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987A - 촉매유닛 - Google Patents

촉매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987A
KR20120126987A KR1020110045173A KR20110045173A KR20120126987A KR 20120126987 A KR20120126987 A KR 20120126987A KR 1020110045173 A KR1020110045173 A KR 1020110045173A KR 20110045173 A KR20110045173 A KR 20110045173A KR 20120126987 A KR20120126987 A KR 2012012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exhaust gas
catalyst
metal layer
cataly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949B1 (ko
Inventor
최성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949B1/ko
Priority to US13/303,548 priority patent/US20120288416A1/en
Priority to DE102011055924A priority patent/DE102011055924A1/de
Priority to CN201110412689.5A priority patent/CN102777238B/zh
Publication of KR2012012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949B1/ko
Priority to US14/512,728 priority patent/US201500315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01J37/0228Coating in several ste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19Catalysts containing par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01N3/2825Ceramics
    • F01N3/2828Ceramic multi-channel monoliths, e.g. honeyco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90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talysts
    • B01D2255/915Catalyst supported on particulate filters
    • B01D2255/9155Wall flo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carbon making use of oxidation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01N2510/06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 F01N2510/068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catalytic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10/00Surface coverings
    • F01N2510/06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 F01N2510/068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catalytic coatings
    • F01N2510/0684Surface coverings for exhaust purification, e.g. catalytic reaction characteri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catalytic coatings having more than one coating layer, e.g. multi-layered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은, 배기가스 유로를 따라서 제1귀금속층이 형성되고, 배기가스 흐름이 높은 부분에 배치되는 제1브릭, 상기 제1브릭의 일측에 장착되고, 배기가스 유로를 따라서 제2귀금속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릭보다 배기가스의 흐름이 적은 제2브릭, 및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브릭을 상기 제1브릭에 고정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흐름양이 많은 부분에 고귀금속층이 형성된 제1브릭을 배치하고, 다른 부분에 저귀금속층이 형성된 제2브릭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 귀금속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브릭과 제2브릭을 유동패턴에 따라서 그 형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배기유동에 능동적으로 그 형태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배기가스가 입출구를 통해서 통과하는 플로우쓰루 방식으로 촉매용액을 흡입하여 촉매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촉매유닛{CATALYST UNIT}
본 발명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도록 배기가스 유동특성에 따라서 촉매성분을 포함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는 촉매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하여 주로 쓰이는 장치가 삼원촉매(three way catalyst)를 사용한 촉매컨버터인데, 이는 배기 파이프 도중에 장착되며, 차량에 따라 배기가스 배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촉매의 사양은 다르다.
상기 삼원촉매는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인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탄화수소계 화합물과 동시에 반응하여 이들 화합물을 제거하는 촉매를 의미하며, 주로 Pt/Rh, Pd/Rh 또는 Pt/Pd/Rh계의 삼원촉매가 이용된다.
한편, 유해 배기가스의 배출이 상대적으로 많은 디젤 차량의 경우, 연비, 출력면에서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가솔린 차량과는 달리 배기가스 내에 질소산화물과 입자상물질(Particulate Matter,PM)이 상당히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젤 차량에 있어서는 공기가 대부분의 운전조건에서 충분한 상태로 연소되기 때문에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아주 적게 배출되나, 질소산화물과 입자상물질이 많이 배출된다.
최근 디젤 차량의 배출기준 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후처리기술로 디젤매연여과필터의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 디젤매연여과필터를 실제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디젤산화촉매(Diesel Oxidation Catalyst,DOC)에 백금(Pt)을 사용하고 이와 별도로 디젤매연여과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DPF)를 사용하는 구조(DOC+DPF,CPF)가 최근 유럽의 자동차 메이커에서 개발되어 양산됨으로써, 많은 신뢰도 향상과 매출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 있다.
그리고, 촉매를 코팅한 구조의 디젤매연여과필터, 즉 디젤매연촉매여과필터(Diesel Catalyzed Particulate Filter)가 개발된 바 있다. 한편, 기존 코디어라이트 담체에 이종 농도의 촉매를 코팅하는 방식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미 많은 선행기술들이 있다.
예를 들면, 코디어라이트 담체를 서로 다른 농도의 촉매용액에 담갔다가 빼는 방식(dipping)이 있고, 담체의 일측 단부를 촉매용액에 담가서 세운 뒤 반대쪽 타측 단부 위에서 흡입기를 이용해 진공압을 걸어 촉매용액을 흡입하고 이어 담체를 거꾸로 세워 타측 단부를 농도가 상이한 촉매용액에 담근 뒤 다시 그 반대쪽 일측 단부 위에서 진공압을 걸어 촉매용액을 흡입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담체가 월 플로우 타입(wall flow type), 즉 CO나 HC 등이 담체 셀의 입구를 통해 들어오면 그 라인 출구를 통해 그대로 빠져나가는 형식의 담체인 경우에만 다양한 이종 농도의 촉매 코팅이 가능하다.
반면, 디젤매연촉매여과필터의 경우 기존의 코디어라이트 담체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매연(soot)을 여과시키기 위해 각 셀의 한쪽은 열려있고 그 반대쪽은 닫혀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매연은 벽에 걸려 여과되고 가스성분만 통과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를 견디기 위해 필터의 재질로는 고온 내구성이 강한 탄화규소(SiC)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SiC 재질의 필터는 열팽창률이 높아 코디어라이트 담체와 같이 처음부터 실물 크기(full size)로 제작할 경우, 즉 전체를 처음부터 일체형으로 성형 제작할 경우 열팽창으로 인해 깨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SiC 재질의 필터의 경우는 각각의 세그먼트를 우선 제작한 후, 각 세그먼트를 접착수단인 시멘트로 접착시켜 차량에 장착되는 실물 크기의 필터로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디젤매연촉매여과필터는 구조적 특성(각 셀의 한쪽이 막혀 있음) 때문에, 일반 코디어라이트 담체에 촉매를 코팅하는 것과는 달리, 필터 일부를 촉매용액에 담근 후 반대쪽 위에서 진공을 걸어 촉매용액을 흡입하는 방식으로는 촉매 코팅이 불가능하다.
즉, 압력이 많이 걸리고 또한 균일하게 압력이 걸리지 않으므로 흡입방식으로는 촉매 코팅이 불가능하며, 세그먼트들이 조합된 실물 크기의 필터 상태에서 단지 딥핑(dipping)의 방법으로만 촉매 코팅이 가능하다.
그리고, 농도가 상이한 촉매를 코팅하고자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흡입기를 사용해서는 서로 다른 농도의 촉매를 코팅할 수 없으며, 단지 딥핑의 방법으로만 이종 농도의 코팅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 방법으로는 필터의 길이방향으로만 이종 농도의 코팅이 가능하고, 필터의 단면상으로 농도 구배를 두는 촉매의 코팅은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종 농도의 촉매 코팅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면, 일반 코디어라이트 담체와 마찬가지로 필터의 경우에도 단면상의 각 위치에 따라 엔진 운전시의 배기가스 유동 및 온도분포가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율 향상 및 원가 절감 등을 위한 촉매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필터의 단면상으로도 촉매의 농도 구배를 두어 코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배기가스 유동 및 온도분포에 상관없이 필터 단면에 대하여 일정한 양의 촉매를 균일하게 코팅하였으며, 이에 균일 코팅 필터의 일정부분은 배기가스를 많이 정화하지만 다른 일부분은 배기가스를 거의 정화하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배기가스의 통과 유량이 필터 단면의 각 부분마다 상이하여 사용되는 촉매의 농도를 달리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면상으로 균일한 농도의 촉매가 사용되기 때문에 촉매의 과다한 소모가 불가피하고 필터의 제조원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배기가스 유동 및 온도분포에 따라 필터 단면상의 농도 구배를 주어 촉매를 코팅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흐름패턴에 따라서 배기가스의 정화율과 관련되는 단면상에서 촉매층을 다르게 형성하여, 배기가스의 정화율을 향상시키는 촉매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흐름특성에 따라서 유연한 형태를 갖는 촉매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유닛은, 배기가스 유로를 따라서 제1귀금속층이 형성되고, 배기가스 흐름이 높은 부분에 배치되는 제1브릭, 상기 제1브릭의 일측에 장착되고, 배기가스 유로를 따라서 제2귀금속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릭보다 배기가스의 흐름이 적은 제2브릭, 및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브릭을 상기 제1브릭에 고정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브릭은 길이방향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브릭은 상기 제2브릭의 중심부 상기 홀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은 상부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브릭은 상기 제1브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가스 유동이 서로 다른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은 그 단면 모양이 서로 비대칭적일 수 있다.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이 접합되는 면은 곡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 상기 제2브릭, 및 상기 접착부는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2 MgO2Al2O35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 상기 제2브릭으로 구성되는 촉매유닛은,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 배기가스유로가 형성된 산화촉매 또는 삼원촉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촉매유닛의 제조방법은, 배기가스 유로가 형성된 제1브릭을 압출하는 단계, 배기가스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릭에 부착되는 제2브릭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제1브릭에 제1귀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브릭에 제2귀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브릭은 길이방향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파이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브릭은 상기 제2브릭의 중심부 상기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은 상부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브릭은 상기 제1브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앞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촉매유닛에서, 배기가스의 흐름양이 많은 부분에 고귀금속층이 형성된 제1브릭을 배치하고, 다른 부분에 저귀금속층이 형성된 제2브릭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키고, 귀금속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브릭과 제2브릭을 유동패턴에 따라서 그 형태를 다르게 함으로써, 배기유동에 능동적으로 그 형태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배기가스가 입출구를 통해서 통과하는 플로우쓰루 방식으로 촉매용액을 흡입하여 촉매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개략적인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개략적인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개략적인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촉매유닛(100)은 제1브릭(102)과 제2브릭(10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브릭(102)에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홀(106)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도 전면에서 후면으로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배기가스홀(108)이 형성된다.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상기 배기가스홀(106, 108)의 입구와 출구에는 플러그가 형성되지 않는 플로우쓰루(flow through) 방식이다. 이러한 플로우쓰루 방식을 채택하는 촉매에는 산화촉매, 디젤산화촉매, 또는 가솔린삼원촉매 등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릭(104)은 원통형 파이프 구조로, 그 길이방향 중심부를 따라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 안으로 상기 제1브릭(102)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브릭(102)의 외주면과 상기 제2브릭(104)의 내주면은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접착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코디어라이트(cordierite)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재도 코디어라이트 시멘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에는 각각 촉매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릭(102)에는 고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저귀금속층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브릭(102)에는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많은 것으로, 배기유동이 크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적은 것으로, 배기유동이 적다. 따라서, 상기 제1브릭(102)에는 촉매량이 비교적 많은 고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촉매량이 비교적 적은 저귀금속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브릭(102)에 형성되는 고귀금속층은 그 내부에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 형성되는 저귀금속층은 그 내부에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많은 부분인 상기 제1브릭(102)에 고금속층이 형성되고,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적은 부분인 상기 제2브릭(104)에 저귀금속층이 형성되어, 배기가스의 정화율이 향상되고, 귀금속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그 단면 모양이 서로 대칭적인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는 배기가스유동이 비슷한 UCC(underfloor catalytic converter) 또는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개략적인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릭(102)은 상부쪽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은 상기 제1브릭(102)의 하부쪽에 밀착된다.
상기 제1브릭(102)의 하부면에서 중심부는 평평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제2브릭(104)의 상부면은 상기 제1브릭(102)의 하부면과 대응하여, 중심부는 평평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부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브릭(102)은 배기가스의 흐름양이 많은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은 배기가스의 흐름양이 적은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릭(102)의 단면형태와 상기 제2브릭(104)의 단면형태는 배기가스의 흐름양에 따라서 결정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이 밀착되는 면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배기가스의 흐름양을 기준으로 그 경계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코디어라이트를 압출하는 공정을 통해서 그 단면 형태를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102)의 하부면과 상기 제2브릭(104)의 상부면은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접착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코디어라이트(cordierite)로 만들어지며,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을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재도 코디어라이트 시멘트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에는 각각 촉매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릭(102)에는 고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저귀금속층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브릭(102)에는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많은 것으로, 배기유동이 크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적은 것으로, 배기유동이 적다. 따라서, 상기 제1브릭(102)에는 촉매량이 비교적 많은 고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촉매량이 비교적 적은 저귀금속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브릭(102)에 형성되는 고귀금속층은 그 내부에 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 형성되는 저귀금속층은 그 내부에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많은 부분인 상기 제1브릭(102)에 고금속층이 형성되고, 배기가스의 흐름량이 적은 부분인 상기 제2브릭(104)에 저귀금속층이 형성되고, 배기가스의 정화율이 향상되고, 귀금속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은 그 단면 모양이 서로 비대칭적인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는 배기가스유동이 비슷한 CCC(closed catalytic converter)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 내부에 고귀금속층과 저귀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은 필터 일부를 촉매용액(워시코트)에 담근 후 반대쪽 에서 진공을 형성하여 촉매용액을 흡입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릭(102)에 형성되는 귀금속층과 상기 제2브릭(104)에 형성되는 귀금속층을 서로 다른 촉매성분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브릭(102)에는 제1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상기 제1귀금속층과를 다른 제2귀금속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및 일산화탄소(CO)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대적인 양(%)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제품 중에서, #4의 제품은 탄화수소와 질소산화물의 양에서 약 18% 내지 29%가 저감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촉매유닛의 제조순서를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촉매유닛(100)의 제조순서는, 상기 제1브릭(102)을 압출하는 단계(S500), 상기 제2브릭(104)을 압출하는 단계(S510), 상기 제1브릭(102)에 고귀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S520), 상기 제2브릭(104)에 저귀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S530), 및 상기 제1브릭(102)과 상기 제2브릭(104)을 결합하는 단계(S5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브릭(102)에는 고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는 저귀금속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브릭(102)에 저귀금속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릭(104)에 고귀금속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촉매유닛
102: 제1브릭
104: 제2브릭
106, 108: 배기가스홀

Claims (12)

  1. 배기가스 유로를 따라서 제1귀금속층이 형성되고, 배기가스 흐름이 높은 부분에 배치되는 제1브릭;
    상기 제1브릭의 일측에 장착되고, 배기가스 유로를 따라서 제2귀금속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브릭보다 배기가스의 흐름이 적은 제2브릭; 및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브릭을 상기 제1브릭에 고정하는 접착부; 를 포함하는 촉매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제2브릭은 길이방향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파이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3. 제2항에서,
    상기 제1브릭은 상기 제2브릭의 중심부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4. 제1항에서,
    상기 제1브릭은 상부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브릭은 상기 제1브릭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5. 제1항에서,
    배기가스 유동이 서로 다른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은 그 단면 모양이 서로 비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6. 제1항에서,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이 접합되는 면은 곡선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7. 제1항에서,
    상기 제1브릭, 상기 제2브릭, 및 상기 접착부는 코디어라이트(Cordierite: 2 MgO2Al2O35Si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8. 제1항에서,
    상기 제1브릭, 상기 제2브릭으로 구성되는 촉매유닛은,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 배기가스유로가 형성된 산화촉매 또는 삼원촉매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
  9. 배기가스 유로가 형성된 제1브릭을 압출하는 단계;
    배기가스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브릭에 부착되는 제2브릭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제1브릭에 제1귀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브릭에 제2귀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브릭과 상기 제2브릭을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촉매유닛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2브릭은 길이방향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파이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브릭은 상기 제2브릭의 중심부 상기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제1브릭은 상부 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브릭은 상기 제1브릭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유닛의 제조방법.
KR1020110045173A 2011-05-13 2011-05-13 촉매유닛 KR10126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73A KR101261949B1 (ko) 2011-05-13 2011-05-13 촉매유닛
US13/303,548 US20120288416A1 (en) 2011-05-13 2011-11-23 Catalyst unit
DE102011055924A DE102011055924A1 (de) 2011-05-13 2011-12-01 Katalysator-einheit
CN201110412689.5A CN102777238B (zh) 2011-05-13 2011-12-12 催化剂单元
US14/512,728 US20150031529A1 (en) 2011-05-13 2014-10-13 Catalys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173A KR101261949B1 (ko) 2011-05-13 2011-05-13 촉매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987A true KR20120126987A (ko) 2012-11-21
KR101261949B1 KR101261949B1 (ko) 2013-05-13

Family

ID=4707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173A KR101261949B1 (ko) 2011-05-13 2011-05-13 촉매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20288416A1 (ko)
KR (1) KR101261949B1 (ko)
CN (1) CN102777238B (ko)
DE (1) DE102011055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8476B2 (en) * 2014-09-10 2020-06-23 Cataler Corporation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US20170129962A1 (en) * 2015-10-02 2017-05-11 Hoffmann-La Roche Inc. Multispecific antibodies
US20190302249A1 (en) * 2018-03-29 2019-10-03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drone position deter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1668A (ja) * 1983-12-28 1985-07-26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を接合若しくはコーティングまたは封着するためのセラミック材料組成物
JPS60184920A (ja) * 1984-03-02 1985-09-20 Toyot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用触媒
JPS6197037A (ja) * 1984-10-18 1986-05-15 Toyot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用モノリス触媒
US5108685A (en) * 1990-12-17 1992-04-2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rticle with multi-cellular densities and/or geometries
EP1382442B1 (en) * 1996-01-12 2013-04-24 Ibiden Co., Ltd. A filter for purifying exhaust gas
JP2002233736A (ja) * 2001-02-08 2002-08-20 Mazda Motor Corp 排気ガス浄化用触媒装置
JP4511071B2 (ja) * 2001-03-29 2010-07-28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アッセンブリ
EP1415779B1 (en) * 2001-07-13 2009-09-23 Ngk Insulators, Ltd. Honeycomb structural body, honeycomb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ructural body and the filter
EP1312776A3 (en) * 2001-11-16 2004-05-12 Isuzu Motors Limite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DE10327030A1 (de) * 2003-06-16 2005-01-13 Oberland Mangold Gmbh Auffangeinheit für eine Abgasreinigungsvorrichtung
JP4031765B2 (ja) * 2004-03-22 2008-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WO2007023653A1 (ja) * 2005-08-26 2009-02-26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118875A1 (ja) * 2008-03-27 2009-10-01 イビデン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
KR20110045173A (ko) 2009-10-26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순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88416A1 (en) 2012-11-15
CN102777238A (zh) 2012-11-14
DE102011055924A1 (de) 2012-11-15
KR101261949B1 (ko) 2013-05-13
US20150031529A1 (en) 2015-01-29
CN102777238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2884B1 (en) Catalyst for exhaust-gas purification
US9169753B2 (en) Diesel engine and a catalysed filter therefor
CN105983339B (zh) 催化转换器
JP4507901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その排気ガス浄化方法
JP6974145B2 (ja) 自動車用触媒後処理システム
EP2290204B1 (en) Exhaust gas purifier and system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JP6074912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排気ガス浄化方法
US20100205936A1 (en) Exhaust gas-purifying apparatus and exhaust gas-purifying method
US20090217652A1 (en) Exhaust System Comprising Zoned Oxidation Catalyst
US10107162B2 (en) Catalyst subassembly, device comprising same for purifying exhaust gases from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modular system for the sub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assembly
US20120285148A1 (en) Catalyst device
KR20140062899A (ko) 차량의 배기 가스 정화장치
KR101261949B1 (ko) 촉매유닛
KR100716369B1 (ko) 디젤매연촉매여과필터의 제조방법
JP6753179B2 (ja) 酸化触媒、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WO2017150582A1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JP6306428B2 (ja) 排気浄化装置
CN102773015B (zh) 催化剂单元
KR100506780B1 (ko) 자동차용 삼원촉매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JP2008025449A (ja) 排ガス浄化用ハニカム構造体
CN216077276U (zh) 一种摩托车尾气后处理系统
KR100738131B1 (ko) 디젤매연촉매여과필터의 촉매 코팅 방법
KR101382307B1 (ko) 촉매유닛, 촉매유닛의 제조방법, 및 촉매유닛을 구비한 배기가스정화장치
KR20120139419A (ko) 촉매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84107A (ja) 車両の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