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854A -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854A
KR20120128854A KR1020110046754A KR20110046754A KR20120128854A KR 20120128854 A KR20120128854 A KR 20120128854A KR 1020110046754 A KR1020110046754 A KR 1020110046754A KR 20110046754 A KR20110046754 A KR 20110046754A KR 20120128854 A KR20120128854 A KR 2012012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rhubarb
fresh vinegar
fati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645B1 (ko
Inventor
이명수
최금부
김태석
여익현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풀무원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풀무원홀딩스 filed Critical (주)풀무원홀딩스
Priority to KR102011004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64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로물질의 감소를 촉진시켜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하며, 다양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로회복 및 운동능력 증강 또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tive defenses system and muscle fatigue recovery comprising Angelica keiskei extract and Eisenia bicyc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과 생활의 편리화, 운동 부족 및 스트레스의 증가로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장병 등의 성인병의 발생이 크게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성인병의 예방을 위한 수단으로 식생활의 개선과 더불어 규칙적인 운동이 권고되고 있으며, 꾸준한 운동은 근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동맥경화의 유발 요인인 혈액의 지질 조성을 개선시켜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격심한 운동은 전자전달계의 중간 단계에서 전자 누출에 의한 유리기 및 활성산소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으며 신체에서는 이상의 유리기 및 활성산소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CAT), glutathione peroxidase(GSHpx) 등의 항산화 효소를 갖추고 있음으로써 적절히 생성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생체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Kor J Nutr 33: 733-738, 2000). 그러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감소할 때, 또는 격심한 운동으로 인해 체내 항산화 효소 처리 능력 이상의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경우, 과잉의 활성산소는 적절히 제거되지 못한 채 존재하여 세포막, DNA, 세포 내 단백질 등을 공격하여 궁극적으로 세포기능 손상 및 피로감을 야기한다(Antioxidants and Redox Signaling, 2: 113-126, 2000). 따라서 피로회복, 항산화, 노화예방을 위해 항산화계 활성 증가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에 대한 기전 및 기능성 소재의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피로’란 ‘작업을 할 때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상태’, ‘항상성의 혼란이 일어나는 상태’ 또는 ‘대뇌피질의 제지작용이 일어나는 상태’로서 ‘육체적, 정신적 활동을 하기 위한 능력의 감소’라고 정의할 수 있다.
피로(fatigue)가 쌓였다고 표현하는 것은 심신의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이르는 것이다. 주로 ‘피로(fatigue)’의 경우 근 수축 활동에 요구되는 힘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 즉 운동수행능력이 감소된 상태(Gibson H, et al, Sports Med., 1985. 2(2):120-32)라고 할 수 있다.
‘피로’라는 신호가 오면 신체는 휴양을 취하고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나, 바쁜 현대사회에서는 이와 같은 피로와 피로회복의 순환을 제대로 지킨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과로로 인한 피로의 축적은 자칫 만성피로를 유발하고, 소화성 궤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많은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암, 뇌졸증, 심장질환은 현대인의 주요 3대 사망원인이기도 하며, 과로는 이들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웰빙 열풍으로 삶의 여유를 즐기고,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운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관심으로 운동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운동수행능력 향상과 효율적인 피로회복을 위한 과학적인 식품섭취에 대하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항산화제는 산소를 제거하거나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라디칼과 반응함으로써 특정 비타민류와 필수 아미노산등의 손실을 최소화 하거나, 유지 제품의 산패를 지연 또는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식품 또는 의약품 등에 많이 사용되는 합성 항산화제로는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프로필 갈레이트 (PG, Propyl galate), 터셔리부틸 하이드로퀴논 (TBHQ, Teritiarybutyl hydroquinone) 등이 있으나, 이들을 실험동물에 고농도로 투여할 경우에는 간 비대증이 유발되거나 발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은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실험동물의 간에서 마이크로솜 효소 활성(microsomal enzyme activity)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들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의 안전성에 대하여 논란이 제기되어 현재에는 그 사용량이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다(Brannen AL, J. Amer. Oil Chem. Soc., 52, pp59-63, 1975 ; Ito N et al., J. Natl. Cancer Inst., 70, p343, 1983 ; Chan KM et al., J. Food. Sci., 58, pp1-4, 1993).
이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높으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식물기원의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기대 속에 이루어지고 있다(Larson RA, Phytochemistry, 27, pp969-978, 1988). 최근 천연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면서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이 생리활성물질로서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특히,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리활성물질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현저한 활성을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물질로서 많은 종류가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며, 새로운 물질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천연 항산화 물질로는 토코페롤 (tocopherol)류, 플라보노이드 (flavonoid)류, 고시폴 (gossypol), 세사몰 (sesamol), 오리자놀 (oryzanol) 및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Huson B et al., Food Chem., 19, pp537-541, 1987 ; Frankel, E.N. Food Chem., 57, p51, 1996 ; Giese J, Food Technol., 5, pp73-81, 1996 ; Pszcczola DE, Food Tech., 55, pp51-59, 2001). 이 중 토코페롤 (tocopherol)과 L-아스코르브산 (L-ascorbic acid)이 천연 항산화제로 선호되고 있는데, 그중 토코페롤은 안전성이 높으나 단독으로는 산화반응 저지 능력이 낮으며(Halliwell B et al., FASEB J., 2, pp2867-2870, 1988)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 유래의 피로회복제 및 항산화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로회복의 속도를 증진시키며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물질을 탐색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하는 경우 피로회복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대황(Eisenia bicyclis)은 갈조식물 다시마목(Laminariales) 미역과(Alariaceae)의 다년생 식물로 주로 연안 수심 10 m 내외의 조간대(潮間帶) 하부에서 많이 모여 살며, 몸의 크기는 큰 것이 1.5m 이상이고 가지가 나서 복잡하게 얽힌 뿌리와 1개의 긴 원기둥 모양의 줄기가 있으며 그 끝에 잎이 있다. 대황은 곰피나 감태와 함께 흔히 다시마 대용으로 식용되며, 특히 알긴산, 요오드, 칼륨 등의 함량이 높아 알긴산 원료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의 울릉도와 독도 및 일본에 서식 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황은 그 성분들이 확인되고 있으나, 그 효능이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일부 알려져 있는 효능에 대한 동물실험을 통한 검증이나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피로회복 또는 항산화 효능과 관련한 효능은 알려진 바가 없다.
신선초(神仙草: Angelica keiskei 'Miq' Koidz.)는 미나리과 미나리속에 분류하며 원산지는 일본의 관동동부에서 기이반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이두칠도 등으로 따뜻한 곳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신선초는 명일엽, 신립초(伸立草), 팔장채, 도관초, 함초 등으로도 부른다.
신선초는 카로틴이나 비타민 C, 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신선초 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신선초의 부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또는 이들의 혼합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줄기, 잎을 포함하는 지상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드, n-핵산,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개 내지 6개의 알코올 및 이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에 의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시 추출용매와 대황 또는 신선초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대황 또는 신선초에 대하여 1배 내지 10배(중량기준)로 첨가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상압 하의 20℃ 내지 9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시간은 추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시간에 있어서, 추출시간이 작으면 대황 또는 신선초의 활성 성분의 추출이 미비하게 되고 너무 장시간 추출하는 경우 추출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추출에 사용되는 대황 또는 신선초는 수확한 후 세척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건조 및 자연 건조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대황 또는 신선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농축 단계에서는 당업계에 공지된 농축장치 또는 농축법에 의해 농축하며, 예를 들어 침전농축, 증발농축, 감압농축, 한외여과법, 역삼투법, 원심분리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성물에 함유되는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은 분말 혹은 추출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양 및 비율은 추출에 사용되는 대황 및 신선초의 양, 추출 농축 정도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이 1대 0.1 내지 1대 10의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사용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이 1:1의 비율로 혼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생약재 또는 그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에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생약재 추출물을 첨가하거나, 대황 및 신선초과 함께 다른 생약재를 혼합한 후 상기 방법으로 추출하여 식품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근육의 피로 물질의 감소를 촉진시켜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며, 이에 따라 운동수행 능력을 증강시키며,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다(The Effects of Vitamin C.B Complex Intake an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Exercise Performance and Blood Fatigue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0, 49(5), 333-343).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조성물의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 또는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의 효능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공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효능은 실시예에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생쥐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황 추출물, 신선초 추출물 어느 하나만을 2주간 지속적으로 섭취 시킨 후, 강제 수영을 실시하고 피로물질인 혈중 젖산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조성물을 섭취한 군의 경우 다른 군에 비하여 시간당 젖산 감소율이 월등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근육내 피로물질인 젖산의 감소가 촉진되면 피로의 회복이 촉진되며, 근육의 운동능력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제수영을 시킨 군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간 내의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황 추출물, 신선초 추출물 어느 하나만 섭취한 군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혼합조성물을 섭취한 군의 경우 항산화효소인 SOD 및 catal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생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화학적 합성 의약보다 극히 적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이나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 형태로 제조 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에 대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이 함유된 껌, 비타민 복합체, 차, 쥬스 및 드링크 형태로 제조 할 수 있으며,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을 과립화, 캡슐화 또는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 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의 혼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식품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01g/60kg/day 내지 10g/60kg/day의 양으로 섭취하는 경우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 또는 항산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로물질의 감소를 촉진시켜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하며, 다양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로회복 및 운동능력 증강 또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강제 수영운동을 한 후 변화하는 혈중 젖산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강제 수영운동을 한 후 간 조직 내의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의 조성물을 섭취한 후 강제 수영운동을 한 후 간 조직 내의 Catal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 제조
추출을 위한 원물로는 미역과 대황 및 미나리과 식물 신선초를 이용하였다.
대황은 대황 전초 10kg을 에탄올 30L에 넣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신선초는 신선초 전초 10kg을 에탄올 30L에 넣고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상온에서 여과지에 여과하고 추출액의 에탄올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항피로 효과 실험
<2-1> 생쥐 피로유발
상기 체중 30±2g의 ICR계 마우스(㈜두열바이오텍, 대한민국)를 분양 받아 20±1℃의 온도 조건 및 55±3%의 습도 조건에서 명암주기를 12시간(light/dark cycle)으로 1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동물을 각 8마리씩 실험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실험군 1(비운동군, 이하 Normal 표시), 실험군 2(운동 대조군, 이하 Control 표시), 실험군 3(대황 추출물 0.1g/60kg), 실험군 4(신선초 추출물 0.1g/60kg), 실험군 5(대황 추출물 0.1g/60kg 및 신선초 추출물 0.1g/60kg 혼합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시험물질은 1회/1일 총 2주간 경구투여하였다.
<2-2> 젖산 발생량 측정
투여 종료일에 사육한 실험군 2 내지 4의 생쥐를 대상으로 강제수영시험을 실시하여 대표적인 피로물질인 혈중 젖산 생성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을 실험 시작 16시간 전부터 안정된 상태로 사육조건 유지한 후, 아크릴 플라스틱 수조(70cm × 70cm × 60cm) 내에 25℃의 물을 약 70% 정도 넣고, 수조에서 유영하게 하였다. 수영시간은 15분으로 모든 실험동물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수영 종료 후, 유산소 운동후 근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혈정 젖산 함량을 휴식기에 10분 단위로 꼬리에서 채혈하여 젖산 측정기(Lactate Pro™ LT-1710, ARKRAY Inc. /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영 직후 젖산군의 농도가 안정기에 비해 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대조군, 대황 추출물 단독군, 신선초 추출물 단독군에 비해 대황 추출물과 신선초 추출물 혼합군의 혈중 젖산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로서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 혼합 투여군은 측정 30분에 대조군 대비 약 34% 낮은 젖산 농도를 나타냄으로써 근피로도 발생물질인 젖산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로회복을 촉진시키며, 이에 따라 운동능력을 항상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2-3> 간 조직내 항산화 효소 측정
상기 <실시예 2-1>에 따라 실험을 진행 후 12시간 이상 절식시키고 나서 복부를 절개한 다음, 간 조직을 적출한 후 생리식염수로 깨끗이 씻어 다음 실험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효소 활성 측정을 위해 간 조직을 RIPA buffer(엘피스바이오텍, 한국)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대표적은 항산화 효소인 SOD(Superoxide dismutase) 와 catalase를 각각 상용적인 분석키트인 superoxide dismutase assay kit-WST (Dojindo, Catalog No. 30-023, 일본), catalase assay kit (BioVision, Catalog No. K773-100, 미국)을 이용하여 kit 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SOD 활성은 비운동군에서 3.89±0.31(U/ml), 운동 대조군에서 3.78±0.56(U/ml), 대황 추출물 0.1g/60kg 투여군에서 3.98±0.42 (U/ml), 신선초 추출물 0.1g/60kg 투여군에서 3.39±0.35(U/ml),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 혼합 투여군에서 7.98±0.37(U/ml)로 대황 추출물 투여에 따라 간 조직 내 SOD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 혼합에 따라 각각의 단독군 대비 2배 이상 SOD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catalase 활성 측정 결과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 혼합 투여군의 경우 신선초 추출물 또는 대황 추출물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Catalase의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의 혼합 섭취에 의하여 간 조직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매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로물질의 감소를 촉진시켜 피로회복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하며 이에 따라 운동능력이 증강되며, 다양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로회복 또는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 제조에 효과적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4)

  1.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2.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은 1:0.1 내지 1:1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10046754A 2011-05-18 2011-05-18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KR10132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754A KR101327645B1 (ko) 2011-05-18 2011-05-18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754A KR101327645B1 (ko) 2011-05-18 2011-05-18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854A true KR20120128854A (ko) 2012-11-28
KR101327645B1 KR101327645B1 (ko) 2013-11-12

Family

ID=4751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754A KR101327645B1 (ko) 2011-05-18 2011-05-18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09A1 (ko) * 2017-05-25 2018-11-2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017921A1 (ko) * 2018-07-19 2020-0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50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엠바이옴쎄라퓨틱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js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7009A1 (ko) * 2017-05-25 2018-11-29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신선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0017921A1 (ko) * 2018-07-19 2020-01-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645B1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 et al. Nutraceutical potential of selected wild edible fruits of the Indian Himalayan region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D’Angelo Polyphenols and athletic performance: A review on human data
KR101899443B1 (ko) 간 보호용 음료조성물
Onaolapo et al. Herbal beverages and brain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Patel Emerging bioresources with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prospects
Nikan et al. Beta vulgaris L.
Abelti et al. Review on edible water lilies and lotus: Future food, nutrition and their health benefits
KR101327645B1 (ko)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Ridho et al. Insights of phytoconstituents and pharmacology activities of Salacca plants
KR20150088223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Lal et al. Traditional, medicinal and nutraceutical values of minor fruit: Longan
Atanassova et al. Studies on nutritional facts of spring herbs collected from Bulgarian market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Jegatheesan et al. Applie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for a Sustainable Future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200004941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295725B1 (ko) 고구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간 보호용 식사대용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140083604A (ko)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66367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40076258A (ko) 대추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Lim et al. Fragaria x ananassa
Barbhuiya et al. Mangosteen Wastes: Chemistry, Processing, and Ut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