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912A -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912A
KR20120132912A KR1020110051310A KR20110051310A KR20120132912A KR 20120132912 A KR20120132912 A KR 20120132912A KR 1020110051310 A KR1020110051310 A KR 1020110051310A KR 20110051310 A KR20110051310 A KR 20110051310A KR 20120132912 A KR20120132912 A KR 2012013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ode
emitting unit
ligh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용
김동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912A/ko
Priority to US13/426,993 priority patent/US20120306859A1/en
Publication of KR2012013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기반으로 현재 설정된 다중 표시 모드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다중 표시 모드의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과정, 상기 각각 다르게 제어된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기반으로 표시부에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의 구성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Apparatus For Multi-Mode Display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여 2D 및 3D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3D 화상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각각의 눈으로 장면의 상이한 원근을 보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즉 하나의 화면에 2개의 상이하게 편광된 화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각각의 눈에 해당하는 편광 필터를 착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한편 3D 화상을 구현하는 방법 중에는 3D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2D 디스플레이와 연계한 개구 또는 슬릿 어레이를 이용하여, 복합시차지각 방식(autostereoscopic)의 디스플레이 또는 3D 디스플레이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복합시차지각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방식의 근간은 화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슬릿 어레이를 통해 2D 화상을 보는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눈으로 2D 화상의 상이한 부분을 본다는 원리에 있다. 이때 적절한 화상이 렌더링되어 2D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눈에 필터를 쓸 필요도 없이 상이한 원근 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양안시차 방식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방식이 이용될 수 도 있다. 상기 복합시차지각 방식 및 양안시차 방식은 각각 무안경 3D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3D 디스플레이 방식에서의 광원 제어는 2D 디스플레이 방식과 동일한 광원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종래 표시 장치는 3D 디스플레이 방식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지만 적절한 광원 제어가 수행되지 않아서 2D와 3D 사이에서 표류하는 부적절한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3D 영상 제공을 위한 방법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안경 방식의 3D 디스플레이 지원을 위하여 단말기의 광원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설정된 다중 표시 모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발광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기반으로 현재 설정된 다중 표시 모드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다중 표시 모드의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과정, 상기 각각 다르게 제어된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기반으로 표시부에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2D 영상과 3D 영상에서의 광원 제어를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2D와 3D 간의 차이가 분명한 영상을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외관 중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2D 모드 및 3D 모드 구동에 요구되는 전원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부들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표시 모드 지원이 가능한 단말기의 외관 일체 중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40), 저장부(150), LDI(170), 발광 구동부 예를 들면 LED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40)는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부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제1 발광 구동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제2 발광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LED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발광 구동부는 LED 구동부(130)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발광 구동부는 제1 LED(141)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제1 LED 구동부(171)가 될 수 있으며, 제2 발광 구동부는 제2 LED(142)를 구동하기 위한 제2 LED 구동부(130)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발광부 및 발광 구동부 등은 LED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는 3D 모드 운용 시 각각의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교번적으로 턴-온/턴-오프하도록 제어하며, 2D 운용 시 동시 턴-온/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3D 모드 운용 시 보다 분명한 입체 영상 표시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10)는 형성된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한 데이터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10) 운용에 필요한 화면 또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표시부(1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다중 모드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입력부(12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2D 모드 세팅을 위한 입력 신호와 3D 모드 세팅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LED 구동부(130)는 표시부(140)에 포함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턴-온 및 턴-오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는 2D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제1 전원 값을 기준으로 동시 턴-온 및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는 3D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제2 전원 값을 기준으로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 값은 제1 전원 값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어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45), 패널 구동부(146), FPCB(147),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145)은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45) 일측에는 표시 패널(145)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146)가 배치된다. 패널 구동부(146)는 FPCB(147)를 통하여 제어부(160)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146)는 표시 패널(145)에 출력될 데이터를 FPCB(147)를 통하여 제어부(16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해당 표시 패널(145)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패널 구동부(146)는 2D 모드 또는 3D 모드 설정에 따라 서로 구분되는 신호를 제어부(16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LED 구동부(130)에 전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패널 구동부(146)는 2D 모드 세팅 시 LED 구동부(130)에 동일한 신호 즉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동시 턴-온 및 동시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구동부(146)는 3D 모드 세팅 시 LED 구동부(130)에 교번 신호 즉 제1 LED(141) 턴-온하는 동안 제2 LED(142)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제2 LED(142)를 턴-온하는 동안 제1 LED(141)를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구동부(146)는 3D 모드 세팅 시 2D 모드 세팅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제1 LED 구동부(130) 및 제2 LED 구동부(130)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모드 세팅 시 2D 모드 세팅의 표시 패널(145) 구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원 공급 예를 들면 높은 전류 공급이 요구된다. 즉 3D 모드 세팅에서는 표시 패널(145) 상에 슬릿 어레이를 통하여 일부의 광만이 편향적으로 출력되고 또한 제1 LED(141) 및 제2 LED(142)가 교번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2D 모드 세팅 때와 같은 LED 광원이 동일하게 제공된다면 화면이 기준치 이하로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3D 모드 세팅에서는 2D 모드 세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 공급을 수행하여 LED 광원의 조도를 높임으로써 일정 기준치의 화면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표시 패널(145)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45)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143)과 도광판(143)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43)에 광을 제공하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서 조사된 광을 표시 패널(145)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 예를 들면 도광판(143)과 표시 패널(145)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즘 시트나, 도광판(143)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감싸는 램프 하우징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도시한 도면은 본 발명의 광원 제어와 관련된 구성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들을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LED(141) 및 제2 LED(142)는 LED 구동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턴-온/턴-오프될 수 있으며, 또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조사되는 광원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LED(141) 및 제2 LED(142)는 상기 도광판(143)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광원을 도광판(143)의 측면에서 도광판(143) 내측으로 조사한다.
상기 도광판(143)은 상기 제1 LED(141) 및 제2 LED(142)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표시 패널(145) 방향으로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광판(143)은 상기 제1 LED(141)로부터 조사된 광을 일으키기 위한 패턴 및 제2 LED(142)로부터 조사된 광을 일으키기 위한 패턴을 동시 구비하거나, 두 장의 도광판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장의 도광판(143)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1 방향으로 진입하는 제1 LED(141) 광을 일으키는 패턴과 제2 방향으로 진입하는 제2 LED(142) 광을 일으키는 패턴이 도광판(143)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두 장의 도광판 구조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도광판은 각각의 LED로부터 조사된 광을 일으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두 장의 도광판은 적층될 수 있으며, 제1 LED(141) 및 제2 LED(142) 역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각각의 도광판에 광을 조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표시부(140)에 출력될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터치 락 부분 해제 영역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드 지원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중 모드 지원 프로그램은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고, 설정된 상태에 따라 표시 패널(145)의 영상 출력 모드를 제어하는 루틴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다중 모드 지원 프로그램은 디폴트로 2D 영상을 출력하도록 지원하거나 3D 영상을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루틴, 설정된 모드에 따라 표시 패널(145)의 슬릿 어레이 등을 제어하는 루틴, 설정된 모드에 따라 표시 패널(145)의 LED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루틴은 현재 설정된 모드 확인 서브루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동시 턴-온/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서브루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기 설정된 값의 전원 공급량으로 교번적으로 턴-온/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서브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은 2D 모드에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LDI(170)는 LED 구동부(13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광원 제어를 위한 전원 공급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LDI(170)는 단말기(100)의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제어하여 표시 패널(145)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각 구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 제어에 필요한 신호 제어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2D 모드 세팅 또는 3D 모드 세팅에 관한 입력 신호 발생을 확인하거나, 디폴트로 설정된 모드 세팅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2D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LED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 도 4의 401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01 파형도는 2D 모드 세팅 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 각각 공급되는 전원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전원 공급 타이밍을 일치시켜서 동일한 주기 동안 턴-온되도록 제어하며 또한 동일한 주기 동안 턴-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전원 공급 타이밍에서 턴-온 및 턴-오프 기간은 표시 패널(145) 구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표시부(140)가 2D 모드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가 턴-오프 기간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가 2D 모드로 구동되는 상황에서 슬립 모드 등으로 전환되는 경우 표시부(140)에 공급되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는 동일 주기에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401 파형도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가 표시부(140) 데이터 출력에 따라 동일 주기 동안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3D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LED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 도 4의 403 파형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03 파형도는 3D 모드 세팅 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 각각 공급되는 전원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403 파형도를 참조하면, 제1 LED(141)가 턴-온 주기를 가지는 동안 제2 LED(142)는 턴-오프 주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LED(141)에서 조사되는 광과 제2 LED(142)에서 조사되는 광은 시간적으로 일정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서 각각 일정 시간 차이를 가지고 턴-온 및 턴-오프됨으로써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슬릿 어레이를 통하여 표시 패널(145)에서 방출되는 광이 교번됨으로써 무안경 3D 영상 구현을 보다 분명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403 파형도에 도시된 파형의 진폭 즉 전원 공급량은 보다 명확한 영상 출력을 위한 광 지원을 위하여 401 파형도에 도시된 파형의 진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턴-온 및 턴-오프 변환 경계 영역에서는 일정 가드 영역이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제1 LED(141)가 턴-온에서 턴-오프된 후 일정 시간 갭을 가지고 제2 LED(142)가 턴-온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턴-온/턴-오프 경계 영역에서의 시간차 갭은 제1 LED(141)를 통하여 광이 조사되는 타이밍과 제2 LED(142)를 통하여 광이 조사되는 타이밍 간의 시간차 갭으로 전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LED(141)를 통한 화면 출력과 제2 LED(142)를 통한 화면 출력 간의 시간차를 보다 분명히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무안경 3D 영상 방식에서 영상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턴-온 및 턴-오프되는 시간차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반응 속도 및 표시부(140)의 크기 등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표시부(140)에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2D 모드 운용 시기와 3D 모드 운용 시기에 각각 다르게 운용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모드에 따라 영상 구현을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외관과 각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구동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 운용을 위하여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을 위하여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배터리 또는 충전기를 연결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여 각 구성을 초기화한다. 초기화가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501 단계에서와 같이 대기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입력부(120)로부터 생성되는 입력 신호 및 터치스크린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생성된 입력 신호에 따라 503 단계에서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제어부(160)는 505 단계에서 현재 표시부(140)가 2D 모드 세팅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D 모드 세팅은 활성화되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의해 결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특정 사용자 기능은 3D 모드로 자동 세팅되거나 2D 모드로 자동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사용자 기능의 다중 표시 모드 설정 값을 확인하여 사용자 기능이 어떠한 모드로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2D 모드로 또는 3D 모드로 자동 세팅되어 있는 사용자 기능이라 하더라도 사용자는 다른 모드 즉 3D 모드로 또는 2D 모드로 세팅 변경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 지시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다중 표시 모드 설정 값을 기반으로 모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505 단계는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세팅된 사용자 기능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또는 2D 모드 또는 3D 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505 단계에서 표시부(140) 운용이 2D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요구되는 화면을 2D 모드에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507 단계로 분기하여 2D 모드에 따른 발광부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에 마련된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동시 턴-온하고 동시 턴-오프하도록 LED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 구동을 위한 신호를 표시부(140)의 패널 구동부(146)에 전달하게 됨에 따라, 패널 구동부(146)가 상기 제1 LED(141) 및 제2 LED(142)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LED 구동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LED(141) 및 제2 LED(142)는 각각 도광판에 광을 조사하게 되고, 제1 LED(141) 및 제2 LED(142)에서 동시 조사된 광이 도광판을 통하여 표시 패널(145)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505 단계에서 표시부(140) 운용이 2D 모드 설정이 아닌 경우, 즉 3D 모드로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3D 모드 세팅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509 단계로 분기하여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요구되는 화면을 3D 모드에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0)에 포함된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턴-온 주기가 서로 교번되도록 LED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LED(141)가 제1 주기 동안 턴-온되는 경우 제2 LED(142)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LED(141)가 제2 주기 동안 턴-오프되는 경우 제2 LED(142)는 턴-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기와 제2 주기 사이에는 제3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차 갭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3 주기 동안에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가 모두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주기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의 턴-온 및 턴-오프 시점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LED(141)가 턴-온되는 동안 제2 LED(142)가 턴-오프되기 때문에 단말기(100)는 제1 LED(141)에서 발생하는 광으로 표시 패널(145)을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LED(141)와 제2 LED(142)가 동시 턴-온되는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조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제1 LED(141) 및 제2 LED(142)를 3D 모드에서 운용하는 동안에는 2D 모드에서 제1 LED(141) 및 제2 LED(142)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보다 3D 모드를 위한 공급되는 전원을 크기를 크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 구동 방법은 3D 모드 구현을 수행하면서도 비정상적인 조도 저하를 방지하여 화면 밝기를 기 설정된 값이 되도록 유지하면서 3D 모드에 따른 영상 구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활성화된 기능 종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해당 사용자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즉 현재 활성화된 사용자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 505 단계로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이전에 설정된 다중 표시 모드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변화된 모드 지원을 위한 표시부(140)의 발광부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3D 모드 운용 시 표시부(140)의 무안경 3D 방식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슬릿 어레이를 이용하는 무안경 3D 방식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광원 제어 기술은 무안경 3D 방식 중 패러랙스 베리어 기반의 3D 방식이나, 렌티큘러 렌즈 기반의 3D 방식에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3D 모드 구현이 가능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30 : LED 구동부 171 : 제1 LED 구동부
172 : 제2 LED 구동부 170 : LDI
140 : 표시부 141 : 제1 LED
142 : 제2 LED 143 : 도광판
145 : 표시 패널 146 : 패널 구동부
147 : FPCB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19)

  1.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설정된 다중 표시 모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발광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구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발광부는 상기 도광판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패널 구동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부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제1 발광 구동부;
    상기 제2 발광부의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제2 발광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발광부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발광 구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2 발광부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발광 구동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는
    상기 다중 표시 모드 중 2D 모드 세팅 시 동시 턴-온 및 동시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는
    상기 다중 표시 모드 중 3D 모드 세팅 시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시간 공유 기반 3D 모드에 따른 입체 영상 구현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는
    상기 제1 발광부가 제1 주기 동안 턴-온되는 동안 상기 제2 발광부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발광부가 제2 주기 동안 턴-오프는 동안 상기 제2 발광부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 사이에 제3 주기 동안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는 동시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동부는
    상기 다중 표시 모드 중 2D 모드 지원을 위해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보다 3D 모드 지원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더 크게 설정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현재 설정된 다중 표시 모드의 설정 값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다중 표시 모드의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제어 과정;
    상기 각각 다르게 제어된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기반으로 표시부에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부의 표시 패널 구동을 위한 패널 구동부에 전달하는 과정;
    상기 패널 구동부가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의 전원 공급을 위해 마련된 발광 구동부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다중 표시 모드 중 2D 모드 세팅 시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동시 턴-온 및 동시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다중 표시 모드 중 3D 모드 세팅 시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를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의해 구현되는 영상은
    시간 공유 기반 3D 모드에 따른 입체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제1 발광부가 제1 주기 동안 턴-온되는 동안 상기 제2 발광부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
    상기 제1 발광부가 제2 주기 동안 턴-오프는 동안 상기 제2 발광부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제1 주기와 상기 제2 주기 사이에 제3 주기 동안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가 동시 턴-오프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다중 표시 모드 중 2D 모드 지원을 위해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2 발광부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보다 3D 모드 지원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를 더 크게 설정하여 공급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20110051310A 2011-05-30 2011-05-30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20132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10A KR20120132912A (ko) 2011-05-30 2011-05-30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US13/426,993 US20120306859A1 (en) 2011-05-30 2012-03-22 Terminal for supporting multi-display m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10A KR20120132912A (ko) 2011-05-30 2011-05-30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912A true KR20120132912A (ko) 2012-12-10

Family

ID=4726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310A KR20120132912A (ko) 2011-05-30 2011-05-30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306859A1 (ko)
KR (1) KR201201329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6324A (zh) * 2013-02-25 2014-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以及包含该背光模组的显示装置
CN103298217A (zh) * 2013-06-26 2013-09-11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可表示多种工作状态的led提示灯系统
CN206757205U (zh) * 2017-04-01 2017-12-15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三维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3449B2 (en) * 2006-09-20 2010-11-30 Apple Inc.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JP5256552B2 (ja) * 2006-07-10 2013-08-0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及び駆動方法
JP5243439B2 (ja) * 2006-10-06 2013-07-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自動立体3dディスプレイ装置用の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lcdデバイス用の走査式バックライト
KR101406795B1 (ko) * 2007-05-30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이 가능한 백라이트를 이용한 풀해상도의2차원/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00034873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JP2011118302A (ja) * 2009-12-07 2011-06-16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表示装置、シャッターメガネ、及び、表示システム
KR101366964B1 (ko) * 2009-12-30 2014-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24412B1 (ko) * 2010-05-06 201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491192B1 (ko) * 2010-05-06 2015-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328808B1 (ko) * 2010-05-13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705368B1 (ko) * 2010-08-11 2017-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TWI459797B (zh) * 2010-12-23 2014-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可切換2d/3d模式的顯示系統及其顯示方法
TWI450250B (zh) * 2012-03-28 2014-08-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顯示裝置之背光模組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06859A1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9465B (zh) 控制装置及方法、显示装置及控制方法、图像显示系统
JP5810540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306648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834439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24014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e as well as electronic apparatus
JP594880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483968B1 (en)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JP2004264338A (ja) 画像表示装置
US20140085183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8111285B2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2017535042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その駆動方法と、液晶表示装置
KR20150070874A (ko) 안경형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20169778A1 (en) 3d glasses with adjusting device for allowing user to adjust degrees of crosstalk and brightness and related 3d display system thereof
CN102610200B (zh) 背光模块及其控制方法以及应用该背光模块的显示装置
JP5803193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120132912A (ko) 다중 표시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구동 방법
JP5742270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2215666A (ja) 画像表示装置、これ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装置
JP5932807B2 (ja) 3d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る3dディスプレイ装置とその駆動方法
WO2016015414A1 (zh) 背光模组、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9035924B2 (en) Shutter glasses and image display system
JP6004053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04094150A (ja) 画像表示装置
JP5975145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