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651A -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 - Google Patents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651A
KR20120127651A KR1020127024478A KR20127024478A KR20120127651A KR 20120127651 A KR20120127651 A KR 20120127651A KR 1020127024478 A KR1020127024478 A KR 1020127024478A KR 20127024478 A KR20127024478 A KR 20127024478A KR 20120127651 A KR20120127651 A KR 2012012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staples
rail
staple
hal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347B1 (ko
Inventor
간지 마츠타니
도시하루 가메이
Original Assignee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 A61B17/0684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having a forming anvil staying above the tissue during sta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2017/0688Packages or dispensers for surgical stap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의료용 스테이플러에 있어서의 스테이플의 재밍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매거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매거진 (40) 의 스테이플 (3) 을 수용하는 공간의 폭 치수가, 스테이플 (3) 의 길이보다 크고, 스테이플 (3) 의 길이 + 스테이플의 직경 (d) 의 1/2 미만, 바람직하게는 1/3 이하이다.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매거진 (40) 이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에 반할체 (41, 42) 로서 형성되고, 일방의 반할체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 (41a) 가 형성되며, 타방의 반할체에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 (42a) 가 형성되고, 레일 (5) 에는 레일 (5) 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5b) 가 형성되고, 반할체에는 위치 결정부와 끼워 맞춰지는 수용부 (41c, 42c) 가 형성되고, 일방의 반할체에는 타방의 반할체와의 끼워 맞춤을 유지하는 걸림부 (41b) 가 있으며, 타방의 반할체에는 걸림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림부 (42b) 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MEDICAL STAPLER AND MAGAZINE}
본 발명은 의료용 스테이플러와 그 매거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이플의 막힘 (재밍) 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의료용 스테이플러와 그 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료용 스테이플러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4 는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삼면도로, (a) 는 상면도, (b) 는 측면 단면도, (c) 는 정면도이다. 도 5 의 (a) 내지 (c) 는, 스테이플을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매거진 내에 수용된 스테이플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측면도, (b) 는 (a) 의 Ⅰ-Ⅰ 단면도이다. 이하에 개략을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의료용 스테이플러 (10') 는, 하우징 (1) 과, 하우징 (1) 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2) 와, 하우징 (1) 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복수의 스테이플 (3) 을 수용하는 매거진 (4) 으로 구성된다. 매거진 (4) 은, 매거진 (4) 내에 고정된 레일 (5) 과, 레일 (5) 의 선단을 가늘게 하여 만곡시켜 형성한 앤빌 (5a) 과, 앤빌 (5a) 의 선단 위치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램 (6) 과, 램 (6) 을 앤빌 (5a) 의 선단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 (7) 를 갖고 있다. 레일 (5) 은 중앙이 높고 그 양측에 베이스부를 갖는 중고(中高) 구조로, 레일 (5) 상에는, 소정 수의 스테이플 (3) 이 레일 (5) 의 중고부에 걸치도록 정렬 배치되며, 스테이플 (3) 의 양 레그부가 레일 (5) 의 양측의 베이스부 상에 재치(載置)된다. 이들 스테이플 (3) 은, 탄성 부재 (8) 에 의해 레일 (5) 선단의 앤빌 (5a) 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 (1) 및 레버 (2) 는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로, 파지 용이성이나 조작성을 고려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매거진 (4) 은, 하우징 (1) 과는 별체로서 성형된 것으로, 이것에 레버 (2) 와 하우징 (1) 을 장착하여 의료용 스테이플러 (10') 가 된다. 매거진 (4) 은 투명한 ABS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어, 수용되어 있는 스테이플 (3) 의 남은 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테이플 (3) 은, 미리 설정된 수가 나열된 상태에서 매거진 (4) 내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레일 (5) 상에 재치되어 있다. 스테이플 (3) 은, 스테인리스강의 둥근 선재를 コ 자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5 의 (a) 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양단 부분이 생체 조직을 찔러 통과할 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뾰족한 레그부 (3a) 로서 형성되어 있다. 양 레그부 (3a, 3a) 를 접속시키는 부분은 크라운 (3b) 이라고 하며, 생체 조직을 봉합할 때에 절곡되는 부분이다. 또한, 스테이플 (3) 은,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그부 (3a) 가 진행 방향 전방으로, 크라운 (3b) 이 진행 방향 후방으로 경사져서 수용된다. 경사 각도 (α) 는 45 ? 60°이고, 이와 같이 경사지게 함으로써 스테이플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 (3) 의 크라운 (3b) 의 길이를 여기서는 스테이플의 폭이라고 한다.
도 5 는, 상처를 봉합하기 위하여 스테이플 (3) 을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스테이플러 (10') 는, 주로 신체 표면의 상처를 봉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스테이플러 (10') 의 선단을 환부에 대고, 도 4 의 (b) 에 나타내는 레버 (2) 에 힘을 가하여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램 (6) 이 레버 (2) 에 구동되어 하강하고, 이윽고,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램 (6) 의 선단이 스테이플 (3) 의 크라운 (3b) 에 맞닿는다. 램 (6) 이 더욱 하강을 계속하면,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라운 (3b) 이 만곡상으로 구부러진다. 이 때 레그부 (3a) 는 피부를 찔러 통과한다. 더욱 램 (6) 이 하강하면, 도 5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라운 (3b) 은 앤빌 (5a) 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레그부 (3a) 는 상처 아래의 신체 조직 내에서 앤빌 (5a) 과 평행해져, 스테이플 (3) 은 사각형으로 절곡되어 1 개의 봉합이 완료된다. 이 때, 크라운 (3b) 의 중앙 부분만이 피부 위로 나오고, 사각형의 다른 3 변은 신체 조직 내에 매몰되게 된다. 앤빌 (5a) 의 폭 치수는 스테이플 (3) 을 성형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횡방향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레버 (2) 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탄성 지지 부재 (7) 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 (2) 는 도 4 의 (b) 의 b 방향으로 회전하고, 램 (6) 은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후,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스테이플 (3) 이 1 개씩 이송되어 봉합이 반복된다.
도 6 은, 매거진 (4) 내에 수용된 스테이플 (3) 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측면도, (b) 는 (a) 의 Ⅰ-Ⅰ 단면도이다.
스테이플 (3) 은, 그 결정된 복수 개가 레일 (5) 상에 나열되고, 탄성 부재 (8) 에 의해 가압되어 앤빌 (5a) 을 향하여 밀려나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 (3) 은, 레그부 (3a) 가 진행 방향 전방이 되고, 크라운 (3b) 이 진행 방향 후방이 되도록 도면의 경사 각도 (α) 가 45 ? 60°의 각도가 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거진 (4) 의 스테이플 수용 공간 (9) 은, 진행 방향의 좌우의 벽 (4a, 4b) 에 의해 폭 방향이, 천정 (4c) 과 레일 (5) 의 베이스부의 상면에 의해 상하 방향이 획정된다. 이들 폭 (좌우) 방향, 천정과 스테이플 (3) 사이의 상하 방향에 전혀 간극이 없으면, 스테이플 (3) 은 수용 공간 (9) 내를 진행하지 못하여, 스테이플러가 사용 불능이 된다.
그 때문에, 폭 방향과 상하 방향에 적당한 간극이 확보되어, 스테이플 (3) 의 이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스테이플 (3) 은 환봉을 절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개개의 스테이플 (3) 은 분리되어 있어, 문구용 스테이플과 같이 다수의 스테이플이 가볍게 결합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개개의 스테이플 (3) 은, 레일 (5) 의 베이스부 상에 재치되어 있으므로 하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지만, 상방과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좌우의 벽 (4a, 4b) 과의 간극이 지나치게 크면, 인접하는 스테이플 (3) 이 좌우로 어긋난 경우, 탄성 부재 (8) 로 눌렀을 때, 스테이플 (3) 은 진행 방향과는 직교한 좌우의 벽 (4a 또는 4b)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여, 벽 (4a 또는 4b) 에 강하게 가압되어 진행되지 못하고 막혀 버려 (이것을 「재밍」이라고 한다), 의료용 스테이플러 (10) 가 사용 불능이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테이플 (3) 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 (9) 내에서 경사 각도 (α) 로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지만,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 스테이플 (3) 이 솟아올라, 경사 각도 (α) 가 커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러면, 뾰족한 레그부 (3a) 의 선단이 레일 (5) 표면을 물어, 역시 재밍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스테이플의 안정적인 공급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2 에서는, 스테이플의 1 쌍의 레그를 상대적으로 비트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비틀림을 가함으로써, 비틀림 상태를 관리할 수 있어, 스테이플의 원활한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구성은, 수용 공간 내의 간극으로 인한 재밍 문제나, 물림으로 인한 재밍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의 매거진 (4) 은, 합성 수지제의 사출 성형에 의한 일체 구조로, 내부에 레일 (5) 과 스테이플 (3) 을 수용하는 공간이나, 램 (6) 이나 탄성 지지 부재 (7) 를 수용하는 공간 등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형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져, 매거진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051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3134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매거진 내에 있어서의 스테이플의 재밍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스테이플러와 그 매거진을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의료용 스테이플러와 그 매거진을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에 사용되는 매거진은, 복수의 コ 자상의 의료용 스테이플과, 이들 스테이플이 재치되는 레일을 수용하는 매거진으로서, 매거진의 상기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공간의 폭 치수가, 상기 스테이플의 폭보다 크고, 스테이플의 폭 + 스테이플의 직경의 1/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레일의 경도가 스테이플의 경도보다 높은 구성으로 하거나, 상기 コ 자상의 의료용 스테이플의 상기 레그부를 진행 방향 전방으로, コ 자상의 스테이플의 몸체부를 진행 방향 후방으로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상기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공간의 폭 치수가, 상기 스테이플의 폭보다 크고, 스테이플의 폭 + 스테이플의 직경의 1/3 이하인 구성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에 사용되는 매거진은,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매거진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사이에 레일을 끼워 넣도록 반할(半割)로 형성되어 있는 반할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반할로 형성된 일방의 반할체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가 형성되며, 타방의 반할체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레일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할체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와 끼워 맞춰지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반할체에는 타방의 반할체와의 끼워 맞춤을 유지하는 걸림부가 있으며, 타방의 반할체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림부가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에 상기 양측의 반할체와의 걸어 맞춤을 유지하는 걸어 맞춤 유지부를 형성하고, 양측의 반할체에는, 상기 걸어 맞춤 유지부와 걸어 맞춰져 양 반할체의 걸어 맞춤을 유지하는 걸어 맞춤 수용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는, 상기 어느 매거진의 반할체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양측에서부터 힘이 가해지도록 본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매거진의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의 폭이, 스테이플의 폭보다 큼으로써, 스테이플은 매거진 내를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용 공간의 폭을, 스테이플의 폭 + 스테이플의 직경의 1/2 미만으로 함으로써, 수용 공간 내에서 스테이플이 수용 공간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한정하여, 한정된 범위 내의 어긋남이면, 스테이플을 밀어내는 힘이 스테이플을 수용 공간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이겨, 스테이플은 진행 방향으로 밀려,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의 경도를 스테이플의 경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스테이플의 경사가 가팔라져도, 스테이플의 첨단이 레일을 무는 경우가 없게 되어,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매거진을 반할 구조로 함으로써, 매거진을 성형하는 금형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매거진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와 수용부의 구성에 의해 레일의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매거진의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레일을 양측에서부터 반할체 사이에 끼움으로써, 양 반할체 사이에 형성되는 스테이플의 수용 공간의 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반할체에, 타방의 반할체와의 끼워 맞춤을 유지하는 걸림부를 형성하고, 타방의 반할체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조립 후의 매거진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매거진의 반할 구조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의 폭을 스테이플의 폭 + 스테이플의 직경의 1/2 미만으로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할 구조의 것이라 하더라도 일체 성형의 것과 동등하게 치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잘 재밍되지 않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매거진의 하면도로, (a) 는 조립한 상태, (b) 는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매거진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의료용 스테이플러의 삼면도로, (a) 는 상면도, (b) 는 측면 단면도, (c) 는 정면도이다.
도 5 의 (a) 내지 (c) 는, 스테이플을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매거진 내에 수용된 스테이플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는 측면도, (b) 는 (a) 의 Ⅰ-Ⅰ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 (10) 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는, 매거진 (40) 의 하면도로, (a) 는 조립한 상태, (b) 는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예와 동일한 부호는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의료용 스테이플러 (10) 용 매거진 (40) 은, 레일 (5)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을 사이에 끼워 넣도록 양측으로 분할되어 있다. 분할된 매거진 (40) 의 일방을 반할체 (41), 타방을 반할체 (42) 로 한다. 이와 같이 반할체 (41, 42) 로 분할한 경우, 접착제로 접착시킴으로써 일체화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구성을 채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의 양을 컨트롤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즉, 접착제가 적으면 접착 후에 박리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접착제가 지나치게 많으면, 접착제가 스테이플 (3) 에 부착될 가능성이 생겨, 인체에 대한 영향이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가 없는 결합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양 반할체 (41, 42) 는, 일방의 반할체 (41) 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 (41a) 가 형성되고, 타방의 반할체 (42) 에는, 위치 결정용 볼록부 (41a) 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 (42a) 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용 볼록부 (41a) 와 오목부 (42a)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 (도 2 에서는 3 개) 씩 있어, 양 반할체 (41, 42) 의 결합시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반할체 (41, 42) 의 일단(一端) 근처에는, 일방에 가요성이 있는 아암상의 걸림부 (41b) 가, 타방에는 동일하게 가요성이 있는 아암상의 피걸림부 (42b) 가 있어, 걸림부 (41b) 의 돌기가 피걸림부 (42b) 의 구멍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양 반할체 (41, 42) 가 결합된 후에 간단하게는 이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5) 에는, 2 쌍의 돌기상의 위치 결정부 (5b, 5b) 가 있고, 또한, 일단측에는 1 쌍의 훅상의 걸어 맞춤 유지부 (5d) 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상의 위치 결정부 (5b, 5b) 는, 반할체 (41, 42) 에 형성된 오목상의 수용부 (41c, 42c) 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반할체 (41, 42) 의 소정 위치에 레일 (5) 이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레일의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치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훅상의 걸어 맞춤 유지부 (5d) 는, 반할체 (41, 42) 에 형성된 걸어 맞춤 수용부 (41d, 42d) 에 걸어 맞춰진다. 또한, 돌기상의 위치 결정부 (5b) 는 본 실시예에서는 2 쌍 형성되어 있지만, 1 쌍이어도 된다. 1 쌍으로 하는 경우, 레일 (5) 의 선단측 (앤빌 (5a) 측) 에 형성하면, 전체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매거진 (40) 을 조립하려면, 이하와 같이 한다. 단, 이하는 일례이며, 이 조립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할체 (41, 42) 의 중간에 레일 (5) 을 둔다. 다음으로 레일 (5) 의 위치 결정부 (5b, 5b) 를 반할체 (41 또는 42) 중 어느 것에 형성된 오목상의 수용부 (41c 또는 42c) 에 끼워 넣는다. 동시에, 훅상의 걸어 맞춤 유지부 (5d) 를, 위치 결정부 (5b, 5b) 를 끼워 넣은 쪽의 반할체 (41 또는 42) 의 걸어 맞춤 수용부 (41d 또는 42d) 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로써, 레일 (5) 과 일방의 반할체 (41 또는 42) 가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은 쪽의 반할체 (41 또는 42) 를 레일 (5) 의 걸어 맞춤 반대측에 걸어 맞춘다. 이 때, 레일 (5) 의 위치 결정부 (5b, 5b) 와 반할체의 오목상의 수용부 (41c 또는 42c) 가 끼워 넣어져, 레일 (5) 의 훅상의 걸어 맞춤 유지부 (5d) 는, 반할체 (41 또는 42) 에 형성된 걸어 맞춤 수용부 (41d 또는 42d) 에 걸어 맞춰지고, 반할체 (41) 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 (41a) 가 반할체 (42) 의 오목부 (42a) 에 끼워 맞춰진다. 이렇게 하여 반할체 (41 과 42) 가 결합되면, 매거진 (40) 을 조립한 후에, 반할체 (41 과 42) 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매거진 (40) 에는, 스테이플 (3) 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9) 과, 도시하지 않지만, 램 (6) 을 삽입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 공간 (9) 은, 매거진 (40) 의 후단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로부터 소정 수의 스테이플 (3) 을 삽입하고, 그 뒤에서부터 가압 부재를 넣고, 또한 탄성 부재 (8) (도 4 참조) 를 넣는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램 (6) 을 수용하는 공간이 매거진 (40) 의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로부터 램 (6) 과 탄성 지지 부재 (7) 를 장착하여 매거진 (40) 이 완성된다.
매거진 (40) 이 조립되면, 레버 (2) 가 장착되고, 또한 하우징 (1) 이 장착된다. 레버 (2) 는, 매거진 (40) 에 형성된 장착공에 축 (2a) 을 끼워 맞춤으로써,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하우징 (1) 은, 하우징 (1) 에 형성된 오목부상의 장착부 (1a) 에 매거진 (40) 에 형성된 볼록상의 피장착부 (41g, 42g) 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장착된다. 장착부 (1a) 와 피장착부 (41g, 42g) 의 끼워 맞춤으로, 매거진 (40) 의 반할체가 하우징 (1) 의 탄성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양측에서부터 힘이 가해지도록 하우징 (1) (본체) 에 장착되어, 매거진 (40) 과 하우징 (1) 의 결합은 간단하게 빠지는 경우가 없는 결합이 된다. 이상으로 의료용 스테이플러 (10) 의 조립이 완료된다. 사용 방법은, 종래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매거진 (40) 의 주요부 단면도로, 종래예에서 설명한 도 6 의 (b) 와 동일 지점의 도면이다. 동일한 부호는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스테이플 (3) 은, 매거진 (40) 의 수용 공간 (9)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이 수용 공간 (9) 은, 스테이플 (3) 의 진행 방향의 좌우 방향이 반할체 (41) 의 벽 (41e) 과 반할체 (42) 의 벽 (42e) 에 의해, 하부가 레일 (5) 의 베이스부에 의해, 상부가 반할체 (41, 42) 의 천정 (41f 와 42f) 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이다.
본 발명에서는, 매거진 (40) 의 좌우의 벽 (41e, 42e) 과 스테이플 (3) 의 레그부 (3a) 사이의 간극을 s 로 하였을 때 편측 s/2 의 간극이 있고, 스테이플 (3) 의 선 직경을 d 로 하였을 때, 0 < s < d/2 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은, 수용 공간 (9) 의 폭이, 레일 (5) 의 위치 결정부 (5b, 5b) 와 반할체의 오목상의 수용부 (41c, 42c) 의 대조에 의해 정해짐으로써 담보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의 간극을 가산한 s 의 값이 스테이플 (3) 의 선 직경 (d) 의 1/2 미만이면, 인접하는 스테이플 (3) 의 일방이 수용 공간 (9) 의 벽 (41e) 에 밀착되고, 타방의 스테이플 (3) 이 반대측의 벽 (42e) 에 밀착되는 최대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라도, 탄성 부재 (8) 에 의해 진행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스테이플 (3) 이 벽 (41e 또는 42e) 으로 가압하는 힘을 이겨, 재밍되지 않고 스테이플 (3) 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간극 (s) 이 d/2 미만이라 하더라도, d/3 을 초과하면 스테이플 (3) 을 벽 (41e 또는 42e) 으로 가압하는 힘은 커지기 때문에, 간극 (s) 의 값은 d/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도가 되면, 매거진 (40) 의 벽 (41e 또는 42e) 으로 스테이플 (3) 을 가압하는 힘은 충분히 작아져, 재밍의 우려가 소멸되기 때문이다.
또한, 재밍을 방지하려면, 레일의 높이 방향의 위치 결정도 중요하다. 이것에 대해서도, 폭 방향의 위치 결정과 동일하게, 레일 (5) 의 위치 결정부 (5b, 5b) 와 반할체의 오목상의 수용부 (41c, 42c) 의 대조에 의해 정해짐으로써 담보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플 (3) 과 천정 (41f, 42f) 사이에도 적당한 간극이 있기 때문에, 스테이플 (3) 은 경사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일어설 경우가 있다. 그러할 때, 종래에는 레그부 (3a) 가 레일 (5) 을 물어, 재밍의 원인이 되었었다. 이에 반해, 본원에서는, 레일 (5) 의 경도를 스테이플 (3) 의 경도보다 딱딱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테이플 (3) 이 레일 (5) 을 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 (3) 이 잘 일어서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플 (3) 의 수용 공간 (9) 의 높이 치수로는, 스테이플 (3) 의 상정 최대 경사 각도가 60°인 경우의, 스테이플 (3) 까지의 높이 (크라운 (3b) 의 상면까지의 높이) + 스테이플 (3) 의 직경의 1/2 미만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테이플을 밀어내는 힘이 스테이플을 수용 공간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이겨, 스테이플은 진행 방향으로 밀려,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한 반할 구조의 매거진을 채용함과 함께, 그 반할 구조에 의해, 수용 공간의 폭을 스테이플의 폭 + 스테이플의 직경의 1/2 미만으로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음과 함께, 반할 구조의 것이라 하더라도 일체 성형의 것과 동등하게 치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잘 재밍되지 않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
1 : 하우징
2 : 레버
3 : 스테이플
3a : 레그부
5 : 레일
5a : 앤빌
5b : 위치 결정부
5d : 걸어 맞춤 유지부
6 : 램
9 : 수용 공간
10 : 의료용 스테이플러
40 : 매거진
41 : 반할체
41a : 위치 결정용 볼록부
41b : 걸림부
41c : 수용부
41d : 걸어 맞춤 수용부
41e : 벽
41f : 천정
41g : 피장착부
42 : 반할체
42a : 오목부
42b : 피걸림부
42c : 수용부
42d : 걸어 맞춤 수용부
42e : 벽
42f : 천정

Claims (5)

  1. 복수의 コ 자상의 의료용 스테이플과, 이들 스테이플이 재치되는 레일을 수용하는 매거진으로서, 매거진의 상기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공간의 폭 치수가, 상기 스테이플의 폭보다 크고, 스테이플의 폭 + 스테이플의 직경의 1/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경도가 스테이플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이,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사이에 레일을 끼워 넣도록 반할로 형성되어 있는 반할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할로 형성된 일방의 반할체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가 형성되며, 타방의 반할체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레일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반할체에는 상기 위치 결정부와 끼워 맞춰지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반할체에는 타방의 반할체와의 끼워 맞춤을 유지하는 걸림부가 있으며, 타방의 반할체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어 맞춰지는 피걸림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매거진의 반할체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양측에서부터 힘이 가해지도록 본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스테이플러.
KR1020127024478A 2010-02-26 2011-02-25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 KR101788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2541A JP5632621B2 (ja) 2010-02-26 2010-02-26 医療用ステープラー及びマガジン
JPJP-P-2010-042541 2010-02-26
PCT/JP2011/054260 WO2011105543A1 (ja) 2010-02-26 2011-02-25 医療用ステープラー及びマガジ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651A true KR20120127651A (ko) 2012-11-22
KR101788347B1 KR101788347B1 (ko) 2017-10-19

Family

ID=4450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478A KR101788347B1 (ko) 2010-02-26 2011-02-25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49275B2 (ko)
EP (1) EP2540230B1 (ko)
JP (1) JP5632621B2 (ko)
KR (1) KR101788347B1 (ko)
CN (1) CN102770082B (ko)
HK (1) HK1176268A1 (ko)
WO (1) WO2011105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8542B2 (ja) * 2010-03-31 2014-11-19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ステープラー
JP6091798B2 (ja) * 2012-08-08 2017-03-08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ステイプラーのアンビル
CN103110977B (zh) * 2013-01-29 2014-08-20 爱宝骨科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含铜涂层纯镁吻合钉及其制备
CN106028963B (zh) * 2013-12-23 2019-04-05 伊西康内外科有限责任公司 外科钉和钉仓
MX2018002386A (es) * 2015-08-26 2018-08-01 Ethicon Llc Grapas quirurgicas que comprenden caracteristicas para mejorar la sujecion del tejido.
CN109875627B (zh) * 2019-02-26 2024-03-08 宁波市爱达维电器有限公司 医用长吻型缝合器
CN109875628B (zh) * 2019-02-26 2024-03-08 宁波市爱达维电器有限公司 医用缝合器的钉盒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3016A (en) * 1973-11-30 1975-03-25 Meyer Fishbein Pliers type surgical stapler for joining disunited skin or fascia
US4179057A (en) * 1978-11-17 1979-12-18 Senco Products, Inc. Disposable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AU540655B2 (en) * 1980-05-14 1984-11-29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stapler
US4991763A (en) * 1988-05-23 1991-02-12 Technalytics Inc. Surgical stapler
US5938101A (en) * 1997-05-14 1999-08-17 Ethicon Endo-Surgery, Inc. Skin stapler with movable anvil
US7059509B2 (en) * 2002-05-28 2006-06-13 Phillip Clay Brown Surgical stapling device
JP2006305136A (ja) * 2005-04-28 2006-11-09 Manii Kk 医療用ステープラー
JP5283209B2 (ja) 2007-11-29 2013-09-04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ステイプ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9275B2 (en) 2015-10-06
EP2540230A1 (en) 2013-01-02
CN102770082B (zh) 2015-08-05
HK1176268A1 (en) 2013-07-26
US20120325890A1 (en) 2012-12-27
JP2011177238A (ja) 2011-09-15
KR101788347B1 (ko) 2017-10-19
JP5632621B2 (ja) 2014-11-26
EP2540230B1 (en) 2021-11-17
WO2011105543A1 (ja) 2011-09-01
CN102770082A (zh) 2012-11-07
EP2540230A4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7651A (ko) 의료용 스테이플러 및 매거진
US10131064B2 (en) Handles for shavers to be releasably connected to shaving cartridges
RU2623130C2 (ru) Линейный сшивающий аппарат
US10758227B2 (en) Delivering bioabsorbable fasteners
JP7018936B2 (ja) 使い捨て手動カートリッジボディピアシング器具
KR102553779B1 (ko) 바디 피어싱 기구용 돌출하는 조 카트리지
MXPA06009866A (es) Cartuchos de grapas para formar grapas que tienen diferentes alturas de grapas formadas.
JPH05176806A (ja) ベルト留金−舌状片組合わせ体
TW201105295A (en) Lancet device with lance retraction
CN102821701B (zh) 医疗用吻合器
EP0092408A2 (en) Ear tag and pliers
JP2014171704A (ja) 穿刺具
JP6858390B2 (ja) 医療用ステープラ
JP6803395B2 (ja) 医療用ステープラシステム
JP2008036265A (ja) 外科用ステープルリムーバ
TW202010473A (zh) 血管施夾器的夾嘴裝置
US20060254398A1 (en) Removable/replaceable handle device
KR20130028918A (ko) 바디 피어싱 장비용 포스트 캐리어
JP3200049B2 (ja) 皮膚縫合用ステープル
KR20130012582A (ko) 바디 피어싱 장비용 너트 캐리어
CN105078527B (zh) 皮肤缝合器
TWM521934U (zh) 後推式替換刷頭的牙刷
US20170143334A1 (en) Intraoral Stapler
CN107920873A (zh) 牙科线帽
CN118076303A (zh) 外科夹具施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