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604A -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604A
KR20140083604A KR1020120153545A KR20120153545A KR20140083604A KR 20140083604 A KR20140083604 A KR 20140083604A KR 1020120153545 A KR1020120153545 A KR 1020120153545A KR 20120153545 A KR20120153545 A KR 20120153545A KR 20140083604 A KR20140083604 A KR 2014008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sauce
ethyl ace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혁
김태훈
원건형
Original Assignee
원건형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유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건형,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유병혁 filed Critical 원건형
Priority to KR102012015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604A/ko
Publication of KR2014008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디풀 추출액의 에틸 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디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중성지방의 흡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퇴행성 질환 및 생활습관성 질병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원인이 활성산소에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 종들은 superoxide, nitric oxide, nitrogen dioxide, hydroxyl, peroxynitrite 등이 있으며 인간의 대사과정 중에 끊임없이 발생되어 노화 및 관련질병의 주요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로서는 butylated hydroxy anisol(BHA) 및 butylated hydroxy toluene(BHT)등의 합성 항산화제이며, 이들을 50mg/kg/day 이상의 고용량으로 장기간 복용시 지질대사의 불균형과 암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제한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각종 천연소재 등에서 안전하고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및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식생활, 식습관 등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서구화됨에 따라 만성질환이나 성인병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원인 중의 하나가 비만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섭취에너지와 소비에너지의 불균형에 의한 에너지대사이상으로서, 결과적으로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정의된다. 비만의 가장 큰 원인은 고에너지나 고지방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 및 운동부족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나 체지방 축적이지만 최근에는 신경내분비 계통의 이상, 약물, 유전적 요인 및 생화학적 이상반응에 의해서도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비만은 단순히 외형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체중증가와 더불어 고혈압,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 관절염, 동맥경화, 암 등의 질병과 밀접한 연관성이 알려져 있어 비만의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소재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비만치료를 위해 식욕억제제, 열생산촉진제, 지방흡수억제제 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비만치료제로서 Orlistat(상품명:제니칼)은 중성지방(Triglyceride)을 분해하는 췌장의 지방분해효소인 pancreatic lipase에 비가역적인 결합을 하여 불활성화 시킴으로써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배설시키는 기작으로 항비만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효능에도 불구하고 Orlistat은 복부고통, 설사, 지용성비타민 흡수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항비만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길경(Platycodin grandiflorum), 세이지(Salvia officinalis), 우롱차로부터 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하는 활성성분이 보고되었다. 최근에 비만관련의 천연선도 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pancreatic lipase 저해효능을 가지는 천연 저해제로서 회잎나무(Euonymus alatus), 주니퍼베리(Juniperus communis),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붓순나무(Illicum religiosum), 돌배나무(Pyrus pyrifolia) 추출물 등이 IC50=45 mg/mL이하의 강한 활성을 나타냄이 보고되었으며, 무환자나무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사과의 procyanidin류 및 인삼 ginsenoside류에서도 강한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이 확인되었다. 마디풀의 EtOAc 가용부의 경우 12.5 mg/mL의 저농도에서 시판된 항비만 치료제 orlistat은 62.0±1.6%의 상당히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농도의존적인 특성을 보였다.
마디풀은 여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줄기는 둥근 기둥모양에 가지가 있으며 여름철 개화전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건조한 것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어린 잎은 식용으로도 사용한다. 또, 마디풀의 전초를 건조하여 황달, 복통, 구충제, 혈뇨증, 설사, 이질, 류마티스, 고혈압 및 이뇨제로 이용하고 있다. 마디풀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flavonoid, naphthoquinone, terpenoid, tannin 등이 보고되었고 혈소판응고 억제활성, 항염증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져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되었고 식품의 소비패턴이 편의성과 시간절약형으로 급격히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가정에서도 조리시간을 줄이고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편의식품 및 소스류의 구입증가로 이어져 편의식품 및 소스류의 시장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특히 데리야끼소스는 생선의 뼈, 껍질, 머리, 결체조직과 향신채, 향신료를 첨가하고 장시간 끓임으로써 걸쭉한 농도와 단맛, 짠맛을 지닌 간장소스의 일종으로서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나 세계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선의 살을 발라내고 남은 뼈나 껍질을 이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식재료 중 버리는 부분까지 활용하고 껍질이나 뼈에 들어있는 영양성분을 활용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소스로서 환경오염예방, 자원재활용 및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고, 특히 간장을 양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데리야끼소스의 제조와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현재까지 진행된 데리야끼소스에 대한 연구로는 간장에 관한 연구(Park WB,2001), 제조조건에 관한 연구(Park ML등,2007), 데리야끼소스의 제품응용성(Park HN등,2006), 주재료에 따른 데리야끼소스의 품질특성(Song CR & Choi SK,2009)등이 진행되었는데 제조시 다른 재료와 양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첨가되는 간장 및 설탕의 양, 가열시간에 대한 기준도 각기 달랐다. 그 후, 데리야끼소스의 가열시간에 관한 연구(Song CR, 2009), 반응표면분석을 통한 간장, 설탕, 가열시간의 최적화(Kim HY등, 2011)등이 진행되어 데리야끼소스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마디풀에 관련된 국내특허로서 공개특허 제10-2005-0051320호가 공지되어 있는 바, 이에는 마디풀이 포함된 군에서 선택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숙취방지 및 제거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또, 국내등록특허 제10-0344325호에는 마디풀이 포함된 군에서 선택된 생약제를 혼합하여 변비증상 개선효과가 우수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마디풀에는 플라보노이드류 등의 화합물이 다수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후보물질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소재로서 부작용이 없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만개선에 효과적인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마디풀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마디풀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Cl3), 에틸 아세테이트 (EtOAc), 부탄올(n-BuOH) 및 물(H2O) 순으로 계통분리하는 단계와; 각 분획물을 대상으로 라디칼 소거능 및 지방분해효소 저해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마디풀 추출물을 함유한 데리야끼 소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데리야끼소스의 수분, 점도 및 관능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통해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마디풀 추출물 및 상기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부탄올층 분획물은 지방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장 내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마디풀추출액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마디풀 추출물의 제조 및 분획
본 발명에서 공시재료로 사용한 마디풀은 2008년 4월에 대구시 소재 흥생약업사에서 구입하여 세척하고 잘게 세절한 다음 사용하였으며, 표본시료는 대구한의대학교의 한약재약리학과 천연물화학실험실에 보관하고 있다.
마디풀 1kg을 45℃에서 10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후 분쇄기로 잘게 마쇄한 다음 80% 에탄올(EtOH) 3L로 3일 동안 3회 반복추출하여 얻은 용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결과물(82g)을 얻었다.
농축 결과물 82g에 대하여 10% 에탄올 3L로 현탁하여 저극성용매인 클로로포름(CHCl3)으로 먼저 추출한 후 수층을 다시 에틸 EtOAc, n-butyl alcohol(n-BuOH)을 이용하여 각각 순차적으로 3회 분획하여 추출하였다.
각 용매추출 분획을 감압농축하여 건조시킨 후 CHCl3 가용분획(7.7g), EtOAc 가용분획(6.5g), n-BuOH 가용분획(33.5g), H2O 가용분획(33.7g)을 각각 얻었다.
실시예 2: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평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Folin-Denis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 혹은 분획물을 1.0 mg/ml 농도로 조제한 후 75 mL의 증류수가 함유된 100 mL의 메스 플라스크에 1 mL 넣고 잘 혼합하여 Folin-Denis 시액 5 mL와 탄산나트륨 포화용액 10 mL를 차례로 넣은 다음 증류수로 100 ml용량으로 채운다. 그 다음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UV/VIS 분광광도계로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물질은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양을 환산하였다.
마디풀 추출물 및 각 분획물에 함유된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EtOAc 분획물이 1 g당 95.5±2.1 mg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n-BuOH 분획물이 90.2±1.3 mg, CHCl3 분획물이 82.0±2.3 mg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또한 H2O 층에서는 1 g당 40.8±2.3 mg의 상대적으로 낮은 페놀함유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DPPH 라디칼소거능 측정
전자공여능은 Blois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2 mL에 0.2 mM의 희석한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용액 1 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DPPH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라디칼은 아니지만 그 자체가 홀수전자를 갖고 있어서 517 nm에서 강한 흡광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항산화능이 있는 물질과 반응하게 되면 안정한 형태로 돌아가면서 흡광도 값이 감소하는 것이다.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마디풀 80% 에탄올 추출물 및 각 유기용매 분획에 대해서 라디칼소거능을 평가한 결과 200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59.6±2.7%의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고, 특히 EtOAc 가용부의 100 mg/mL의 농도에서 58.1±2.3%의 우수한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양성 대조군으로서 녹차 등의 항산화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는 (+)-catechin과 같은 농도에서 비교한 결과이다. n-BuOH 가용부의 100 mg/mL의 농도에서 38.7±1.6%, 62.5 mg/mL의 농도에서 25.0±1.8%의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고, CHCl3 가용부 및 HO 층에서 비교적 약한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소거능과 총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Wang 등, J Agric Food Chem, 2003)에 근거하여 마디풀의 항산화활성과 페놀성화합물의 연관성을 평가한 결과, DPPH 라디칼소거능은 페놀성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 층에서 가장 높은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마디풀의 항산화활성이 마디풀추출물에 존재하는 quercetin, myricetin, kaempferol, luteolin, vitexin 등의 플라보노이드 계열 페놀성화합물이 관여함을 시사하였다. 또 이들 화합물 이외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실시예 4: ABTS 라디칼소거능 측정
마디풀 80% 에탄올 추출물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ABTS) 라디칼소거능을 Re 등(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7 mM ABTS (in water)와 2.45 mM K2O8S2 동량을 혼합한 후 실온, 암소에서 16시간 방치하여 라디칼의 생성을 유도한 후 ABTS+ 라디칼 용액을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1.2∼1.3 정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희석한 ABTS+ 라디칼 용액 980 μl 와 생약 추출액 20 μ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물질로는 1 mM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대한 %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3

마디풀 80% 에탄올 추출물의 25 mg/mL 농도에서는 61.5±0.8%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각 분획물중에서도 특히 CHCl3 및 EtOAc 가용부의 25 mg/mL의 농도에서 73.3±1.6 및 78.1±1.8%의 매우 우수한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구인 (+)-catechin의 활성에 상당하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n-BuOH 가용부의 50 mg/mL의 농도에서 67.3±1.8%, 25 mg/ml의 농도에서 40.8±1.9%의 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H2O층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표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총페놀성 함량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CHCl3, EtOAc, n-BuOH층에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으며, 특히 EtOAc층에 대해서 이들 활성물질의 동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실시예 5: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측정은 Kim 등(FEMS Microbiol Lett,2007)이 행한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즉 enzyme buffer(10 mM MOPS, 1 mM EDTA, pH 6.8)에 돼지의 pancreatic lipase를 0.5 g/200 mL의 농도로 4℃를 유지하면서 용해한 후 4000 rpm으로 원심 분리를 하여 상층액을 사용하여 169 uL Tris buffer(100 mM Tris-HCl, 5 mM CaCl2, pH 7.0) 와 6 uL enzyme buffer를 혼합하였다. 샘플은 DMSO로 용해하여 final 농도가 3%가 되도록 한 후 다양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용액으로 p-nitriphenyl butyrate (p-NPB)을 10 mM이 되게 DMF에 용해한 후 enzyme과 sample을 먼저 37℃에서 15분 동안 shaking incubation 시킨 후 기질을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shaking incubation 시킨 후 405 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80% 에탄올 추출물의 지방분해효소에 대한 저해능은 50 mg/mL의 농도에서 51.6±1.3%의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EtOAc층의 경우, 12.5 mg/mL의 농도에서 시판비만 치료제인 orlistat에 상당하는 62.0±1.6%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3 가용부의 12.5 mg/mL의 농도에서도 60.1±0.9%의 비교적 강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1: 마디풀 추출물을 활용한 데리야끼소스의 제조
재료준비
닭뼈는 경기도 구리시 도매시장에서 국내산을 구입하였고, 청주(백화수복), 간장(샘표 501S), 설탕(큐원 정백당)은 이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대파, 양파, 생강은 이마트에서 국내산을 구입하였고, 프락토올리고당(백설), 자일리톨(로케트사, 프랑스산, 자일리톨 100%), 에리스리톨(Mitsubishi, Japan, 100%), 아가베시럽(Nectarel, Mexico, 유기농 아가베시럽 100%), 스테비오시드(가루나라, 말레이시아, 효소처리 스테비아 100%)는 인터넷으로 구입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데리야끼소스의 제조
데리야끼소스는 닭뼈 1,000 g을 찬물에 담구어 핏기를 제거하고 240℃의 오븐에서 30분, 양파와 대파는 180℃의 오븐에서 20분간 색깔이 나게 1차로 구웠다. 소스 포트에 각각의 구운 뼈와 양파, 대파를 넣고 1,200 mL의 간장과 600 mL의 청주, 3,000 mL의 물, 850 g의 설탕을 넣어 처음에는 강한 불로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약한 불로 3시간(180분) 동안 졸인 후 불을 끄고 소창에 곱게 걸러낸 다음, 얼음물에 식혀 기름기를 제거하고 시료로 사용하였다(표 5, Kim HY 등 2011).
보통 감미료의 종류에 따라 감미도에 차이가 나고 사람이 먹기에 맛에서 차이가 나지만, 데리야끼소스는 간장의 맛과 향이 강하여 예비실험인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실험예에서는 설탕, 아가베시럽, 스테비오시드의 비율을 고정하고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각각의 소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에 사용된 배합비율은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5

실험예 2: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데리야끼소스의 수분 및 점도
수분 함량은 할로겐방식 수분분석기(Moisture Analyzer, MB-45, Ohaus. witzland)를 이용하여 120℃, A60의 측정조건에서 3회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점도는 viscometer(DV-Ⅱ+. Brookfield. USA)로 No.3 spindle을 이용하여 60 rpm에서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소스 온도: 60±2℃).
데리야끼소스에 마디풀추출물(Brix 21)의 함량을 달리 첨가하여 수분과 점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6]과 같았다. 대조군의 수분 측정결과 22.31%로 나타났고, 마디풀추출물(Brix 21) 100g 첨가한 PA-85는 22.18%, 마디풀추출물(Brix 21) 150g 첨가한 PA-12는 21.42%, 마디풀추출물(Brix 21) 150g 첨가한 PA-55는 20.84%로 나타났다.
점도측정 결과는 PA-55(27.58) > PA-12(27.34) > PA-85(26.41)> Con (25.61) 순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수분 함량이 가장 작았던 PA-55의 점도가 가장 높았다.
실험예 3: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데리야끼소스의 관능검사
데리야끼소스의 관능검사는 훈련을 받은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생 11명, 삼성푸드 연구원 6명,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학생 30명 (평균 나이: 34세, 남22명, 여25명)이 오후 3시에 칸막이가 있는 개인용 검사대에서 실시하였다. 난수표에 의한 세 자리 숫자로 표시된 시료는 흰색의 사기 컵에 담아(30 mL) 제공하였고, 한 개의 시료를 평가한 후 반드시 물로 입안을 헹군 후 다른 시료를 평가하게 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한 데리야끼소스의 기호도 검사의 문항은 시료의 외관, 냄새, 맛, 점도, 종합적인 기호도를(매우 좋다=7, 좋다=6, 약간 좋다=5, 보통이다=4, 약간 싫다=3, 싫다=2, 매우 싫다=1), 정량적 묘사분석의 문항은 갈색의 정도, 윤기, 간장향, 단맛, 짠맛, 감칠맛, 점도, 뒷맛의 여운을 7점이 가장 강하고, 1점이 가장 약한 정도로 하여 7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마디풀추출물(Brix 21)의 함량을 달리한 데리야끼소스의 정량적 묘사 분석과 기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7],[표 8]과 같다. 정량적 묘사 분석 결과 갈색의 정도는 마디풀추출물(Brix 21)의 함량이 가장 높은 PA-55의 데리야끼소스가 가장 강하였으나, 관능검사로서의 그 차이는 크지 않았고, 소스의 윤기 역시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간장 향은 마디풀추출물(Brix 21)의 첨가가 적을수록 강하게 나타났으며, 마디풀추출물(Brix 21)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PA-55)의 경우, 마디풀 특유의 씁쓰름한 맛이 잔존하여 이취로까지 느끼는 경향이 있었다. 단맛의 정도 역시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미로 느끼는 경향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전체적인 맛의 조화가 흐트러지고, 소스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하지만 뒷맛의 여운은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은 PA-55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다양한 맛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마디풀의 함량이 증가할 경우, 마디풀의 씁쓸한 뒷맛이 잔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디풀추출물(Brix 21)의 함량에 따른 데리야끼소스의 관능검사 결과 마디풀 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적절한 첨가 배합비율은 마디풀추출물(Brix 21) 100g을 첨가한 데리야끼소스가 가장 맛이 조화로우며, 잔존하는 뒷맛과 간장 향, 간장 맛이 적당하고, 소스의 외관, 냄새, 맛, 텍스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9, 도 1).
Figure pat00008

Claims (2)

  1. 마디풀을 80%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물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은 마디풀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층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 기재의 마디풀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개선기능성 건강식품.
KR1020120153545A 2012-12-26 2012-12-26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36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545A KR20140083604A (ko) 2012-12-26 2012-12-26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545A KR20140083604A (ko) 2012-12-26 2012-12-26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742A Division KR20150064724A (ko) 2015-05-26 2015-05-26 마디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데리야끼소스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604A true KR20140083604A (ko) 2014-07-04

Family

ID=5173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545A KR20140083604A (ko) 2012-12-26 2012-12-26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6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61A (ko) 2018-08-24 2020-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천연물 유래 아비큘라린
KR20210073055A (ko) * 2019-12-10 2021-06-1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161A (ko) 2018-08-24 2020-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췌장 라이페이스 저해 기능을 가지는 천연물 유래 아비큘라린
KR20210073055A (ko) * 2019-12-10 2021-06-18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morro et al. Valorization of kiwi agricultural waste and industry by-products by recovering bioactive compounds and applications as food additives: A circular economy model
Datta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minera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quantitative estimation of water soluble vitamins and phenolics by RP-HPLC in some lesser used wild edible plants
Durak et al. Coffee with cinnamon–Impact of phytochemicals interaction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in vitro activity
Sowndhararajan et a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om different extracts of leaves of Bauhinia vahlii Wight & Arn.
Darsini et al. Antioxidant potential and amino acid analysis of underutilized tropical fruit Limonia acidissima L.
KR101003186B1 (ko) 씀바귀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김치
Satpathy et al. Preliminary evaluation of nutraceutical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raw Spondias pinnata K., an exotic fruit of India
KR101256728B1 (ko) 고추와 고추씨를 이용한 분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31962B1 (ko) 고추씨유를 이용한 드레싱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528197A (zh) 竹叶抗氧化物及其用途
Igoumenidis et al. Fortification of white milled rice with phytochemicals during cooking in aqueous extract of Mentha spicata leaves. An adsorption study
Seal et al. Nutraceut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ucumis hardwickii Royle: A potent wild edible fruit collected from Uttarakhand, India
Lin et al. Antioxidant potenc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the root extract of Acacia confusa
KR20120079942A (ko) 고추씨와 고추씨유를 이용한 핫소스 및 그 제조방법
Abelti et al. Review on edible water lilies and lotus: Future food, nutrition and their health benefits
KR101256739B1 (ko) 고추씨와 고추씨유를 이용한 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Zayapor et al. The antioxidant analysis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spices and herbs (22 species) in Asian traditional beverages
Beara et al. Bioguided design of new black truffle (Tuber aestivum Vittad.) product enriched with herbs and spices
KR20140083604A (ko)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anga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study of physic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rapeutic activities of Choerospondias axillaris (lapsi)
KR101327645B1 (ko) 대황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 또는 운동능력 증강용 또는 항산화용 식품조성물
KR101137891B1 (ko) 엄나무 껍질을 포함하는 닭백숙용 소스 조성물
Atanassova et al. Studies on nutritional facts of spring herbs collected from Bulgarian market
Das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tive propertiesof the different seed spices available in India
El-Anany et al. Potential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of coffee mixed with lemongrass (Cymbopogon citrates) le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