja) * 2015-06-26 2020-04-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ポリエステル系水性液、プライマー層、プライマー層付き基材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プリズムシート、並びにポリエステル系樹脂の製造方法
CN108367559B (zh) * 2015-11-02 2020-10-27 三菱化学株式会社 涂布膜
JP7005898B2 (ja) * 2016-01-13 2022-01-24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102397408B1 (ko) * 2016-06-24 2022-05-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269741B2 (ja) * 2016-07-15 2018-01-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6269742B2 (ja) * 2016-07-15 2018-01-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240048022A (ko) * 2018-02-27 2024-04-12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DE102018105735A1 (de) * 2018-03-13 2019-09-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ennfolie für Tiefdruckanwendung
CN114654851B (zh) * 2020-12-24 2024-02-13 爱思开迈克沃有限公司 聚酯膜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16B2 (ja) 1979-01-25 1984-02-03 ダイアホイ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ATE10945T1 (de) * 1980-11-10 1985-01-1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Oberflaechenaktive bekleidungszusammensetzung.
DE3313923A1 (de)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GB9324989D0 (en) * 1992-12-23 1994-01-26 Ici Plc Polymeric film
JP3373106B2 (ja) * 1996-03-27 2003-02-04 株式会社きもと 光学フィルム
JP2001188230A (ja) * 1999-12-28 2001-07-10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表示装置
EP1293532B1 (en) * 2000-06-15 2007-05-09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light diffuser plate and light diffuser plate
JP2004042528A (ja) * 2002-05-23 2004-02-12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58435A (ja) * 2002-07-29 2004-02-26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7005176B2 (en) * 2001-12-10 2006-02-28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Optical adhesive polyester film
JP4351455B2 (ja) 2002-03-26 2009-10-28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169546B2 (ja) * 2002-08-21 2008-10-22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38972B2 (ja) * 2003-03-25 2011-12-14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082671A (ja) * 2003-09-08 2005-03-31 Toppan Printing Co Ltd 塗工フィルム及び反射用シート
JP4471611B2 (ja) * 2003-09-11 2010-06-02 三菱樹脂株式会社 高解像度用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7659006B2 (en) * 2004-05-28 2010-02-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WO2006049296A1 (ja) * 2004-11-08 2006-05-11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放射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その積層体
US7527853B2 (en) * 2005-02-07 2009-05-05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Conductive laminated film
CN101253041A (zh) * 2005-08-31 2008-08-27 三菱树脂株式会社 阻气性叠层膜
CN100470263C (zh) * 2006-03-09 2009-03-18 开曼群岛商亚岗科技股份有限公司 多段式集光的光学膜片及其制造方法
JP4936107B2 (ja) 2006-04-13 2012-05-23 Dic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
JP2007298678A (ja) * 2006-04-28 2007-11-15 Toyobo Co Ltd 反射部材用支持体フィルム
JP2008081551A (ja) * 2006-09-26 2008-04-1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拡散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2008081552A (ja) * 2006-09-26 2008-04-1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レンズ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2008083191A (ja) * 2006-09-26 2008-04-10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光学フィルター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4805795B2 (ja) * 2006-11-27 2011-11-02 三菱樹脂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用ポリエテルフィルム
JP2008214571A (ja) * 2007-03-07 2008-09-1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52A (ja) * 2008-03-09 2009-09-24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4360A (ja) * 2008-03-09 2009-09-24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98156B2 (ja) * 2008-03-17 2011-10-19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2009234166A (ja) * 2008-03-28 2009-10-15 Toray Ind Inc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フイルムロ−ル
JP2009241374A (ja) * 2008-03-31 2009-10-22 Toray Ind Inc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フイルムロ−ル
JP4457322B2 (ja) * 2008-07-03 2010-04-28 東洋紡績株式会社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078A (ko) * 2014-09-19 2016-03-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고내열성 및 고내광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계 적층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2516A4 (en) 2014-02-26
US20120328868A1 (en) 2012-12-27
CN102741050A (zh) 2012-10-17
JP2011161696A (ja) 2011-08-25
WO2011096492A1 (ja) 2011-08-11
EP2532516A1 (en) 2012-12-12
JP5307050B2 (ja) 2013-10-02
CN102741050B (zh)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4106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00632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55362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7120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9168008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2962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08198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11465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621006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5947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9355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8935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5793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7009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2296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7799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53131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474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6427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9935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