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4985A -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4985A
KR20120124985A KR1020110042961A KR20110042961A KR20120124985A KR 20120124985 A KR20120124985 A KR 20120124985A KR 1020110042961 A KR1020110042961 A KR 1020110042961A KR 20110042961 A KR20110042961 A KR 20110042961A KR 20120124985 A KR20120124985 A KR 2012012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housing
construction
longitudinal direction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766B1 (ko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102011004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766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2005/148Railings latticed or ne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비계틀의 길이방향 일측에 걸림 연결되는 복수개의 거치고리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권취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권취축, 길이방향 일단이 권취축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권취가이드홈을 통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길이방향 타단에는 비계틀의 길이방향 타측에 걸림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마련된 안전망, 권취축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에 연결되어, 권취축의 상기 안전망을 풀림시키는 축회전에 대해 안전망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복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권취스프링,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로 안전망에 연결되어, 안전망의 걸림고리가 비계틀에 걸림 연결된 상태에서, 안전망이 권취축에 대해 풀림 또는 권취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은, 권취스프링이 장착된 권취축을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낙하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전망을 권취축에 권취 설치한다. 따라서, 건설공사시 건축물에 설치되는 비계틀의 일측에 상하우징의 거치고리를 걸림시킨 후, 안전망을 권취축에 풀림시켜 걸림고리를 비계틀의 타측에 걸림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바, 설치가 용이하며 이후 해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Structure of safety guard for construction field}
본 발명은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공사시 공구 및 자재의 낙하,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건축물의 비계틀에 설치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설공사나 대형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고소(高所)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사에 사용되는 공구나 자재와 같은 물건들이 아래로 추락하여 행인이나 작업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한 추락으로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높이 상에 의무적으로 안전망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안전망은 건축 구조물에 설치된 비계틀 상으로 철사나 플라스틱 재질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안전망을 건축 구조물의 비계틀에 설치 또는 해체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작업이 번거로워 안전사고를 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설공사시 건축 구조물에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비계틀에 연결 설치되어, 공구나 자재의 낙하, 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비계틀의 길이방향 일측에 걸림 연결되는 복수개의 거치고리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권취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권취축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권취축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권취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비계틀의 길이방향 타측에 걸림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마련된 안전망과, 상기 권취축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축의 상기 안전망을 풀림시키는 축회전에 대해 상기 안전망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복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권취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안전망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망의 걸림고리가 상기 비계틀에 걸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망이 상기 권취축에 대해 풀림 또는 권취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대향되는 각 테두리에는 고정체결부가 마련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비계틀의 폭방향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걸림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비계틀에 연결 지지되게 하는 보조지지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대향되는 테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걸림체결링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유지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단부가 상기 걸림체결링에 연결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상기 안전망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각각 위치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의 단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안전망의 위치조절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추락하는 대상이 상기 하우징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질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은, 권취스프링이 장착된 권취축을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낙하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안전망을 권취축에 권취 설치한다. 따라서, 건설공사시 건축물에 설치되는 비계틀의 일측에 상하우징의 거치고리를 걸림시킨 후, 안전망을 권취축에 풀림시켜 걸림고리를 비계틀의 타측에 걸림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바, 설치가 용이하며 이후 해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거치고리 및 걸림고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보조지지와이어의 체결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고정유지부재의 체결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은, 하우징(100), 권취축(200), 안전망(300), 권취스프링(400), 고정유지부재(500)를 구비한 상태로 건축물의 비계틀(10)에 연결 설치되어, 공구 및 자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계틀(10)은 내측에 상기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을 걸림 연결상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이후 설명될 상기 권취축(200)에 상기 안전망(300)을 권취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제공하는 박스 형상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비계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걸림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거치고리(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고리(110)의 단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고리(110)를 상기 비계틀(10)의 폭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공(140)이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위치조절공(14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고리(110)의 일단에는 상기 비계틀(10)에 걸림되도록 후크부(11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위치조절공(140)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연결되도록 걸림돌기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상기 비계틀(10)의 폭방향으로 권취가이드홈(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권취가이드홈(120)을 통해 이후 설명될 상기 안전망(300)이 상기 권취축(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110) 내외로 인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유지부재(500)의 단부를 연결상태로 걸림체결할 수 있도록 걸림체결링(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체결링(130)은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를 통한 안전망(300)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권취가이드홈(1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10)에는 추락하는 대상이 작업자일 경우, 상기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10)에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15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하우징(110) 외측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추락하는 대상과 충돌하는 상면만을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50)는 추락하는 대상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부재(150)로는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또는 스티로폴과 같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권취축(200)을 용이하게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부재(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권취축(200)은 이후 설명될 상기 안전망(300)을 권취하는 봉 형상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권취축(2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베어링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축(20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권취축(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안전망(300)이 권취 또는 권취된 상태에서 풀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축(20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권취스프링(400)을 삽입 배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부(도면미도시)가 마련된 관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전망(300)은 공구나 자재 또는 작업자의 낙하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망사형 선형체이다. 이러한,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권취축(200)에 연결 결합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권취가이드홈(12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인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비계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걸림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걸림고리(310)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도 3에서와 같이 여기서,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고리(310)를 타단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310)가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공(350)이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에 상기 위치조절공(35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310)의 일단에는 상기 비계틀(10)에 걸림되도록 후크부(31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안전망(300)의 위치조절공(350)에 삽입상태로 걸림 연결되도록 걸림돌기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대향되는 테두리에는 길이방향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3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홀(340)은 이후 설명될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를 통해 일정한 길이로 풀림된 상기 안전망(300)을 그 위치에서 더 이상 풀림 또는 권취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걸림체결링(130)과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고정홀(350)을 통해 상기 고정유지부재(500)가 상기 안전망(300)을 상기 하우징(100)에 걸림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대향되는 단부에는 고정체결부(320)와 더불어, 상기 고정체결부(320)에 인접하게 보조지지와이어(3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체결부(320)와 상기 보조지지와이어(330)를 통해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양단을 상기 비계틀(10)에 걸림 연결시켜, 상기 안전망(300)을 좀 더 안정적인 장력을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체결부(320)는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대향되는 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와이어(3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고정체결부(320)에 인접하게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대향되는 단부에 각각 연결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지지와이어(330)를 상기 비계틀(10)의 폭방향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걸림되게 한 후, 상기 보조지지와이어(330)의 길이방향 타단을 상기 고정체결부(32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비계틀(10)에 연결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권취스프링(400)은 상기 권취축(200)에서 상기 안전망(300)을 풀림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권취축(200)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권취스프링(400)은 상기 권취축(200)의 상기 안전망(300)을 풀림시키는 축회전에 대해 상기 안전망(300)을 다시 상기 권취축(200)에 권취시키는 방향, 즉 복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권취스프링(400)은 코일 스프링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취축(200)에 설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스프링(400)은 상기 권취축(200) 내측, 즉 상기 권취축(200)의 삽입공간부에 삽입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권취축(200)의 단부에 외삽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을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연결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는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에 마련된 상기 걸림고리(310)를 상기 비계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걸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전망(300)이 상기 권취축(200)에서 더 이상 풀림 또는 권취되지 않도록 고정유지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는 상기 안전망(300)에 공구나 자재 또는 작업자가 낙하시, 상기 안전망(300)이 상기 권취축(200)에서 풀림되지 않도록 하여 공구나 자재 또는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는 핀 또는 와이어와 같은 선재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안전망(300)의 고정홀(340)에 걸림 연결된다. 즉, 상기 고정유지부재(5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안전망(300)의 고정홀(340)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걸림체결링(130) 상에 체결되면서, 상기 안전망(300)을 상기 하우징(10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거치고리(110)의 후크부(111)를 상기 비계틀(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걸림 연결시킨다.
이후,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을 당겨서, 상기 안전망(300)이 상기 권취축(200)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림되게 한 후,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에 마련된 상기 걸림고리(310)의 후크부(311)를 상기 비계틀(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걸림 연결시킨다.
이렇게,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및 상기 안전망(300)의 길이방향 타단을 상기 비계틀(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걸림 연결시킨 후에는,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를 통해 상기 안전망(300)이 더 이상 상기 권취축(200)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림되지 않도록 상기 안전망(300)을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고정유지부재(500)를 상기 안전망(30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340)에 삽입 관통되게 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체결링(130)에 걸림 체결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고정유지부재(500)에 의해 상기 안전망(300)이 상기 하우징(100)의 걸림체결링(130)에 걸림되면서, 상기 안전망(300)은 더 이상 풀림 또는 권취되지 않는 고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공구나 자재의 낙하 또는 작업자의 추락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안전망(300)에 마련된 보조지지와이어(330)를 상기 비계틀(10)의 폭방향 대향되는 양측에 걸림시켜, 상기 안전망(300)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비계틀(10)에 연결 지지되게 하여, 상기 안전망(300)에 낙하하는 낙하 대상물에 대한 지지 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은, 상기 권취스프링(400)이 장착된 상기 권취축(200)을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낙하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상기 안전망(300)을 상기 권취축(200)을 권취 설치한다. 따라서, 건설공사시 건축물에 설치되는 상기 비계틀(10)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100)의 거치고리(110)를 걸림시킨 후, 상기 안전망(300)을 상기 권취축(200)에 풀림시켜 상기 걸림고리(310)를 상기 비계틀(10)의 타측에 걸림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는 바, 설치가 용이하며 이후 해체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계틀 100: 하우징
110: 거치고리 120: 권취가이드홈
130: 걸림체결링 140: 위치조절공
150: 커버부재 200: 권취축
300: 안전망 310: 걸림고리
320: 고정체결부 330: 보조지지와이어
340: 고정홀 350: 위치조절공
400: 권취스프링 500: 고정유지부재

Claims (5)

  1. 건축물의 비계틀에 연결 설치되어, 공구나 자재의 낙하, 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비계틀의 길이방향 일측에 걸림 연결되는 복수개의 거치고리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권취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권취축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권취축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권취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며,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비계틀의 길이방향 타측에 걸림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마련된 안전망과;
    상기 권취축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축의 상기 안전망을 풀림시키는 축회전에 대해 상기 안전망을 권취하는 방향으로 복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권취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안전망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망의 걸림고리가 상기 비계틀에 걸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망이 상기 권취축에 대해 풀림 또는 권취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대향되는 각 테두리에는 고정체결부가 마련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각 단부에 각각 연결되며,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비계틀의 폭방향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걸림된 상태로 상기 고정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양단이 상기 비계틀에 연결 지지되게 하는 보조지지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 대향되는 테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걸림체결링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유지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단부가 상기 걸림체결링에 연결 체결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상기 안전망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각각 위치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의 단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안전망의 위치조절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체결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추락하는 대상이 상기 하우징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질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KR1020110042961A 2011-05-06 2011-05-06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KR10125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961A KR101259766B1 (ko) 2011-05-06 2011-05-06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961A KR101259766B1 (ko) 2011-05-06 2011-05-06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85A true KR20120124985A (ko) 2012-11-14
KR101259766B1 KR101259766B1 (ko) 2013-05-07

Family

ID=4751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961A KR101259766B1 (ko) 2011-05-06 2011-05-06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7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4938A (zh) * 2013-03-28 2013-06-12 杨旭彬 一种胶带运输机的安全防护网
CN108360831A (zh) * 2018-04-26 2018-08-03 成都市第七建筑工程公司 钢结构便携式防护盘及其防护体系
CN109457989A (zh) * 2018-12-19 2019-03-12 河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程防护网
CN110397297A (zh) * 2019-07-16 2019-11-01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可开闭式临边洞口水平防护装置
CN111119505A (zh) * 2019-03-26 2020-05-08 广州振中建设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施工安全保障装置
CN112065012A (zh) * 2020-08-31 2020-12-1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医院建筑施工架及其使用方法
CN112282347A (zh) * 2020-11-05 2021-01-29 徐飞 防护脚手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508B1 (ko) 2017-08-18 2017-11-20 박상은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79Y1 (ko) * 2003-07-21 2003-10-04 정석동 창틀용 안전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4938A (zh) * 2013-03-28 2013-06-12 杨旭彬 一种胶带运输机的安全防护网
CN108360831A (zh) * 2018-04-26 2018-08-03 成都市第七建筑工程公司 钢结构便携式防护盘及其防护体系
CN109457989A (zh) * 2018-12-19 2019-03-12 河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工程防护网
CN111119505A (zh) * 2019-03-26 2020-05-08 广州振中建设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施工安全保障装置
CN110397297A (zh) * 2019-07-16 2019-11-01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可开闭式临边洞口水平防护装置
CN112065012A (zh) * 2020-08-31 2020-12-1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医院建筑施工架及其使用方法
CN112282347A (zh) * 2020-11-05 2021-01-29 徐飞 防护脚手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766B1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766B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KR20070114876A (ko) 슬래브 지지장치
US10022572B2 (en) System for assembly of provisional horizontal lifelines
JP5279228B2 (ja) 作業者保護具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JP2015202130A (ja) ローマンシェードの昇降コード用係止具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JP3180696U (ja) 手摺取付金具
JP2016192961A (ja) 動物用恒久柵のコーナーポスト
KR20130052180A (ko) 지지용 와이어 텐션 유지 및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걸고리장치
JP6913336B2 (ja) 避難用はしご装置
JP5872010B1 (ja) 引留め具係脱ツール、引留め具の係止方法及び撤去方法
JP4079061B2 (ja) 吊り足場
KR101193221B1 (ko) 개구부 덮개 및 이의 고정방법
JP6470556B2 (ja) 足場設置具及び足場
JP3212296U (ja) 建築足場の固定構造
KR200423936Y1 (ko) 슬래브 지지장치
JP5797459B2 (ja) ネットをポール間に張設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吊冶具
JP3194158U (ja) ワイヤー式メッシュシートフェンス
KR102317148B1 (ko) 족장 고정장치
JP5639677B2 (ja) 表示装置設置装置
JP6454948B2 (ja) ネット用の取付係止具、該ネット用の取付係止具の設けられた防球用等のネット、及び該ネット用の取付係止具の防球用等のネットへの取り付け方法
JP2008133631A (ja) 隣接足場板間の離間規制用具
JP2006002379A (ja) 日除けシートの張装方法および日除けシート用織編物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