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441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441A
KR20120128441A KR1020110046390A KR20110046390A KR20120128441A KR 20120128441 A KR20120128441 A KR 20120128441A KR 1020110046390 A KR1020110046390 A KR 1020110046390A KR 20110046390 A KR20110046390 A KR 20110046390A KR 20120128441 A KR20120128441 A KR 2012012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image
photographing
area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839B1 (ko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6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39B1/ko
Priority to US13/299,554 priority patent/US9215370B2/en
Priority to EP12162639.4A priority patent/EP2525565B1/en
Priority to PCT/KR2012/003607 priority patent/WO2012157883A2/en
Priority to AU2012256587A priority patent/AU2012256587B2/en
Priority to RU2013155914A priority patent/RU2608771C2/ru
Priority to BR112013028640A priority patent/BR112013028640A2/pt
Priority to CN2012101544649A priority patent/CN102789124A/zh
Publication of KR2012012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셔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노라마 영상 촬영 시에 촬상소자로부터의 데이터 리드아웃 시간의 단축으로 전체 촬영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고속 촬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고화질의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를 사용할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연사 속도가 셔터 동작 속도와 동작 메커니즘, 그리고 CIS 또는 CCD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로부터의 촬상 데이터 리드아웃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는 파노라마 촬영을 위해 일반적인 연속 촬영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즉 가로방향, 세로방향의 화각 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에서도 일반 정지 영상 촬영 방식과 같이 촬상센서의 전체 화각을 유지한 연속 촬영으로 인해 파노라마 영상 알고리즘이 요구하는 수준의 고속 연속 촬영이 이루어 지지 않아 파노라마 영상의 화질 저하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일반 촬영에 비해 고속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좋은 품질의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셔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및(c)단계를 초당 촬영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및(c)단계의 반복 횟수는 상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화각은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화각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촬영영역은 영상 촬영 방향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방향에 대해 화각을 유지하고, 상기 영상 촬영 반대 방향에 대해 상기 화각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라이브뷰 영상 위에 상기 촬영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촬영영역 설정 시에 상기 (b)및(c)단계가 반복될 횟수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셔터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상기 촬상소자를 노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포컬 플레인 셔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하고, 셔터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셔터 구동 및 데이터 독출을 초당 촬영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는 상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화각보다 더 작은 화각을 갖는 촬영영역을 설정하는 촬영영역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영역은 상기 피사체의 촬영 방향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피사체의 촬영 방향에 대해 상기 촬상소자의 화각을 유지시키고, 상기 피사체의 촬영 반대 방향에 대해 상기 촬상소자의 화각을 작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 위에 상기 촬영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이후에, 상기 촬상소자를 노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포컬 플레인 셔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노라마 영상 촬영 시에 촬상소자로부터의 데이터 리드아웃 시간의 단축으로 전체 촬영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고속 촬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고화질의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촬영영역 설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촬영영역에 따른 셔터 막(114)의 동작 및 촬영 소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100)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0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셔터(114), 셔터 구동부(117),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셔터(114)는 선막(114-1) 및 후막(114-2)을 포함하며, 셔터 구동부(117)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하로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셔터(114)는 포컬 플레인 셔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는 렌즈의 초점 면 직전에 설치된 두 장의 포막이나 금속 막이 좌우 또는 상하로 달리는 셔터로, 선막과 후막의 슬릿(slit)이나, 선/후막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감광 재료 면에 적당한 노출을 하게 된다. 포컬 플레인 셔터는 렌즈 교환이 가능한 카메라에 많이 설치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컬 플레인 셔터는 보통 6×6cm 판 이하의 카메라에 많이 설치되며, 막의 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조속기나 전기 제어되는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슬릿 폭만을 조절함으로써 노출시간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의 최대 특징은 렌즈 교환 사용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고속 셔터를 구현할 수 있는 점이다. 렌즈부(110)(lens unit)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11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114)의 주행 속도로 조절된다. 셔터(114)는 선막(114)와 후막(114-2)이 일정 간격의 슬릿을 두고 이동하여 빛의 촬상 소자(115)의 입사량을 조절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스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통해 오토 영상 처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오토 영상 처리 모드는 사용자의 영상 처리 종류 또는 영상 처리 강도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닌 자동으로 주변 밝기에 따라 영상 처리 종류 또는 영상 처리 강도가 설정되어 설정된 영상 처리 종류 또는 강도로 처리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 형식은 가역 형식 도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서는 기능적으로 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며,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셔터 구동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 제어부(116), 셔터 구동부(117)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카메라(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조작부(170)를 통하여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조작부(170)를 통하여 셔터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114)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셔터(114)가 구동시켜 촬상 소자(115)에 빛을 입사시키는 노광 동작을 수행하고, 촬상 소자(115)를 통해 축적된 전기 신호(이하, 데이터, 영상 신호 또는 입력 영상이라 한다)를 독출하는 데이터 독출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를 나타낸 상세 블록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는 촬영영역 설정부(210), 셔터 구동 제어부(220), 조리개 구동 제어부(230) 및 데이터 독출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와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촬영영역 설정부(210)는 파노라마 영상 촬영 시에 촬상소자(115)를 통하여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한다. 설정된 촬영영역의 화각은 라이브뷰 영상 보다 더 작다. 촬영영역은 라이브 영상과 구별하기 위해, 촬영영역의 색깔과 라이브 영상의 색깔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초당 촬영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에 촬영영역 설정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은 제1 촬영영역(310)이 설정되면, 초당 5매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도 3b와 같이 제1 촬영영역(310)보다 더 작은 제2 촬영영역(320)이 설정되면, 초당 6매의 고화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도 3c와 같이 제2 촬영영역(320) 보다 더 작은 제3 촬영영역(330)이 설정되면, 초당 7매의 초고화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가로 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촬영영역의 설정은 가로 영상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의 영상에 대해 촬영영역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촬영영역과 초당촬영 매수를 따로 표시하였으나, 선택한 촬영영역에 따라 초당 촬영 매수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영역 설정으로, 촬상소자(115)가 데이터를 리드아웃 할 때 설정된 촬영영역의 데이터만을 리드아웃하므로 촬영영역의 크기가 작을수록 초당 더 많이 고화질로 파노라마 영상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즉, 고속 연속 촬영을 위해 파노라마 영상이 목적으로 하는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촬상소자(115) 화각은 유지하고, 반대 방향의 촬상소자(115) 화각을 일 부 줄여 연속 촬영에 비해 고속 연속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셔터 구동 제어부(220)는 셔터 릴리스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114)가 노출 동작 및 데이터 독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셔터(114) 구동과 관련하여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리개 구동 제어부(230)는 조리개(112) 개방 및 차단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데이터 독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조리개(112)는 차단-개방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개방 및 차단과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독출부(24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정된 촬영영역에 따른 셔터 막(114)의 동작 및 촬영 소요 시간을 설명한다.
도 4a는 라이브 뷰 상태를 도시한다. 라이브 뷰는 사용자가 뷰 파인더가 아닌 디스플레이부(160),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보면서 촬영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셔터(114)의 선막(114-1) 및 후막(114-2)은 모두 개방된 상태로, 렌즈부(110)를 통과한 빛이 촬상 소자(115)에 결상된다.
다음으로 도 4b는 셔터 릴리즈 신호 입력에 의해 셔터(114)가 설정된 값으로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셔터 릴리즈 버튼을 완전 누름에 따라 촬영 동작이 시작된다. 그리고 셔터 릴리즈 버튼에 상응하는 셔터 릴리즈 신호에 따라 선막(114-1)이 위 방향으로 주행하여 후막(114-2)과 결합하고, 촬상 소자(115)에 빛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클로즈 상태를 유지 한다.
다음으로, 도 4d, 및 4e는 노광 상태를 도시한다. 노광 동작의 시작은 도 3d에 도시된 것처럼, 선막(114-1)이 위 방향으로 주행하여 후막(114-2)에 붙고 나서, 일정 간격으로 슬릿을 유지하면서 선막(114-1) 및 후막(114-2)이 모두 아래 방향으로 주행한다. 여기서 선막(114-1)과 후막(114-2)의 출발 시각 차이를 통해 슬릿 간격을 만들고, 주행 속도에 따라 노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선막(114-1)과 후막(114-2)의 슬릿 간격을 통해 노광 동작이 이루어 진다.
다음으로 도 4f는 노광 완료 상태를 도시한다. 선막(114-1)과 후막(114-2)이 모두 아랫 방향으로 주행하고, 후막(114-2)이 끝까지 주행하여 선막(114-1)에 붙는다. 노광이 완료된 상태, 즉 촬상 소자(115)로 어떠한 빛도 들어가지 않는 상태이다.
도 4g는 데이터 독출 상태를 도시한다. 노광 동작이 완료되면, 도 4g와 같이 촬상 소자(115)에 축적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데이터 독출 동작은 촬상 소자(115)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독출 시에 셔터 구동 제어부(220)는 셔터(114)의 데이터 독출 동작을 설정된 촬영영역 내에서만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4h, 도 4i 및 도 4j는 개방 준비 상태를 도시한다. 선막(114-1)과 후막(114-2)이 붙은 상태로 위 방향으로 주행한다
다음으로 도 4k 및 도 4l은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선막(114-1)과 후막(114-2)이 붙은 상태로 위 방향으로 주행하다가, 선막 (114-1)만이 아래 방향으로 주행하고, 후막(114-2)은 위 방향으로 주행을 계속하여, 촬상 소자(115)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를 달성한다. 도 4m은 도 4a와 마찬가지로 라이브 뷰 상태이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정된 촬영영역에 따라 파노라마 촬영 시에 셔터(114) 동작과 결부된 촬영 소요 시간을 설명한다. 여기서, 노출 시간, 데이터 독출 시간 등을 결정하는 요소인 촬상 소자, 셔터 스피드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데이터 처리 속도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제1 촬영영역(310)이 설정된 상태의 도4-1을 설명하면, 도 4a의 라이브 뷰 상태에서, 사용자의 셔터 릴리스 버튼이 완전히 눌러지면, 도 4c에 상응하는 클로즈 상태에 65ms가 소요되고, 도 4d-f에 상응하는 노광에 4ms가 소요된다. 그리고 노광이 완료된 후에, 도 4-1에서는 도 4g에 상응하는 데이터 독출 동작에 100ms가 소요된다. 일반촬영의 경우 데이터 독출 동작에는 180ms가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촬영영역(310)에 대해서만 데이터 독출동작을 수행하면 되므로, 데이터 독출 시간이 일반촬영 시보다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독출 동작이 종료한 후에, 도 4h-4j에 상응하는 개방 동작이 시작되어, 다시 도 4k 및 도 4l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데 50ms가 소요된다. 따라서, 총 촬영 시간, 즉 한 번의 셔터 릴리스 버튼을 누르고 나서, 다시 라이브 뷰로 돌아와서 다음 촬영이 준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총 219ms이다. 이를 파노라마 촬영에 적용하면, 도 4-1에서는 클로즈-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개방을 수행하는 시간이 총 1초가 된다.
다음에 제2 촬영영역(320)이 설정된 상태의 도 4-2를 설명하면, 도 4a-도4f 및 도4h-도4m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4-2에서는 노광이 완료된 후에, 도 4g에 상응하는 데이터 독출 동작에 67ms가 소요된다. 제1 촬영영역(310)의 경우에는 데이터 독출 동작에는 100ms가 소요된다. 그러나 제2 촬영영역(320)은 제1 촬영영역(310) 보다 작기 때문에 데이터 독출 시간이 제1 촬영영역(310) 설정 시보다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총 촬영 시간, 즉 한 번의 셔터 릴리스 버튼을 누르고 나서, 다시 라이브 뷰로 돌아와서 다음 촬영이 준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총 186ms이다. 이를 파노라마 촬영에 적용하면, 도 4-2에서는 클로즈-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개방을 수행하는 시간이 총 1초가 된다.
다음에 제3 촬영영역(330)이 설정된 상태의 도 4-3을 설명하면, 도 4a-도4f 및 도4h-도4m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4-3에서는 노광이 완료된 후에, 도 4g에 상응하는 데이터 독출 동작에 43ms가 소요된다. 제2 촬영영역(320)의 경우에는 데이터 독출 동작에는 67ms가 소요된다. 그러나 제3 촬영영역(330)은 제2 촬영영역(320) 보다 작기 때문에 데이터 독출 시간이 제2 촬영영역(320) 설정 시보다 단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총 촬영 시간, 즉 한 번의 셔터 릴리스 버튼을 누르고 나서, 다시 라이브 뷰로 돌아와서 다음 촬영이 준비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총 162ms이다. 이를 파노라마 촬영에 적용하면, 도 4-3에서는 클로즈-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노광-데이터 독출-개방을 수행하는 시간이 총 1초가 된다.
이와 같이, 파노라마 영상 촬영 시에 촬상소자(115)로부터의 데이터 독출 시간의 단축으로 전체 촬영 동작 시간을 단축하여 고속 촬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고화질의 파노라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라이브 뷰를 표시하고, 단계 503에서 파노라마 촬영을 선택한다. 여기서 라이브뷰 표시 및 파노라마 촬영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단계 505에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한다. 설정된 촬영영역의 화각은 라이브뷰 영상 보다 더 작으며, 촬영영역은 라이브 영상과 구별하기 위해, 촬영영역의 색깔과 라이브 영상의 색깔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초당 촬영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된 제1 촬영영역(310), 제2 촬영영역(320) 및 제3 촬영영역(330)이 도시되어 있으며, 촬영영역이 작아질수록 초당 촬영 가능한 매수가 더 많아진다.
단계 507에서 촬영영역이 설정된 후 셔터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단계 509에서 셔터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셔터막을 구동시키고, 단계 511및 단계 513에서 셔터 막 구동으로 노광 동작을 시작하고, 일정시간, 즉 노광 시간이 종료하여 노광을 완료한다.
단계 515에서 촬상 소자(115)로부터 데이터 독출 동작을 시작한다. 여기서, 데이터 독출은 이미지 센서가 빛으로부터 완전히 차폐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데이터 독출 시에 촬상 소자(115)는 설정된 촬영영역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독출한다. 따라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독출 시간이 달라진다. 도 4-1에서는 제1 촬영영역(310)에 대해서만 데이터 독출 동작을 수행하면 되므로, 데이터 독출 시간(100ms)이 일반촬영(180) 시보다 단축된다. 도 4-2에서는 제2 촬영영역(320)에 대해서만 데이터 독출 동작을 수행하면 되므로, 데이터 독출 시간(67ms)이 제1 촬영영역(310)(100ms) 시보다 단축된다. 도 4-3에서는 제3 촬영영역(330)에 대해서만 데이터 독출 동작을 수행하면 되므로, 데이터 독출 시간(43ms)이 제2 촬영영역(320)(67ms) 시보다 단축된다.
단계 517에서 데이터 독출 후에 파노라마 촬영이 종료되었는지 판단하여 계속 촬영해야 하는 경우 507단계로 이동한다.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면, 파노라마 촬영 시에 제1 촬영영역(310)에 대해서는 초당 5매가, 제2 촬영영역(320)에 대해서는 초당 6매가, 제3 촬영영역에 대해서는 초당 7매가 촬영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 디지털 카메라
110 : 렌즈부
114 : 셔터
20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10 : 촬영영역 설정부
220 : 셔터 구동 제어부
230 : 조리개 구동 제어부
240 : 데이터 독출부

Claims (20)

  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셔터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및(c)단계를 초당 촬영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및(c)단계의 반복 횟수는
    상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화각은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화각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촬영영역은 영상 촬영 방향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방향에 대해 화각을 유지하고, 상기 영상 촬영 반대 방향에 대해 상기 화각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라이브뷰 영상 위에 상기 촬영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촬영영역 설정 시에 상기 (b)및(c)단계가 반복될 횟수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셔터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상기 촬상소자를 노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포컬 플레인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입력된 라이브뷰 영상으로부터 촬영영역을 설정하고, 셔터 릴리즈 신호에 응답하여 셔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촬상소자를 통해 상기 촬영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셔터 구동 및 데이터 독출을 초당 촬영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는
    상기 설정된 촬영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의 화각보다 더 작은 화각을 갖는 촬영영역을 설정하는 촬영영역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영역은 상기 피사체의 촬영 방향에 따라 다르게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피사체의 촬영 방향에 대해 상기 촬상소자의 화각을 유지시키고, 상기 피사체의 촬영 반대 방향에 대해 상기 촬상소자의 화각을 작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는
    상기 라이브뷰 영상 위에 상기 촬영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 이후에,
    상기 촬상소자를 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포컬 플레인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10046390A 2011-05-17 2011-05-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5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390A KR101756839B1 (ko) 2011-05-17 2011-05-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299,554 US9215370B2 (en) 2011-05-17 2011-11-18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increase continuous shooting speed for capturing panoramic photographs
EP12162639.4A EP2525565B1 (en) 2011-05-17 2012-03-30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increase continuous shooting speed for capturing panoramic photographs
PCT/KR2012/003607 WO2012157883A2 (en) 2011-05-17 2012-05-0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increase continuous shooting speed for capturing panoramic photographs
AU2012256587A AU2012256587B2 (en) 2011-05-17 2012-05-09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o increase continuous shooting speed for capturing panoramic photographs
RU2013155914A RU2608771C2 (ru) 2011-05-17 2012-05-09 Устройство цифровой фотографи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для увеличения скорости непрерывной съемки для захвата панорамных фотографий
BR112013028640A BR112013028640A2 (pt) 2011-05-17 2012-05-09 Aparelho de fotografia digital e método de controle do mesmo para aumento da velocidade de disparo contínuo para captura de fotografias panorâmicas
CN2012101544649A CN102789124A (zh) 2011-05-17 2012-05-17 数字拍摄设备以及控制数字拍摄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390A KR101756839B1 (ko) 2011-05-17 2011-05-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41A true KR20120128441A (ko) 2012-11-27
KR101756839B1 KR101756839B1 (ko) 2017-07-11

Family

ID=4614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390A KR101756839B1 (ko) 2011-05-17 2011-05-17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15370B2 (ko)
EP (1) EP2525565B1 (ko)
KR (1) KR101756839B1 (ko)
CN (1) CN102789124A (ko)
AU (1) AU2012256587B2 (ko)
BR (1) BR112013028640A2 (ko)
RU (1) RU2608771C2 (ko)
WO (1) WO201215788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3407B2 (en) 2013-01-29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620B1 (ko) * 2013-05-21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의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201529381A (zh) * 2014-01-17 2015-08-01 Primax Electronics Ltd 行車影像輔助系統
JP2017212698A (ja) * 2016-05-27 2017-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16825B1 (en) 2016-06-12 2017-07-2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DK180859B1 (en) 2017-06-04 2022-05-23 Apple Inc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US11112964B2 (en) 2018-02-09 2021-09-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0375313B1 (en) 2018-05-07 2019-08-06 Apple Inc. Creative camera
DK201870623A1 (en) 2018-09-11 2020-04-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0674072B1 (en) 2019-05-06 2020-06-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321857B2 (en) 2018-09-28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039074B1 (en) 2020-06-01 2021-06-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JPWO2022014416A1 (ko) * 2020-07-14 2022-01-20
US11212449B1 (en) * 2020-09-25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US11539876B2 (en) 2021-04-30 2022-12-2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US11778339B2 (en) 2021-04-30 2023-10-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634A (ja) 1994-07-22 1996-02-06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4094123B2 (ja) 1998-06-18 2008-06-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7133073B1 (en) 1999-08-19 2006-11-07 Dialog Imaging Systems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interpolation
JP2003324644A (ja) 2002-05-07 2003-11-14 Canon Inc 映像信号処理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308158B2 (en) * 2003-06-20 2007-12-11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method and system
JP4901069B2 (ja) 2004-02-18 2012-03-2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293053B2 (ja) * 2004-05-19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方法
KR101315308B1 (ko) * 2006-08-24 2013-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촬영장치
JP4816337B2 (ja) 2006-08-30 2011-11-16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補正装置、カメラ及び画像補正プログラム
JP2008098754A (ja) * 2006-10-06 2008-04-24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JP2009039449A (ja) * 2007-08-10 2009-02-26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
RU2007131219A (ru) * 2007-08-16 2009-02-27 Корпораци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KR)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учения цифровых пейзажных панорам
JP4991506B2 (ja) * 2007-12-07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JP5115731B2 (ja) 2008-07-24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3407B2 (en) 2013-01-29 2016-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28640A2 (pt) 2017-08-29
KR101756839B1 (ko) 2017-07-11
US9215370B2 (en) 2015-12-15
WO2012157883A2 (en) 2012-11-22
RU2608771C2 (ru) 2017-01-24
US20120293611A1 (en) 2012-11-22
AU2012256587A1 (en) 2013-10-31
EP2525565B1 (en) 2014-05-14
AU2012256587B2 (en) 2016-05-19
CN102789124A (zh) 2012-11-21
WO2012157883A3 (en) 2013-01-24
RU2013155914A (ru) 2015-06-27
EP2525565A1 (en)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83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57826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64332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700357B1 (ko) 점프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US869894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58496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92246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79560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4717867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6706167B2 (ja) 撮像装置、画像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56709A (ja) 撮像装置
KR101960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10060297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448391B2 (ja) 撮像装置及び赤目補正方法
JP2014127770A (ja) 撮像装置
KR101635100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1249923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80107346A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KR20150093431A (ko)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