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207A -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207A
KR20120129207A KR1020110047317A KR20110047317A KR20120129207A KR 20120129207 A KR20120129207 A KR 20120129207A KR 1020110047317 A KR1020110047317 A KR 1020110047317A KR 20110047317 A KR20110047317 A KR 20110047317A KR 20120129207 A KR20120129207 A KR 2012012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pipes
flange port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정인철
이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철, 이명희 filed Critical 정인철
Priority to KR102011004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207A/ko
Publication of KR2012012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16L23/0283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the collar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로 제1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 구조를 가지고, 타단부로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구비하는 제1플랜지부 및 일단부로 제2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의 구조를 가지고, 타단부로 안착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제3플랜지 및 제4플랜지를 구비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용 플랜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파이프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상의 변동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Flange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간편하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는, 파이프공사 시 파이프와 파이프 끼리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이프 각각을 삽입하고 이후 체결볼트 등을 통하여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는, 파이프를 삽입 장착한 다음 시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파이프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파이프의 직경을 변경하는 등의 시공 상의 변동을 이행하기가 어려웠으며, 구조상 결합하는 파이프의 직경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파이프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상의 변동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단부로 제1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 구조를 가지고, 타단부로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구비하는 제1플랜지부 및 일단부로 제2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의 구조를 가지고, 타단부로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제3플랜지 및 제4플랜지를 구비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용 플랜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는, 파이프 시공이 완료된 후에도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공 상의 변동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대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가 파이프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500)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와, 복수개의 체결볼트(3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일단부로 제1파이프(10)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타단부로 환형의 안착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일단부가 상기 제1파이프(10)의 단부가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파이프(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파이프 결합부(1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 결합부(105)는 상기 제1파이프(10)의 삽입단부 형상에 따라 경사진 구조 또는 직각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03)는 상기 제2플랜지부(200)의 타단부가 안착 삽입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제1힌지축(130)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구조로서, 일단부끼리는 상기 제1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힌지결합하고, 타단부끼리는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상기 제1힌지축(1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플랜지(110)와 상기 제2플랜지(120)가 회동하여 타단부들이 개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제1파이프(10)의 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파이프(10)의 배치 후에도 장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제1파이프(10)에도 결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제1플랜지(110)의 타단부에는 제1끼움돌기(1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플랜지(1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4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끼움홈(144)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플랜지(110)와 상기 제2플랜지(120)는 상기 제1끼움돌기(142)와 상기 제1끼움홈(144)에 의하여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랜지(110)에 제1끼움돌기(142)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랜지(120)에 제1끼움홈(144)이 구비된 경우를 예로 하였지만, 상기 제1플랜지(110)와 상기 제2플랜지(1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제1플랜지(110)에 제1끼움홈(144)이, 상기 제2플랜지(120)에 제1끼움돌기(142)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끼움홈(144)과 상기 제1끼움돌기(142)는, 상기 제2플랜지(120)와 상기 제1플랜지(110)의 타단부 각각에 하나가 아닌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단면형상 또한 다각형, 또는 타원 및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체결볼트(300)가 관통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홀(101)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상기 제1삽입홀(101)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00)의 직경이 커서 상기 제1삽입홀(101)의 크기가 크더라도 원주방향으로의 폭 감소를 줄일 수 있어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삽입홀(101)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체결볼트(300)의 원주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플랜지부(100)는, 후술되는 제2힌지축(230)이 안착되는 축끼움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200)는, 일단부로 제2파이프(20)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타단부가 상기 안착부(103)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2플랜지부(200)는, 일단부가 상기 제2파이프(20)의 단부가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파이프(20)의 삽입단부 형상에 대응하여 제2파이프 결합부(2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파이프 결합부(205)는 상기 제1파이프 결합부(105)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100,200)의 형상을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홀(101)과 상기 제2삽입홀(201)이 형성된 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제1플랜지(100)와 상기 제2플랜지부(200)를 평면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도 5참조).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플랜지(100)의 제1힌지축(130) 및 개구되는 부분과, 상기 제2플랜지(200)의 제2힌지축(230) 및 개구되는 부분이 동일축선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제1플랜지(100)의 제1힌지축(130) 및 개구되는 부분과, 상기 제2플랜지(200)의 제2힌지축(230) 및 개구되는 부분은 상기 파이프(10,20)와의 결합시공 상 또는 경우에 따라 동일축상이 아닌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제1플랜지부(100)의 안착부(103)에 상기 제2플랜지부(2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제1플랜지부(100)와 상기 제2플랜지부(200) 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외력 등에 의하여 상기 제2플랜지부(200)가 상기 제1플랜지부(100)에서 이탈하여 서로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부(200)는, 상기 제1플랜지부(100)와 마찬가지로 제2힌지축(230)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구조로서, 일단부끼리는 상기 제2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힌지결합하고, 타단부끼리는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제3플랜지(210)와 제4플랜지(220)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플랜지(210)의 타단부에는 제2끼움돌기(24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4플랜지(2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24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끼움돌기(242)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홈(2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플랜지(210)와 상기 제4플랜지(220)는 타단부들끼리 상기 제2끼움돌기(242)와 상기 제2끼움홈(244)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끼움돌기(242)와 상기 제2끼움홈(244)은 상기 제1끼움돌기(142)와 상기 제1끼움홈(144)과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플랜지부(200)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삽입홀(101)들과 얼라인(align)되는 위치에 제2삽입홀(201)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홀(201)들로 상기 제1삽입홀(101)들을 관통하는 상기 체결볼트(300)들이 관통삽입되며, 상기 제2삽입홀(201)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1삽입홀(101)들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볼트(300)들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삽입홀(101)과 상기 제2삽입홀(201) 각각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제1플랜지(110)와 상기 제2플랜지(120)를 결합시키는 역학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홀(101)과 상기 제2삽입홀(201) 각각에 체결된 체결볼트(300)들은 단부가 체결너트(310)들에 의하여 결합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한 체결볼트(300)들이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100)와 상기 제2플랜지부(200)를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10,20)의 축방향을 따라 결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제1플랜지부(100)와 상기 제2플랜지부(200) 및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10,20)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300)를 통하여 체결하면 할수록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10,20)를 서로 대면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체결력 향상 및 누수를 방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링형상으로 상기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2파이프(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2파이프(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4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패킹(400)은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10,2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 재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제1플랜지부(100)와 상기 제2플랜지부(200)가 상기 제1 및 제2힌지축(130,230)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파이프(10,20)의 배치 후에도 장착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제1 및 제2파이프(10,20)의 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의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b... 제1플랜지부 103... 안착부
110... 제1플랜지 120... 제2플랜지
130,230... 제1 및 제2힌지축 142,242... 제1 및 제2끼움돌기
144,244... 제1 및 제2끼움홈 200,200b... 제2플랜지부
210... 제3플랜지 220... 제4플랜지
300... 체결볼트 400... 패킹
500...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Claims (4)

  1. 일단부로 제1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 구조를 가지고, 타단부로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를 구비하는 제1플랜지부; 및
    일단부로 제2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환형의 구조를 가지고, 타단부로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구되는 제3플랜지 및 제4플랜지를 구비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파이프연결용 플랜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제1삽입홀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랜지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삽입홀들과 얼라인되는 위치에 제2삽입홀들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연결용 플랜지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1삽입홀과 상기 제2삽입홀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볼트들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제3플랜지 및 상기 제4플랜지의 개구되고 인접하는 부분이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의하여 끼움결합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을 더 구비하는 파이프 연결용 플렌지.
KR1020110047317A 2011-05-19 2011-05-19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KR20120129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17A KR20120129207A (ko) 2011-05-19 2011-05-19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317A KR20120129207A (ko) 2011-05-19 2011-05-19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07A true KR20120129207A (ko) 2012-11-28

Family

ID=475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317A KR20120129207A (ko) 2011-05-19 2011-05-19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2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3945A (zh) * 2022-06-16 2022-10-11 江阴市恒润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限制轨槽实现孔位对齐的法兰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3945A (zh) * 2022-06-16 2022-10-11 江阴市恒润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限制轨槽实现孔位对齐的法兰盘
CN115163945B (zh) * 2022-06-16 2023-10-13 江阴市恒润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限制轨槽实现孔位对齐的法兰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EP2463567B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bushing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20100101045A1 (en) Grommet for metal stud
JP2013210043A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AU2016361336B2 (en) Valve coupling having centering support projections
JP6836309B2 (ja) シール
US20130249207A1 (en) Pipe connector with compensator
KR20140065793A (ko)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KR20120129207A (ko)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CN203797193U (zh) 一种链式管箍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CN202048305U (zh) 管夹组件
JP5775270B2 (ja) 管継手
EP2749803B1 (en) Bell and spigot type piping joint
US20180313479A1 (en) Coupl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upling two pipe ends
US9279501B2 (en) Split seal for a shaft
US10247332B2 (en) Pipe coupling having arcuate snap couplers with cylindrical base body
KR20060121029A (ko)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CN218982928U (zh) 防缩口冲头
KR100704248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KR20090019058A (ko) 배관 연결용 커플러
KR200422531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