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100A -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100A
KR20120128100A KR1020120051313A KR20120051313A KR20120128100A KR 20120128100 A KR20120128100 A KR 20120128100A KR 1020120051313 A KR1020120051313 A KR 1020120051313A KR 20120051313 A KR20120051313 A KR 20120051313A KR 20120128100 A KR20120128100 A KR 20120128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group
sub frame
frame period
peri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704B1 (ko
Inventor
겐따 가지야마
하지메 아끼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이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이스트
Publication of KR2012012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Scrolling of light from the illumination source over the display in combination with the scann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의사 윤곽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색 분해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서는, 1 프레임 기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1 그룹과,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제1 그룹의 광 통과 기간보다 짧고, 또한 서로 다른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다. 또한,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중,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이,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한다. 또한,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각각의 종류의 색의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의 통과/비통과를 절환하는 소자를 이용한 계조 표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97668호 공보에는, 각각의 화소에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 셔터」라고 불리어지는 미소한 셔터가 설치된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서는, 복수 종류의 색의 광원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필드 시퀀셜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계조 표시에 대해서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거듭한 바, 우선, 다음과 같은 제1 참고예에 상도하였다. 도 22는, 제1 참고예에 있어서의 광원의 점등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는 1 프레임 기간이, R의 서브 프레임 기간(SF1 내지 SF8)과, G의 서브 프레임 기간(SF9 내지 SF16)과, B의 서브 프레임 기간(SF17 내지 SF24)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어드레스 기간과 점등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어드레스 기간은, 전체 화소의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해, 또한 셔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간이다.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점등 기간의 길이는, 2진법을 따라서 가중치 부여되어 있다. 이러한 점등 기간에 의해 방사되는 광의 통과/비통과를 셔터로 제어함으로써, 계조가 표현된다(8비트이면 256계조). 도 23은, 제1 참고예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 통과 기간이란, 광원의 점등 기간이며 또한 셔터의 개방 기간이다. 도 23에서는, 해칭 또는 흑색의 셀이 셔터의 개방 기간을 나타내고, 백색의 셀이 셔터의 폐색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셔터의 개방 기간에서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통과하고, 셔터의 폐색 기간에서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통과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참고예를 적용한 경우, 의사 윤곽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의사 윤곽이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명암의 경계가 보이게 되는 현상이다. 도 24는 의사 윤곽의 발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계조 128로부터 계조 127로 절환되는 패턴을 화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스크롤시킨 경우에 생기는 의사 윤곽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횡축은, 계조가 절환되는 부분의 시야 내 위치를 나타내고, 종축은, 계조 128을 기준으로 한 휘도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경우, RGB로 분리되어 밝은 윤곽이 보이게 된다. 도 25a 및 도 25b는, 의사 윤곽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점등 시간이 1:2:4:8의 서브 프레임 기간 1, 2, 4, 8의 구동 시퀀스를 상정한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횡축에 시간, 종축에 위치를 나타내고, 1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 계조 7의 화소 A와 계조 8의 화소 B가 인접하고 있다. 사각의 내측에 기재된 숫자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길이이고, 해칭의 유무로 통과/비통과를 나타낸다. 또한, 화살표는 시선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계조 7의 화소 A와 계조 8의 화소 B가 인접한 영역을 볼 때, 도 25a와 같이 시선을 움직이지 않으면, 계조 7의 화소 A는 1+2+4=7의 휘도로서, 계조 8의 화소 B는 8의 휘도로서 인식된다. 그런데, 도 25b와 같이 시선이 움직이면 인접하는 화소간을 걸치므로, 15의 휘도 또는 0의 휘도로서 인식되고, 계조 7의 화소 A와 계조 8의 화소 B 사이에 계조 15 또는 계조 0의 윤곽이 보이게 된다. 이 문제는, 점등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과, 점등 기간을 갖지 않는 서브 프레임 기간이 교체하는 경우(1, 2, 4가 점등으로부터 비점등으로, 8이 비점등으로부터 점등으로 교체함)에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의사 윤곽을 해소하기 위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분야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31455호 공보를 참고하는 것으로 하였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31455호 공보의 도 6에는, 점등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이,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1 프레임 기간의 중앙으로부터 시점(始点) 및 종점(終点)을 향하여 증가하는 점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도 26a 및 도 26b는, 이 점등 방법에 의해 의사 윤곽이 억제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계조 3의 화소 A와 계조 4의 화소 B가 인접하고 있고,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선을 고정한 경우의 보이는 방법과,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선을 이동한 경우의 보이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선을 움직여도, 계조 3의 화소와 계조 4의 화소 사이는 이들의 중간의 휘도가 되므로, 의사 윤곽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점등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교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31455호 공보의 도 27 및 도 52 등에는, 서브 프레임 기간을, 휘도의 큰 변화를 표현하기 위한 그룹과, 휘도의 작은 변화를 표현하기 위한 그룹으로 나누는 점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31455호 공보를 참고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2 참고예에 상도하였다. 도 27은, 제2 참고예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서는, 하나의 색의 서브 프레임 기간만이 나타내어져 있다. 본 예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이,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제1 그룹과, 이것보다도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짧고, 또한 서로 다른 제2 그룹으로 분류되고,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제1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이,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의 표시 장치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필드 시퀀셜 방식이 채용되기 때문에, 본 예에서는, 각 색에 대해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서브 프레임군이 설치되고, 이들의 서브 프레임군이 1 프레임 기간 중에 순번대로 배열된다. 의사 윤곽의 억제만을 고려한 경우, 색마다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을 가능한 한 가깝게 하는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2 참고예에서는, 색 분해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 색 분해란, 백색이 표시되어 있어도, 백색을 구성하는 색(예를 들면 RGB) 중 어느 하나가 보이게 되는 현상이다. 도 28은, 색 분해의 발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에서는, 횡축에 시간, 종축에 화소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종축의 방향으로 화소 A 내지 E가 배열되고, 횡축의 방향으로 각 화소의 점등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화살표는 시선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1 프레임에서 RGB의 순서로 점등하는 구동 시퀀스이고, 화소 C를 백색, 그 이외의 화소를 흑색으로 한 경우, 시선이 움직이지 않으면, 화소 C는 백색으로서 시인되고, 그 이외의 화소는 흑색으로서 시인된다. 시선이 움직이면, 시야 내에서 각 색이 점등하는 타이밍이 어긋나기 때문에, 백색이 아니라 RGB로 나누어 시인된다. 이것이 색 분해의 발생 원리이다. 이러한 색 분해의 문제는, 상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31455호 공보에 개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는 생기지 않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의사 윤곽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색 분해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복수 종류의 색의 광원과, 각각의 화소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통과/비통과를 절환하는 소자와, 상기 광원 및 상기 소자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는 1 프레임 기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의 유무에 따라서 계조를 표현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상기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1 그룹과, 상기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상기 제1 그룹의 광 통과 기간보다 짧고, 또한 서로 다른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다.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상기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한다. 상기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각각의 종류의 색의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상기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제1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이,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하고 있으므로 의사 윤곽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이 각각의 종류의 색의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상기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하므로, 색 분해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글래스 기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A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B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화소 A와 화소 B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1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제2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색 분해의 평가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평가 패턴의 띠의 발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평가 패턴의 띠의 발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d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e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f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A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B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A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화소 B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프레임 기간의 중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1 참고예에 있어서의 광원의 점등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1 참고예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의사 윤곽의 발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a는 의사 윤곽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b는 의사 윤곽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a는 의사 윤곽의 억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b는 의사 윤곽의 억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2 참고예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색 분해의 발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MEMS 셔터 등의 점등 제어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이고, 글래스 기판(1)과, 백라이트(2)와, 표시 제어 회로(3)와, 발광 제어 회로(4)와, 시스템 제어 회로(5)를 구비하고 있다. 글래스 기판(1)은, MEMS 셔터 등의 점등 제어 소자와, 그것을 구동하는 화소 회로 및 주변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2)는, 글래스 기판(1)의 표시 영역을 비추는 광원이고, RGB 등의 복수 종류의 색의 LED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 제어 회로(3)는, 글래스 기판(1)에 설치된 회로를 제어하고, 발광 제어 회로(4)는, 백라이트(2)의 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 회로(5)는, 표시 제어 회로(3) 및 발광 제어 회로(4)를 제어한다.
도 2는, 글래스 기판(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글래스 기판(1)에는, 복수의 화소(11)와, 행 선택 회로(15)와, 집적 회로(14)가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화소(11)는, 글래스 기판(1)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백라이트(2)로부터의 광의 투과/비투과를 절환하는 점등 제어 소자와, 그것을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화소(11)에는, 행 선택 회로(15)로부터 연장되는 행 선택 신호선(12)과, 집적 회로(14)로부터 연장되는 데이터 신호선(13)이 접속되어 있다. 행 선택 회로(15)에 의해 선택된 화소(11)의 기억 용량에, 집적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기억된다. 행 선택 회로(15)는 집적 회로(14)에 의해 제어되고, 집적 회로(14)는 FPC 등의 제어선(6)을 경유하여 외부의 표시 제어 회로(3)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은, 화소(1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행 선택 신호선(12)에는 스위치(21)가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21)가 온이 되면, 데이터 신호선(13)의 전압이 기억 용량(22)에 기입된다. 기억 용량(22)은, 스위치(21)와 기준 전위(24)에 접속되어 있고, 기억 용량(22)에 기입된 전압에 의해 점등 제어 소자(23)가 동작한다. 점등 제어 소자(23)는, MEMS 셔터 등이며, 백라이트(2)로부터의 광의 투과/비투과를 절환한다. 예를 들면, MEMS 셔터는, 백라이트(2)로부터의 광이 통과하는 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1 프레임 기간(예를 들면 16.67㎳)의 구동 시퀀스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계조수가 6bit의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계조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계조수가 증감하여도 마찬가지의 구동 시퀀스를 적용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화소 A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고, 도 4b는, 화소 B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의 종축은 표시 가능한 계조를 나타내고 있고, 최좌측열에는 계조수가 나타내어져 있다. 계조수는, 도면 중 하방을 향할수록 높아진다. 또한, 각 도면의 횡축은,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는 1 프레임 기간을 나타내고 있고, 최상행에는 1 프레임 기간을 구성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번호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면 중 좌측이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대응하고, 도면 중 우측이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대응한다.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RGB 각 색의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RGB 각 색의 광 통과 기간이, RGB의 순서대로 짧은 주기로 반복된다. MEMS 셔터를 이용하는 경우, 광 통과 기간은, 백라이트(2)의 점등 기간 또한 MEMS 셔터의 개방 기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각각의 계조에 있어서 어느 서브 프레임 기간의 광 통과 기간이 발광하는 것인지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계조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광 통과 기간의 유무에 따라서 표현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서는, 각 색의 계조가 동일한 예(R=G=B)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각 색의 계조가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점등 패턴이 적용된다. 또한, 각각의 광 통과 기간의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어드레스 기간이 설정된다.
서브 프레임 기간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과,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로 분류된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에서는,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동일하다. 광 통과 기간의 길이는, 본 예에서는 3bit이다. 3-1 내지 3-7의 전방측의 「3」의 자는, 3bit의 길이인 것을 나타내고 있고, 후방측의 「1 내지 7」의 자는,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그룹에서는,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수가, 계조가 8의 배수에 도달할 때마다 증가해 간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에서는,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제1 그룹의 광 통과 기간보다도 짧고, 또한 서로 다르게 가중치 부여되어 있다. 광 통과 기간의 길이는, 본 예에서는 0 내지 2bit이다. 「0 내지 2」의 자는, 0 내지 2bit의 길이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에서는, 계조가 8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 각 계조에 대응하는 길이의 광 통과 기간의 조합의 패턴이 출현하고, 이 패턴이, 계조가 8의 배수에 도달할 때마다 반복된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은, 점등 제어부라고도 불리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는, bit 제어부라고도 불린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 중,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은,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하고, 전체적으로 개략 산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은, 시점측 및 종점측에 교대로 증가해 간다. 예를 들면, 가장 낮은 계조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은, 1 프레임 기간의 중앙부에 설정된다. 2번째로 낮은 계조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 또는 종점측에 설정된다. 본 예에서, 도 4a에 도시되는 화소 A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고, 도 4b에 도시되는 화소 B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된다. 3번째로 낮은 계조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3은,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서브 프레임 3-2와는 역측에 설정된다. 4번째로 낮은 계조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4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서브 프레임 3-2와 동일한 측에서, 서브 프레임 기간 3-1로부터 서브 프레임 3-2보다 분리되어 설정된다. 이후의 서브 프레임 기간 3-5 내지 3-7도, 이러한 규칙에 따라서 설정된다. 계조수가 6bit보다 많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각각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끼리의 사이에 설정된다. 즉,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과,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는 교대로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는, 1 프레임 기간의 중앙측에 설정되어 있고, 이 중 2개의 서브 프레임 기간이, 1 프레임 기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을 끼워 넣도록 전후 양측에 설정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되는 화소 A와, 도 4b에 도시되는 화소 B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서브 프레임 기간 3-2 내지 3-7이 설정되는 측이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되는 화소 A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 4, 6이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고, 서브 프레임 기간 3-3, 5, 7이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 도 4b에 도시되는 화소 B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 4, 6이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고, 서브 프레임 기간 3-3, 5, 7이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4a에 도시되는 화소 A와, 도 4b에 도시되는 화소 B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이, 1 프레임 기간의 경과 방향의 전후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각각은, 도 4a에 도시되는 화소 A와, 도 4b에 도시되는 화소 B에서 동일한 위치(1 프레임 기간 내의 위치)에 설치되고, 동일한 타이밍에서 출현한다.
도 5는, 화소 A와 화소 B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상기 도 4a의 구동 시퀀스에 의해 동작하는 화소 A에 「A」의 문자를 부여하고, 도 4b의 구동 시퀀스에 의해 동작하는 화소 B에 「B」의 문자를 부여하고 있다. 화소 A와 화소 B는, 서로 엇갈리도록 2차원적으로 교대로 배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소 A와 화소 B는, 체크 무늬 형상(체크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다. 즉, 화소 A와 화소 B의 각각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한쪽의 화소의 사방이 다른 쪽의 화소로 둘러싸이도록, 서로의 간극에 들어가 있다. 특히 200ppi 이상으로는 지그재그 형상 패턴이 시인되지 않으므로, 이 방법이 유효하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는,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하도록 제어되어도 좋다. 즉, 어떤 1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 상기 도 4a의 구동 시퀀스에 의해 동작하는 화소 A이었던 화소는, 그 다음 1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 도 4b의 구동 시퀀스에 의해 동작하는 화소 B가 되고, 그 다음 1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 도 4a의 구동 시퀀스에 의해 동작하는 화소 A가 된다.
도 6a는, 제1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b는, 제2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의 계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1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에 포함되는 G의 광 통과 기간의 발광 파형을 나타내고, 도 6b는, 제2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에 포함되는 G의 광 통과 기간의 발광 파형이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최대 계조일 때의 발광 파형이 나타내어져 있다. 각각의 발광 휘도는 일정값이며, 발광 시간의 길이로 1 프레임 기간의 휘도가 결정된다.
도 6a에서는, 1 프레임 기간 중에서 n회의 발광이 있고, 각각의 발광 중심을 시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T1, T2, …, Tn으로 한다. 각각의 발광 시간은 어느 것이나 동일하고, 발광 휘도를 L로 한다.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으로부터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전체의 발광 무게 중심까지의 시간을 Tcg로 하면, Tcg는 하기 수학식 1로 구해진다.
Figure pat00001
마찬가지로, 도 6b에서는, 1 프레임 기간 중에서 m회의 발광이 있고, 각각의 발광 중심을 시점측으로부터 순서대로 t0, t1, …, tm으로 하고, 발광 휘도를 L0, L1, …, Lm으로 한다.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으로부터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전체의 발광 무게 중심까지의 시간을 tcg로 하면, tcg는 하기 수학식 2로 구해진다.
Figure pat00002
예를 들면, 본 발명자들이 계산한 모델에서는, 1 프레임 기간을 16.67㎳로 하였을 때, Tcg는 8.87㎳, tcg는 8.10㎳, Tcg-tcg는 0.77㎳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T1-T2는 1.70㎳이다.
의사 윤곽 및 색 분해의 문제는, 발광 무게 중심을 가까이할수록 억제되기 때문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발광 무게 중심과,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발광 무게 중심은, 가능한 한 가까운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발광 무게 중심의 차분 Tcg-tcg는, 제1 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에서는, 대략 1 프레임 기간의 1할 이하로 함으로써 바람직한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상기 도 4a의 계조 32로부터 도 4b의 계조 31로 천이하는 화소에 대한 시선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의 의사 윤곽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횡축은 망막에 있어서의 시야 내 위치이며, 종축은 계조 32의 휘도에 대한 휘도비이다. 계조 32의 휘도로부터 계조 31의 휘도로 변할 때에, 그 사이의 휘도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그것보다도 밝거나 어둡거나 하는 경우에는 의사 윤곽이 시인된다. 또한, 명암의 펄스의 폭이 가늘면 가늘수록, 망막 내에서 해상할 수 없게 되므로, 의사 윤곽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도 7a에서는, 피크 휘도비로 0.8을 하회하고, 시야 내 위치의 폭으로 0.4 정도의 약간 어두운 의사 윤곽이 RGB 각각에서 발생하고, RGB가 거의 겹쳐 있다.
도 7b는, 상기 도 4b의 계조 32로부터 도 4a의 계조 31로 천이하는 화소에 대한 시선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한 경우의 의사 윤곽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의 경우와는 반대로, 계조 32보다도 약간 밝은 의사 윤곽이 발생하고 있다.
도 7c는, 도 7a와 도 7b의 평균을 취한 것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A와 화소 B는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에서 도 7a의 의사 윤곽과 도 7b의 의사 윤곽이 발생하고, 인접하는 화소간에서 평균적인 값이 시인된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하면, 도 7a의 의사 윤곽과 도 7b의 의사 윤곽이 1 프레임 기간마다 교대로 발생한다. 이 점으로부터, 관찰자에게는, 도 7a의 의사 윤곽과 도 7b의 의사 윤곽과의 평균인 도 7c의 의사 윤곽이 시인된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의사 윤곽은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도 7a의 의사 윤곽과 도 7b의 의사 윤곽에 의해 밝기가 반전하고 있는 것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배열을, 2개의 구동 시퀀스에 의해 반전시키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도 8은, 색 분해의 평가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경을 RGB 각각 0 계조로 하고, 띠부를 R32 계조, G31 계조, B31 계조로 하여, 띠부를 화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스크롤시킨다.
도 9a 및 도 9b는, 평가 패턴의 띠의 발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은, 상기 도 4a 및 도 4b의 구동 시퀀스의 경우의 띠부의 발광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 좌측이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대응하고, 도면 중 우측이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RGB에 의해 높이를 바꾸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숫자는 발광 시간을 bit 표기한 것이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은, 모두 동일한 발광 시간을 갖고 있고, bit 표기는 3이다. 사람의 눈은 띠부의 점멸에 관계없이 연속해서 움직여 가고, 띠부는 1 프레임 기간이 바뀔 때까지 그 자리에 멈춰서 점멸하기 때문에, 띠부의 점멸이 시야 내에서 어긋나게 시인된다. 이 때문에, 점등 순서에 맞춰서 띠에 색이 부여되어 보이게 된다.
도 9a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중앙 3개는 RGB 모두 점등하고 있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에서 색이 어긋남과 함께,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의 1개로 R에 의해 의도한 색이 된다. 즉, 도 9a에서는, 스크롤 전방에 Cy(시안:G+B)의 색 분해가, 스크롤 후방에 R의 색 분해가 발생한다. 도 9b에서는, 제1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의 점등 증가 순서가 반대이므로,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의 하나의 R에 의해 색이 어긋나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에서 서서히 의도한 색이 된다. 즉, 도 9b에서는, 스크롤 전방에 R의 색 분해가, 스크롤 후방에 Cy의 색 분해가 발생한다. 상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A와 화소 B는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색 분해는 평균화되어, 색 분해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예에서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이 RGB의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함으로써 색 분해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지만, 화소 A와 화소 B가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더욱 색 분해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는, 색 분해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서는, 화소 A, 화소 B 및 이들의 평균의 각각의 스크롤 전방 및 스크롤 후방의 휘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소 A와 화소 B가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하고, 또한 화소 A와 화소 B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하므로, 인접 화소간에서 평균적으로 시인됨과 함께, 인접 프레임간에서 평균적으로 시인된다. 이 때문에, 사람의 눈에는 도 10c와 도 10f가 시인된다고 추정된다.
화소 B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크롤 전방에서 한결같이 R이 GB의 휘도를 상회하고 있으므로 R에 치우쳐 있고, 도 10e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크롤 후방에서 한결같이 R이 GB의 휘도를 하회하고 있으므로 Cy에 치우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소 A에서는, 도 10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크롤 전방에서 약간 Cy에 치우치고, 도 10d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크롤 후방에서 약간 R에 치우치고 있다. 평균적으로는, 도 10c 및 도 10f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색의 치우침이 개선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화소 A와의 차이가 적은 것처럼 보인다.
도 10a 내지 도 10f의 그래프에 대해서, R과 G의 플롯으로 둘러싸여지는 면적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10a에서는 -0.029, 도 10b에서는 +0.113, 도 10c에서는 +0.042, 도 10d에서는 +0.060, 도 10e에서는 -0.082, 도 10f에서는 -0.011이다. 각각의 값은, +의 경우에 G보다도 R에 치우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0.03125(=1/32)의 경우에, 시야 전체에서 1 계조분만큼 R에 치우쳐 있게 된다. 띠부의 색은 R에 1 계조분 치우쳐 있고, 시야 내의 도중에 배경으로부터 띠로 변화하므로, 0 내지 +0.03125이면 좋다. 각각의 값을 비교하면 확실히 평균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0 내지 +0.03125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도 10a에서는 -0.029, 도 10b에서는 +0.082, 도 10c에서는 +0.011, 도 10d에서는 +0.029, 도 10e에서는 -0.082, 도 10f에서는 -0.011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를 적용함으로써, 의사 윤곽 및 색 분해의 양방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1 프레임 기간마다 구동 시퀀스를 교체하였지만, 1 프레임 기간마다 구동 시퀀스를 교체하지 않아도, 화소 A와 화소 B에서 상쇄하도록 의사 윤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계조수는 6bit에 한정되지 않고, 5bit 이하라도 7bit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RGB의 3색에 한정되지 않고 RGBW나 RGBY(Y:옐로)이어도 된다. 또한, MEMS에 한정되지 않고, LCD 등이어도 좋다. 이들은,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 중, 1 프레임 기간의 중앙에 배치되는, 가장 낮은 계조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의 전후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가 설정된다. 남은 서브 프레임 기간 3-2 내지 3-7은,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보다도 서브 프레임 기간 3-1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즉,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는, 1 프레임 기간의 중앙에 집합하고 있고,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 중, 인접하는 어느 2개의 사이에 서브 프레임 기간 3-1이 설정되고, 그 이외의 사이에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다른 서브 프레임 기간 3-2 내지 3-7은 설정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간격이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줄어들어 있으므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에 기인하는 의사 윤곽 및 색 분해가 제1 실시 형태보다도 개선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구동 시퀀스의 화소 A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배열이 화소 A와는 반대의 화소 B를 설치하고, 상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들을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해도 된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해도 된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각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2, 3-3, 3-5, 3-7에서는, B색의 광 통과 기간이 시점측에 설정되도록, 광 통과 기간이 B→G→R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 3-1, 3-2, 3-4, 3-6에서는, B색의 광 통과 기간이 종점측에 설정되도록, 광 통과 기간이 R→G→B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있다. 이와 같이,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2, 3-3, 3-5, 3-7과, 종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 3-1, 3-2, 3-4, 3-6에서 광 통과 기간의 색의 배열이 대칭으로 되어 있다.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이란, 예를 들면 발광 무게 중심보다도 시점측을 가리키고,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이란, 예를 들면 발광 무게 중심보다도 종점측을 가리킨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발광 무게 중심은, 서브 프레임 기간 2와 1의 사이에 있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발광 무게 중심은, 서브 프레임 기간 3-1과 3-3의 사이에 있다. 정확하게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의 도중이지만, 제2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 0에 의해 서브 프레임 기간 3-7, 3-5가 시점측으로 시프트하고 있기 때문에, 시점측에 약간 치우친 부분에 발광 무게 중심이 존재한다. 이 경우,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RGB의 순서대로 점등하도록, 발광 무게 중심보다 시점측의 서브 프레임 기간 0, 2, 3-3, 3-5, 3-7에서는 광 통과 기간이 B→G→R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발광 무게 중심보다 종점측의 서브 프레임 기간 1, 3-1, 3-2, 3-4, 3-6에서는 광 통과 기간이 R→G→B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있어서, 색 분해는 R 및 G보다도 B에 대한 감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를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분리하고, R을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이함으로써, R의 색 분해를 선택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의 색 분해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B가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분리되므로 B의 의사 윤곽은 악화되지만, R이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이하므로 R의 의사 윤곽은 개선된다. 의사 윤곽에 의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람의 얼굴에서 발생하는 의사 윤곽이며, 사람의 피부는 주로 R과 G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 따르면,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의 얼굴에서 발생하는 의사 윤곽을 집중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구동 시퀀스의 화소 A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배열이 화소 A와는 반대의 화소 B를 설치하고, 상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들을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해도 된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해도 된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각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4 실시 형태]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2, 3-3, 3-5, 3-7에서는, B색의 광 통과 기간이 시점측에 설정되도록, 광 통과 기간이 B→R→G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 3-1, 3-2, 3-4, 3-6에서는, B색의 광 통과 기간이 종점측에 설정되도록, 광 통과 기간이 R→G→B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있다. 즉,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2, 3-3, 3-5, 3-7과, 종점측에 설정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 3-1, 3-2, 3-4, 3-6에서는, R과 G의 순서가 공통이고, B만이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발광 무게 중심은, 서브 프레임 기간 2와 1의 사이에 있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발광 무게 중심은, 서브 프레임 기간 3-1과 3-3의 사이에 있다. 정확하게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의 도중이지만, 제2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 0에 의해 서브 프레임 기간 3-7, 3-5가 시점측으로 시프트하고 있기 때문에, 시점측에 약간 치우친 부분에 발광 무게 중심이 존재한다. 이 경우,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분리된 측에서 B가 점등하도록, 발광 무게 중심보다 시점측의 서브 프레임 기간 0, 2, 3-3, 3-5, 3-7에서는 광 통과 기간이 B→R→G의 순서대로 배열하고, 발광 무게 중심보다 종점측의 서브 프레임 기간 1, 3-1, 3-2, 3-4, 3-6에서는 광 통과 기간이 R→G→B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있어서, 색 분해는 R 및 G보다도 B에 대한 감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를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분리하고, R을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이함으로써, R과 G의 색 분해를 선택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의 색 분해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B가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분리되므로 B의 의사 윤곽은 악화되지만, R과 G가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이하므로 R과 G의 의사 윤곽은 개선된다. 의사 윤곽에 의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람의 얼굴에서 발생하는 의사 윤곽이고, 사람의 피부는 주로 R과 G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 따르면,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의 얼굴에서 발생하는 의사 윤곽을 집중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밝기에 관해서는 G가 지배적이므로, 발광 무게 중심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을 BRG, 종점측을 GRB의 순서로 점등시켜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구동 시퀀스의 화소 A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배열이 화소 A와는 반대의 화소 B를 설치하고, 상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들을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해도 된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해도 된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각각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4a 및 도 14b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한쪽의 프레임에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화소 A 및 화소 B의 구동 시퀀스가,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 및 화소 B의 구동 시퀀스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경과 방향의 전후로 대칭이 되어 있다. 즉, 도 14a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과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와의 모두가, 상기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B에서도,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과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와의 모두가, 상기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B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에서는, 상기 도 4a 및 도 4b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만이, 1 프레임 기간의 경과 방향의 전후로 대칭이 되도록 배열하고 있다.
또한, 화소 A 및 화소 B의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점등 순서는, 상기 도 4a 및 도 4b와는 다르며, 서브 프레임 기간 1, 2, 0의 순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화소 A 및 화소 B의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점등 위치는,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대하여,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1개분만큼 어긋나 있다. 단순히 서브 프레임 기간 0과 1을 교체한 경우, 제1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과 제2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과의 시간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점등 위치를,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1개분만큼 어긋나게 함으로써, 제2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으로부터 제1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에 자릿수가 상승하는 가장 낮은 계조(계조 7 내지 계조 8)에서 생기는 의사 윤곽을 악화시키지 않게 된다.
본 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소 A 및 화소 B의 한쪽의 프레임에서의 구동 시퀀스와,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 및 화소 B의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서의 구동 시퀀스를, 교대로 실행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도 4a의 계조 4 내지 도 4b의 계조 2로 변화하였을 때의 의사 윤곽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4a의 계조 4 내지 도 14b의 계조 2로 변화하였을 때의 의사 윤곽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에서는 계조 4보다도 밝은 의사 윤곽이 발생하고 있고, 도 15b에서는 어두운 의사 윤곽이 발생하고 있다. 도 15a와 도 15b는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하므로, 외관에는 도 15c에 나타내어지는 평균이 된다.
이와 같이, 1 프레임 기간마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점등 순서를 교체하는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에서의 의사 윤곽ㆍ색 분해를 그대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에서의 의사 윤곽ㆍ색 분해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동 시퀀스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0과 1의 위치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하므로, 2개의 프레임 기간으로 서브 프레임 기간 0(또는 1)이 시간적으로 가까운 경우와 먼 경우가 발생하고, 플리커가 되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플리커는 저휘도에 있어서 시인되기 어렵기 때문에, 저bit 표시(이 경우, 서브 프레임 기간 0과 1)일 때에는 플리커가 시인되기 어렵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과 동시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가 발광하고 있을 때에는, 휘도가 높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쪽이 지배적으로 되므로, 플리커가 시인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1 프레임 기간마다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점등 순서를 교체함으로써, 저휘도의 플리커가 시인되기 어려운 것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에서 생기는 의사 윤곽ㆍ색 분해를 개선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는 제2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 0에서는, B의 광 통과 기간이 R 및 G의 광 통과 기간에 대하여 시점측에 분리되어 설정되어 있고, B의 광 통과 기간과 R 및 G의 광 통과 기간 사이에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5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에서는, B색의 광 통과 기간이 R 및 G의 광 통과 기간에 대하여 종점측에 분리되어 설정되어 있고, B의 광 통과 기간과 R 및 G의 광 통과 기간 사이에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가 설정되어 있다. B의 광 통과 기간과 R 및 G의 광 통과 기간 사이에 설정되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수는 2 이상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의 R 및 G의 광 통과 기간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5와 3-3 사이에 설정되고, B의 광 통과 기간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7과 3-5 사이에 설정된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의 R 및 G의 광 통과 기간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과 3-2 사이에 설정되고, B의 광 통과 기간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와 3-4 사이에 설정된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발광 피치가 다르면, 동화상을 표시하였을 때에 2중으로 겹치는 문제점(영상 깨짐)이 발생한다. B는 R과 G와 비교하여 의사 윤곽이나 색 분해에 대하여 감도가 낮기 때문에, 본 예와 같이,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과 1의 B만을 1 프레임 기간의 중앙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시프트시키고,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발광 피치를 단계적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영상 깨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의 B의 광 통과 기간이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시프트한 만큼,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5가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이하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1의 B의 광 통과 기간이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시프트한 만큼,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가 발광 무게 중심에 가까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5와 3-2에 관한 의사 윤곽 및 색 분해가 개선된다. 반대로, 제2 그룹에 관해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및 1의 B의 광 통과 기간이, R 및 G의 광 통과 기간에서 발광 무게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의사 윤곽 및 색 분해가 악화되지만, 저bit이고, 또한, 색 분해 감도가 낮은 색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의사 윤곽 및 색 분해의 악화 정도는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구동 시퀀스의 화소 A와,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의 배열이 화소 A는 반대의 화소 B를 설치하고, 상기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들을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배열해도 된다. 또한, 화소 A와 화소 B가,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해도 된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의 각각은, 서로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17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끼리의 사이에,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 또는 공백 기간이 설정된다. 즉,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끼리의 사이 중,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는, 발광에 기여하지 않는 더미의 서브 프레임 기간이 설정되어 있다. 더미의 서브 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예를 들면,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끼리의 피치의 평균에 대하여 5할 이하로 된다. 이에 의해, 영상 깨짐을 개선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도 18에 나타내어지는 의사 윤곽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상기 도 4b의 계조 48로부터 도 4a의 계조 47로 변화할 때의 의사 윤곽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하면, 휘도비의 변화는 약간이지만, 시야 내 위치의 약 0.31 내지 약 0.87에 미치는 폭 넓은 범위에 의사 윤곽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평가한 바, 이 의사 윤곽은 시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사 윤곽이 폭이 넓어진 원인은, 계조가 8의 배수에 도달하고,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으로부터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에 자릿수가 상승할 때에, 광 통과 기간이 새롭게 나타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이,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집합의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 또는 종점측의 끝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8 실시 형태와 같이, 자릿수가 상승하는 계조와는 다른 계조에 있어서, 제1 그룹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으로 하였다(이하, 셀 이송이라고 부름).
도 19는,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는,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셀 이송을 추가한 예이다. 즉, 제1 그룹의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수가 증가되기 전의 계조에 있어서,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을 인접한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2 그룹으로부터 제1 그룹에의 자릿수의 상승이 생기는 계조 15 내지 계조 16에 증가하기 전의 계조(계조 11 내지 계조 12)에서, 제1 그룹의 서브 프레임 기간 3-1로부터 서브 프레임 기간 3-2에 광 통과 기간을 어긋나게 한다. 이에 의하면, 다음의 자릿수의 상승 시에 광 통과 기간의 유무가 변화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이, 중앙에 위치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이 된다. 셀 이송은, 더 큰 계조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한, 자릿수의 상승 시의 광 통과 기간의 위치 변화는, 서브 프레임 기간의 2개분 이상 분리되는 경우에는, 셀 이송을 복수로 나누어서 행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의사 윤곽의 시야 내 폭을 끊임없이 일정하게 가까이 하고, 폭 넓은 의사 윤곽을 복수의 계조로 분할하여 의사 윤곽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셀 이송을 행하는 타이밍은 제2 그룹의 자릿수의 상승에 맞추면 좋고, 또한, 가능한 한 bit 길이가 긴 자릿수의 상승에 맞추면 좋다. 예를 들면, 계조 8 내지 계조 24까지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3-2에, 또는, 서브 프레임 기간 3-3에 1회의 셀 이송이 필요하고, 이 경우, 서브 프레임 기간 2에의 자릿수의 상승의 타이밍에 맞춰서 셀 이송을 행한다. 계조 24 이후에서는, 2 내지 3회의 셀 이송이 필요하고, 이 경우, 서브 프레임 기간 1에의 자릿수의 상승의 타이밍에 맞춰서 셀 이송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 이송에 의해 생기는 의사 윤곽과, 제2 그룹의 자릿수의 상승에 의해 생기는 의사 윤곽이 서로 상쇄되는(의사 윤곽의 휘도 변화가 작아짐) 효과가 얻어진다.
본 예에서는, 제2 그룹으로부터 제1 그룹에의 자릿수의 상승을 행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을 중앙에 위치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만으로 하였지만, 서브 프레임 기간 3-2나 3-3에 자릿수의 상승이 행해져도 좋다. 셀 이송에 의해서도 의사 윤곽이 생기기 때문에, 셀 이송의 횟수가 많으면 그만큼 의사 윤곽의 발생하는 계조가 증가하게 된다. 본 예와 같이 서브 프레임 기간 3-1만으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을 행하면, 셀 이송의 횟수는 12회이지만, 서브 프레임 기간 3-2나 3-3에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을 행하도록 하면, 셀 이송의 횟수는 6회로 된다. 표시 패널의 해상도에 의해 구분하여 사용하면 좋다.
[제9 실시 형태]
도 20a 및 도 20b는,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 중, 가장 bit 길이가 긴 서브 프레임 기간 2의 전후로 설정된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과 3-2에 있어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이 행해진다. 도 20a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 중,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된 홀수번의 서브 프레임 기간 3-3, 5, 7에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할 때에, 이들에 가까운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이 행해진다.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된 짝수번의 서브 프레임 기간 3-2, 4, 6에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할 때에, 이들에 가까운 서브 프레임 기간 3-2에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이 행해진다.
한편, 도 20b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B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 중,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된 홀수번의 서브 프레임 기간 3-3, 5, 7에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할 때에, 이들에 가까운 서브 프레임 기간 3-1에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이 행해진다.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된 짝수번의 서브 프레임 기간 3-2, 4, 6에 광 통과 기간이 출현할 때에, 이들에 가까운 서브 프레임 기간 3-2에서 제2 그룹으로부터의 자릿수의 상승이 행해진다. 도 20b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B에서는, 제1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과 제2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과의 거리가, 도 20a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보다도 분리되어 있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화소 A 및 화소 B에서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에 대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0 내지 2의 위치가 어긋나 있다. 즉, 화소 A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0으로부터 시점측에 서브 프레임 기간 3-6, 3-4의 2개가 설정되어 있지만, 화소 B에서는, 서브 프레임 기간 0의 시점측에 서브 프레임 기간 3-7, 3-5, 3-3의 3개가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로는, 공통의 타이밍에서 화소 A 및 화소 B의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를 점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도 2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화소 A에 있어서의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와, 화소 B에 있어서의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가 동시에 출현하도록, 1 프레임 기간의 개시 타이밍이 조정되어도 좋다. 본 예에서는, 화소 A에 있어서 1개째의 서브 프레임 기간 3-6이 나타날 때, 화소 B에서는 2개째의 서브 프레임 기간 3-5가 나타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0 내지 2를 동일한 타이밍에서 점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프레임 기간 3-7이 나타나는 타이밍에서 화소 A와 화소 B는 다른 프레임을 표시하게 되지만, 1 프레임 기간의 1/10 정도 겹치게 되므로 사람의 눈에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제1 그룹의 발광 무게 중심에 대해서는 화소 A와 화소 B에서 어긋나 있고, 평균화하면 서브 프레임 기간 2의 위치로 되므로, 발광 무게 중심의 점에서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 기간 어긋나게 함으로써 유리하게 되어, 의사 윤곽이나 색 분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에서 생기는 의사 윤곽이 체크 무늬 형상으로 명암 반전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에는 평균의 의사 윤곽이 되므로, 의사 윤곽이 개선된다. 또한, 색 분해에 대해서도 보색의 관계의 색 분해가 체크 무늬 형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에는 평균의 색 분해가 되므로, 색 분해가 개선된다. 또한, 제1 그룹에 속하는 서브 프레임 기간 3-1 내지 3-7에서 셀 이송을 행함으로써, 고계조에서 생기는 의사 윤곽이 공간적으로 폭이 좁은 것이 되므로, 의사 윤곽이 개선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당업자에게 있어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현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로 간주되는 것들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이 그것에 행해질 수 있으며, 첨부된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진정한 정수 및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모든 그러한 변형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1 : 글래스 기판
2 : 백라이트
3 : 표시 제어 회로
4 : 발광 제어 회로
5 : 시스템 제어 회로
6 : 제어선
11 : 화소
12 : 행 선택 신호선
13 : 데이터 신호선
14 : 집적 회로
15 : 행 선택 회로
21 : 스위치
22 : 기억 용량
23 : 점등 제어 소자
24 : 기준 전위

Claims (11)

  1. 복수 종류의 색의 광원과,
    각각의 화소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통과/비통과를 절환하는 소자와,
    상기 광원 및 상기 소자를 구동하고,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는 1 프레임 기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의 유무에 따라서 계조를 표현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상기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1 그룹과,
    상기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상기 제1 그룹의 광 통과 기간보다 짧고, 또한 서로 다른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2 그룹
    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상기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하고,
    상기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각각의 종류의 색의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상기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과,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교대로 설정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가장 낮은 계조에 있어서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의 전후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설정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끼리의 사이에,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또는 공백 기간이 설정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에 설정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에서는, 청색계의 색의 상기 광 통과 기간이 상기 시점측에 설정되고,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종점측에 설정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에서는, 청색계의 색의 상기 광 통과 기간이 상기 종점측에 설정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에서는, 상기 청색계의 색의 상기 광 통과 기간과 다른 색의 상기 광 통과 기간 사이에,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설정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상기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 및 종점측에 교대로 증가하는 제1 화소와,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상기 제1 화소와 대칭으로 되도록,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시점측 및 종점측에 교대로 증가하는 제2 화소가 2차원적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가 상기 1 프레임 기간마다 교체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광 통과 기간이,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에 동시에 나타나도록,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개시 타이밍이 조정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증가하기 전의 계조에 있어서,
    증가 전에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하나에서, 상기 광 통과 기간이 없어지고,
    증가 후에 새롭게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에, 상기 광 통과 기간이 나타나는 표시 장치.
  11. 복수 종류의 색의 광원과,
    각각의 화소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통과/비통과를 절환하는 소자와,
    상기 광원 및 상기 소자를 구동하고, 하나의 화상을 표시하는 1 프레임 기간을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에 있어서의 광 통과 기간의 유무에 따라서 계조를 표현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상기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1 그룹과,
    상기 광 통과 기간의 길이가 상기 제1 그룹의 광 통과 기간보다 짧고, 또한 서로 다른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속하는 제2 그룹
    으로 분류되고,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 중, 상기 광 통과 기간을 갖는 상기 서브 프레임 기간이, 상기 계조가 높아짐에 따라서, 상기 1 프레임 기간의 중도로부터 시점 및 종점을 향하여 증가하고,
    상기 각각의 서브 프레임 기간은, 각각의 종류의 색의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상기 광 통과 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20051313A 2011-05-16 2012-05-15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5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9441A JP5883575B2 (ja) 2011-05-16 2011-05-16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1-109441 2011-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100A true KR20120128100A (ko) 2012-11-26
KR101315704B1 KR101315704B1 (ko) 2013-10-10

Family

ID=4614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313A KR101315704B1 (ko) 2011-05-16 2012-05-15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30279B2 (ko)
EP (1) EP2525347A3 (ko)
JP (1) JP5883575B2 (ko)
KR (1) KR101315704B1 (ko)
CN (1) CN103091832B (ko)
TW (1) TWI456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3575B2 (ja) 2011-05-16 2016-03-15 ピクスト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40124998A (ko) * 2013-04-17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의사 윤곽 감소용 표시 장치
KR102289437B1 (ko) * 2014-11-14 2021-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180048A1 (zh) * 2015-05-13 2016-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6632275B2 (ja) 2015-09-08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駆動プログラム
JP6253622B2 (ja) 2015-09-08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駆動プログラム
JP2017053950A (ja) 2015-09-08 2017-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駆動プログラム
EP3142097A1 (en) 2015-09-08 2017-03-1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rive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rive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1455A (en) 1987-07-28 1989-02-01 Sharp Kk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ATE261168T1 (de) * 1992-10-15 2004-03-15 Texas Instruments Inc Anzeigevorrichtung
US5448314A (en) * 1994-01-07 1995-09-05 Texas Instrum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tial color imaging
JP3533475B2 (ja) * 1994-04-05 2004-05-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075335B2 (ja) * 1995-07-14 2000-08-14 日本放送協会 中間調表示方法
JP3679838B2 (ja) * 1995-09-20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画像信号の階調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22809B2 (ja) 1995-10-24 2002-09-09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及び装置
JP3113568B2 (ja) * 1995-12-21 2000-12-04 日本放送協会 中間調表示方法と装置
JPH10171400A (ja) * 1996-12-11 1998-06-26 Hitachi Ltd 映像信号の階調表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3941167B2 (ja) * 1997-03-24 2007-07-04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H10307561A (ja) * 1997-05-08 1998-11-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899641B2 (ja) * 1998-02-24 2007-03-2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反射型プロジェクタ
JP2000227782A (ja) * 1999-02-05 2000-08-15 Seiko Epson Corp カラー画像生成装置、カラー画像生成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1202057A (ja) * 2000-01-21 2001-07-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417782B2 (en) 2005-02-23 2008-08-26 Pixtronix,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patial light modulation
JP4457572B2 (ja) * 2003-04-03 2010-04-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とその階調表現方法、投射型表示装置
JP2005025160A (ja) * 2003-06-13 2005-01-27 Seiko Epson Corp 空間光変調装置の駆動方法及びプロジェクタ
US7083284B2 (en) * 2004-04-30 2006-08-01 Infocu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quencing light emitting devices in projection systems
US9158106B2 (en) 2005-02-23 2015-10-13 Pixtronix, Inc. Display methods and apparatus
CA2817644A1 (en) 2005-02-23 2006-08-31 Pixtronix, Inc. A display utilizing a control matrix to control movement of mems-based light modulators
FR2884640A1 (fr) * 2005-04-15 2006-10-20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affichage d'une image video et panneau d'affichage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EP1720148A3 (en) * 2005-05-02 2007-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gray scale driving method with subframes thereof
US20070064008A1 (en) * 2005-09-14 2007-03-22 Childers Winthrop 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1404582B1 (ko) * 2006-01-20 2014-06-0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CN101105914A (zh) * 2006-07-12 2008-01-16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过驱动方法
US7835544B2 (en) * 2006-08-31 2010-11-1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far field image absolute navigation sensing
KR20080093875A (ko) * 2007-04-17 2008-10-2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US8305387B2 (en) * 2007-09-07 2012-11-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aptive pulse-width modulated sequences for sequential color display systems
JP2010276966A (ja) * 2009-05-29 2010-12-09 Sony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5883575B2 (ja) 2011-05-16 2016-03-15 ピクスト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5347A2 (en) 2012-11-21
US20120293564A1 (en) 2012-11-22
US20140247293A1 (en) 2014-09-04
TWI456551B (zh) 2014-10-11
EP2525347A3 (en) 2012-12-12
KR101315704B1 (ko) 2013-10-10
CN103091832B (zh) 2015-12-16
JP2012242435A (ja) 2012-12-10
US9013523B2 (en) 2015-04-21
JP5883575B2 (ja) 2016-03-15
US8730279B2 (en) 2014-05-20
CN103091832A (zh) 2013-05-08
TW201301235A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0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222512B1 (en)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isplaying gray-scales in an intraframe time-division multiplexing type display device
KR0171680B1 (ko) 프레임내 시분할 다중방식 표시장치 및 프레임내 시분할 다중방식 표시장치에서의 그레이 스케일의 표시방법
KR100845632B1 (ko) 화상표시장치 및 화상표시방법
KR20080093875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N102855846A (zh) 显示装置
KR100263250B1 (ko) 프레임내 시분할형 중간조 표시 방법 및 프레임내 시분할형 표시장치
TWI404015B (zh) 具備自發光顯示面板之驅動裝置,驅動方法及具備該驅動裝置之電子機器
JP5657198B2 (ja) 表示装置
CN109727581B (zh) 场序型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方法
JP2006039039A (ja) 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駆動方法及びその駆動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80273006A1 (en) Color-zone layout of light-emitting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of color sequence
JP2010134304A (ja) 表示装置
EP2575126A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TW201301247A (zh) 顯示裝置
KR2016011626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1213698A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JP4591081B2 (ja) 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02351390A (ja) 表示装置及び階調表示方法
WO2015182330A1 (ja) 表示装置
JP2003288040A (ja) 表示装置の表示方法
JP200002002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US20220108665A1 (en) Display device
JP2011059610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3330110B6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