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765A -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765A
KR20120131765A KR1020110050171A KR20110050171A KR20120131765A KR 20120131765 A KR20120131765 A KR 20120131765A KR 1020110050171 A KR1020110050171 A KR 1020110050171A KR 20110050171 A KR20110050171 A KR 20110050171A KR 20120131765 A KR20120131765 A KR 20120131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indow
identifier
display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761B1 (ko
Inventor
김호년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761B1/ko
Priority to PCT/KR2012/001625 priority patent/WO2012161411A1/en
Priority to EP12789419.4A priority patent/EP2712483B1/en
Priority to CN201280025894.9A priority patent/CN103563392B/zh
Priority to US13/420,994 priority patent/US8896530B2/en
Publication of KR20120131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제어부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 및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 윈도우를 표시한다. 수신부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리모컨으로부터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는 커플링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수신한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하고,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윈도우와 제2 리모컨을 커플링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Display device,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기기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기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기 위하여, 오늘날 멀티미디어 장치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장치에 비하여 고성능화, 다기능화되었고, 인터넷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및 전자앨범 서비스 등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도 다양화되었다.
다만, 종래의 디스플레이기기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하나의 리모컨으로 제어하기를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커싱시키고, 그 후 리모컨 상에 원하는 키를 눌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2명 이상의 사용자가 각자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는 동시에 조작할 수 없었고, 본인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은 때를 기다려 그로부터 리모컨을 넘겨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 다른 리모컨을 이용하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은, 디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윈도우에 커플링된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하는 단계, 제2 리모컨으로부터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는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윈도우와 상기 제2 리모컨을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리모컨으로 커플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리모컨으로부터 승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낙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커플링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포커싱된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달된 식별자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에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에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와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커플링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 테이블에서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2 위치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사전에 설정된 윈도우 배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영역 중에서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는,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 및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리모컨으로부터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는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하고, 상기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윈도우와 상기 제2 리모컨을 커플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리모컨으로 커플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리모컨으로부터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커플링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된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식별자를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달된 식별자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와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커플링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 테이블에서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명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더 실행하고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2 위치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사용자가 선택한 윈도우 배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영역 중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위치 또는 사전에 정의된 윈도우 배치 모드에 따라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므로, 방송 프로그램 시청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새로운 리모컨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애플리케이션과의 커플링 기능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 다른 리모컨을 이용하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이 전송하는 신호의 포맷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윈도우 배치를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정의된 영역들에 표시된 윈도우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윈도우 배치를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정의된 영역들에 표시된 윈도우들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윈도우 배치를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윈도우 배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윈도우 배치 형태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윈도우 배치 형태에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순서가 변경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화면에 복수의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커플링 수행 확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의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의 다른 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커플링 테이블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명령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명령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플링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플링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기기(10) 및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0)는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기기(1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디지털 TV 같은 고정형 가전기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기(10) 및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은 하나의 제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기기(10) 및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은 개별 제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다.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은 각각 디스플레이기기(10)와 커플링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은 리모컨을 통해 디스플레이기기(10)를 제어할 수 있게 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은 각각 커플링 키(21), 커플링 키(22) 및 커플링 키(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커플링 키(21)를 누르는 사용자 조치를 취하면,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은 상기 사용자 조치에 대한 응답으로 커플링 신호를 디스플레이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리모컨(20, 30, 40)은 하나는 메인 리모컨일 수 있다. 메인 리모컨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과의 커플링 없이 포커싱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이다. 여기서 리모컨과 애플리케이션의 커플링은 리모컨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게 된 상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과 커플링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별도의 포커싱 전환 없이 커플링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이 전송하는 신호의 포맷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모컨 전송 신호(200)는 식별자 필드(210) 및 키값 필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 전송 신호(200)는 커플링 신호 및 명령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신호는 키값 필드(220)에 커플링을 지시하는 키값이 포함된 것이고, 명령 신호는 키값 필드(210)에 디스플레이기기(10)가 수행할 명령 또는 동작을 지시하는 키값이 포함된 것이다. 예를 들면, 명령 신호는 포커스 전환 신호, 승낙 신호 및 거부 신호일 수 있다. 포커스 전환 신호는 포커싱된 윈도우를 다른 윈도우로 전환하는 명령을 지시하는 키값을 포함한다. 승낙 신호는 특정 동작의 실시를 지시하는 키값을 포함하고, 거부 신호는 특정 동작의 실시를 거부하는 키값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로, 승낙 신호 및 거부 신호는 선택을 지시하는 키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기기(10)는 승낙 신호(또는 거부 신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GUI 상에 선택된 소프트 버튼을 기초로 수행할 명령을 검색할 수 있다.
식별자 필드(210)는 리모컨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장치 아이디(Device ID), 시리얼 번호 및 페어링 과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일 수 있다. 페어링 과정은 RF신호를 사용하는 리모컨과 디스플레이기기(10)과의 통신연결설정과정으로서 디스플레이기기(10)와 리모컨 사용 간에 RF 통신을 위한 식별정보가 생성 및 저장하는 과정이다. 식별정보는 RF 통신을 위한 Net ID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일 수 있다.
키값 필드(220)는 키값을 포함한다. 여기서 키값은 특정 코드값으로 디스플레이기기(10)가 수행할 명령 또는 동작을 지시한다. 즉 디스플레이기기(10)는 전송된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코드값은 디스플레이기기(10)의 동작 또는 명령과 매핑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기기(10)는 리모컨 전송 신호(10)에 포함된 키값과 매핑된 동작 또는 명령을 검색하고, 검색한 동작 또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컨 상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를 취한 경우에, 리모컨은 식별자 필드(210)에 식별자를 포함시키고, 키값 필드(220)에 상기 눌러진 버튼에 할당된 키값을 포함시킨 후, 리모컨 전송 신호(200)를 디스플레이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 리모컨 전송 신호는 추가적인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10)는 수신부(101), 신호 처리부(140), 디스플레이(150), 음성 출력부(160), 입력장치(170), 저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기기(10)는 촬영 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01)는 방송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정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01)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이동통신부(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 신호 수신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방송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고, 이동통신부(115)는 2G 통신망, 3G 통신망, 4G 통신망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신호 수신부(130)는 컴퓨터, USB메모리, 기록 매체 재생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복조부(120)가 출력한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에 신호 처리(영상 디코딩 및 음성 디코딩)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로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60)로 음향(161)을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40)는 이동통신부(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 신호 수신부(135)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방송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영상(152)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디스플레이기기의 사용자와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의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15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윈도우는 메인 윈도우 및 서브 윈도우를 포함한다. 메인 윈도우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윈도우 중에서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된 윈도우이고, 서브 윈도우는 나머지 윈도우를 의미한다.
음성 출력부(160)는 신호 처리부(140) 및 제어부(19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재생된 음향(161)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디스플레이(150) 상에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일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복수의 리모컨(20, 30, 40)으로부터 리모컨 전송 신호(200)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101)가 리모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일 수 있다. 즉 외부 신호 수신부(135)는 복수의 리모컨(20, 30, 40)으로부터 리모컨 전송 신호(200)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기기(1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수신부(101)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 및 디스플레이기기(10)의 제조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HTML, XML, HTML5, CSS, CSS3, 자바스크립트, 자바, C언어, C++, Visual C++ 및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디스플레이기기(1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디스플레이기기(1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8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기기(1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수신된 리모컨 전송 신호(200)에 포함된 키값과 매핑되는 명령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18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단일 칩, 다수의 칩, 또는 다수의 전기 부품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단일 목적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 기타 등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아키텍처가 제어부(19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 조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디스플레이기기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제스처(171)를 수신하고, 제어부(190)는 제스처(171)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게다가, 저장부(180)는 운영 체제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은 일반적으로 제스처(171)의 발생을 인식하고 그 제스처(171) 및/또는 제스처(171)에 응답하여 무슨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게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모컨(400)은 통신부(410), 사용자 입력부(420), 센서부(430), 출력부(440), 전원공급부(450), 저장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리모컨(20), 리모컨(30) 및 리모컨(40)은 리모컨(400)일 수 있다.
통신부(410)는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모듈로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디스플레이기기(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규격은 지그비(Zigbee), 불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랜(Wireless Lan)일 수 있다. 통신부(410)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컨 전송 신호(200)를 상기 통신규격으로 디스플레이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리모컨(4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리모컨 전송 신호(200)를 생성하고 생성한 리모컨 전송 신호(200)가 전송되도록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20)를 조작하여 리모컨(400)으로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사용자 입력부(200)가 입력받은 명령과 연관된 키값을 키값 필드(220)에 포함하여 리모컨 전송 신호(200)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부(430)는 자이로 센서(431) 및 가속도 센서(43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31)는 리모컨(400)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31)는 리모컨(400)의 움직임을 x, y, z축을 기준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기초로 공간 벡터를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공간 벡터를 지시하는 정보는 리모컨 전송 신호(200)의 키값 필드(220)에 포함될 수 있고, 리모컨 전송 신호(200)에 추가된 별도의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리모컨(400)의 이동속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이동속도를 지시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센싱 정보는 리모컨 전송 신호(200)의 키값 필드(220)에 포함될 수 있고, 리모컨 전송 신호(200)에 추가된 별도의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리모컨(400)은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센서는 디스플레이기기(1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된 거리 는 리모컨 전송 신호(200)의 키값 필드(220)에 포함될 수 있고, 리모컨 전송 신호(200)에 추가된 별도의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출력부(440)는 사용자 입력부(42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전자 장치(12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40)는 사용자 입력부(420)가 조작되거나 통신부(410)를 통하여 전자 장치(12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4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50)는 리모컨(4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50)는 리모컨(4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50)는 리모컨(4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디스플레이기기(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프로그램 데이터, 식별자 및 키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리모컨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 아이디(Device ID), 시리얼 번호 및 페어링 과정을 통해 생성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식별자는 리모컨 전송 신호(200)의 식별자 필드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60)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리모컨(400)은 상기 저장된 정보가 지시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디스플레이기기(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는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 및 페어링 주파수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 과정에서 페어링을 요청하는 제1 RF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RF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인 제2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관리용 주파수 채널이 이용될 수 있고, 페어링 주파수 채널은 페어링 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기기(10) 및 리모컨(400) 간의 RF 신호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윈도우 배치를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의 배치를 정의하는 배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 설계자가 상기 윈도우가 어떻게 배치되는 지를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배치 코드에 정의된 영역에 상기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 코드는 XML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배치 코드는 XML 이외의 HTML, HTML5, CSS, CSS3, 자바스크립트, 자바, C언어, C++, Visual C++ 및 C# 등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
'name' 은 윈도우의 명칭을 의미하고 'x_pos'는 윈도우가 표시될 수평 좌표 및 'y_pos'는 윈도우가 표시된 수직 좌표를 의미하며, 'width'는 윈도우의 가로 길이 및 'heigh'는 윈도우의 높이를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배치 코드의 기준 해상도는 1920×1080이다.
broadcast 윈도우는 좌표(1, 1)가 지시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고, 가로 길이는 1280 픽셀 길이이고, 높이는 1080 픽셀 길이를 갖는다.
browser 윈도우는 좌표(1281, 1)가 지시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고, 가로 길이는 640 픽셀 길이이고, 높이는 810 픽셀 길이를 갖는다.
came 윈도우는 좌표(1281, 811)이 지시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고, 가로 길이는 640 픽셀 길이이고, 높이는 270 픽셀 길이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배치 코드의 가로 길이와 높이는 픽셀 길이로 나타냈지만, 상기 가로 길이 및 높이는 미터법에 따라 나타낼 수도 있고, 화면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대한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정의된 영역들에 표시된 윈도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애플리케이션의 배치 코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치 코드가 지시하는 위치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윈도우는 배치 코드가 지시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화면의 해상도와 배치 코드의 기준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배치 코드가 지시하는 위치에 상기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의 해상도와 배치 코드의 기준 해상도의 비에 따라 배치 코드가 지시하는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된 위치에 상기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치 코드의 기준 해상도와 화면의 해상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배치 코드가 지시하는 위치를 상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화면(600)은 1920×1080의 해상도를 갖는다. 따라서 화면(600)의 해상도는 도 5에 도시된 배치 코드의 기준 해상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0)는 broadcast 윈도우를 배치 코드(510)가 지시하는 영역(610)에 디스플레이하고, browser 윈도우를 배치 코드(520)가 지시하는 영역(620)에 디스플레이하며, came 윈도우를 배치 코드(530)가 지시하는 영역(63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은 윈도우 배치를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복수의 프로세스로 실행될 수 있고, 복수의 프로세스의 실행화면은 각각 개별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배치코드는 상기 프로세스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의 개수 및 각 윈도우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 설계자는 상기 윈도우 얼마나 배치될 수 있을지 여부를 배치코드에 정의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 코드는 XML로 정의된다. 여기서 배치 코드는 XML 이외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의될 수 있다.
'Number of windows'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윈도우의 개수를 의미한다. 'Number of windows'는 3이므로 세 개의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name' 은 윈도우의 명칭을 의미하고 'x_pos'는 윈도우가 표시될 수평 좌표 및 'y_pos'는 윈도우가 표시된 수직 좌표를 의미하며, 'width'는 윈도우의 가로 길이 및 'heigh'는 윈도우의 높이를 의미한다. 도 6에 도시된 배치 코드의 기준 해상도는 1920×1080이다.
browser1 윈도우는 좌표(1, 1)가 지시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고, 가로 길이는 1280 픽셀 길이이고, 높이는 1080 픽셀 길이를 갖는다.
browser2 윈도우는 좌표(1281, 1)가 지시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고, 가로 길이는 640 픽셀 길이이고, 높이는 810 픽셀 길이를 갖는다.
browser3 윈도우는 좌표(1281, 811)이 지시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고, 가로 길이는 640 픽셀 길이이고, 높이는 270 픽셀 길이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배치 코드의 가로 길이와 높이는 픽셀 길이로 나타냈지만, 상기 가로 길이 및 높이는 미터법에 따라 나타낼 수도 있고, 화면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대한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정의된 영역들에 표시된 윈도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browser 애플리케이션을 처음으로 실행하고, 배치 코드(710)가 지시하는 영역(810)에, 처음으로 실행된 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인 browser1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browser 애플리케이션을 두 번째로 실행하고, 배치 코드(720)가 지시하는 영역(820)에, 두 번째로 실행된 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인 browser2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browser 애플리케이션을 세 번째로 실행하고, 배치 코드(730)가 지시하는 위치(830)에, 세 번째로 실행된 browser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인 browser3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800)에는 browser1 윈도우(810), browser2 윈도우(820) 및 browser3 윈도우(830)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browser1 윈도우(810)는 메인 윈도우일 수 있고, browser2 윈도우(820) 및 browser3 윈도우(830)는 서브 윈도우일 수 있다.
도 9는 윈도우 배치를 정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치 코드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고, 복수의 위치 중 제1 위치에 다른 윈도우가 존재하는 여부를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위치 중 제2 위치에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정의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위치 중 제1 위치에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도 9의 배치 코드에서 제1 위치는 (1,1)이고, 제2 위치는 (1281, 1)이다. 제어부(190)는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첫 if문(910)을 수행하여 browser 윈도우가 위치(1,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두 번째 if문(920)을 수행하여 browser 윈도우가 위치(1281, 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10)는 사전에 윈도우의 배치를 지정할 수 있고, 사전에 지정된 방식에서도 윈도우가 서로 겹치거나 충돌 없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는 방송 시청에 지장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은 윈도우 배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화면에 메뉴(100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가 화면에 Setting menu(1010)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setting menu(10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부(190)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메뉴 아이템으로 sub Window Layout Menu(102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가 화면에 sub Window Layout Menu(1020)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sub Window Layout Menu(1020)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 제어부(190)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메뉴 아이템으로 mode 01(1031), mode 02(1032), mode 03(1033)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ode 01(1031), mode 02(1032) 및 mode 03(1033)는 각각 윈도우 배치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mode 01(1031), mode 02(1032) 및 mode 03(1033)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취하여, 선택한 메뉴 아이템이 지시하는 윈도우 배치 모드로 윈도우 배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에서 윈도우 배치 모드를 지시하는 메뉴 아이템을 세 개로 예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메뉴 아이템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윈도우 배치 형태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윈도우 배치 모드는 윈도우 배치 모드(1110), 윈도우 배치 모드(1120) 및 위도우 배치 모드(1130)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뉴 아이템 mode 01(1031), mode 02(1032) 및 mode 03(1033)는 각각 윈도우 배치 모드(1110), 윈도우 배치 모드(1120) 및 위도우 배치 모드(1130)와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가 mode 01(1031)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윈도우가 윈도우 배치 모드(1110)가 지시하는 형태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제1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를 영역(111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제어부(190)는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 윈도우를 영역(111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제어부(190)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를 영역(111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윈도우 배치 형태에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윈도우 배치 모드(1210), 윈도우 배치 모드(1220) 및 윈도우 배치 모드(1230)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순서 정보는 각 영역에 표시된 숫자일 수 있다. 윈도우 배치 모드(1210)에서는 영역(1211), 영역(1212), 영역(1213) 순으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윈도우 배치 모드(1220)에서 영역(1221), 영역(1222), 영역(1223), 영역(1224), 영역(1225), 영역(1226), 영역(1227), 영역(1228), 영역(1229) 순으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배치 모드(1230)에서 영역(1231), 영역(1232), 영역(1233), 영역(1234), 영역(1235) 순으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순서가 변경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윈도우 배치 모드(1210), 윈도우 배치 모드(1220) 및 윈도우 배치 모드(1230)의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는 윈도우 배치 모드(1310), 윈도우 배치 모드(1320) 및 윈도우 배치 모드(1330)의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윈도우 배치 형태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경우에, 지시자를 이동시키며 해당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하여, 상기 선택한 순서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윈도우 배치 모드(1210)에서, 사용자가 영역(1312), 영역(1313), 영역(1311)의 순서로 지시자를 이동하며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한 경우에, 제어부(190)는 순서 정보를 윈도우 배치 형태(1310)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윈도우 배치 형태(1310)에 따라 윈도우가 영역(1312), 영역(1313), 영역(1311)의 순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화면에 복수의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에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메인 윈도우(14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 제어부(190)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서브 윈도우를 화면(1400)의 영역(14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서브 윈도우(1420)는 디스플레이 시점에서 포커싱 윈도우가 될 수 있다. 즉 서브 윈도우(1420)가 디스플레이되면, 포커싱 윈도우는 메인 윈도우(1410)에서 서브 윈도우(1420)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서브 윈도우(1420)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리모컨(30)으로부터 컨플링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리모컨(30)과 서브 윈도우(1420)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인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커플링된다. 사용자는 리모컨(30)을 이용하여 별도의 포커싱 전환 없이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커플링 수행 확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새로운 윈도우(1530)가 디스플레이될 때, 화면(1500)에 커플링 수행 확인 메시지(15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커플링 수행 확인 메시지(1540)는 새로운 리모컨으로 커플링을 할 것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1541)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하면, 제어부(190)는 승낙 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버튼(1542)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하면, 제어부(190)는 거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은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의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커플링 수행 확인 메시지(1540)에 대한 응답으로 승낙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승낙 신호 감지에 응답하여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6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640)는 새로운 리모컨과 커플링될 윈도우를 선택하라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리모컨(20)을 이용하여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할 수 있다. 메인 리모컨(20)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한다.
또한 포커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1650)가 화면(160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1650)를 통해 화면(1600)에서 포커싱된 윈도우가 윈도우(1630)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7은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의 다른 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화면(1700)에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7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740)는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640)가 디스플레이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740)는 커플링될 리모컨의 커플링 키를 누를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커플링 수행 안내 메시지(1740)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는 새로운 리모컨의 커플링 키를 누르는 사용자 조치를 행할 수 있다. 새로운 리모컨은 상기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커플링 신호를 디스플레이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전송된 커플링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90)는 상기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커플링 신호를 전송한 리모컨과 도 16에서 포커싱된 윈도우(1630)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을 커플링한다.
도 18은 커플링 테이블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커플링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커플링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연관시켜 커플링 테이블(180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는 프로세스 고유 아이디(PID)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커플링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를 커플링될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커플링될 애플리케이션은 전달된 식별자를 자신에게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9는 명령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기기(1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1920, 1930, 1940)을 실행하고, 화면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1920, 1930, 1940)의 실행화면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리모컨(1910)은 명령 신호(1915)를 디스플레이기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명령 신호(1915)는 리모컨(1910)의 식별자 및 디스플레이기기(10)의 동작 또는 명령을 지시하는 키값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신호(1915)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컨 전송 신호(200)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송된 명령 신호(1915)에 포함된 식별자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커플링 테이블(1800)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검색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1920)으로 명령 신호(1915)를 전송할 수 있다. 명령 신호(1915)는 이벤트로 애플리케이션(1920)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1920)은 명령 신호(1915)의 키값을 애플리케이션(19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키값은 이벤트로 애플리케이션(192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20은 명령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기기(1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020, 2030, 2040)을 실행하고, 화면에 복수의 애플리케이션(2020, 2030, 2040)의 실행화면을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리모컨(2010)은 명령 신호(2015)를 디스플레이기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명령 신호(2015)는 리모컨(2010)의 식별자 및 디스플레이기기(10)의 동작 또는 명령을 지시하는 키값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신호(2015)는 도 2에 도시된 리모컨 전송 신호(200)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송된 명령 신호(2015)에 응답하여 명령 신호(2015)를 애플리케이션(2020), 애플리케이션(2030) 및 애플리케이션(2040)으로 전송한다. 명령 신호(2015)는 이벤트로 애플리케이션들에 전달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20)은 명령 신호(2015)에 포함된 식별자와 애플리케이션(2020)에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자(2025)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2020)은 명령 신호(2015)를 폐기한다. 동일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2020)은 명령 신호(2015)에 포함된 키값이 지시하는 동작 또는 명령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2030)은 명령 신호(2015)에 포함된 식별자와 애플리케이션(2030)에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자(2035)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2030)은 명령 신호(2015)를 폐기한다. 동일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2030)은 명령 신호(2015)에 포함된 키값이 지시하는 동작 또는 명령을 수행한다.
애플리케이션(2040)은 명령 신호(2015)에 포함된 식별자와 애플리케이션(2040)에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식별자(2045)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2040)은 명령 신호(2015)를 폐기한다. 동일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2040)은 명령 신호(2015)에 포함된 키값이 지시하는 동작 또는 명령을 수행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7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한다(S100).
제어부(190)는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을 로드한다(S110). 여기서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세스가 생성되며, PCB(Process Control Block)에 상기 생성된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배치코드를 확인한다(S120). 여기서 제어부(190)는 배치코드를 실행하여 배치코드가 지시하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배치코드는 도 5,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배치코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배치코드가 지시하는 영역에 단계S120에서 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S130).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입력장치(17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수신한다(S200).
제어부(190)는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을 로드한다(S210). 여기서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세스가 생성되며, PCB(Process Control Block)에 상기 생성된 프로세스의 프로세스 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190)는 설정된 윈도우 배치 모드를 확인한다(S220). 여기서 윈도우 배치 모드는 도 10에 도시된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배치 모드는 도11에 도시된 윈도우 배치 형태들(1110, 1120, 1130)을 지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설정된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제1 위치는 윈도우 배치 모드에 포함된 순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설정된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제2 위치에 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40). 여기서 제어부(190)는 제2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제3 위치에 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제1 위치에 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250).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플링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0)는 메인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S300).
디스플레이(150)는 제1 서브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S305). 여기서 제1 서브 윈도우는 도 21에서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도 22에서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커플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10).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도 15에 도시된 메시지(1500)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승낙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5). 여기서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거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모컨은 메인 리모컨일 수 있다.
승낙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의 식별자를 제2 서브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S320).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50)는 커플링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25).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도 16에 도시된 메시지(1600)일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메시지(1700)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30).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한다(S335). 여기서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된 후, 사정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디스플레이(150)는 도 17에 도시된 메시지(17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제2 리모컨으로부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한다(S340). 일부 실시예로, 수신부(101)가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기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커플링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를 포커싱된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한다(S345).
식별자를 전달받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식별자를 자신에게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S350).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커플링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0)는 메인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S400).
디스플레이(150)는 제1 서브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S405). 여기서 제1 서브 윈도우는 도 21에서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도 22에서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커플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10).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도 15에 도시된 메시지(1500)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승낙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15). 여기서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거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모컨은 메인 리모컨일 수 있다.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50)는 커플링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20).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도 16에 도시된 메시지(1600)일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메시지(1700)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25).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한다(S430). 여기서 포커스 전환 신호가 수신된 후, 사정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디스플레이(150)는 도 17에 도시된 메시지(17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제2 리모컨으로부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한다(S435). 일부 실시예로, 수신부(101)가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된 커플링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 및 포커싱된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연관시켜 커플링 테이블에 저장한다(S440). 여기서 커플링 테이블은 도 18에 도시된 커플링 테이블(1800)일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입력장치(170)는 리모컨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S500). 일부 실시예로, 수신부(101)가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된 명령 신호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에 전달한다(S510). 여기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복수개 일 수 있고, 각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도 21에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도 22에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 애플리케이션은 전달된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저장된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520). 여기서 각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스 스케줄링에 따라 실행(running) 상태일 때 상기 전달된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저장된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달된 명령 신호를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식별자는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것일 수 있고, 도 23에서 전술된 윈도우 커플링 방법에 따라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명령 신호에 포함된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530).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입력장치(170)는 리모컨으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S600). 여기서 디스플레이기기(1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복수개일 수 있고, 각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도 21에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 또는 도 22에 전술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수신부(101)가 상기 커플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커플링 테이블(1800)에서 검색한다(S610). 여기서 커플링 테이블은 도 18에 도시된 커플링 테이블(1800)일 수 있다. 또한 커플링 테이블은 도 24에 전술된 윈도우 커플링 방법에 따라 리모컨의 식별자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검색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명령 신호를 전달한다(S620).
제어부(190)는 검색한 애플리케이션이 전달된 명령 신호에 포함된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63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에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윈도우에 커플링된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하는 단계;
    제2 리모컨으로부터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는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윈도우와 상기 제2 리모컨을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모컨으로 커플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리모컨으로부터 승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승낙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커플링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포커싱된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식별자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달된 식별자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에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동일한 경우에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와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커플링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 테이블에서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2 위치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사전에 설정된 윈도우 배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영역 중에서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11.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화면에 상기 실행된 제1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윈도우 및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서브 윈도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리모컨으로부터 포커스 전환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리모컨으로부터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하는 커플링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포커스 전환 신호에 따라 포커싱된 윈도우를 전환하고, 상기 커플링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포커싱된 윈도우와 상기 제2 리모컨을 커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리모컨으로 커플링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리모컨으로부터 승낙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커플링 수행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된 윈도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식별자를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전달된 식별자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키값이 지시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와 상기 실행된 제2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커플링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리모컨 및 상기 제2 리모컨 중 하나로부터 식별자 및 키값을 포함하는 명령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 테이블에서 상기 명령 신호에 포함된 식별자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지시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8. 제 11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더 실행하고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애플리케이션의 코드에 정의된 제2 위치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위치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제2 서브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윈도우는 사용자가 선택한 윈도우 배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윈도우 배치 모드가 지시하는 영역 중에 윈도우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에 상기 실행된 제3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서브 윈도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기기.
KR1020110050171A 2011-05-26 2011-05-26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183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71A KR101832761B1 (ko) 2011-05-26 2011-05-26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PCT/KR2012/001625 WO2012161411A1 (en) 2011-05-26 2012-03-06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EP12789419.4A EP2712483B1 (en) 2011-05-26 2012-03-06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201280025894.9A CN103563392B (zh) 2011-05-26 2012-03-06 显示装置和用于远程控制显示装置的方法
US13/420,994 US8896530B2 (en) 2011-05-26 2012-03-15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71A KR101832761B1 (ko) 2011-05-26 2011-05-26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65A true KR20120131765A (ko) 2012-12-05
KR101832761B1 KR101832761B1 (ko) 2018-02-27

Family

ID=47217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171A KR101832761B1 (ko) 2011-05-26 2011-05-26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96530B2 (ko)
EP (1) EP2712483B1 (ko)
KR (1) KR101832761B1 (ko)
CN (1) CN103563392B (ko)
WO (1) WO201216141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25A1 (ko) * 2013-12-11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104907A1 (ko) * 2014-12-24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3508A1 (en) * 2012-08-31 2014-11-13 Game Concours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interacting with a display screen using a remote device
US9167278B2 (en) * 2012-12-28 2015-10-20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ACR) based broadcast synchronization
US20140245181A1 (en) * 2013-02-25 2014-08-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an information display panel
KR20140106201A (ko) * 2013-02-26 2014-09-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알림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비스 실행방법
TWI520610B (zh) * 2013-08-01 2016-02-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電視控制裝置與相關方法
CN103561220A (zh) * 2013-10-28 2014-02-05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电视终端及其多屏显示和控制的方法
CN108205619B (zh) * 2014-05-23 2022-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安卓系统的多用户管理方法及其装置
KR20160003400A (ko) * 2014-07-01 201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6545A (ko) * 2014-07-09 2016-01-19 (주)휴맥스 입력 장치와의 매핑을 통해 분할된 스크린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5335136B (zh) * 2014-07-16 2019-08-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DE102014223760A1 (de) * 2014-11-20 2016-05-25 Robert Bosch Gmbh Umschaltvorrichtung zum Umschalten von Informationssignalen einer Mastervorrichtung und einer Slavevorrichtung an eine Ausgabevorrichtung
EP3240284B1 (en) * 2014-12-24 2023-07-26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y same digital device
CN105809946A (zh) * 2014-12-30 2016-07-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电子设备支持多种红外遥控器的方法及其系统
CN106412666A (zh) * 2015-07-29 2017-02-15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电视分屏方法及系统
US11272241B2 (en) * 2015-08-06 2022-03-08 Maxell,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output video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video recording method
CN107195167B (zh) * 2016-03-15 2019-11-08 天津远翥科技有限公司 受控设备及应用该受控设备的通信系统和方法
KR20180010688A (ko) * 2016-07-22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CN108763895B (zh) * 2018-04-28 2021-03-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2382514B1 (ko) 2018-06-28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54298B2 (en) * 2018-12-18 2024-04-0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ing control manipulation target in an emphasized mann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788A (en) * 1992-11-10 1995-08-1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a plurality of users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on a common display device
US5844553A (en) * 1993-08-30 1998-12-01 Hewlett-Packard Company Mechanism to control and use window events among applications in concurrent computing
JP4849756B2 (ja) * 1999-07-13 2012-01-11 オラクル・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位置とスケーリングファクタを決定するパラメータを伴うビデオウィンドウ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358939B2 (ja) * 1999-08-24 2009-11-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738540B1 (ko) * 2005-08-30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2007194974A (ja) * 2006-01-20 2007-08-02 Hitachi Ltd 映像表示装置、映像録画装置および映像配信制御方式
KR100880475B1 (ko) * 2006-02-16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리모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762803B2 (ja) * 2006-06-28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リモコン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CN104184973A (zh) * 2007-02-02 2014-12-03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和方法
KR100827828B1 (ko) * 2007-08-29 2008-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멀티키 입력 시스템 및 구현방법
US8217854B2 (en) * 2007-10-01 2012-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focus remote control session
US8418076B2 (en) * 2008-05-15 2013-04-09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inputs from a plurality of user input device actuators
WO2010050054A1 (ja) * 2008-10-31 2010-05-06 富士通株式会社 入出力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94416B2 (ja) * 2009-09-25 2013-09-18 Kddi株式会社 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25A1 (ko) * 2013-12-11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6104907A1 (ko) * 2014-12-24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78204A (ko) * 2014-12-24 201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US9998784B2 (en) 2014-12-24 2018-06-12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digital device for controlling content within a multi-view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761B1 (ko) 2018-02-27
WO2012161411A1 (en) 2012-11-29
EP2712483A4 (en) 2015-08-12
CN103563392A (zh) 2014-02-05
EP2712483B1 (en) 2019-12-18
US8896530B2 (en) 2014-11-25
US20120299815A1 (en) 2012-11-29
CN103563392B (zh) 2017-06-06
EP2712483A1 (en)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1765A (ko)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US9972279B2 (en) Method for providing area of image displayed on display apparatus in GUI form us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102004262B1 (ko)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US20090285443A1 (en) Remote Control Based on Image Recognition
US20080244467A1 (en) Method for executing user command according to spatial movement of user input device and image apparatus thereof
US2013026304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3905868A (zh) 显示装置以及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EP3156908A1 (en)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US20160054860A1 (en) Input device
KR20150008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1586463A (zh) 显示设备
CN113542899A (zh) 信息展示方法、显示设备、服务器
CN113542900B (zh) 媒资信息展示方法及显示设备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59148A (ko)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tv
US2022015039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KR1019448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컨텐츠의 줌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20160102835A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267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화면 인터페이스 피드백 방법
KR20240044008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8810593A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995423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채널 리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방법
KR20120040347A (ko) 전자 장치 및 이동 정보 제공 방법
KR101337378B1 (ko)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