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21A -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21A
KR20120133821A KR1020110052685A KR20110052685A KR20120133821A KR 20120133821 A KR20120133821 A KR 20120133821A KR 1020110052685 A KR1020110052685 A KR 1020110052685A KR 20110052685 A KR20110052685 A KR 20110052685A KR 20120133821 A KR20120133821 A KR 20120133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cher
manufacturing
automatic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문주
Original Assignee
변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문주 filed Critical 변문주
Priority to KR1020110052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821A/ko
Publication of KR2012013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removing material from solid section preform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e.g. by punching or b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1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구이 판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로스용 고기구이 판을 황토재질로 제작하는 방법에 한정된 것으로 황토구이 판 제작방법은 도자기 성형기계인 자동성형 기계(일명 ‘로라 머신’ U?R-53?54형, 유압식 성형 롤러 머신)를 사용하여 황토 진흙을 압축 성형하여 건조 시에 바람이 없는 건물 실내에서 건조하여야 하며 건조 실내 습도에 따라 24?48시간 건조한 다음, 도자기 소성 가마에서 950℃?1,060℃(황토 자화 온도)로 3시간 이상 소성하여 완성한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1. 황토구이 판 형태성형 단계와 2.황토구이 판에 통기구?구이 판 집개구멍 천공 단계, 3.황토구이 판 정형 단계, 4.황토구이 판 건조 단계, 5.황토구이 판 소성 단계로 대별된다.
1.황토구이 판 형태성형 단계.
구이 판의 형태(원반형과 사각형)에 따라 제작 전에 구비되어야하는 ‘자동형 석고형틀’(원반형과 사각형)과 자동형 석고형틀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다브’(황토구이 판의 형태를 제작하는 기능인 헤드가 안착하도록 하는 역할용구)와 ‘헤드’(황토불판의 형태 성형하는 기능의 용구)를 제작하여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U?R-52?53?54형, 유압형 롤러 머신)에 정밀 부착하여 일체화시킨 ‘진공토련기계’(반죽된 40 메시 이상 황토를 진공 및 이물질 제거 기능 용구)로 진공 토련한 ‘황토 진흙’(수분함량 15%이하)를 1.2 Kg정도 분량을 석고형틀에 넣어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를 가동하여 황토구이 판 형태성형 한다. 석고형틀에 형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이 담겨진 상태인 석고형틀을 다브에서 탈착하여 15분 이상 건조시키면 석고형틀 속의 형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이 미량수축하고 미량 수축된 황토구이 판을 자동형 석고형틀에서 탈착하기까지의 단계이다.
2.환기구멍?집개구멍 천공 단계.
황토구이 판에 환기구 뚫는 과정은 석고형틀에서 탈착한 10% 정도 수분 함유한 젖은 상태의 형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을 천공기계(유압식 펀칭기계로 천공 헤드 침과 천공 받침대 1조를 장치한 상태에서 상부의 천공 침이 상하운동 으로 젖은 상태의 황토구이 판에 천공하는 용도의 기능을 함)로 도면과 같이 천공 공정까지의 단계이다.
3. 황토구이 판 정형 단계.
상기한 2단계를 통과한 젖은 상태의 형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을 천공구멍과 형태 변형을 수정하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제공품을 세련되게 하는 공정까지의 단계이다.
4. 황토구이 판 건조 단계.
제공품 상태의 황토구이 판 정형단계를 통과한 건조 시에 바람이 없는 건물 내부에서 자연건조하며, 건조실내 습도에 따라 24?72시간 건조하여야 한다. 제공품 상태인 황토구이 판이 충분한 건조 상태가 아니면 다음단계인 소성단계에서 예열파손이 발생 불량의 원인이 되는 단계이다.
5.황토구이 판 소성 단계.
완전한 자연건조단계를 거친 제공품 상태인 황토구이 판은 마지막 제품화 단계인 소성단계로써 소성은 세부적으로 3가지 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제1공정인 예비소성 공정은 소성 가마 온도가 650까지 점증적이고 서서히(예열파손 방지하기 위함) 10분 이상 온도를 가열하는 공정으로 이 공정의 특징은 제공품 상태의 황토구이 판의 절대적인 수분을 증발시킴과 제공품이 예비적 소성이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고 10분 미만의 시간이면 제공품은 예열파손으로 불량의 원인이 되며 제공품은 “퍽!”, “퍽!” 예열파손(예열파)의 소리가 청취가능하다.
제2 공정은 본 소성 공정으로 소성 가마 온도가 1.060(황토 자화 온도)까지 점증적이고 서서히(구이판 내부까지 충분히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 1시간 이상 온도를 가열하며 이 공정의 특징은 제공품 상태의 황토구이 판이 자화 직전의 온도로 도기나 자기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마지막 제3공정은 냉각 소성 공정으로 소성 가마 온도가 실내 상온까지 점증적이고 서서히(구이판 내부의 열까지 충분히 열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 온도를 낮추어야 하는데 인위적으로 급한 냉각 경우 “쨍!”, “쨍!”하는 냉각 파손(냉파)의 약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제조방법에 따라 각 제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완료하면 음식점 고기 구이 로스터 용도의 황토구이 판이 완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로스용 황토구이 판 사용 시 음식점 실내 기름 냄새가 없으므로 실내가 청결하며, 인체나 의류에 기름 냄새가 없으며, 구이고기는 냄새?연기발생?타는 현상?수분증발로 딱딱한 현상이 현격히 감소 되며 원적외선에 의한 익힘으로 식어도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 구이판은 1회사용 후 세척과 수차례 사용 시엔 재 코팅하여야만 하고 한 번 구이 할 때 2개 이상의 구이판을 교체 사용해야만 하고 화학 세제로 세척하여 수질?대기오염이 가속되었고 인체에 발암성 물질이 함유된 구이를 먹어야 했으므로 구이문화의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인 황토구이 판은 사용 후 그냥 버려도 자연에 해가 없으므로 환경오염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사회적 편익에 기여하는 이점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도 자연히 해결된다.
[색인어]
로스터용 황토구이 판,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 로라 머 신, U?R-52형, U?R-53형, U?R-54형, 유압식 성형 롤러 머 신, 석고형틀, 다 브, 헤드, 진공 토련 기계, 천공기계, 천공 헤드 침, 천공 받침대, 통기구멍, 구이판 집개구멍, 도자기 소성 가마, 예열파손, 냉각 파손, 황토 자화 온도

Description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THE ROASTER LOESS-PLATE AND THAT MANUFACTERING METHOD}
본 발명은 음식점 로스터용 황토구이 판과 그 황토구이 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분야 기술은 한지, 도자기 세라믹, 주석, 황동, 철재,비철금속류, 대나무 목재, 석재 등 재질의 다양성과 음식점에 기존 설치된 고기구이용 로스터 부대설치물로 인한, 로스구이 판 크기 및 구이판 형태?모양의 다양성을 원인한 제약성으로 고기구이용 로스 설치물 교체의 비경제성을 원인한 로스터 구이판의 반복사용의 비위생성, 곤란성, 기존 구이판은 1회사용 후 세척과 수차례 사용 시엔 재 코팅하여야만 하고 한 번 고기 구울 때 2?3개 이상의 구이판을 교체해야만 하여 세척 시 수질?대기오염이 가속되었고 인체에 발암성 물질이 함유된 구이를 먹어야 했으므로 구이판의 한계점으로 구이문화의 저변확대에 제약이 있는 것이 그 현실이었다.
본 발명으로 기존의 고기구이 판은 반복사용으로 인한 불청결성(비위생성), 구운 고기가 발암물질을 함유하는 점, 기존 구이 판의 코팅약품이 구운 고기에 베어 나오는 점, 고기구울 때 발암성 연기가 발생되는 점, 고기구울 때 고기가 타서 구이 판을 반복 교체해주어야 하는 점, 이로 인해 구이 판을 반복 교체하는 종업원의 인건비가 과중한 점, 구이 연기와 기름 냄새가 고객 의류에 남는 점, 업소 실내가 고기기름과 연기 냄새로 불결한 점, 구이 판 세척으로 인한 수질오염 등 본 발명은 그 문제점을 개선함과 종래의 구이 판이 지닌 제약성이 해소되었음과 구이판 교체 없이 한 개의 황토구이 판을 사용하므로 그 용이성과 시간적 효율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황토구이 판을 사용하여 고기를 구울 경우 중간 열로 가열하므로 연료비가 절감되고, 원적외선 발생으로 고기가 익혀지므로 유해물질 발생을 억제?차단하고, 황토구이 판 1개만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으므로 고기가 익혀질 때까지 구이판 교체가 불필요하여 인건비가 절감되며, 고기가 타거나 딱딱해지는 것이 없으며, 고객의 의류나 음식점 실내가 청결하고, 바퀴벌레 등의 해충의 서식이 줄어 실내가 위생적이고, 연기가 발생 되지 않으므로 발암성 유해물질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황토구이 판은 중간 열로 가열하므로 기존에 비해 30%정도 연료비가 절감되고, 원적외선으로 고기가 구워지므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고, 황토구이 판 1개만으로 고기를 구울 수 있고 고기가 구워진 후 타지 않으므로 구이 판 교체가 불필요하여 자재비?인건비가 절감되며, 구이가 타거나 딱딱해지지 않고 육질이 부드럽고 육즙이 많으며, 구울 때 연기가 없어, 고객의 의류나 음식점 실내가 청결하고, 바퀴벌레등의 해충이 줄어 실내가 위생적이고, 연기가 없어 발암성 유해물질로부터 보호되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
도 1
은 상부에서 본 이미지이며
도 2
은 뒷면(밑면 , 바닥면) 이미지이고,
도 3
는 측면(단면) 이미지이다.
본 발명의 황토구이 판 제조는 아래의 순서로 크게 5단계(A)⇒ (B)⇒ (C)⇒ (D)⇒ (E)로 구성되며 본 발명인 황토구이 판 제작순서는
(A) 황토구이 판 형태성형 제작단계로써; 세밀한 신중성이 요구된다.
(a) 먼저 자동형 석고형틀을 제작해야하는데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완제품 수축률 7%?9%로 계산(석고형틀은 7%?9% 크게 제작)하고 황토구이 판 건조 시에 균열(크랙) 방지하기 위해 Ø2 c m 내외 원을 석고형틀 바닥에 음각하는 것과 황토구이 판 뒤쪽(불 닿는 면, 하단 면)은 구이판 중심부분을 향해 허브형태(HUB,자전거 바퀴살 모양)로 물결형태(불상 좌대 연꽃모양, 꽃잎 모양)의 두께를 달리하도록 석고형틀 바닥 면에 조각된 석고형틀을 제작한다.
(b) 상기한 (a)가 고려되어 제작된 석고형틀을 가지고 제작된 석고형틀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다브’(황토구이 판의 형태를 제작하는 기능인 헤드가 안착하도록 하는 역할용구)와 ‘헤드’(황토 불판의 형태 성형하는 기능의 용구)를 제작한다.
(c) 상기한 (b)의 다브와 헤드를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U?R-52?53?54형, 유압형 롤러 머신)에 정밀 부착하여 일체화시킨다.
(d) 다른 한편, 진공토련기계(반죽된 40 메시 이상 황토를 진공 및 이물질 제거 기능 용구)로 황토 진흙을 통과시켜 진공상태의 황토 진흙을 준비한다.
(e) 상기 (d)의 과정을 거친 황토 진흙을 상기한 (a)의 석고 형틀 속에 1.2kg정도 넣고 상기한 (b)의 다브에 석고형틀을 올려놓고 상기한 (c)의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U?R-52?53?54형, 유압형 롤러 머신)를 500 RPM 이상 회전속도로 압력을 가하도록 가동하면 황토구이 판 형태성형이 완료된다.
(f) 상기 (e)의 과정을 거친 석고형틀(속에 형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이 담겨있는 상태로)을 다브에서 탈착한다.
(g) 상기 (f)의 과정을 거친 석고형틀 속의 성형된 황토구이 판(0.1%이상 수축하면)을 자동형 석고형틀에서 탈착 분리한다.
(B) 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구이 판 집개구멍 천공 제작하는 단계이다.
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과 구이판 집개구멍 천공과정은 석고형틀에서 탈착한 진흙 상태의 형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을 천공기계(유압식 펀칭기계에 천공 헤드 침과 천공 받침대 1조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의 천공 침이 상하 수직운동으로 젖은 상태의 황토구이 판에 천공하는 용도의 기능을 함)로 도면과 같은 황토구이 판에 천공하는 과정까지의 단계이다.
(a) 상기(A)의 (g)의 과정을 거친 성형된 황토구이 판을 천공기계의 천공받침대위에 구이판 뒤쪽(불 닿는 면, 하단 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구이판을 뒤집어서)올려 놓는다.
(b) 상기(a)의 과정 후 물결형태(불상 좌대 연꽃모양)가 만나는 홈(골) 부분에 허브형태(HUB,자전거 바퀴살 모양)로 일자형 통기구멍 16개(천공 폭 5 m m, 홈 길이 35mm)와 구이판 가장자리 쪽에 마주하도록 일자형 구이판 집개구멍 2개(폭 10 m m, 길이 40 m m)가 장착된 천공 침 헤드를 상하 수직운동으로 작동시켜 황토구이 판에 구멍 18개를 천공한다.
(C) 황토구이 판 정형단계이다.
상기(B)의 (b)의 과정을 거친 천공된 황토구이 판의 천공부위 주변의 표면이 거친 부분(그대로 두면 균열의 원인 점이 되므로)을 매끄럽게 하고, 변형된 모양을 수정하는 단계이다.
(D) 황토구이 판 건조단계이다.
상기(C)의 과정을 거친 황토구이 판은 건조 시에 바람 없는 서냉한 건물 내부에서 자연건조 하여야 하며, 건조실 내 습도에 따라 황토구이 판 건조는 환경에 따라 24?72시간 건조하여야 한다. 제공품 상태인 황토구이 판이 충분한 건조 상태가 아니면 다음 단계인 소성단계에서 예열파손이 발생 불량의 원인이 된다.
(E) 황토구이 판 소성단계이다.
완전한 자연건조단계를 거친 제공품 상태인 황토구이 판은 마지막 제품화 단계인 소성은 세부적으로 3가지 소성온도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제1공정인 예비소성 공정은 소성 가마 온도가 650℃까지 점증적이고 서서히(예열파손 방지하기 위함) 10분 이상 온도를 가열하는 공정으로 이 공정의 특징은 제공품 상태의 황토구이 판 자체의 절대적인 수분을 증발시킴과 제공품이 예비적 소성이 되도록 준비하는 것이 목적이고 10분 미만의 시간이면 제공품은 예열파손으로 불량의 원인이 되며 제공품은 “퍽!”, “퍽!” 예열파손(예열파)의 소리가 청취가능하다.
제2 공정은 본 소성 공정으로 소성 가마 온도가 1.060℃까지 점증적이고 서서히(구이판 내부까지 충분히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 3시간 이상 온도를 가열하며 이 공정의 특징은 제공품 상태의 황토구이 판이 자화(황토 흙이 재로 변화되는 온도) 직전의 온도로 도기나 자기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정이다.
마지막 제3공정은 냉각 소성 공정으로 소성 가마 온도가 실내 상온까지 점증적이고 서서히(황토구이 판 내부의 열까지 충분히 열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 온도를 낮추어야 하는데 인위적으로 급한 냉각 경우 “쨍!”, “쨍!”하는 냉각 파손(냉파)의 약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제조방법에 따라 각 제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완료하면 음식점 로스구이용도의 황토구이 판이 완성되는 것이다.
[ 실시 예 1]
석고형틀 속에 진공 토련된 1.2 kg 분량의 황토 진흙을 넣고 성형기계인 자동성형 기계(일명 ‘로라 머신’)를 가동하여 황토구이 판 형태 성형하여 진흙상태의 황토구이 판이 미량수축하면 석고형틀에서 황토구이 판을 탈착 분리하고 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집개구멍을 천공기계를 수직 상하 작동시켜 천공한 후 젖은 상태의 황토구이 판 변형과 균열을 방지하도록 정형한 후, 황토구이 판을 바람 없고 볕이 없는 실내에서 자연 건조 후 건조가 완료되면 도자기 소성 가마에서 황토구이 판이 1,060온도에서 3 시간 이상 소성과정을 마치면 황토구이 판이 완성된다.(도 1, 도 2, 3 참조)

Claims (7)

  1. 음식점 로스용 황토구이 판 제작방법에서
    (A)자동형 석고형틀 제작단계로써;
    (a)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완제품 수축율 7%?9%로 계산(석고형틀은 7%?9% 크게 제작)하여 자동형 석고형틀을 제작하는 방법;
    (b)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자동형 석고형틀 내부 바닥 중심부에 황토구이 판 건조 시에 균열(크랙) 방지하기 위해 Ø2 cm내외 원을 자동형 석고형틀 바닥에 음각하여 제작하는 방법;
    (c)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자동형 석고형틀 내부 바닥에 황토구이판 뒤쪽 (불 닿는 면, 하단 면)이 황토구이판 중심부분을 향해 허브형태(HUB,자전거 바퀴살 모양)로 물결형태(불상 좌대 연꽃모양, 꽃잎 모양)를 두께가 달라지도록 만들어야하므로 자동형 석고형틀 내부바닥 면에 중심부분을 향해 허브형태(HUB,자전거 바퀴살 모양)로 물결형태를 조각하여 석고형틀 제작하는 방법;
    (d)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두께가 5 m m ? 20 m m가 되도록 자동형 석고형틀을 제작하는 방법;
    (e)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구이 접촉면의 가운데(중앙부)가 볼록하게(바닥(뒷)면이 오목하게) 자동형 석고형틀을 제작하는 방법;
    (f)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가장자리(테두리, 전 부분)쪽이 라운드로 볼록하게(바닥(뒷)면이 오목하게) 자동형 석고형틀을 제작하는 방법;
    (g)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형태가 “원형”Ø 300 m m 이상이 되도록 석고형틀을 제작하는 방법;
    (h)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에서 황토구이 판 형태가 “직사각형”300mm * 350mm 이상이 되도록 석고형틀 제작하는 방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형 석고형틀 제작방법.
  2. (B) 황토구이 판 성형제조 단계로써;(도 1 )
    (a) 황토구이 판 제조 방법에서 “석고형틀을 사용하여 진흙상태 황토구이 판을 성형제조”하는 방법;
    (b) 황토구이 판 제조 방법에서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U?R-52?53?54형, 유압형 롤러 머신)”을 사용하여 진흙상태 황토구이 판을 성형 제조하는 방법;
    (c) 청구항 1의(e)항에서 황토구이 판 가운데(중앙부)가 볼록하게 헤드를
    제작함과 아울러 헤드에 양각된 원과 음각된 원을 각각 4개를 조각하여 (구이 시에 헤드 오목 원은 고기 미끄럼 방지, 헤드 볼록 원은 기름 배출로 역할) 황토구이 판을 성형제조 방법;(도 1, 2,3 참고)
    (d) 상기 청구항 2의 (c)항에서 헤드 제작을 황토구이 판 가장자리 (테두리, 전 부분)쪽이 라운드로 볼록하게(바닥(뒷)면이 오목하게) 제작 방법;(도 1,2,3 참조)
    (e) 황토구이 판 제조방법에서“석고형틀과 도자기 자동형 성형기계(U?R-52?53?54형, 유압형 롤러 머신)를 함께 사용”하여 진흙상태 황토구이 판을 성형 제조하는 방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이 판 제작방법.
  3. 자동형 석고형틀 속의 형태 “성형한 황토구이 판 탈착 시에 형태성형 후 1 시간 이내의 젖은 상태(진흙 상태)에서 형태 성형한 황토구이 판을 탈착”하는 제조기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이 판 제작 방법.
  4. (C)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구이 판 집개구멍 천공 제작하는 단계로써;
    (a)젖은 상태(진흙 상태)의 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을 천공하는 제조기법; (b)통기구멍 천공 시에 물결형태(불상 좌대 연꽃모양)가 만나는 홈(골) 부분에 허브형태 (HUB, 자전거 바퀴 살 모양)로 일자형 통기구멍 16개(천공 폭 5 m m, 홈 길이 35mm)를 천공 침이 있는 천공 침 헤드가 장착된 천공기계를 상하 수직운동으로 작동시켜 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을 천공하여 황토구이 판 제작 방법;
    (c)황토구이 판에 구이판 집개구멍 천공하는 제조기법;
    (d)집개구멍 천공 시에 황토구이 판 가장자리 쪽에 구멍이 마주보도록 구이 판에 일자형 집개구멍 2개(폭 10 m m, 길이 40 m m)를 천공 침이 있는 천공 침 헤드가 장착된 천공기계를 상하 수직운동으로 작동시켜 황토구이 판에 구이판 집개구멍을 천공하여 황토구이 판 제조 방법;
    (e)황토구이 판에 “통기구멍?구이 판 집개구멍이 있는 황토구이 판” 제조 방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이 판 제작방법.
  5. 정형된 진흙상태의 황토구이 판을 건조 시에 바람 없는 서냉한 건물 내부에서 “자연 건조하는 방법으로 건조하는” 황토구이 판 제작 방법; 을 포함하여 이 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이 판 제조방법.
  6. 진흙상태 황토구이 판 제조에서 황토구이 판을 도자기 “소성 가마에서 950℃?1,060(황토 자화 온도)로 소성”하여 제작 방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이 판 제작방법.(도 1 ,도 2,도 3 참고)
  7. 상기 [청구항 2],[청구항 3],[청구항 4]에서 황토구이 판 제조에서 진흙(습식)으로 황토구이 판 제조방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구이판 제작방법
KR1020110052685A 2011-06-01 2011-06-01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3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85A KR20120133821A (ko) 2011-06-01 2011-06-01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85A KR20120133821A (ko) 2011-06-01 2011-06-01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21A true KR20120133821A (ko) 2012-12-11

Family

ID=4751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85A KR20120133821A (ko) 2011-06-01 2011-06-01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8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316A (ko) 2013-11-12 2015-05-20 윤윤섭 보크사이트를 이용한 청자 불판의 제조방법
CN107490548A (zh) * 2016-06-13 2017-12-19 立邦涂料(中国)有限公司 一种快速测定石膏砂浆泛黄性的方法
KR102364983B1 (ko) 2021-08-27 2022-02-17 천향순 도기 제작을 위한 한국형 자사토 가공방법 및 가공된 한국형 자사토를 이용한 차 도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316A (ko) 2013-11-12 2015-05-20 윤윤섭 보크사이트를 이용한 청자 불판의 제조방법
CN107490548A (zh) * 2016-06-13 2017-12-19 立邦涂料(中国)有限公司 一种快速测定石膏砂浆泛黄性的方法
KR102364983B1 (ko) 2021-08-27 2022-02-17 천향순 도기 제작을 위한 한국형 자사토 가공방법 및 가공된 한국형 자사토를 이용한 차 도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3821A (ko) 로스터 황토구이 판 및 그 제조방법
CN102372480B (zh) 一种建水紫陶饰品的制作方法
KR101733978B1 (ko) 커피 찌꺼기가 함유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CN103271597B (zh) 一种大规格陶瓷寄花和彩绘装饰的镜框生产方法
KR101069748B1 (ko) 구이용 황토가마 제작공정 및 장치
KR100969267B1 (ko)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072768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황토 숯 구이판의 제조방법
KR100879812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요업제품 제조방법
KR20060013010A (ko) 도자기 제조방법
KR200387526Y1 (ko) 현무암 열처리 기념품
KR101092559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186722B1 (ko) 도자기 캔버스 제조방법 및 도자기 캔버스
KR20100059620A (ko) 고기 구이판
CN104482552B (zh) 一种炉排的制造工艺及其用于烧烤的炉排
KR10082151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비대칭 도자기의 성형방법
WO2006019228A1 (en) Clay fry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403459B2 (ja) 左官積層品及びその左官積層品の製造方法
KR200337193Y1 (ko) 황토 고기구이판
KR100778290B1 (ko) 세라믹 코디에라이트 또는 세라믹 탄화규소를 이용한 고기구이 판 또는 피자 베이킹 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08490A (ko) 황토 구이판과 그의 제조방법
KR200418995Y1 (ko) 대나무를 이용한 황토구이기
JP3141803U (ja) 焼肉用陶網
JP3063582U (ja) 魚焼器
KR100679955B1 (ko) 코팅흡착성형부를 가지는 곱돌과 그의 제조방법
KR101589638B1 (ko) 죽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