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194A -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194A
KR20120133194A KR1020110051735A KR20110051735A KR20120133194A KR 20120133194 A KR20120133194 A KR 20120133194A KR 1020110051735 A KR1020110051735 A KR 1020110051735A KR 20110051735 A KR20110051735 A KR 20110051735A KR 20120133194 A KR20120133194 A KR 20120133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kill
aging
traditional liquo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695B1 (ko
Inventor
정진남
Original Assignee
정진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남 filed Critical 정진남
Priority to KR1020110051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9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증류한 알콜분 순도 30% 원액 5L당 비수리(야관문) 250g, 음양곽 50g, 육종용 30g, 죽여 30g의 비율로 첨가하여 15℃ 전후에서 햇빛을 차단하고 2개월간 1차 숙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숙성된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여 밀봉한 후, 1개월 이상 2차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 따르면, 약리효능이 있는 전통주에 죽여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죽여의 영양 성분인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 섭취가 용이하고, 제조 즉시 밀봉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며, 용기를 재활용하지 않아 위생상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TRADITIONAL WINE USING BAMBOO}
본 발명은 전통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 목 화본(벼)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식물의 총칭으로서, 약리 효과가 있는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어 포도상구균이나 녹농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단맛을 느끼게 하는 수크로오스 성분과 같은 유익한 각종 구성당이 고르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이나 ‘동의보감’에 따르면, 중풍, 심장질환, 파상풍, 발한, 구토, 소담, 이뇨, 당뇨(혈당증가), 두통, 현기증, 신경쇠약, 임신 빈혈, 간질, 불면, 과다음주, 종양, 해열(解熱), 주독, 유산,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나무 속껍질을 의미하는 죽여는, 해열(解熱), 량혈(凉血), 진구(鎭嘔), 번열(煩熱), 구토(嘔吐), 토혈(吐血), 번조(煩躁), 소아(小兒)의 열간(熱癎)에 약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대나무의 약리 효능으로 인하여 국내외에 대나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나무 통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나무 통술은 대나무 통에 소주를 충전(보관)하여 죽여 성분이 추출되도록 한 것에 불과하여, 약리 활성 물질은 거의 함유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숙성 및 보관 과정에서 공기와의 잦은 접촉으로 인하여 쉽게 변질될 우려가 있어 유통기한이 매우 짧다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입구가 좁아서 세척과 건조가 힘든 대나무 통을 수차례 재사용하기 때문에 위생 상태가 매우 불량하며, 대나무 통 내부에 곰팡이나 이물질로 인해 식중독이 유발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통주에 약리 효능이 있는 죽여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죽여의 약리 성분인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 섭취가 용이하고, 제조 즉시 밀봉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며, 대나무 통을 재활용하지 않아 위생상 안전을 증대시킨,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은,
(1) 증류한 알콜분 순도 30% 원액 5L당 비수리(야관문) 250g, 음양곽 50g, 육종용 30g, 죽여 30g의 비율로 첨가하여 15℃ 전후에서 햇빛을 차단하고 2개월간 1차 숙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숙성된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여 밀봉한 후, 1개월 이상 2차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과 상기 단계 (2) 사이에, 1차 숙성된 숙성 액을 광목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2)에서,
상기 1차 숙성 액이 주입되는 대나무는, 수확된 지 15일 이내이며, 수확 후 햇빛을 차단한 장소에 보관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기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고, 주입 시 만들어진 주입구는 파라핀으로 밀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 따르면, 약리효능이 있는 전통주에 죽여를 직접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죽여의 영양 성분인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 섭취가 용이하고, 제조 즉시 밀봉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며, 용기를 재활용하지 않아 위생상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대나무 통 속으로 1차 숙성 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은, 알콜분 순도 30% 원액 5L당 비수리 250g, 음양곽 50g, 육종용 30g, 죽여 30g의 비율로 첨가하여 15℃ 전후에서 햇빛을 차단하고 2개월간 숙성하는 1차 숙성 단계(S100), 1차 숙성 단계(S100)를 통해 숙성된 1차 숙성 액을 광목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여과 단계(S200), 및 여과 단계(S200)를 통해 여과된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여 밀봉한 후, 1개월 이상 추가로 숙성하는 2차 숙성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서는, 알콜분 순도 30% 원액에 미리 지정된 비율로 비수리, 음양곽, 육종용, 죽여를 첨가하여 일정 조건 하에서 1차 숙성하고, 이렇게 1차 숙성된 숙성 액을 여과한 후 대나무에 주입하여 밀봉 상태로 추가로 2차 숙성함으로써, 죽여의 영양 성분인 페놀성분, 아미노산, 유기산 섭취가 용이하고,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며, 용기를 재활용하지 않아 위생상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100에서는, 알콜분 순도 30% 원액 5L당 비수리 250g, 음양곽 50g, 육종용 30g, 죽여 30g의 비율로 첨가하여 15℃ 전후에서 햇빛을 차단하고 2개월간 1차 숙성한다. 이와 같이, 단계 S100의 1차 숙성 단계에서는, 죽여 이외에 비수리, 음양곽, 육종용이 알콜분 순도 30% 원액에 미리 지정된 비율로 함께 첨가된다.
비수리는, 야관문(夜關門), 천리광(千里光), 대력왕(大力王), 사퇴초(蛇退草)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 곳곳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장미 목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국외로는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5~6월에 개화하여 흰색, 또는 연한 붉은빛을 띠고, 9월에 연회색의 작고 둥근 열매를 맺으며, 키는 60~100cm이다. 특히, 양기부족, 음위증, 조루, 백일해, 기침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양곽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으로서, 풀강전(剛前), 건계근(乾鷄筋), 기장초(棄杖草), 방장초(放杖草),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선령비(仙靈脾), 천량금(千兩金), 황련조(黃連祖)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30cm 가량이며, 줄기 윗부분은 3개의 가지로 갈라지고, 가지 끝마다 3개의 잎이 달린다. 최음, 강장, 강정, 거풍의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음위(陰謄), 신경쇠약, 건망증, 히스테리, 발기력 부족 등에 사용된다.
육종용은, 열당과(列當科)에 속한 다년생 육질의 기생 초본으로서, 대운(大蕓), 육송용(肉松蓉), 종용(縱蓉), 지정(地精), 흑사령(黑司令), 흑사명(黑司命) 등으로도 불린다. 혹처럼 생겼으며, 껍질이 솔방울같이 비늘 모양을 하고 있다. 양기를 보충하며, 장이 건조하여 생긴 변비, 신양 부족의 요통, 다리가 연약하고 무력한 증세, 이명, 건망, 유정, 유노, 불임, 대하, 하복부 냉증, 대출혈, 발한, 변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비수리 250g, 음양곽 50g, 육종용 30g과 죽여 30g을 알콜분 순도 30% 원액 5L에 첨가하여 2개월간 1차 숙성하는데, 숙성 시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숙성이 가속화되어 부패되므로, 15℃ 전후에서 햇빛을 차단하여 암냉소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200에서는, 1차 숙성 단계(S100)를 통해 숙성된 1차 숙성 액을 고밀도 광목을 이용하여 여과한다. 1차 숙성 액의 경우 찌꺼기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본 단계를 통해 맑은 숙성 액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광목은 방적(紡績)한 생지사(生地絲)를 써서 짠 무명천을 말하는데, 고밀도의 광목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맑은 숙성 액을 얻을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여과 단계(S200)를 통해 여과된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여 밀봉한 후, 1개월 이상 추가로 2차 숙성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S300과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에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대나무 통 속으로 1차 숙성 액을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00의 2차 숙성 단계에서는, 단계 S100 또는 단계 S200에서 얻어진 1차 숙성 액을 주사기(20)를 사용하여 대나무 통 속으로 주입한다. 주사기 바늘의 주입 시 만들어진 주입구(통공)(30)는 파라핀으로 밀봉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대나무(10)는 수확된 지 15일 이내로서, 수확 후 햇빛을 차단한 장소에서 보관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나무(10)는 한마디씩 절단하여 상하에 격판(40)이 구성되도록 하고, 격판(40) 사이의 공간은 숙성 액을 보관하는 숙성실(50)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대나무 20; 주사기
30: 주입구(통공) 40: 격판
50: 숙성실
S100: 혼합 및 1차 숙성 단계
S200: 여과 단계
S300: 2차 숙성 단계

Claims (4)

  1.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으로서,
    (1) 증류한 알콜분 순도 30% 원액 5L당 비수리(야관문) 250g, 음양곽 50g, 육종용 30g, 죽여 30g의 비율로 첨가하여 15℃ 전후에서 햇빛을 차단하고 2개월간 1차 숙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을 통해 숙성된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여 밀봉한 후, 1개월 이상 2차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과 상기 단계 (2) 사이에, 1차 숙성된 숙성 액을 광목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2)에서,
    상기 1차 숙성 액이 주입되는 대나무는, 수확된 지 15일 이내이며, 수확 후 햇빛을 차단한 장소에 보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기 1차 숙성 액을 대나무에 주입하고, 주입 시 만들어진 주입구(통공)는 파라핀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KR1020110051735A 2011-05-30 2011-05-30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KR101218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35A KR101218695B1 (ko) 2011-05-30 2011-05-30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35A KR101218695B1 (ko) 2011-05-30 2011-05-30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94A true KR20120133194A (ko) 2012-12-10
KR101218695B1 KR101218695B1 (ko) 2013-01-11

Family

ID=4751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35A KR101218695B1 (ko) 2011-05-30 2011-05-30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6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7460A (zh) * 2014-12-20 2015-04-29 广西大学 一种温补强体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4800593A (zh) * 2015-04-28 2015-07-29 广西大学 一种补肾的中药酒
CN105012626A (zh) * 2015-07-07 2015-11-04 中国人民解放军第一五二中心医院 康肾口服液制备方法
CN105018315A (zh) * 2015-08-10 2015-11-04 陈怀章 一种竹筒酒的生产方法
KR20190138944A (ko) * 2018-06-07 2019-12-17 강명희 야관문 담금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4131B (zh) * 2013-03-26 2015-01-14 浙江塔牌绍兴酒有限公司 一种生产有竹香味白酒的方法
CN103173341B (zh) * 2013-03-26 2014-12-24 浙江塔牌绍兴酒有限公司 一种生产有竹香味黄酒糟烧的方法
CN108524671A (zh) * 2018-06-04 2018-09-14 陕西省安康市蚕种场 一种保健滋补药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347A (ko) * 1995-05-06 1996-12-19 강대주 대롱주 제조 방법
KR100406745B1 (ko) * 2001-04-30 2003-11-20 이성철 대나무를 이용한 민속주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7460A (zh) * 2014-12-20 2015-04-29 广西大学 一种温补强体的药酒及其制备方法
CN104800593A (zh) * 2015-04-28 2015-07-29 广西大学 一种补肾的中药酒
CN105012626A (zh) * 2015-07-07 2015-11-04 中国人民解放军第一五二中心医院 康肾口服液制备方法
CN105018315A (zh) * 2015-08-10 2015-11-04 陈怀章 一种竹筒酒的生产方法
KR20190138944A (ko) * 2018-06-07 2019-12-17 강명희 야관문 담금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695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695B1 (ko) 죽여를 이용한 전통주 제조방법
CN102329708A (zh) 一种竹筒酒及其制备方法
CN102217688A (zh) 一种金花普洱茶的制作方法
KR101139032B1 (ko) 꾸지뽕 식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식초
CN104312846A (zh) 一种木瓜酒及其制备方法
CN104031798B (zh) 一种荷叶发酵饮料酒的生产方法
CN103509677A (zh) 一种地稔保健果酒
CN104673608A (zh) 一种辣木保健酒的制备方法
KR101190165B1 (ko) 울금을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CN104726288A (zh) 枸杞沙棘冰酒的制备方法
CN104946451A (zh) 一种李子酒及其制备方法
KR101284668B1 (ko) 뼈 강화 효능을 가지는 생 약재를 포함하는 전통주 제조방법
CN1613998A (zh) 一种竹酒的生产方法
KR20090124734A (ko) 기능성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946452A (zh) 一种枇杷酒及其制备方法
CN106085697B (zh) 一种发酵型枸杞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451081A (zh) 一种稔杞果酒的制作方法
CN107815378A (zh) 一种竹酒及其制备方法
CN103271355B (zh) 含活性成分人参健康食品及其生产方法
KR101162874B1 (ko) 포도 아이스 와인의 제조방법
CN110655999A (zh) 一种改善酒口感的保鲜防腐剂及其制备方法
CN105062741A (zh) 一种水蜜桃山葡萄酒及其制备方法
CN103509700A (zh) 一种冬凌茶酒的生产方法
KR20010054464A (ko) 솔잎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0361633B1 (ko) 생대나무를 이용한 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