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262B1 -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262B1
KR102004262B1 KR1020120048151A KR20120048151A KR102004262B1 KR 102004262 B1 KR102004262 B1 KR 102004262B1 KR 1020120048151 A KR1020120048151 A KR 1020120048151A KR 20120048151 A KR20120048151 A KR 20120048151A KR 102004262 B1 KR102004262 B1 KR 10200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arch
display
scree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767A (ko
Inventor
조성일
장구앙
최진해
양경인
홍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62B1/ko
Priority to EP13001646.2A priority patent/EP2663087A3/en
Priority to CN2013101395047A priority patent/CN103390017A/zh
Priority to US13/872,348 priority patent/US9538245B2/en
Publication of KR2013012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컨텐츠의 정지 영상 및 검색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전자 장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검색창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검색창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드래그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에 표시할 것을 디스플레이에 지시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query word corresponding to image}
본 발명은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원거리에서 원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는 그 가격에 비한 편의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와 더 복잡한 기능들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폭발적인 보급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한 조작은 점점 더 어렵고 복잡하게 변해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를 통해 화면의 색상을 변경하려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의 특정한 버튼을 눌러 원하는 메뉴를 실행시켜야 하고, 여러 메뉴 중에서 원하는 메뉴를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 버튼을 통해 선택한 후 해당 하위 메뉴에서 원하는 값을 조절한 후 다시 원격 제어 장치의 특정한 버튼을 눌러 해당 작업을 마치고 상위 메뉴로 복귀하고, 다시 원격 제어 장치의 특정한 버튼을 눌러 메뉴 화면을 종료해야하는 복잡하고 조합적인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여러 기능들을 크기가 제한된 원격 제어 장치에 통합하기 때문에 버튼의 종류와 숫자가 증가하여 해당 기능을 정확하게 기억하기 어렵고, 복수의 기능이 단일 버튼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 정확하게 원하는 기능을 사용하기도 어렵다. 무엇보다도 버튼의 종류가 많을 경우 많은 조작은 가능하지만 원격 제어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관리가 어려우며 비용도 높아지기 때문에 새로운 입력 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채널들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재생을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재생기나, 인터넷 연결에 따른 정보 획득과 교환이 가능한 IPTV 등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점차 단순한 리모컨을 이용한 입력으로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워, 무선 키보드를 이용하거나 무선 마우스를 이용하는 등의 대안이 등장하고 있으나 비용이나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에서 원격 제어 장치를 대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무선 포인팅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혹은 디스플레이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따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검색창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상기 검색창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 중 하나를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지 영상은 상기 컨텐츠가 정지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화면은 화면 속 화면(PIP: Picture In Picture)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화면의 주화면은 상기 컨텐츠의 정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부화면은 상기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화면에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표시, 및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안내문구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삭제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삭제 아이콘과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상기 검색창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를 기초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로컬 저장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스트리밍으로 전송된 컨텐츠,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한 촬상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시스템은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컨텐츠의 정지 영상 및 검색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정지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검색창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할 것을 디스플레이에 지시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검색창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 중 하나를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각각의 안내 단어 또는 안내문구를 복수의 추천 검색어로 표시한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봉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검색창,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 중 하나를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정지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선택 표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이미지 선택 표시가 지시하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이미지와 연관된 단어들을 복수의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는 검색어 입력 과정 없이 검색창에 디스플레이된 추천 검색어를 통해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상측면도, 하측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검색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이미지의 이동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이미지의 이동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검색창에 복수의 추천 검색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화면에서 일부의 추천 검색어가 삭제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화면에서 추천 검색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검색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검색창에 복수의 추천 검색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8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디어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디스플레이(130) 및 원격 제어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기기일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방식,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의 크기, 모양, 위치, 이동 또는 색 또는 상기 영역의 하이라이트 표시 여부를 규정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정상 모드 및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모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칭하며, 미디어 시스템(100)이 부팅된 후,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되기 전에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정상 모드는 컨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풀 스크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정상 모드에서 특정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는 풀 스크린 모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검색 모드는 화면에 검색창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모드이다.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는 검색창에 표시된 검색어를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통합된 제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고, 전자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30)는 개별 제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셋탑박스 또는 디지털 TV 같은 고정형 가전기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통합된 제품을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기기로 명명한다.
전자 장치(11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고,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차원 영상뿐만 아니라 입체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은 다시점 영상일 수 있다. 다시점 영상은 일정한 거리나 각도를 갖는 복수의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의 영상을 말하고, 각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각각 시점 영상으로 정의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및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인터넷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서비스는 CoD(Content's on Demand) 서비스, 유튜브 서비스, 날씨, 뉴스, 지역 정보 및 검색 등의 인포메이션 서비스, 게임, 노래방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TV 메일, TV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 인터넷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 웹 TV 및 브로드밴드 T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이를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원격 제어 장치(150)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RF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50)는 전자 장치(110)에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를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알리는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50)는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50)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수신된 RF신호를 배제하거나, RF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지시받을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송신된 전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사진,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는 전자 장치(110)의 로컬 저장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스트리밍으로 전송된 컨텐츠,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상기 미디어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은 2차원 영상일 수 있고, 2 시점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일 수 있으며, 홀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의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수신부(201), 역다중화부(240), 비디오 디코더(244), 오디오 디코더(248), 음성 출력부(260), 입력장치(270), 저장부(280) 및 제어부(2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10)는 촬영 장치(2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01)는 방송 데이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정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2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및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영상은 홀로그램 또는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은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 : Computer-Generated Hologram)일 수 있다.
수신부(201)는 튜너부(210), 복조부(220), 이동 통신부(2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 음성 감지부(233) 및 외부 신호 수신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210)는 방송망을 통해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트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복조부(220)는 상기 수신된 스트림 신호를 복조한다. 튜너부(210)는 2개의 튜너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튜너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채널의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다른 튜너는 채널을 계속하여 전환하면서, 각 채널의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제어부(290)는 상기 수신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지 영상 또는 썸네일을 생성하고, 저장부(28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동 통신부(215)는 2G 통신망, 3G 통신망, 4G 통신망 등의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IP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신호 수신부(230)는 외부 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및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촬영장치(295)로부터 영상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프레임은 사용자가 촬상된 영상 프레임일 수 있다.
역다중화부(240)는 복조부(220)가 출력한 스트림 신호를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역다중화한다. 또한 역다중화부(240)는 이동 통신부(2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 및 외부 신호 수신부(235)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방송 데이터, 정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244)는 역다중화부(240)가 역다중화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130)로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248)는 역다중화부(240)가 역다중화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음성 출력부(260)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60)는 오디오 디코더(248) 및 제어부(29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재생된 음향(261)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장치(270)는 디스플레이(130) 상에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일 수 있다. 입력장치(270)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201)가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일 수 있다. 즉 외부 신호 수신부(235)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전송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1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수신부(201)가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 및 전자 장치(110)의 제조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HTML, XML, HTML5, CSS, CSS3, 자바스크립트, 자바, C언어, C++, Visual C++ 및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저장부(280)는 현재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방영 중인 채널들의 정지 영상 또는 썸네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장된 정지 영상 또는 썸네일은 해당 채널이 방영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된 정지 영상 또는 썸네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저장부(28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전자 장치(11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전자 장치(11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28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290)는 전자 장치(11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전송에 포함된 정보와 연관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운영 체제와 함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29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28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단일 칩, 다수의 칩, 또는 다수의 전기 부품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단일 목적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 기타 등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아키텍처가 제어부(29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 조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전자 장치 또는 원격 제어 장치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295)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전송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원격 제어 장치(150)가 감지한 사용자 조치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사용자 조치를 기초로 전자 장치(110) 또는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50)가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제어부(290)는 전자 장치(110)가 검색 모드로 작도하도록 제어한다.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290)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선택됐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를 드래그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13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디스플레이(130)에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다.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검색창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제어부(290)는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한다.
제어부(290)는 디스플레이(130)가 영상(252) 또는 GUI(253)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시하는 전송이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장치(270)는 제스처(271)를 수신하고, 제어부(290)는 제스처(271)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게다가, 저장부(280)는 운영 체제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2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281)은 일반적으로 제스처(271)의 발생을 인식하고 그 제스처(271) 및/또는 제스처(271)에 응답하여 무슨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게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50)는 통신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센서부(330), 출력부(340), 전원공급부(350), 저장부(360), 제어부(370)및 광조사부(3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모듈로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전자 장치(1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규격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랜(Wireless Lan)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일 수 있고, 전자 장치(110)에서 수행될 명령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상에 접촉이 감지된 지점 및 제어 모드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원격 제어 장치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상의 소정의 터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RF 신호가 전송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전자 장치(11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센서부(330)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한다. 센서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위치, 방향, 움직임 및 접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것이다.
제어부(370)는 센서부(330)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로부터 사용자 조치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70)는 수신한 센서 신호가 지시하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조치와 연관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데이터 패킷이 전자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전자 장치(110) 또는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상기 제공된 인터페이스 상에 행해지는 사용자 조치를 센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키패드, 버튼,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 장치(150)로 전자 장치(110) 또는 디스플레이(13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 제1 버튼 및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제1 버튼 및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1 버튼은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버튼은 원격 제어 장치(15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버튼이 배치된 면에는 다른 버튼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버튼이 배치된 면에는 다른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버튼은 그랩 버튼으로 명명하고, 제2 버튼은 오케이 버튼으로 명명한다.
그랩 버튼은 디스플레이(130)의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객체를 잡거나 터치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그랩 버튼을 누른 경우에, 전자 장치(110) 또는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을 터치한 것으로 반응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피드백은 시간,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도 인지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오케이 버튼은 디스플레이(130)의 화면 상의 그래픽 포인터가 위치한 그래픽 객체 또는 메뉴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포인터는 포인터로 명명될 수 있다.
그래픽 객체의 선택에 있어서 그랩 버튼과 오케이 버튼의 차이점은, 그랩 버튼은 특정 그래픽 객체를 그래픽 포인터의 위치에 무관하게 선택하는 것이고, 오케이 버튼은 그래픽 포인터의 위치와 연관되어 선택하는 것이다.
제어부(370)는 그랩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그랩 버튼의 다운 신호를 생성하고, 오케이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오케이 버튼의 다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그랩 버튼을 떼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그랩 버튼의 업 신호를 생성하고, 오케이 버튼을 떼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오케이 버튼의 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생성한 그래픽 버튼의 다운 신호 및 업 신호, 오케이 버튼의 다운 신호 및 업 신호를 전자 장치(110) 또는 디스플레이(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버튼의 다운 신호 및 업 신호, 오케이 버튼의 다운 신호 및 업 신호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그랩 버튼의 다운 신호 및 업 신호, 오케이 버튼의 다운 신호 및 업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 정보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센서부(330)는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 방향, 움직임 및 접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센서 신호를 생성한다. 센서부(330)는 자이로 센서(331), 가속도 센서(332), 중력 센서(333), 지자기 센서(334), 조도 센서(335), 근접 센서(336), 접촉 센서부(337) 및 거리 측정 센서(33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331)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된 움직임을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331)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을 x, y, z축을 기준으로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기초로 공간 벡터를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332)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속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이동속도를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중력 센서(333)는 지구의 중력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150)의 위와 아래를 센싱하고,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334)는 지구의 지자기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방향을 센싱하고, 센싱한 방향을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조도 센서(335)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주변의 조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조도를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근접 센서(336)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 근접하는 물체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접촉 센서(337)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접촉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거리 측정 센서(338)는 전자 장치(110)와의 거리를 센싱하고, 센싱한 거리를 지시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가 감지한 사용자 조치에 대응하거나 전자 장치(11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광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가 조작되거나 통신부(310)를 통하여 전자 장치(11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34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34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34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47)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50)는 원격 제어 장치(15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350)는 원격 제어 장치(15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350)는 원격 제어 장치(15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360)는 전자 장치(11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60)는 사용자 조치와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저장부(360)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가 감지한 사용자 조치와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고, 액세스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60)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50)는 상기 저장된 정보가 지시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자 장치(1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는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 및 페어링 주파수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정면도, 배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배면도이며,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사시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랩 버튼(401)은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배면(420)에 배치되고, 오케이 버튼(403)은 원격 제어 장치(150)의 정면(410)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원격 제어 장치(150) 상의 그랩 버튼(401) 및 오케이 버튼(403)을 한 손으로 동시에 누르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그랩 버튼(401) 및 오케이 버튼(403)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50)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그랩 버튼(401)이 배치된 배면(420)에는 다른 버튼이 배치되지 않고, 오케이 버튼(403)이 배치된 정면(410)에는 다른 버튼(406, 407, 408, 409)이 배치된다. 사용자는 그랩 버튼(401)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촉감으로 그랩 버튼(401)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그랩 버튼(401)과 다른 버튼(406, 407, 408, 409)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에 디스플레이 포인터(5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50)를 상하, 좌우(도 5의 (b)), 앞뒤(도 5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방향을 정의하기 위해, 화면(130)의 세로축과 대응하는 축을 y축으로 정의하고, 화면(130)의 가로축과 대응하는 축을 x축으로 정의하며, 화면(130)과 수직한 축과 대응하는 축을 z축으로 정의한다. 원격 제어 장치(150)의 상하의 움직임을 y축 상의 움직임을 의미하고, 좌우의 움직임을 x축 상의 움직임을 의미하며, 앞뒤의 움직임은 z축 상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포인터(505)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150)는, 도면과 같이, 3차원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포인터(5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컨 또는 매직 리모컨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인터(505)의 움직임은 원격 제어 장치(150)의 상이 버튼이 눌러지는 것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 및 오케이 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포인터(505)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5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포인터(5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15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인 움직임 정보는 전자 장치(110)로 전송된다. 전자 장치(110)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디스플레이 포인터(5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는 화면 위치에 디스플레이 포인터(505)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포인터(5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디스플레이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포인터(5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포인터(505)가 디스플레이(13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그래픽 객체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포인터(130)가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객체(610)에 위치된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150)의 오케이 버튼이 클릭되면 그래픽 객체(610)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포인터(130)가 디스플레이(13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객체(610)에 위치된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150)의 오케이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50)가 이동하면 그래픽 객체(610)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이 눌러지지 않고 및 오케이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그래픽 객체(610)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메뉴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50)가 y축 상의 상측 방향으로 움직임 경우에, 메뉴 항목(711, 712, 713, 714, 715)을 포함하는 메뉴(7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메뉴 항목(711, 712, 713, 714, 715)을 선택하기 위한 지시자(720)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지시자(720)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시자(720)를 이동시켜 메뉴(710)에 포함된 메뉴 항목(711, 712, 713, 714, 715)을 선택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이 떼어진 경우에, 메뉴 아이템(711, 712, 713, 714, 715) 중 지시자(720)가 위치하는 메뉴 아이템(712)이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화면(800)에 컨텐츠(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10)의 지시에 따라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사진, 이미지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가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는 전자 장치(110)의 로컬 저장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스트리밍으로 전송된 컨텐츠,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상기 미디어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10)의 튜너부(21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가 수신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810)은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및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일 수 있다.
도 9는 검색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900)은 검색 모드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0)이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미디어 시스템(100)은 검색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검색 모드에서,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810)의 디스플레이를 중지시키고,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910)이 정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컨텐츠(810)의 디스플레이를 중지시키고, 중지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910)을 정지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프레임(910)은 컨텐츠(810)가 중지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810)의 영상 프레임일 수 있고, 중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프레임 또는 소정의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될 영상 프레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는 영상 프레임(910)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것들이다.
디스플레이(130)는 검색 모드에서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자(9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지시자(901)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방향키의 눌러짐에 따라 또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현재 위치된 이미지 선택 표시(920)에서 다른 이미지 선택 표시(930, 940, 95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방향키를 눌러 지시자(901)를 이동시킬 수 있거나, 원격 제어 장치(150)를 이동시켜 지시자(9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포인터(90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인터(903)는 도 5에 전술된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포인터(903)를 이용하여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디스플레이(130)는 지시자(901) 및 디스플레이 포인터(903) 둘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포인터(903)는 도 5에 전술된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고, 지시자(901)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방향키를 누르는 사용자 조치 감지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가 지시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아이콘(921, 931, 941, 951) 및 안내문구(923, 933, 943, 95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이콘(921, 931, 941, 951)은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가 지시하는 이미지가 어떤 객체의 이미지인지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콘(921)은 이미지 선택 표시(920)가 지시하는 이미지가 사람의 이미지라는 것을 지시하고, 아이콘(951)은 이미지 선택 표시(950)가 지시하는 이미지가 셔츠의 이미지라는 것을 지시한다. 만약, 이미지 선택 표시가 지시하는 이미지가 어떤 객체의 이미지인지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아이콘(931) 또는 아이콘(941) 같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안내문구(923, 933, 943, 953)는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를 안내하기 위한 단어 또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안내문구(923, 933, 943, 953)는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가 지시하는 이미지에 대한 명칭, 제작자, 제조사 및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검색 모드에서 화면을 화면 속 화면(PIP: Picture In Picture)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주화면에 부화면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주화면은 검색 모드로의 전환 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부화면은 검색 모드로의 전환 전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화면(900)에서 주화면(910)에는 컨텐츠(810)의 영상 프레임이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부화면(990)에는 컨텐츠(810)가 계속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검색 모드에서 부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를 계속해서 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는 검색창(970) 및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 실행 버튼(975)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검색창(970)은 검색어 또는 추천 검색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실행 버튼(975)을 선택 또는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검색창(970)에 표시된 검색어 또는 추천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도 10은 이미지의 이동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00)는 화면(10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1000)은 이미지(1010)가 드래그되고 있는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1010)는 도 9에 도시된 이미지 선택 표시(920)가 지시하는 이미지이다. 사용자는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와 연관된 이미지를 드래그할 수 있다.
지시자(901)가 이미지 선택 표시(9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30)는 이미지(10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이미지(101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을 떼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이미지(1010)는 사라질 수 있다.
도 11은 이미지의 이동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포인터(902)가 이미지 선택 표시(920)에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30)는 이미지(11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에 따라 이미지(1110) 및 디스플레이 포인터(1120)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을 떼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이미지(1110)는 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이미지(1110)는 도 6에서 전술된 그래픽 객체의 이동 방식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검색창에 복수의 추천 검색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화면(12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1200)의 이미지(1210)는 도 10의 이미지(1010) 또는 도 11의 이미지(1110)가 검색창(970)으로 드래그된 것이다. 전자 장치(110) 또는 디스플레이(130)는 이미지(1210)가 검색창(970)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1210)가 검색창(970)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110)는 이미지(1210)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로 제공한다.
이미지(1210)가 검색창(970)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이미지(1210)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1230, 1240, 1250)로 검색창(97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추천 검색어(1230, 1240, 1250) 각각을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1235, 1245, 1255)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아이콘(1235, 1245, 125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추천 검색어(1230, 1240, 1250)는 삭제된다. 예를 들면, 아이콘(123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110)는 추천 검색어(1230)를 삭제하고, 디스플레이(130)는 추천 검색어(1230)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한다. 즉 추천 검색어(1230)는 검색창(970)에서 삭제된다.
도 13은 도 12의 화면에서 일부의 추천 검색어가 삭제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디스플레이(130)로 화면(1300)의 디스플레이의 지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화면(13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1300)은 도 12의 화면(1200)에서 추천 검색어(1240) 및 추천 검색어(1250)가 삭제된 화면이다. 추천 검색어(1240)와 연관된 아이콘(1245) 및 추천 검색어(1250)와 연관된 아이콘(1255)도 함께 삭제될 수 있다.
도 14는 화면에서 추천 검색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화면(14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1400)은 검색 모드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970)에 선택된 이미지 선택 표시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가 추천 검색어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선택된 이미지 선택 표시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97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선택 표시(9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이미지 선택 표시(920)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1410, 1420, 1430)가 검색창(97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화면(1400)에는 추천 검색어(1410, 1420, 1430)를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1415, 1425, 1435)이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사용자 조치는 이미지 선택 표시(920)에 지시자(901) 또는 디스플레이 포인터(903)를 위치시키고, 원격 제어 장치(150)의 그랩 버튼 또는 오케이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도 15는 검색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화면(15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화면(800)이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미디어 시스템(100)은 화면(15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1500)의 검색창(970)은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에 대한 안내문구(923, 933, 943, 953)를 추천 검색어(1510, 1520, 1530, 1540)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검색창(970)은 추천 검색어(1510, 1520, 1530, 1540)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표시(1515, 1525, 1535, 1545)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 표시(1515, 1525, 1535, 1545)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선택된 선택 표시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가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97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검색어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는 추천 검색어가 지시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일 수 있다.
도 16은 검색창에 복수의 추천 검색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15의 화면(15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선택 표시(15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휴고 베이커(1510)과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가 검색창(970)에 추천 검색어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30)는 휴고 베이커(1510)과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검색창(970)에 추천 검색어(1610, 1620, 163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는 추천 검색어(1610, 1620, 1630)를 삭제하기 위하 아이콘(1615, 1625, 1635)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한다(S100). 디스플레이(130)는 도 8에 도시된 화면(8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05). 상기 사용자 조치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특정 버튼은 그랩 버튼 또는 오케이 버튼일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검색 모드로 동작한다(S110). 검색 모드에서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고,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다.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도 9에 도시된 화면(9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이미지 선택 표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15).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이미지 선택 표시가 지시하는 이미지가 선택됐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그래픽 피드백은 선택된 이미지 선택 표시가 지시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래픽 피드백은 도 10에 도시된 이미지(1010)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이미지의 이동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20).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단계 S115에서 선택된 이미지 선택 표시가 지시하는 이미지를 이동시킨다. 상기 사용자 조치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이동 속도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이미지가 드래그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도 10에 도시된 화면(1000) 또는 도 11에 도시된 화면(11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단계 S120에서 이동된 이미지가 검색창으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5).
상기 이미지가 검색창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에 표시한다(S130). 여기서, 디스플레이(130)는 도 12에 도시된 화면(12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S120에서 이동된 이미지가 검색창에 드롭된 경우에,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 S125는 전자 장치(110)가 이동된 이미지가 검색창에 드롭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대체된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의 삭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3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2에 도시된 아이콘(1235, 1245, 125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서 삭제 요청된 추천 검색어를 삭제한다(S140). 도 12에 도시된 검색창(970)에서 추천 검색어(1240) 및 추천 검색어(1250)가 삭제 요청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도 13에 도시된 검색창(97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4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9에 도시된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로 검색을 수행한다(S150). 예를 들면, S145에서 도 12에 도시된 화면(1200)의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150에서 휴고 베이커(1230), 루이 그리말디(1240) 및 가십걸 시즌5(1250)를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또한 단계 S145에서 도 13에 도시된 화면(1300)의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150에서 휴고 베이커(1230)를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단계 S150에서 전자 장치(11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추천 검색어로 검색을 수행할 것을 검색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8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한다(S200). 디스플레이(130)는 도 8에 도시된 화면(8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05). 상기 사용자 조치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특정 버튼은 그랩 버튼 또는 오케이 버튼일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검색 모드로 동작한다(S210). 검색 모드에서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고,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 모드에서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정지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를 지시하는 안내문구를 검색어로 제공할 수 있다.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도 15에 도시된 화면(15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1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5에 도시된 선택 표시(1515, 1525, 1535, 1545)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선택된 검색어가 지시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에 표시한다(S220). 여기서, 디스플레이(130)는 도 16에 도시된 화면(16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의 삭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2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6에 도시된 아이콘(1615, 1625, 163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서 삭제 요청된 추천 검색어를 삭제한다(S230). 도 16에 도시된 검색창(970)에서 추천 검색어(1620) 및 추천 검색어(1630)가 삭제 요청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도 13에 도시된 검색창(97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3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6에 도시된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로 검색을 수행한다(S240). 예를 들면, S235에서 도 16에 도시된 화면(1600)의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240에서 휴고 베이커(1610), 루이 그리말디(1620) 및 가십걸 시즌5(1630)를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또한 단계 S235에서 도 13에 도시된 화면(1300)의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240에서 휴고 베이커(1230)를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단계 S240에서 전자 장치(11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추천 검색어로 검색을 수행할 것을 검색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한다(S300). 디스플레이(130)는 도 8에 도시된 화면(8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05). 상기 사용자 조치는 원격 제어 장치(150)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상기 특정 버튼은 그랩 버튼 또는 오케이 버튼일 수 있다.
미디어 시스템(100)은 검색 모드로 동작한다(S310). 검색 모드에서 전자 장치(11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일시 중지하고,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130)에 지시할 수 있다. 검색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도 9에 도시된 화면(9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1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9에 도시된 이미지 선택 표시(920, 930, 940, 95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선택된 이미지와 연관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천 검색어로 검색창에 표시한다(S320). 도 9의 화면(900)에서 이미지 선택 표시(920)이 선택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도 14에 도시된 화면(14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의 삭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2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4에 도시된 아이콘(1415, 1425, 143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서 삭제 요청된 추천 검색어를 삭제한다(S330). 도 14에 도시된 검색창(970)에서 추천 검색어(1420) 및 추천 검색어(1430)가 삭제 요청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30)는 도 13에 도시된 검색창(97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35).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4에 도시된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로 검색을 수행한다(S340). 예를 들면, S335에서 도 14에 도시된 화면(1400)의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340에서 휴고 베이커(1410), 루이 그리말디(1420) 및 가십걸 시즌5(1430)를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또한 단계 S335에서 도 13에 도시된 화면(1300)의 검색 실행 버튼(975)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단계 S340에서 휴고 베이커(1230)를 검색어로 검색이 수행된다.
단계 S340에서 전자 장치(11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추천 검색어로 검색을 수행할 것을 검색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검색창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색창에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각 검색어에는 해당 검색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표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표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검색창에 새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새 추천 검색어는 복수의 검색어 중 선택된 상기 선택 표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검색어를 기초로 하는 검색어를 의미하고,
    상기 화면은 주화면과 부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속 화면(PIP: 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주화면은 상기 컨텐츠의 정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부화면은 상기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상기 검색창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표시, 및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안내문구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삭제 아이콘과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상기 검색창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검색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창에 표시된 추천 검색어를 기초로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사진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로컬 저장영역에 저장된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스트리밍으로 전송된 컨텐츠, 다운로드된 컨텐츠 및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한 촬상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1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시스템은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화면에 컨텐츠의 정지 영상 및 검색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정지 영상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으로 드래그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가 상기 검색창으로 드래그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와 연관된 복수의 검색어를 추천 검색어로 상기 검색창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검색창에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각 검색어에는 해당 검색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표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 표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검색창에 새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새 추천 검색어는 복수의 검색어 중 선택된 상기 선택 표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검색어를 기초로 하는 검색어를 의미하고,
    상기 화면은 주화면과 부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속 화면(PIP: 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주화면은 상기 컨텐츠의 정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부화면은 상기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시스템.
  14.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검색 모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에 검색창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 중 하나를 정지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검색창에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각 검색어에는 해당 검색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표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표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검색창에 새 추천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새 추천 검색어는 복수의 검색어 중 선택된 상기 선택 표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검색어를 기초로 하는 검색어를 의미하고,
    상기 화면은 주화면과 부화면을 포함하는 화면 속 화면(PIP: Picture In Picture)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주화면은 상기 컨텐츠의 정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부화면은 상기 컨텐츠를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검색창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정지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 또는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각각의 안내문구를 복수의 추천 검색어로 표시하는,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15. 삭제
KR1020120048151A 2012-05-07 2012-05-07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51A KR102004262B1 (ko) 2012-05-07 2012-05-07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EP13001646.2A EP2663087A3 (en) 2012-05-07 2013-03-28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CN2013101395047A CN103390017A (zh) 2012-05-07 2013-04-19 媒体系统和提供与图像相对应的被推荐的搜索词的方法
US13/872,348 US9538245B2 (en) 2012-05-07 2013-04-29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51A KR102004262B1 (ko) 2012-05-07 2012-05-07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67A KR20130124767A (ko) 2013-11-15
KR102004262B1 true KR102004262B1 (ko) 2019-07-26

Family

ID=4814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51A KR102004262B1 (ko) 2012-05-07 2012-05-07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38245B2 (ko)
EP (1) EP2663087A3 (ko)
KR (1) KR102004262B1 (ko)
CN (1) CN103390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61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3002387T5 (de) 2012-05-09 2015-02-12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oberfläche für die Bereitstellung taktiler Rückkopplung für Operationen i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KR20160051390A (ko) * 2014-11-03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필터 제공 방법
KR20160057740A (ko) * 2014-11-14 2016-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KR102088443B1 (ko) 2015-04-01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83238B2 (en) * 2015-09-28 2018-09-25 Oath Inc. Multi-touch gesture search
CN105975566B (zh) * 2016-04-29 2019-03-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基于图像的信息搜索方法及装置
CN107480236B (zh) * 2017-08-08 2021-03-26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查询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1030448B2 (en) 2017-09-12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mmending one or more actions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431817B1 (ko) * 2017-10-12 2022-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
KR102040525B1 (ko) 2018-03-09 2019-11-05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인공지능 기반 부품 검색 시스템
KR102657519B1 (ko) * 2019-02-08 202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기반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104979A (ko) * 2020-02-18 2021-08-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감시 카메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0511A1 (en) * 2006-04-21 2007-10-2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search queries
US20110282906A1 (en) * 2010-05-14 2011-11-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a media content snapshot imag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225A (en) * 1998-06-15 1999-12-21 Amazon.Com Refining search queries by the suggestion of correlated terms from prior searches
JP3738631B2 (ja) * 1999-09-27 2006-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検索システムおよび画像検索方法
US7934232B1 (en) * 2000-05-04 2011-04-26 Jerding Dean F Navigation paradigm for access to television services
US6636237B1 (en) * 2000-07-31 2003-10-21 James H. Murray Method for creating and synchronizing links to objects in a video
US7000242B1 (en) * 2000-07-31 2006-02-14 Jeff Haber Directing internet shopping traffic and tracking revenues generated as a result thereof
US20030079224A1 (en) * 2001-10-22 2003-04-24 Anton Komar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electable display areas
JP2006099671A (ja) * 2004-09-30 2006-04-13 Toshiba Corp 動画像のメタデータの検索テーブル
US7703040B2 (en) * 2005-06-29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Local search engine user interface
US8656445B2 (en) * 2006-11-27 2014-02-18 Genband Us Llc Multimedia subsystem control for internet protocol based television services
US8861898B2 (en) * 2007-03-16 2014-10-14 Sony Corporation Content image search
US8407744B2 (en) * 2007-06-19 2013-03-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napshot recognition for TV
US20090113475A1 (en) * 2007-08-21 2009-04-30 Yi Li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search capability in interactive video
WO2009040833A1 (en) * 2007-09-27 2009-04-02 Shailesh Joshi System and method to crop, search and shop object seen on a motion picture
US8176068B2 (en) * 2007-10-31 2012-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ggesting search queries on electronic devices
US20090254946A1 (en) * 2008-04-08 2009-10-08 Peter Samuel Vogel Click-through television advertising
KR101661981B1 (ko) * 2009-11-09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10113444A1 (en) * 2009-11-12 2011-05-12 Dragan Popovich Index of video objects
US9407973B2 (en) * 2009-12-02 2016-08-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an item depicted when media content is displayed
US10043193B2 (en) * 2010-01-20 2018-08-07 Excalibur Ip, Llc Image content based advertisement system
JP2013535733A (ja) * 2010-07-26 2013-09-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検索のためのキーワードの取得
US9633109B2 (en) * 2011-05-17 2017-04-25 Ets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ed construction of a search query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9596515B2 (en) * 2012-01-04 2017-03-1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image search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0511A1 (en) * 2006-04-21 2007-10-25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search queries
US20110282906A1 (en) * 2010-05-14 2011-11-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a media content snapshot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161A1 (ko) * 2020-09-14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25150B2 (en) 2020-09-14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38245B2 (en) 2017-01-03
EP2663087A3 (en) 2014-11-19
EP2663087A2 (en) 2013-11-13
KR20130124767A (ko) 2013-11-15
US20130298162A1 (en) 2013-11-07
CN103390017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262B1 (ko) 미디어 시스템 및 이미지와 연관된 추천 검색어를 제공하는 방법
US11243615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US8516369B2 (en)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pointer with sensuous effect that pointer is moved by gravity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EP304879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32761B1 (ko)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1971624B1 (ko)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EP261355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7801075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03905868A (zh) 显示装置以及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
KR2013011398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 매체
KR20170099088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542899A (zh) 信息展示方法、显示设备、服务器
KR101654724B1 (ko)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스마트 tv
EP322656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13542900B (zh) 媒资信息展示方法及显示设备
KR101921176B1 (ko) 전자 장치 및 가상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방법
KR102168340B1 (ko) 영상 표시 기기
KR1019448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컨텐츠의 줌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1020267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화면 인터페이스 피드백 방법
KR101995423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채널 리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방법
KR20150121565A (ko)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23443B1 (ko) 리모컨, 디스플레이기기 및 리모컨과 디스플레이 포인터의 위치를 동기시키기 위한 방법
US108737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s associated with a display
KR20160102835A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96257B1 (ko) 원격제어장치,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