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509A - 전력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전력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509A
KR20120127509A KR1020127024586A KR20127024586A KR20120127509A KR 20120127509 A KR20120127509 A KR 20120127509A KR 1020127024586 A KR1020127024586 A KR 1020127024586A KR 20127024586 A KR20127024586 A KR 20127024586A KR 20120127509 A KR20120127509 A KR 20120127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member
circuit breaker
power circui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9072B1 (ko
Inventor
히로시 하세가와
다카카즈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과제>
구성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폐로 동작시의 충격에 의한 반도(채터링)를 방지하는, 소형이고 염가의 전력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중심축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위치에 경사면 혹은 곡면이 마련된 링 모양 부재(141-1, 141-2)와 링 모양 부재(142-1)로 이루어지는 반도억제부(140)를 가지고, 폐극시에 가동전극(122)이 고정전극(121)에 충돌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압축력으로서 캡쳐하는 미동기구부(130)를 구비하며, 링 모양 부재의 스프링성과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서, 충돌했을 때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에 의한 에너지 흡수에 의해서 소비하여, 반도동작의 발생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용 차단기 {ELECTRIC-POWER BREAKER}
본 발명은 전력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접리(接離) 가능한 고정전극과 가동전극과의 주접점을 가동방향으로 밀어붙여 접촉하는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 VCB) 등의 전력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력용 차단기로는, 예를 들면 진공차단기(VCB) 등과 같이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을 맞댐 구조로 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차단기에서는 양(兩) 전극의 주접점을 맞대어 접촉시켜, 통전 성능을 가지고 있다.
맞댐 구조이기 때문에, 폐극(閉極)시에는 폐극속도에 의해 양 전극이 충돌하여, 접점의 반도(反跳)(채터링, Chattering)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이 반도(채터링)를 억제하기 위해서 진공밸브(Vacuum Switch Tubes : VST)의 고정단자 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부재」를 마련하고, 이 경사면에 「스프링에 의해 밀어붙여진 또 다른 1조의 경사면을 가지는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진공차단기(VCB) 투입시의 가동 측 접점이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양자 사이의 마찰에너지로 바꾸어 소실시킴으로써, 반도(채터링)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6-269202호 공보(0015단, 도 3)
그렇지만, 종래의 전력용 차단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잡한 구성에 의해 부품수가 많고, 양 경사면 부재의 정합(整合) 조정에 시간이 걸리므로, 부품비용?조립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구성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폐로(閉路) 동작시의 충격에 의한 반도(채터링)를 방지하는, 소형이고 염가의 전력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는, 고정전극 및 이 고정전극에 접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동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와, 가동전극으로부터 연장하는 가동축과, 가동축을 구동하여 스위치부를 개폐하는 조작기구와, 스위치부 및 가동축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과, 가동전극의 구동방향에서,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전극의 가동전극과의 접리하는 면과의 반대면의 측에, 중심축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경사면 혹은 곡면에서 접하는 2 이상의 링 모양 부재로 이루어진 반도억제부를 배치하고, 폐로 동작시의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반도억제부에서 압축력으로서 트래핑(trapping)하는 미동(微動)기구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동기구부는 겹침 부분에 각각 대응하는 경사 형상 또는 곡면 형상을 마련한 링 모양 부재를 복수 겹쳐서 이루어지는 반도억제부를 가지고, 폐로 동작시의 충격을 압축력으로서 트래핑함으로써, 링 모양 부재의 지름방향으로의 신축에 의한 스프링성과 경사면의 마찰력에 의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단순한 구성에 의해 소형이고 염가로 반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미동기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미동기구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측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실시형태에서의 링 모양 부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차단기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의 전력용 차단기를 적용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절연 개폐장치(스위치 기어)(200)의 주회로는 케이블(6), 전류검출기(7), 케이블 부싱(bushing)(4), 접속부재(10), 전력용 차단기로서의 차단기(100), 수전(受電) 단로/접지(斷路/接地) 개폐기(11), 접속부재(9), 모선(母線) 부싱(3), 모선(12)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가대(架臺)(1)상에는 SF6가스 등의 절연성 가스가 봉입(封入)된 차단기 탱크(2)가 지지되어 있다. 차단기 탱크(2)의 상부 단판부(2a)에는 삼상(三相)의 모선 부싱(3)이 마련되며, 모선 부싱(3)에는 모선(1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 탱크(2)의 하부 측판부(2b)에는 케이블 부싱(4)이 마련되고, 케이블 부싱(4)에는 베이스(5)에 배치되는 삼상의 케이블(6)이 전류검출기(7)를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 탱크(2) 내에는 모선(12)과 케이블(6)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차단하는 차단기(100)가 3개 병렬하여 수납되어 있다. 차단기(100)는 장착판(13)에 고정된 절연프레임(101)과, 절연프레임(101) 내에 유지된 차단기 소호실(消弧室)인 진공밸브(120)를 가지고 있다.
또, 차단기 탱크(2) 내에는 차단기(100)와 모선(12)과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단로하는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11)가 3개 병렬하여 수납되어 있다.
차단기(100)는 진공밸브(120)의 가동전극 측으로부터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11)의 일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11)의 타단은 접속부재(9)를 통하여 모선 부싱(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차단기(100)는 진공밸브(120)의 고정전극 측으로부터 접속부재(10)를 통하여 케이블 부싱(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4) 내에는 차단기 조작기구(15), 단로기 조작기구(16) 및 제어유니트(도시생략)가 수납되어 있다. 차단기 조작기구(15) 및 단로기 조작기구(16)는 장착판(13)에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의 차단기(100)의 진공밸브(120)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2에서, 진공밸브(120)는 고정전극(121)과, 가동전극(122)과, 스위치부로서의 고정전극(121) 및 가동전극(122)을 덮는 진공스위치부(123)와, 가동전극(122)을 구동하여 고정전극(121)과 접촉?격리 조작하기 위한 가동축으로서의 조작봉 도체(124)로 이루어진다.
진공밸브(120)는 고정전극(121) 측을 지지도체(103)에 고정한다. 지지도체(103)는 가동전극(122)의 가동방향에서 진공밸브(120)가 고정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미동기구부(130)를 구비한다.
미동기구부(130)는, 폐극 동작시에, 가동전극(122)이 고정전극(121)에 접촉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마련된다.
진공밸브(120)는 고정전극(121)이 지지도체(103)를 통하여 접속부재(10)에, 가동전극(122)이 가요도체인 가동 측 회로도체(104)를 통하여 수전 단로/접지 개폐기(11)에 각각 접속되어, 전기회로의 개극, 폐극 동작을 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의 차단기(100)에 구비하는 미동기구부(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개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폐극 동작한 직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서, 미동기구부(130)는 형상이 다른 링 모양 부재를 교호로 복수 겹쳐서 이루어지는 반도억제부(140)를 가진다. 반도억제부(140)는 링 모양 부재의 겹침 부분에 각각 경사 형상을 가지고, 축방향(A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에 대해서 지름방향으로의 신축에 의한 스프링성과 경사면의 마찰력에 의해,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지만,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반도억제부(140)는 지지도체(103)에 볼트(131)로 고정한 하부 스토퍼 피팅(fitting)(132)에 얹어 놓은 상태에서, 위쪽으로부터 상부 스토퍼 피팅(133)에 의해 덮여지고, 하부 스토퍼 피팅(132)과 상부 스토퍼 피팅(133)에 의해 끼워 지지되어 있다.
상부 스토퍼 피팅(133)은 가이드 튜브(134)를 사이에 두고, 절연프레임(101)에 매립된 인서트(102)에 볼트(135)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도체(103)는 지지도체(103)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103a)이 가이드 튜브(134)를 따라서 위쪽(A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지지도체(103)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지지도체(103)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스토퍼 피팅(132), 진공스위치관(123) 및 고정전극(121)도 위쪽 방향(A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지름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차단기(100)의 반도억제부(140)에 이용하는 링 모양 부재(141-1, 141-2), 도 6에 링 모양 부재(142-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서, 각각 (a)는 상면도, (b)는 측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링 모양 부재(141-1)와 링 모양 부재(141-2)는 같은 형상이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내주면 측의 볼록부가 대략 삼각형 모양이고, 축방향으로 상하 대상의 경사면(141-1a, 141-1b) 및 경사면(141-2a, 141-2b)을 가진다.
링 모양 부재(141-2)는 링 모양 부재(141-1, 141-2)와 외주 형상이 다르며, 링 모양 부재(141-1)와 링 모양 부재(141-2)에 끼워져 겹쳐진다.
링 모양 부재(142-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외주면 측의 볼록부가 대략 삼각형 모양이고, 축방향으로 상하 대상의 경사면(142-1a) 및 경사면(142-1b)을 가진다.
링 모양 부재(142)는 끼워져 겹쳐지는 링 모양 부재(141)와 링 모양 부재(141-2)의 경사면(141-1a, 141-1b) 및 경사면(141-2a, 141-2b)에 대응하도록, 경사면(142-1a) 및 경사면(142-1b)이 마련된다.
또, 링 모양 부재(142-1)는 끼워져 겹쳐지는 링 모양 부재(141-1)와 링 모양 부재(141-2)와의 사이가 축방향으로부터의 압축력에 대해서 충분히 스프링성을 발휘할 수 있는 거리를 가지도록 링 모양 부재(142-1)의 외경을 결정할 수 있다.
반도억제부(140)의 스프링성은 링 모양 부재(141-1, 142-1, 141-2)의 높이, 지름의 크기, 단면의 두께, 경사면의 각도나 재질 등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 반도억제부(140)의 마찰력은 링 모양 부재(141-1, 142-1, 141-2)의 재질, 경사면의 표면 상태 등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억제부(140)는 링 모양 부재를 3개로 구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링 모양 부재의 개수를 바꾸는 것에 의해, 스프링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링 모양 부재의 재료는 담금질한 강으로 표면연마 혹은 경질크롬 도금처리를 시행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겹쳐지는 부분을 경사면으로 했지만, 곡면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차단기(100)의 반도억제부(14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개로(開路) 상태로부터 전기회로를 닫는 동작이 개시하면, 가동전극(122)은 순간적으로 A방향으로 밀어올려져, 고정전극(121)과 충돌해 접촉한다.
가동전극(122)이 고정전극(121)에 충돌하면, 충격이 진공스위치관(123) 및 지지도체(103)를 통하여 반도억제부(140)에 전해지고, 반도억제부(140)는 그 충격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서 흡수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도체(103)는 하부 스토퍼 피팅(132)과 상부 스토퍼 피팅(133)에서 끼워 지지되는 링 모양 부재(141-1, 142-1, 141-2)를 A방향으로 압축하면서, 스프링성 및 마찰력에 저항하여 가이드 튜브(134)를 따라서 A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A방향으로부터 압축되면, 링 모양 부재(141-1, 141-2)는 링 모양 부재(142-1)의 경사면(142-1a, 142-1b)이 쐐기식으로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넓어지고, 링 모양 부재(142-1)는 각각 대응하는 링 모양 부재(141-1, 141-2)의 경사면(141-1a, 141-2b)에 의해 내경방향으로 수축된다.
넓어진 링 모양 부재(141-1, 141-2)가 수축하려고 하는 힘과, 수축된 링 모양 부재(142-1)가 넓어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반도억제부(140)는 스프링성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반도억제부(140)는 링 모양 부재(141-1, 142-1, 141-2) 자체의 스프링성과 경사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서, 가동전극(122)이 고정전극(121)에 충돌했을 때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에 의한 에너지 흡수에 의해서 소비함으로써 반도동작의 발생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반도억제부(140)는 폐극시에 진공밸브(120)가 지름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였다 하여도 그것과 같은 방향으로, 링 모양 부재가 추종(追從)함으로써 반도동작을 발휘할 수 있다. 반도억제부(140)는 겹쳐지는 링 모양 부재가 많을수록 추종성이 향상한다.
도 7은 15개의 링 모양 부재를 겹쳤을 경우의 추종 상태에 있는 반도억제부의 측면도이다. 진공밸브(120)가 지름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였을 경우, 교호로 겹쳐진 링 모양 부재(141-1, 141-2 ‥ 141-8) 및 링 모양 부재(142-1, 142-2 ‥ 142-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종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동기구부(130)는 중심축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면 혹은 곡면이 마련된 링 모양 부재(141-1, 141-2)와 링 모양 부재(142-1)로 이루어지는 반도억제부(140)를 가지고, 폐극시에 가동전극(122)이 고정전극(121)에 충돌했을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압축력으로서 트래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링 모양 부재의 지름방향으로의 신축에 의한 스프링성과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서, 충돌했을 때의 운동에너지를 마찰에 의한 에너지 흡수에 의해서 소비하여, 반도동작의 발생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단순한 구성에 의해 소형이고 염가로 반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폐극시에 진공밸브(120)가 지름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였을 경우라도, 링 모양 부재가 추종함으로써 반도동작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반도억제부(140)는 링 모양 부재(141-1, 141-2, 142-1)의 높이, 지름의 크기, 단면의 두께, 겹침 개수, 경사면의 각도나 재질 등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스프링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반도억제부(140)는 링 모양 부재(141-1, 141-2, 142-1)의 재질, 경사면의 표면 상태 등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마찰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 모양 부재에 단면에서 내주면 측 또는 외주면 측의 볼록부가 대략 삼각형 모양인 것을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의 다른 구성으로서의, (a) 링 모양 부재(151-1, 151-2) 및 (b) 링 모양 부재(152-1)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모양 부재(151-1, 151-2, 152-1)는 단면에서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볼록부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라도 된다. 이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의 다른 구성으로서의, (a) 링 모양 부재(161-1, 161-2) 및 (b) 링 모양 부재(162-1)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모양 부재(161-1, 161-2, 162-1)는 링의 지름방향으로 구멍(161-c, 161-2c, 162-1c)을 마련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 경우, 구멍(161-c, 161-2c, 162-1c)의 개수,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링이 스프링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다른 구성으로서의, 링 모양 부재(171-1, 171-2)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모양 부재(171-1, 171-2)는 링의 일부분에 각각 슬릿(171-1d, 171-2d)을 마련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 경우, 슬릿(171-1d, 171-2d)의 폭을 선택함으로써, 링이 스프링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링 모양 부재(171-1, 171-2)에 끼워지는 링 모양 부재(172-1)(도시생략)에도 슬릿(172-1d)을 마련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의 다른 구성으로서의, 링 모양 부재(181-1, 181-2) 및 링 모양 부재(182-1)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서, 각각 (a)는 상면도, (b)는 측단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모양 부재(181-1, 181-2, 182-1)는 단면이 상하 대칭인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판상부재로 구성된다. 이 경우, 링 모양 부재를 프레스 등의 제조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15 차단기 조작기구 100 차단기
101 절연프레임 121 고정전극
122 가동전극 124 조작봉 도체
130 미동기구부 140 반도억제부
141-1, 141-2 링 모양 부재
141-1a, 141-1b, 141-2a, 141-2b경사면
142-1 링 모양 부재 142-1a, 142-1b 경사면

Claims (7)

  1. 고정전극 및 이 고정전극에 접리(接離)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동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와,
    상기 가동전극으로부터 연장하는 가동축과,
    상기 가동축을 구동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개폐하는 조작기구와,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가동축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가동전극의 구동방향에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전극의 상기 가동전극과의 상기 접리하는 면과의 반대면의 측에, 중심축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경사면 혹은 곡면에서 접하는 2 이상의 링 모양 부재로 이루어진 반도(反跳)억제부를 배치하고, 폐로(閉路) 동작시의 상기 고정전극과 상기 가동전극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상기 반도억제부에서 압축력으로서 트래핑(trapping)하는 미동(微動)기구부를 구비하는 전력용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반도억제부는 단면에서 내주면 측에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는 링 모양 부재와, 외주면에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지는 링 모양 부재를 겹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차단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링 모양 부재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차단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링 모양 부재는 단면에서 내주면 측 또는 외주면 측이 대략 삼각형 모양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차단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링 모양 부재는 단면에서 내주면 측 또는 외주면 측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차단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 모양 부재는 지름방향으로 구멍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차단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 모양 부재는 일부분에 슬릿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차단기.
KR1020127024586A 2010-03-08 2010-03-08 전력용 차단기 KR101379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1591 WO2011111086A1 (ja) 2010-03-08 2010-03-08 電力用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509A true KR20120127509A (ko) 2012-11-21
KR101379072B1 KR101379072B1 (ko) 2014-03-28

Family

ID=44562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586A KR101379072B1 (ko) 2010-03-08 2010-03-08 전력용 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82563B2 (ko)
JP (1) JP5303065B2 (ko)
KR (1) KR101379072B1 (ko)
CN (1) CN102804529B (ko)
DE (1) DE112010005359B4 (ko)
HK (1) HK1177820A1 (ko)
WO (1) WO20111110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97B1 (ko) 2021-03-30 2021-11-04 부흥시스템(주) 진공절연 차단기/개폐기의 개극 충격 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0908B (zh) * 2010-12-20 2015-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开关设备
US9324521B2 (en) * 2010-12-20 2016-04-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ower switchgear
WO2013145358A1 (ja) * 2012-03-27 2013-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CN104798167B (zh) * 2012-11-21 2016-07-27 三菱电机株式会社 开关设备
US9196438B2 (en) * 2013-07-26 2015-11-24 Quality Switch, Inc. Safety system for high voltage network grounding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3359A (en) * 1971-01-04 1972-06-27 Amf Inc Engine ignition timer with improved adjustable plates
US4099039A (en) * 1976-12-20 1978-07-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an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the forces imposed on the movable contact of a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
JPS56148841U (ko) * 1980-04-08 1981-11-09
JPS59130347U (ja) * 1983-02-21 1984-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しや断器
CN86209155U (zh) * 1986-11-19 1987-09-09 航空工业部第六二五研究所 聚偏氟乙烯压电薄膜加速度传感器
JPH05190063A (ja) 1992-01-17 1993-07-30 Toshiba Corp 真空遮断器
FR2725303B1 (fr) * 1994-09-29 1996-10-31 Schneider Electric Sa Interrupteur ou disjoncteur moyenne tension
TWI228339B (en) * 2002-11-06 2005-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Metal-enclosed switchgear
JP2004222390A (ja) * 2003-01-14 2004-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形開閉装置
JP4515823B2 (ja) 2004-05-26 2010-08-0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遮断器
JP4601408B2 (ja) 2004-12-06 2010-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機器
JP4483645B2 (ja) 2005-03-23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JP4752678B2 (ja) * 2006-08-25 2011-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CN1987134A (zh) * 2006-12-14 2007-06-27 江苏江成冶金设备制造有限公司 螺纹连接防松紧固件
JP5297682B2 (ja) * 2008-04-24 2013-09-25 株式会社明電舎 真空遮断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97B1 (ko) 2021-03-30 2021-11-04 부흥시스템(주) 진공절연 차단기/개폐기의 개극 충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111086A1 (ja) 2013-06-27
JP5303065B2 (ja) 2013-10-02
CN102804529A (zh) 2012-11-28
HK1177820A1 (en) 2013-08-30
DE112010005359B4 (de) 2015-07-09
US9082563B2 (en) 2015-07-14
WO2011111086A1 (ja) 2011-09-15
US20120312667A1 (en) 2012-12-13
CN102804529B (zh) 2015-07-01
KR101379072B1 (ko) 2014-03-28
DE112010005359T5 (de)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072B1 (ko) 전력용 차단기
JP5989385B2 (ja) 接点要素の二つのセットを有するスイッチ
KR101704807B1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KR101153915B1 (ko) 전기적 스위칭 디바이스를 위한 컨택트 시스템
JP5178644B2 (ja) 投入抵抗接点付きガス遮断器及びその投入、遮断方法
JP5989384B2 (ja) 接点要素の二つのセット及び二つの駆動源を有するスイッチ
EP2442339B1 (en) Contact assembly for vacuum interrupter
US8933358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acuum interrupter and vacuum breaker having the same
EP31449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off an electric current with dynamic magnetic blow-out
JP4601408B2 (ja) 開閉機器
KR100809902B1 (ko) 진공차단기 및 진공개폐기용 조작기
CN111149184A (zh) 用于衰减在高压断路器中的合闸弹跳的装置和方法
US1141747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switching high currents in high-, medium- and/or low-voltage engineering
JP2016127744A (ja) 真空遮断器
CN108028149B (zh) 真空开关装置及其电触头
KR20210047623A (ko) 진공 인터럽터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KR1016976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차단기
TWI798927B (zh) 開關器及氣體絕緣開關裝置
US11145471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driving a movable contact of a vacuum interrupter in a high-voltage circuit breaker
KR101605138B1 (ko) 단로기
KR101594867B1 (ko) 진공인터럽터 조작 장치
KR20170079596A (ko) 고속스위치용 조작기
WO2012117811A1 (ja) ガス遮断器
JP2016127743A (ja) 真空遮断器及び真空遮断器の開閉構造
CN101432833A (zh) 断路器、尤其是强电流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