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346A -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346A
KR20180107346A KR1020170033211A KR20170033211A KR20180107346A KR 20180107346 A KR20180107346 A KR 20180107346A KR 1020170033211 A KR1020170033211 A KR 1020170033211A KR 20170033211 A KR20170033211 A KR 20170033211A KR 20180107346 A KR20180107346 A KR 2018010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형
Original Assignee
이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형 filed Critical 이도형
Priority to KR102017003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346A/ko
Publication of KR2018010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04N5/232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04N5/232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 영상에 발생하는 왜곡을 줄이는 촬영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미지는 피사체가 왜곡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영 영상에 발생하는 왜곡을 줄이는 촬영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보기창 영역에서 렌즈 중심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가 피사체의 얼굴을 렌즈 중심으로 결정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촬영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촬영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촬영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200)는 촬영부(210) 및 제어부(220) 이외에도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 메모리(230), 저장/판독 제어부(270), 메모리 카드(272), 프로그램 저장부(250), 디스플레이 구동부(262), 디스플레이부(264), 사용자 입력부(280), 인터페이스부(285), 통신부(290) 및 접안 센서(29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촬영 장치(200), 촬영부(210) 및 제어부(220) 각각은 도 1의 촬영 장치(100), 촬영부(110) 및 제어부(120) 각각에 대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카메라일 수 있다. 촬영 장치(100)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100)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DSLR), 미러리스 카메라 또는 스마트 폰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장치(100)는 렌즈 및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촬영 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에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 구동부, 조리개 구동부 및 촬상 센서 제어부에 제공하고, 셔터, 스트로보 등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이미지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부(210)는 입사광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의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렌즈(211), 렌즈 구동부(212), 조리개(213), 조리개 구동부(215), 촬상 센서(218) 및 촬상 센서 제어부(219)를 포함한다.
렌즈(211)는 복수 군, 복수 매의 렌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렌즈(211)는 렌즈 구동부(212)에 의해 그 위치가 조절된다. 렌즈 구동부(212)는 제어부(240)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렌즈(211)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렌즈 구동부(212)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213)는 조리개 구동부(215)에 의해 그 개폐 정도가 조절되며, 촬상 센서(218)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211) 및 조리개(213)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센서(218)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센서(218)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센서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센서(218)는 촬상 센서 제어부(219)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 센서 제어부(219)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센서(218)를 제어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는 촬상 센서(218)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 신호에 대해 특수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이다. 예를 들면,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화이트 밸런스 조절, 휘도의 평활화 및 칼라 쉐이딩(color shading) 등의 화질 개선 및 특수 효과 제공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정지 영상에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또한, 동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복수의 프레임들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파일은 예를 들면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표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촬상 센서(218)에서 생성된 촬상 신호로부터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신호는 촬상 센서(218)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221)에 의해 처리된 신호일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상기 촬상 신호로부터 동영상 파일에 포함될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들을 예를 들면,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H.264/AVC, WMV(windows media video) 등의 표준에 따라 코딩되어, 동영상 압축된 후, 압축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은 mpg, mp4, 3gpp, avi, asf, mov 등 다양한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230)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270)에 입력되는데, 저장/판독 제어부(270)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272)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판독 제어부(270)는 메모리 카드(272)에 저장된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230)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구동부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264)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 카드(272)는 탈착 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촬영 장치(200)에 영구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272)는 SD(Secure Digital)카드 등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불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에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는 디스플레이부(264)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230)를 거쳐 제어부(220)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230)를 거치지 않고 제어부(22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230)는 촬영 장치(200)의 메인 메모리로서 동작하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222) 또는 제어부(220)가 동작 중에 필요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250)는 촬영 장치(200)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촬영 장치(2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촬영 장치(200)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6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64)는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6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4)는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62)는 디스플레이부(264)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센서(218)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타 촬영 설정값 조절 버튼 등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인터페이스부(285)는 촬영 장치(200)에 연결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접안 센서(295)는 촬영 장치(200)의 뷰 파인더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안 센서(295)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눈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안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29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나 모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촬영 장치(200)가 외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90)는 촬영 장치(100)에 장착되는 렌즈로부터 렌즈의 무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보기창 영역에서 렌즈 중심을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사체(subject, 1)는 카메라 렌즈(2)를 통해서 이미지 센서(4)에서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미지 센서(4)는 카메라 렌즈(2)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검출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기창(screen or viewfinder, 5)은 이미지센서(4)에서 생성된 영상의 전체 또는 선택된 영역을 실시간으로 보여주고, 촬영 장치 또는 영상처리를 통해 원하는 위치의 좌표값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좌표값을 표시할 수 있는 OSD(on screen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는 보기창(5)에서 보여줄 영상의 영역(view region, 8)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영역은 이미지 센서(4)와 광축(optical axis, 3)의 교차점(6)을 포함하고, 이미지 센서(4) 영역 내부에 있다. 보기창(5)은 설정된 영역(8)을 보여줄 수 있다. 렌즈 중심점은 이미지 센서(4)와 광축(3)의 교차점(6)이 보기창(5)에 사상된 위치에 있으며, 보기창(5)의 OSD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 7)은 교차점(6)을 보기창(5)에 사상시켰을 때의 좌표값을 포함하고, 관심 영역의 중심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관심 영역의 중심을 렌즈 중심(center of lens)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관심 영역(7)은 카메라가 제공하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보기창(5) 영역 안에서 원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영상처리를 통한 사물 인식을 이용하여 위치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관심 영역(7)이 새롭게 설정 되면, 렌즈 중심점의 좌표값이 이미지 센서(4)와 광축(3)의 교차점(6)에 사상이 되도록 보기창(5)에서 보여줄 영상의 영역(8)이 이동된다. 보기창(5)은 이동된 영역(8)의 영상을 보여준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가 피사체의 얼굴을 렌즈 중심으로 결정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사체(도 4의 점선 부분)는 인물로서 전신 촬영 시에 얼굴을 렌즈 중심으로 결정할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촬영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스크린(1)은 이미지 센서의 영역의 일부분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촬영 장치의 스크린(1)은 전체 이미지 센서 영역의 1/4의 영역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보기창을 통해 보이는 영역이 이미지 센서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장점이 있다. 촬영 장치는 현재 관심 영역(2)을 스크린의 OSD를 통해서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관심 영역(2) 의 중심 위치는 이미지 센서와 광축의 교차점이 사상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2)은 촬영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터치 입력을 통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원하는 위치로 터치가 되면, 터치된 위치로 관심 영역(2)이 이동될 수 있고, 또한 이 위치가 이미지 센서와 광축의 교차점(6)에 사상이 되도록 스크린에서 보여줄 영상의 영역이 이동 되고 이동된 영역이 스마트폰 스크린으로 보여 줄 수 있다. 촬영 장치는 소프트웨어 버튼(3)을 스크린 OSD에 표현시킬 수 있다. 소프트웨어 버튼(3)을 클릭하면, 그 순간의 촬영 장치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물리적인 저장 장치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영역 내에서 렌즈 중심을 자유롭게 설정함으로써 피사체의 구조에 따라서 렌즈 중심이 위치할 영역을 쉽게 설정할 수 있고, 렌즈 중심을 기준으로 피사체의 촬영 구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한 촬영 영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도 5a는 종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이다. 도 5a 및 도 5b 모두 촬영 대상의 전신이(예를 들어, 얼굴부터 발까지가) 촬영 영상에 다 나오도록 촬영하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 촬영 장치는 먼저 구도를 설정하고 촬영을 한다. 이 경우에는 촬영 장치의 렌즈 중심점이 촬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중심에 위치하며, 이 경우 촬영 영상에서 촬영 대상의 얼굴이 왜곡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촬영 장치의 렌즈 중심을 먼저 설정한 후, 구도를 설정하고 촬영을 한다. 이 경우에는 촬영 장치의 렌즈 중심점이 촬영 대상의 얼굴 부분에 위치하며, 이 경우 촬영 영상에서 촬영 대상의 얼굴의 왜곡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 일 뿐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및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본 개시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본 개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

  1. 촬영 영상에 발생하는 왜곡을 감소시키는 촬영 장치
KR1020170033211A 2017-03-16 2017-03-16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KR20180107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11A KR20180107346A (ko) 2017-03-16 2017-03-16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11A KR20180107346A (ko) 2017-03-16 2017-03-16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346A true KR20180107346A (ko) 2018-10-02

Family

ID=6386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11A KR20180107346A (ko) 2017-03-16 2017-03-16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3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993B1 (ko) 야경 촬영 방법, 장치, 전자설비, 및 저장 매체
WO2020038069A1 (zh) 曝光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336447B1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93767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WO2020038072A1 (zh) 曝光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75683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9016425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processing
KR101890305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996127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0636216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72631B (zh) 基于双摄像头的图像拍摄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146854B1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024604A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50078275A (ko) 움직이는 피사체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50033192A (ko) 리드아웃 모드 변경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672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36449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KR10236862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US10248859B2 (en) View find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864829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70006748A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6853B1 (ko)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107346A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
KR20150093431A (ko)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70016157A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