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431A -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431A
KR20150093431A KR1020140014196A KR20140014196A KR20150093431A KR 20150093431 A KR20150093431 A KR 20150093431A KR 1020140014196 A KR1020140014196 A KR 1020140014196A KR 20140014196 A KR20140014196 A KR 20140014196A KR 20150093431 A KR20150093431 A KR 20150093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lens
unit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431A/ko
Publication of KR2015009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Abstract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제1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2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2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Plurality of Lenses}
본 발명은 촬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람이 휴대하기 편리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에 영상 촬영 기능을 부가한 디지털 영상 촬영 기기가 등장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 기기들은 정지된 영상(still picture)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피사체를 위한 동영상(moving picture) 촬영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촬영 장치들은 셀프 촬영을 돕기 위한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사용자를 촬영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보조(후면) 카메라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본 이미지를 촬영하면서 동시에 보조 카메라로 촬영한 촬영자의 이미지를 본 이미지에 합성하는 기술이 구현 되었다. 예를 들면, 본 이미지로 인물 사진을 촬영하면서 촬영자의 얼굴부분을 촬영하여, 본 이미지에 합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의 경우 관심의 대상이 되는 본 사진 속 인물 또는 배경을 합성된 촬영자의 얼굴이 가리게 되어 전체적인 사진의 느낌을 반감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때, 촬영자 자신의 사진은 많이 촬영되지 않기 때문에 디지털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디지털 촬영 장치의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촬영자의 모습과 배경도 담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 있어서, 제1 렌즈를 통해서 제1 이미지 촬영시, 제2 렌즈를 통해서 제2 이미지를 함께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주 피사체뿐 아니라 촬영자의 이미지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이미지 파일 열람 시에 이미지 촬영 당시의 분위기나 촬영자의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방법은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한 이미지들을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렌즈를 통한 이미지 각각의 해상도를 자유롭게 설정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고, 나머지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영역에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파일로 관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 관리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특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에 있어서, 제1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2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2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방법은,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에서 이용될 렌즈부의 개수 및 촬영 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렌즈부 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수행 불가능 할 경우, 버퍼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렌즈부별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렌즈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렌즈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정면에 위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후면에 위치하여 촬영자를 촬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방법은,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3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 영역을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3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를 선택 받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이미지가 추가되는 메타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파일은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파일에 추가되는 제2 이미지는 소정 이미지 뷰어를 이용하여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접근할 때만 확인 가능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제1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1 촬영 제어부;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2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2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2 촬영 제어부; 상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추가하는 메타 데이터 추가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장치는,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에서 이용될 렌즈부의 개수 및 촬영 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해상도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렌즈부 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영역 할당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역 할당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제2 촬영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수행 불가능 할 경우, 버퍼를 이용하여 제1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타 측에 위치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3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 영역을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3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추가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3 이미지를 추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를 선택 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이미지가 추가되는 메타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파일은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파일에 추가되는 제2 이미지는 소정 이미지 뷰어를 이용하여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접근할 때만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118)에서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Exif 형식으로 생성된 이미지 파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 표준 기반 JPEG의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Baseline MPF 형식 따르는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의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는 것은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는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특별한 특성, 구조, 특징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실시 예에서"라는 어구의 등장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전면 렌즈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 촬영시에 후면렌즈를 이용해 제2 이미지를 함께 촬영하여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장치(100)가 복수의 렌즈부(110a, 110b)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렌즈부(110a)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주 피사체(인물 또는 풍경)를 촬영할 때, 제2 렌즈부(120)는 촬영자(또는 후면 풍경)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제1 렌즈부(110)를 통해 촬영된 주 피사체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형태(예컨대, JPEG형식)로 압축하여 저장하면서, 제2 렌즈부(120)를 통해 촬영된 촬영자 이미지를 인물 또는 풍경 사진을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추가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 관리가 용이해 지고 추후 이미지 파일 열람 시에도, 이미지 촬영 당시의 분위기나 촬영자의 감정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촬영자의 이미지도 많이 촬영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제1 촬영부(110a), 제2 촬영부(110b),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 메모리(130), 저장/판독 제어부(140), 메모리 카드(142), 프로그램 저장부(150), 표시 구동부(162), 표시부(164), 제어부(170), 조작부(180) 및 통신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전체 동작은 제어부(170)에 의해 통괄된다. 제어부(170)는 제1 렌즈부(110a), 제2 렌즈부(110b), 조리개 구동부(115), 이미지 센서 제어부(119) 등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제1 렌즈부(110a)는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111), 렌즈 구동부(112), 조리개(113) 및 조리개 구동부(115)를 포함한다.
렌즈(111)는 복수 군, 복수 매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111)는 렌즈 구동부(112)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112)는 제어부(17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111)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렌즈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오토 포커싱 동작시에, 보조광(166)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피사체에 초점이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광(166)은 LED 또는 발광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광(166)은 셀프 타이머 모드 또는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시 사용자에게 촬영시가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됨을 깜박임을 통해 알려 줄 수 있다.
조리개(113)는 조리개 구동부(115)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이미지 센서(1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제2 렌즈부(110b)는 제1 렌즈부(110b)와 마찬가지로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미도시), 렌즈 구동부(미도시), 조리개(미도시), 조리개 구동부(115)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동작은 제1 렌즈부(110b)의 렌즈(111), 렌즈 구동부(112), 조리개(113), 조리개 구동부(115)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 렌즈부(110a)는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일 측에 위치하며, 제2 렌즈부(110b)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렌즈부(110a)는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2 렌즈부(110b)는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지털 촬영장치(100)가 제1 렌즈부(110a) 및 제2 렌즈부(110b)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제1 렌즈부(110a)의 렌즈(111) 및 조리개(1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이미지 센서(118)의 제1 이미지 영역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또한, 제2 렌즈부(110b)를 투과한 광학신호는 이미지 센서(118)의 제2 이미지 영역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즉, 이미지 센서(118)는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제1 렌즈부(110a)를 통한 광학 신호 및 제2 렌즈부(110b)를 통한 광학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피사체 상을 결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이미지 영역은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센서(118)에서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b,c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18)는 OB(Optical black)영역을 제외한 유효 영역(301)내에서 수광되는 광학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118)는 이미지 센서(118)의 유효 영역(108)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각각 촬상 할 수 있다.
예컨대, 도3a,b에 도시되듯이 이미지 센서(118)의 일 측에 제1 렌즈부(110a)를 통한 제1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이미지 영역(302)를 할당하고 이미지 센서(118)의 타 측에 제2 렌즈부(110b)를 통한 제2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2 이미지 영역(303)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부(110a) 및 제2 렌즈부(110b)를 통과한 제1 및 제2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 센서(118)에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이미지는 디지털 촬영장치(100) 전면에 위치한 제1 촬영부(110a)에서 주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한다. 또한, 제2 이미지는 제1 촬영부(110a)이외의 복수의 촬영부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렌즈부(110b) 또는 제3 렌즈부(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주 피사체를 촬영한 이미지 일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개의 렌즈를 통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렌즈별로 다른 해상도롤 갖는 영상을 촬영 가능하다. 예컨대, 도 3a에는 제1 이미지 영역(302)이 제2 이미지 영역(303)보다 크게 할당되어, 제1 렌즈부를 통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는 제2 렌즈부를 통해 촬영되는 제2 이미지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b에는 제1 이미지 영역(302)과 제2 이미지 영역(303)이 동일한 크기로 할당되어, 제1 렌즈부를 통해 촬영되는 제1 이미지와 제2 렌즈부를 통해 촬영되는 제2 이미지가 동일한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18)의 크기가 충분이 크다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가 모두 고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MPF 형식으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게 되면, 원본 이미지영역에 저장되는 제1 이미지뿐만 아니라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는 제2 이미지 또한 화질 열화 없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100)에 복수개의 렌즈가 탑재되는 경우 렌즈별로 이미지 센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 촬영 렌즈부만이 고 해상도의 영상을 촬영 가능하도록 하고, 나머지 보조 렌즈는 저해상도 영상을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렌즈부가 하나의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에는 각 렌즈부별로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촬영 가능하다. 이하,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되듯이 각 렌즈부별로 할당되는 이미지 영역(302, 303)이 이미지 센서(118)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영역일 수 있다. 이 때는, 이미지 센서(118)는 버퍼(미도시)를 이용하여 각 렌즈부를 통해 들어오는 이미지 촬영에 시차를 둠으로써, 각 렌즈부별로 이미지 센서(118)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하지 않은 경우,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는 대신, 각 렌즈부별로 시차를 줘 촬영할 수 있다.
이하, 버퍼를 이용하여 렌즈부 별로 이미지 센서(118)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은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미지 센서(1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118)는 이미지 센서 제어부(1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제어부(1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미지 센서(11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부(110a,b)로부터 입사된 광을 이미지 센서(118)에 유도하기 위한 광 유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센서가 양면으로 구현되어 앞뒤에서 입사되는 빛을 촬상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는 이미지 센서(1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특수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이다. 예를 들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화이트 밸런스 조절, 휘도의 평활화 및 칼라 쉐이딩(color shading) 등의 화질 개선 및 특수 효과 제공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정지 영상에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파일은 예를 들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표준 또는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 표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이미지 센서(118)에서 생성된 촬상 신호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신호는 이미지 센서(118)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에 의해 처리된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상기 촬상 신호로부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될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들을 예를 들면,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H.264/AVC, WMV(windows media video) 등의 표준에 따라 코딩되어, 동영상 압축된 후, 압축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은 mpg, mp4, 3gpp, avi, asf, mov 등 다양한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1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4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14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140)는 메모리 카드(14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구동부에 입력하여 표시부(164)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 카드(14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142)는 SD(Secure Digital)카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에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는 표시부(1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130)를 거쳐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30)를 거치지 않고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3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 또는 제어부(170)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5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64)를 포함한다. 표시부(164)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부(16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4)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표시 구동부(162)는 표시부(16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부(17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리개 구동부(115), 렌즈 구동부(112), 및 이미지 센서 제어부(119)에 제공하고, 셔터, 스트로보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렌즈부(110a) 및 이미지 센서(118)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고, 제1 이미지 촬영시, 제2 렌즈부(110b) 및 이미지 센서(118)의 제2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도 촬영하고,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17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작부(1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1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이미지 센서(1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모드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180)는 렌즈부 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조작부(1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통신부(19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나 모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디지털 촬영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DSLR), 미러리스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및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제1 촬영 제어부(171), 제2 촬영 제어부(172), 이미지 파일 생성부(173) 및 메타 데이터 추가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1 촬영 제어부(171)는 제1 렌즈부(110a) 및 이미지 센서(118)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 영역 및 후술하는 제2 이미지 영역은 이미지 센서(118)를 렌즈부 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미리 할당된 영역이다.
단계 520에서, 제2 촬영 제어부(171)는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2 렌즈부(110b) 및 이미지 센서의 제2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계 510 및 단계 520은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순서가 바뀌거나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530에서, 이미지 파일 생성부(173)는 촬영된 제1 이미지에 대해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 및 이미지 신호처리부(120)에서 소정의 영상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여 제1 이미지가 JPEG 포맷으로 압축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에서 제1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은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형식 또는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 형식을 따를 수 있다.
단계 540에서, 메타 데이터 추가부(174)는 촬영된 제1 이미지에 대해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 및 이미지 신호처리부(120)에서 소정의 영상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소정 영상처리가 수행된 제2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 생성부(173)에서 생성한 제1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이미지 뷰어에서는 이미지 파일의 원본 이미지 영역에 저장된 제1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써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메타 데이터 영역을 확인 가능한 이미지 뷰어를 이용할 경우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제2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 영역은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이 Exif 형식을 따를 경우 Exif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이 Baseline MPF 형식을 따를 경우 MP(Multi-Picture) Extensions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Baseline MPF 형식은 기존 Exif 형식에 및 개별적인 이미지(Individual Image)를 저장하기 위한 MP extension 영역을 추가한 형태로 구현된다.
예를 들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Exif 형식으로 생성된 이미지 파일(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미지 파일은 헤더(810), 원본 이미지 영역(820) 및 EXIF영역(83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800)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 영역(820)에는 제1 이미지가 압축되어 저장된다. 또한, EXIF 영역(830)에는 제1 이미지와 관련된 카메라 제조사(Maker), 카메라 모델(Model), 이미지 에디터(Software), 사진을 보정한 날짜(Datetime), Exif 버전(Exif Version), 촬영한 날짜(Shoot Datetime), 웹에 올려진 사진의 실제 크기(Image Size), 노출 시간(Exposure Time:셔터 스피드), 촬영 프로그램(Exposure Program), 렌즈 초점 길이(Focal Length), 조리개 개방 수치(F-Number), 플래시 사용 여부 등 세부적인 부가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방법에서는 상기 Exif 영역에 제2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Exif영역은 제1 이미지에 대한 부가정보가 저장되는 메타데이터 영역으로 저장 공간상의 제약이 있다. 따라서, Exif영역에 제2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서 메타 데이터 추가부(174)는 제2 이미지를 소정 크기를 갖도록 해상도를 낮춰 압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이미지로부터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이 Baseline MPF 형식을 따를 경우 제2 이미지는 MP(Multi-Picture) Extensions 영역에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이미지의 저장공간이 충분이 확보 되므로,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 파일에 추가시에 해상도를 낮출 필요가 없다. 즉, 제2 이미지를 제1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의 JPEG 포맷으로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 Baseline MPF 형식의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1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1 렌즈부(110a) 및 제2 렌즈부(110b)를 통한 이미지의 촬영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전면 및 후면뿐 아니라 상,하,좌,우측에 각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렌즈부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렌즈부의 숫자에 맞게 분할하고, 렌즈부의 숫자에 대응하는 이미지 촬영 제어부(미도시) 더 포함하여 렌즈부의 숫자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더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추가부(174)는 획득된 렌즈부의 숫자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추가하여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복수의 영상 촬영모드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부별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렌즈부 별로 할당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 센서(118)에서 복수의 렌즈부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 촬영모드가 아닌 경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하나의 렌즈부만을 이용하여 인물 또는 풍경 이미지를 촬영한다.
단계 72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18)에서 획득된 복수의 렌즈부별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파일로 압축하기 전 단계까지의 이미지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118)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신호처리 관련 설명은 도 2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단계 730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복수의 영상 촬영 모드에서 영상 촬영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복수의 영상 촬영 모드가 아닌 경우, 단계 740으로 진행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JPEG 포맷으로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만약 복수의 영상 촬영 모드인 경우, 단계 750으로 진행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렌즈부별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분류하여 단계 760에서 복수의 렌즈부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주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 영역(761)에 저장하고, 그 이외의 제2 이미지는 EXIF 영역(762)에 추가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에서는 이미지 센서(118)의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부별로 할당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하지만,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렌즈부별로 촬영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가 이미지 센서(118)의 영역을 분할해서는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예컨대,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 모두 풀 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버퍼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렌즈 별 촬영에 시차를 주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4와 비교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해상도 결정부(175) 및 영역 할당부(1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상도 결정부(175)는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에서 이용될 렌즈부의 개수 및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역 할당부(176)는 복수의 렌즈부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상도 결정부(175)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렌즈부(110a)의 해상도는 높게 설정하고, 디지털 촬영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한 제2 렌즈부(110b)의 해상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역 할당부(176)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정된 해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 할 수 있다.
한편, 영역 할당부(176)는 이미지 센서(118)의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지 판단한다. 즉, 렌즈부 별로 설정된 해상도가 높아,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하지 않은 경우(예컨대 도 3c),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는 대신, 각 렌즈부별로 시차를 가지고 촬영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에서 이용될 렌즈부의 개수 및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92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지 판단한다. 즉, 영역 할당부(176)는 해상도 결정부(175)에서 결정된 렌즈 별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가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동시에 촬영가능한지 판단한다.
만약, 이미지 센서(118)를 분할하여 촬영 가능한 경우, 영역 할당부(176)는 렌즈부 별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이미지 센서(118)의 이미지 영역을 할당한다. 그리고 서브루틴 A1(도 7의 71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서브루틴 A1의 동작은 도 7의 단계 710 내지 760에 대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이미지 센서(118)를 분할하여 촬영 불가능한 경우, 영역 할당부(176)는 이미지 센서(118)의 전체 유효영역을 이미지 영역으로 설정하고 단계 930으로 진행한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부 중 제1 렌즈부 및 설정된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획득한다.
단계 940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획득된 제1 이미지를 버퍼에 저장한다.
단계 950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된 렌즈부의 개수를 N이라고 하면 렌즈부별 이미지를 획득했는지 판단한다. 렌즈부별 이미지를 획득하지 않았다면, 단계 930으로 진행하여 다음 렌즈부 및 설정된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다음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렇게 단계 930 내지 단계 950을 반복하여 N개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단계 960으로 진행한다.
단계 96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이미지 센서(118)에서 획득된 복수의 렌즈부별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파일로 압축하기 전 단계까지의 이미지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118)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신호처리 관련 설명은 도 2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1)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12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단계 970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은 해상도가 높은 N개의 이미지를 메타데이터 영역에 모두 추가하기 위해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형식일 수 있다. 왜냐하면, MPF 형식을 이용할 경우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 영역에 저장되는 제1 이미지뿐 아니라 메타데이터 영역에 저장되는 복수의 이미지들도 화질 열화 없이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980에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주 피사체를 촬영한 제1 이미지는 JPEG 포맷으로 압축하여 이미지 파일의 원본 이미지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그 이외의 이미지는 MP Extension 영역에 각각 추가한다.
따라서,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 복수의 렌즈부에서 촬영한 다양한 해상도의 영상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파일에 저장된 제1 이미지는 EXIF 형식을 이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이미지 뷰어를 활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다만, MP Extension 영역에 추가된 이미지는 MPF 형식을 해석할 수 있는 별도의 이미지 뷰어를 활용할 경우에만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 표준 기반 JPEG의 레이아웃(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 Exif 표준(Exif 2.21) 기반인 JPEG 영상들은 오직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 그리고 TIFF 6.0 규격을 준수한 Exif 메타 데이터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도 10을 참조하면, Baseline MPF 표준은 Exif 표준과 달리 단일 이미지 파일(1100)에 높은 해상도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한 복수개의 영상(Individual Image) 및 메타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이다. 따라서, Baseline MPF 기반 이미지 파일은 원본 이미지 영역, 추가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MP Extensions 및 기존 Exif 표준으로 구성된다.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 표준 기반 JPEG의 레이아웃(1000)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 11을 참조하여 Baseline MPF 형식을 따르는 이미지 파일의 구조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MPF 기반의 이미지 파일에 두 개 이상의 개별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주 피사체의 제1 이미지(1101) 및 각 개별 이미지(1102, 1103, 1104)는 기본적으로 Exif 형식의 이미지 파일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각각의 개별 이미지는 JPEG 이미지 표준을 준수하고 SOI, EOI marker로 둘러 싸여 있을 수 있다. 다만, Exif 형식과 비교하여 Mp extension을 더 포함하고 있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App1 marker segment 뒤에 바로 붙여진 MP extensions은 App2 marker segment값을 참조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제2 이미지(1102)가 하나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제1 이미지(1101)에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MP extensions에 제2 이미지(1102), 제3 이미지(1103) 및 제N 이미지(1104)가 참조되어 복수의 이미지가 하나의 파일의 메타데이터 영역에 추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MPF 형식의 이미지 파일은 고해상도의 스크린 네일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거나, 독립적으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결합하도록 활용된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복수의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MPF 형식에 기반하여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제1 렌즈를 통해서 제1 이미지 촬영시, 제2 렌즈를 통해서 제2 이미지를 함께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주 피사체뿐 아니라 촬영자의 이미지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이미지 파일 열람 시에 이미지 촬영 당시의 분위기나 촬영자의 감정을 생생하게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방법은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렌즈를 통한 이미지들을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렌즈를 통한 이미지 각각의 해상도를 자유롭게 설정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생성하고, 나머지 렌즈부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영역에 저장함으로써, 하나의 파일로 관리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파일 관리가 용이해 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에 있어서,
    제1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2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2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방법은,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에서 이용될 렌즈부의 개수 및 촬영 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렌즈부 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수행 불가능 할 경우, 버퍼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렌즈부별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정면에 위치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후면에 위치하여 촬영자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방법은,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3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 영역을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3 이미지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를 선택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영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가 추가되는 메타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에 추가되는 제2 이미지는 소정 이미지 뷰어를 이용하여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접근할 때만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11. 복수의 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제1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1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1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1 촬영 제어부;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2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2 이미지 영역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2 촬영 제어부;
    상기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추가하는 메타 데이터 추가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에서 이용될 렌즈부의 개수 및 촬영 될 이미지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해상도 결정부; 및
    상기 복수의 렌즈부 별로 촬영될 이미지의 해상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할당하는 영역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할당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영역을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렌즈부를 통한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제2 촬영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촬영이 동시에 수행 불가능 할 경우, 버퍼를 이용하여 제1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의 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를 촬영 시, 제3 렌즈부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제3 영역을 이용하여 제3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3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타 데이터 추가부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메타 데이터 영역에 상기 촬영된 제3 이미지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촬영 장치는,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렌즈부를 이용한 촬영모드를 선택 받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가 추가되는 메타 데이터 영역은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Baseline MPF(Multi-Picture Format)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에 추가되는 제2 이미지는 소정 이미지 뷰어를 이용하여 메타 데이터 영역에 접근할 때만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14196A 2014-02-07 2014-02-07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50093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196A KR20150093431A (ko) 2014-02-07 2014-02-07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196A KR20150093431A (ko) 2014-02-07 2014-02-07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31A true KR20150093431A (ko) 2015-08-18

Family

ID=5405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196A KR20150093431A (ko) 2014-02-07 2014-02-07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4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39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WO2020029732A1 (zh) 全景拍摄方法、装置和成像设备
KR101595254B1 (ko)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화이트 밸런스 조정 장치
US102441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ooting star trail video,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64332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890305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4574459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996127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28441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26004B1 (ko) 디지털 영상처리장치에서 raw포맷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6854B1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684988B2 (e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722089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16011859A1 (zh) 拍摄光绘视频的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JP200905413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20130071793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690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70006201A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89152B1 (ko)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 중, 정지 영상을 캡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78275A (ko)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장치 및 방법
TWI229548B (en) Image pickup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photographing method
KR20150033192A (ko) 리드아웃 모드 변경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36449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KR20130031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