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08B1 -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08B1
KR101799508B1 KR1020170104473A KR20170104473A KR101799508B1 KR 101799508 B1 KR101799508 B1 KR 101799508B1 KR 1020170104473 A KR1020170104473 A KR 1020170104473A KR 20170104473 A KR20170104473 A KR 20170104473A KR 101799508 B1 KR101799508 B1 KR 10179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fixing
fixed
fixed blad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은
Original Assignee
박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은 filed Critical 박상은
Priority to KR102017010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은 소정 길이의 봉체로 된 몸체부(10)와; 탄성을 이용해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착탈고리부(20)와; 고정날개(302)의 절첩이 가능케 하여 분진망을 고정하는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날개(302)를 눌러서 접어주는 슬리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분진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도 가능케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Fixture of building dustne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분진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공사 현장의 경우에, 공사 과정에서 각종 분진 등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다층 건축물의 신축, 철거공사 현장의 경우에는 공사 과정에서 각종 낙하물이 발생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건축 공사 현장 인근에서 거주중인 주민이나 공사 현장 인근을 통행하는 통행인의 안전을 도모하고, 먼지 등에 의한 생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축 공사 현장에는 분진망을 설치하도록 대기환경보전법이나, 비산먼지 발생억제시설에 관한 기준 등에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 등의 신축공사 또는 철거공사 현장에서는 건축물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비계를 이용하여 수직벽을 가설한 후, 상기 수직벽에 분진망을 설치함으로써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낙하물이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외부로 날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다.
분진망 설치 구조와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건물 골조(1)의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 상에 비계 파이프를 가로 세로 일정 간격으로 엮어서 건물 골조(1)의 높이에 대응하는 수직벽을 가설한 후, 건축용 분진망(4)을 수직벽의 세로파이프와 가로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함으로써, 분진망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수직벽을 구성하는 비계파이프에 분진망을 일정 간격으로 단단히 고정해주어야 분진망이 바람에 날리는 것을 방지하여 분진망의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1의 부분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분진망의 일부분을 철사를 이용하여 비계파이프에 엮어서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철사를 이용해 분진망을 비계파이프에 엮어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비계파이프를 타고 올라서서, 수직벽을 구성하는 비계파이프 중 세로파이프(2) 또는 가로파이프(3)를 한 팔과 몸통 사이에 끼워서 팔의 힘을 이용해 몸을 지탱한 후, 상기 파이프를 고정한 팔의 손으로 분진망(4)을 잡아당겨 세로파이프(2) 또는 가로파이프(3)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분진망을 주름지게 잡은 후, 다른 손으로 잡은 철사를 주름진 분진망에 두 번 관통시킨 후, 철사의 양단부를 세로파이프(2) 또는 가로파이프(3)에 엮어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철사를 이용하여 분진망을 비계파이프에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작업시간도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층 건물의 신축공사 또는 철거공사 현장의 경우에, 분진망을 고정하는 수직벽의 높이도 건축물의 높이만큼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번거롭고, 불편하며,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분진망 설치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추락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분진망 설치 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분진망을 철사로 엮어서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분진망을 구멍 크기가 매우 작은 그물 형태의 합성수지망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그물 형태로 된 분진망의 경우 구멍 크기가 작다 하더라도, 먼지 등이 쉽게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분진 발생 시 공사현장 인근 주민이나 통행인 등의 민원이 빈번하여 근래에는 흔히 'PP마대'라고 불리는 폴리프로필렌 원단을 분진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원단으로 된 분진망의 경우, 조직이 조밀하고 질겨서, 먼지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 수명도 긴 반면에, 철사를 관통시키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비계파이프에 폴리프로필렌 원단으로 된 분진망을 엮어서 고정하는데는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분진망 설치 작업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분진망 설치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는데, 그러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 제10-1731484호에는 빔지지대를 통해 건물의 외측에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수직 방향으로 와이어로프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에 다수의 분진망의 양단이 결합되어,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당김수단의 작동에 의해 분진망이 와이어로프를 따라 가이드 이동되면서 건물의 외측에 펼쳐지면서 설치되게 구성한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비계를 이용한 수직벽의 설치 없이 건물골조에 당김수단 및 하부지지빔과 상부지지대를 설치한 후, 건물골조의 외측으로 설치된 와이어로프를 따라 분진망을 건물 외측으로 펼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비계를 이용한 수직벽을 설치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신축공사 현장의 경우에 건축물의 층고가 올라갈 때마다 당김수단을 상층으로 이전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철거공사 현장의 경우에, 건축물의 상부에서 하부로 한 층씩 철거될 때마다 당김수단을 하층으로 이전 설치해야 하는 단점으로 인해, 실제 공사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1484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969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7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분진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케 한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는 소정 길이의 봉체로 된 몸체부(10)와; 중심각의 크기가 180°보다 큰 호의 형태로 되고, 호의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을 이용해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착탈고리부(20)와; 선단부에 첨단부(301)를 형성하고, 말단부에는 고정날개(302)를 형성하되, 상기 말단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날개(302)의 후면 가운데 부분을 연결탄편(303)으로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1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302)의 절첩이 가능케 하여 분진망을 고정하는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부(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탄편(303)이 투입되는 투입홈(401)을 주벽을 따라서 직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투입홈(401)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날개(302)가 삽입되는 날개삽입홈(402)을 주벽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 형성하며, 상기 날개삽입홈(402) 외측에는 상기 고정날개(302)를 눌러서 접어주는 날개가압편(403)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동 가능한 슬리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착탈고리부(20)는, 호의 내측으로 비계파이프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착탈고리부(20)의 외측 단부에 외향으로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된 착탈보조부(20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날개(302)는, 소정 길이의 판상으로 되어 상기 고정부(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하나씩 상기 고정부(30)의 외주면에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날개(302)는, 내측면에 고정날개(302)와 직각으로 걸림돌기(302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30)에서 외향으로 펼쳐지는 고정날개(302)와 분진망 내면 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30)는, 첨단부(301)의 내측 단부에 상기 슬리브(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환상돌부(30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404)를 말단부 외주면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코일스프링(405)을 끼워 상기 착탈고리부(20)와 상기 슬리브(40) 간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10)는, 말단부에 상기 코일스프링(405)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와셔(40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구성으로 된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의 고정부(30)에 형성된 고정날개(302)를 접어서 슬리브(40)의 내측에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30)가 첨단부(301)에 의해 건축용 분진망을 관통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날개(302)를 고정한 슬리브(40)를 착탈고리부(20) 쪽으로 후퇴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날개(302)와 몸체부(10) 간을 연결한 연결탄편(303)의 탄성에 의해 고정날개(302)가 건축용 분진망의 내측에서 펼쳐지는 단계와; 상기 착탈고리부(20)를 비계파이프에 걸어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은 각종 건축 공사 현장의 건축물 외부에 비계로 구축된 수직벽에 폴리프로필렌 원단으로 된 분진망을 설치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분진망을 비계파이프에 묶어야 하는 설치상의 불편함 없이, 첨단부를 가진 고정부로 분진망을 뚫어서 고정한 후, 착탈고리부를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단순한 작업 방식으로 분진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이 간소하기 때문에 작업능률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된 분진망을 해체할 때에도 고정구의 신속하고 간편한 해체를 통해 분진방 해체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고정구를 손상 없이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계를 이용한 분진망 설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진망 고정 과정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 과정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설치방법은 소정 길이의 봉체로 된 몸체부(10)와; 탄성을 이용해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착탈고리부(20)와; 고정날개(302)의 절첩이 가능케 하여 분진망을 고정하는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날개(302)를 눌러서 접어주는 슬리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외부에 설치되는 분진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재사용도 가능케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착탈고리부(20)와 상기 고정부(30)를 연결하면서, 슬리브(40)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리브(40)의 슬라이딩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고리부(20)는 중심각의 크기가 180°보다 큰 호의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호의 직경은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계파이프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며, 상기 호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부(10)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탄성을 이용해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0)를 이용하여 분진망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고리부(20)를 비계파이프에 고정함으로써, 분진망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착탈고리부(20)의 외측 단부에는 외향으로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된 착탈보조부(201)를 더 구비함으로써 착탈고리부(20)의 호 내측으로 비계파이프를 인입할 때, 비계파이프와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비계파이프의 자연스러운 유입을 유도하여 비계파이프에 착탈고리부(20)를 장착하는 것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30)는 흔히 'PP마대'라고 불리는 폴리프로필렌 원단으로 된 분진망을 쉽게 뚫을 수 있도록 선단부에 첨단부(301)를 형성하고, 말단부에는 상기 첨단부(301)가 분진망을 뚫고 들어간 후, 분진망 내측에서 펼쳐서 분진망의 외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날개(302)를 형성한다.
또한, 고정부(30)의 말단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날개(302)의 후면 가운데 부분을 연결탄편(303)으로 연결함으로써, 연결탄편(303)에 의해 고정날개(302)가 탄력적으로 펼쳐짐과 동시에, 고정날개(302)의 탄성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가 고정부(30)의 말단부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때, 상기 고정날개(302)를 고정부(30)의 중심선 쪽으로 누르면, 몸체부(10)의 선단부와 고정부(30)의 말단부 간 이격 거리가 확대되면서 상기 고정날개(302)와 연결탄편(303)이 중심선 쪽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고정날개(302)는, 소정 길이의 판상으로 되어 상기 고정부(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하나씩 상기 고정부(30)의 외주면에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첨단부(301)가 분진망을 뚫고 들어간 후, 고정날개(302)가 펼쳐졌을 때, 한 쌍의 고정날개(302)가 고정부(3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분진망의 내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분진망을 뚫고 들어간 고정부(30)가 분진망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날개(302)는, 내측면에 고정날개(302)와 직각으로 걸림돌기(302a)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30)에서 외향으로 고정날개(302)가 펼쳐진 후, 고정날개(302)의 내측면에 분진망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30)의 이탈을 방지할 때, 상기 걸림돌기(302a)에 의해 고정날개(302)의 내면과 분진망 내면 간의 마찰력이 높아지면서 고정날개(302)에 의한 분진방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0)의 첨단부(301) 내측에는 상기 슬리브(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환상돌부(304)를 더 구비함으로써, 슬리브(40)를 이용해 고정날개(302)를 접을 때, 슬리브(40)가 고정부(30)에서 첨단부(301) 쪽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착탈고리부(20) 및 고정부(30)는 상기와 같이 설치 및 분진망의 고정을 위하여 탄성이 필요하므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작원가 및 내구성, 취급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슬리브(40)는 고정부(30)의 고정날개(302)를 접어서 분진망의 신속하고 간편한 해체가 가능케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탄편(303)이 투입되는 투입홈(401)을 주벽을 따라서 직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투입홈(401)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날개(302)가 삽입되는 날개삽입홈(402)을 주벽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 형성하며, 상기 날개삽입홈(402) 외측에는 상기 고정날개(302)를 눌러서 접어주는 날개가압편(403)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동 가능한 구성한다.
상기 슬리브(40)의 선단부에서 주벽을 따라 직각으로 형성되는 상기 투입홈(401)은 사이 몸체의 선단부와 고정부(30)의 고정날개(302)를 연결하는 연결탄편(303) 및 고정날개(302)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연결탄편(303)과 고정단편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긴 폭을 가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투입홈(401)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도록 슬리브(40)의 주벽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날개삽입홈(402)은 상기 고정날개(302)가 접히면서 날개삽입홈(402) 내측으로 완전 삽입 가능하도록 고정날개(30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날개(302)를 접어주기 위해 상기 날개삽입홈(402) 외측에 형성하는 날개가압편(403)은 고정부(3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날개(302)를 각각 가압하여 접을 수 있도록 고정날개(302)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슬리브(40)는, 고정날개(302)를 접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404)를 슬리브(40)의 말단부 외주면에 더 구비함으로써 장갑을 착용하거나, 비가 오는 날에도 슬리브(40)를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40)의 이동을 통해 고정날개(302)를 접을 때, 고정날개(302)를 지지하는 연결탄편(303)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슬리브(40)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에는, 코일스프링(405)을 끼워 상기 착탈고리부(20)와 상기 슬리브(40) 간에 개재함으로써, 코일스프링(405)의 탄성력이 슬리브(40)를 고정부(30) 쪽으로 가압함에 따라 고정부(30)의 고정날개(302)를 펼친 후, 탄성력이 작용하는 슬리브(40)의 선단부가 고정날개(302)를 지지하는 가압탄편을 고정날개(302) 쪽으로 밀어줌으로써 고정날개(302)가 고정부(30)에서 수직에 가깝게 더 펼쳐지기 때문에 고정날개(302)의 내면이 분진망의 내면에 더 긴밀하게 밀착되어 분진망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케 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405)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말단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05)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와셔(406)를 더 구비함으로써 코일스프링(405)의 탄성력을 상기 슬리브(4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의 설치방법 및 그에 따른 분진망 고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도 3과 같이 소정 길이의 봉체로 된 몸체부(10)와; 탄성을 이용해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착탈고리부(20)와; 고정날개(302)의 절첩이 가능케 하여 분진망을 고정하는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날개(302)를 눌러서 접어주는 슬리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의 고정부(30)에 형성된 고정날개(302)를 접어서 슬리브(40)의 내측에 끼워 고정한다.
슬리브(40)에 의해 고정날개(302)의 접힌 상태로 고정되면, 작업자는 한 손으로 분진망의 일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착탈고리부(20)를 잡은 후, 상기 고정부(30)의 선단에 형성된 첨단부(301)를 한 손으로 잡은 분진망으로 밀어넣어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첨단부(301)를 분진망에 관통시킨다.
이때, 고정날개(302)에 의해 몸체부(10)와 고정날개(302)로 연결되는 고정부(30)는, 상기 고정날개(302)가 슬리브(40)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날개(302)의 유동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몸체부(10)와 고정부(30)가 이격되어 있더라도, 작업자가 착탈고리부(20)를 잡고 고정부(30)의 첨단부(301)를 이용해 분진망을 천공하고자 가하는 힘이 온전히 고정부(30)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첨단부(301)에 의한 분진망의 천공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첨단부(301)에 의해 분진망이 천공되면, 고정부(30)를 분진망 내측으로 최대한 밀어넣은 후,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고정날개(302)를 고정한 슬리브(40)를 착탈고리부(20) 쪽으로 후퇴시키면, 몸체부(10)의 선단부가 고정날개(302) 간을 연결하는 연결탄편(303)의 탄성에 의해 고정날개(302)가 고정부(30)의 외측으로 펼쳐져 고정부(30)가 분진망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날개(302)가 펼쳐지면, 상기 착탈고리부(20)를 비계의 가로파이프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비계에 분진망을 고정하는 과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분진망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설치된 분진망의 해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를 비계와 분진망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착탈고리부(20)는 가로파이프에 장착되어 있고, 고정부(30)에 의해 분진망이 고정된 상태에서 슬리브(4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고정부(30) 쪽으로 밀어주면, 고정부(30)의 고정날개(302)와 연결탄편(303)의 하단부가 슬리브(40)에 형성된 투입홈(401)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홈(401)에 고정날개(302)와 연결탄편(303)의 하단부 삽입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슬리브(40)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슬리브(40)를 착탈고리부(20) 쪽으로 다시 후퇴시키면, 슬리브(4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날개가압편(403)이 고정날개(302)의 하단부 바깥쪽에 위치하면서 고정날개(302)를 하단부에서부터 눌러줌으로써 고정날개(302)와 연결탄편(303)이 접히면서 슬리브(40)의 날개삽입홈(402)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하여 고정날개(302)가 완전히 접히면, 첨부도면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착탈고리부(20)를 가로파이프에서 분리한 후, 착탈고리부(20)를 손으로 잡고 분진망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분진망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고정부(30)의 첨단부(301)에 의해 천공된 분진망의 구멍으로 슬리브(40)를 비롯한 고정부(30)가 배출되면서,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를 손상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진망에서 분리할 수 있게 분진망의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 없이 분진망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는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건물 골조 2: 세로파이프
3: 가로파이프 4: 분진망
10: 몸체부 20: 착탈고리부
201: 착탈보조부 30: 고정부
301: 첨단부 302: 고정날개
302a: 걸림돌기 303: 연결탄편
304: 환상돌부 40: 슬리브
401: 투입홈 402: 날개삽입홈
403: 날개가압편 404: 요철부
405: 코일스프링 406: 지지와셔

Claims (16)

  1. 소정 길이의 봉체로 된 몸체부(10)와;
    중심각의 크기가 180°보다 큰 호의 형태로 되고, 호의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을 이용해 비계파이프에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착탈고리부(20)와;
    선단부에 첨단부(301)를 형성하고, 말단부에는 고정날개(302)를 형성하되, 상기 말단부는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와 상기 고정날개(302)의 후면 가운데 부분을 연결탄편(303)으로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10)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고정날개(302)의 절첩이 가능케 하여 분진망을 고정하는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부(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며,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탄편(303)이 투입되는 투입홈(401)을 주벽을 따라서 직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투입홈(401)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날개(302)가 삽입되는 날개삽입홈(402)을 주벽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연결 형성하며, 상기 날개삽입홈(402) 외측에는 상기 고정날개(302)를 눌러서 접어주는 날개가압편(403)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동 가능한 슬리브(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고리부(20)는, 호의 내측으로 비계파이프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착탈고리부(20)의 외측 단부에 외향으로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된 착탈보조부(20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302)는, 소정 길이의 판상으로 되어 상기 고정부(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하나씩 상기 고정부(30)의 외주면에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302)는, 내측면에 고정날개(302)와 직각으로 걸림돌기(302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30)에서 외향으로 펼쳐지는 고정날개(302)와 분진망 내면 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첨단부(301)의 내측 단부에 상기 슬리브(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환상돌부(30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404)를 말단부 외주면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코일스프링(405)을 끼워 상기 착탈고리부(20)와 상기 슬리브(40) 간에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말단부에 상기 코일스프링(405)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와셔(40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9. 제1항 구성의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의 고정부(30)에 형성된 고정날개(302)를 접어서 슬리브(40)의 내측에 끼워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30)가 첨단부(301)에 의해 건축용 분진망을 관통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날개(302)를 고정한 슬리브(40)를 착탈고리부(20) 쪽으로 후퇴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날개(302)와 몸체부(10) 간을 연결한 연결탄편(303)의 탄성에 의해 고정날개(302)가 건축용 분진망의 내측에서 펼쳐지는 단계와;
    상기 착탈고리부(20)를 비계파이프에 걸어서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고리부(20)는, 착탈고리부(20)의 외측 단부에 외향으로 곡면이 완만하게 형성된 착탈보조부(201)를 더 구비하여 비계파이프의 인입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302)는, 소정 길이의 판상으로 되어, 상기 고정부(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하나씩 상기 고정부(30)의 외주면에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302)는, 소정 길이의 판상으로 되어 상기 고정부(3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하나씩 상기 고정부(30)의 외주면에 대칭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302)는, 내측면에 고정날개(302)와 직각으로 걸림돌기(302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30)에서 외향으로 펼쳐지는 고정날개(302)와 분진망 내면 간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0)는, 첨단부(301)의 내측 단부에 상기 슬리브(4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환상돌부(30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40)는, 상기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때,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요철부(404)를 말단부 외주면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에는, 코일스프링(405)을 끼워 상기 착탈고리부(20)와 상기 슬리브(40) 간에 개재하고, 상기 몸체부(10)의 말단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05)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와셔(40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설치방법.
KR1020170104473A 2017-08-18 2017-08-18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79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473A KR101799508B1 (ko) 2017-08-18 2017-08-18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473A KR101799508B1 (ko) 2017-08-18 2017-08-18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08B1 true KR101799508B1 (ko) 2017-11-20

Family

ID=6080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473A KR101799508B1 (ko) 2017-08-18 2017-08-18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08B1 (ko) 2018-08-08 2019-07-11 주식회사 보건환경산업 분진비산방지용 분진망
KR102251611B1 (ko) * 2020-11-27 2021-05-12 최을호 소방용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사용방법
KR102373354B1 (ko) * 2021-02-03 2022-03-11 (주)대양디앤씨 건축물 철거 공사용 방진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81B1 (ko) 2008-09-19 2010-01-19 허동석 개구부 덮개
KR101193221B1 (ko) 2011-11-23 2012-10-19 허동석 개구부 덮개 및 이의 고정방법
KR101259766B1 (ko) 2011-05-06 2013-05-07 김정현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KR101731484B1 (ko) 2016-11-16 2017-05-11 권창희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81B1 (ko) 2008-09-19 2010-01-19 허동석 개구부 덮개
KR101259766B1 (ko) 2011-05-06 2013-05-07 김정현 건설공사용 안전망 구조물
KR101193221B1 (ko) 2011-11-23 2012-10-19 허동석 개구부 덮개 및 이의 고정방법
KR101731484B1 (ko) 2016-11-16 2017-05-11 권창희 건물의 분진망 설치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08B1 (ko) 2018-08-08 2019-07-11 주식회사 보건환경산업 분진비산방지용 분진망
KR102251611B1 (ko) * 2020-11-27 2021-05-12 최을호 소방용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사용방법
KR102373354B1 (ko) * 2021-02-03 2022-03-11 (주)대양디앤씨 건축물 철거 공사용 방진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08B1 (ko) 건축용 분진망 고정구 및 그 설치방법
KR101776221B1 (ko) 화재 감지기 탈부착 장치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US20080185111A1 (en) Partition apparatus and system
US8074700B1 (en) Dust containment system
KR20140032357A (ko) 리테이너
KR101185396B1 (ko) 고소작업용 사다리 고정장치
KR101784397B1 (ko) 소방감지기 배선박스용 고정구
KR101403561B1 (ko) 맨홀 악취제거용 친환경 흡배기장치
CN208744725U (zh) 一种膨胀螺栓旋紧器
JP2007046382A (ja) 仮設足場用手摺り
KR20130004857U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CN203594220U (zh) 脚手架对接扣件
CN221013313U (zh) 一种新型叩诊锤
CN203361615U (zh) 脚手架连接装置
JP5572357B2 (ja) 移動足場設置用の器具、移動足場設置方法
CN213745772U (zh) 一种电子巡更系统
CN210998422U (zh) 一种装修集成吊顶用套筒扳手
CN205903231U (zh) 一种房间清污装置
KR20200087232A (ko) 막대 장착된 깃발/현수막을 팽팽하게 하기 위한 조정 가능한 브래킷 조립체 및 이것을 형성하는 방법
KR102251772B1 (ko) 고소작업차의 버킷용 절연 패드의 걸이식 보관장치
KR101197185B1 (ko) 가설 발판 고정구
CN215173262U (zh) 一种自走式管道视频检测仪
GB2501764A (en) Spring clip connector
CN213832081U (zh) 飞机内饰板的弹性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