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775A -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 Google Patents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775A
KR20120122775A KR1020110041129A KR20110041129A KR20120122775A KR 20120122775 A KR20120122775 A KR 20120122775A KR 1020110041129 A KR1020110041129 A KR 1020110041129A KR 20110041129 A KR20110041129 A KR 20110041129A KR 20120122775 A KR20120122775 A KR 2012012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ptical jumper
guide
gea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009B1 (ko
Inventor
안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4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00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 B65H75/36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the stored material being coi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100)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어부재(200)로 구성되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광점퍼가 꼬이거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단독으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시 권입 및 권출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Arranging device of optical jumper}
본 발명은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점퍼 포설 작업 시 꼬임 등에 의한 공정상 불량 요인 없이 단독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시에도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는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전화설비 기기와 같은 곳에서는 광섬유를 케이블 형태로 제작하여 지중에 매설하고 있으며, 수가닥 정도의 광섬유가 필요한 곳에서는 광점퍼를 사용하여 각 기기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한편, 광점퍼는 기기와 기기 사이를 연결하기도 하며, 기기와 광케이블 사이를 연결하기도 하여 광통신에 있어서 양단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광점퍼는 보통 황색 또는 노란색의 외피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절연시키고, 상기 외피의 양끝에는 커넥터를 부착하여 통신기기 또는 광케이블에 결합 또는 체결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점퍼 작업 시 권입 및 권출을 위해 정리장치가 사용되었으나, 종래에는 단순하게 광점퍼의 권입 및 권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광점퍼의 상태 또는 길이에 따라 작업도중 이탈되거나 꼬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단독 작업이 불가능하여 2인 1조로 작업에 투입되어 작업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광점퍼 정리 작업을 위한 장치의 무게가 상당하여 휴대 및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발생하는 꼬임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어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광점퍼가 꼬이거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단독으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시 권입 및 권출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게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축소된 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b)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확장된 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기어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기어부재의 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b)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기어부재의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용한 광점퍼 정리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일반적인 코너링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코너링부재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용한 광점퍼 정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외경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기어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기어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용한 광점퍼 정리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일반적인 코너링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코너링부재와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용한 광점퍼 정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0)와, 샤프트(120)와, 핸들(130)과, 가이드(140)와, 받침대(150)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00)와; 좌측기어(211L)와, 우측기어(211R)와, 좌측락커(212L)와, 우측락커(212R)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어부재(200)로 이루어져,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광점퍼가 꼬이거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100)와 연동되는 기어부재(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00)는 얼레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상기 회전부재(100) 외주면에 상기 광점퍼를 감아 회전시키면서 포설 및 정리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100)는 회전체(110)와, 샤프트(120)와, 핸들(130)과, 가이드(140)와, 받침대(150)로 이루어져 기어부재(200)와 연결되도록 한다.
회전체(110)는 양단의 밑면(111)을 파이프(P)로 연결시킨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110) 외주면은 상기 파이프(P)에 의해 밑면(111)을 지지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110)의 외주면이 개구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샤프트(120)는 회전체(110) 중앙에 관통 삽입되어 기어부재(2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양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샤프트(12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은 상기 샤프트(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이 상호 다르게 형성되는 것으로, 좌측과 우측 모두 나사산이 샤프트(120) 끝단을 향해 형성되도록 한다.
핸들(130, 도 1 참조)은 기어부재(200)와 연결된 샤프트(120)의 끝단에 구비된다.
가이드(140)는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핸들(130) 조작에 의한 샤프트(120)의 회전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이때, 가이드(140)는 제1가이드(141)와 제2가이드(142)로 이루어져 샤프트(120) 양측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샤프트(120)와 결합되는 제1가이드(141)와 제2가이드(142)의 내주면에도 상기 샤프트(120)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120) 회전 시 상기 가이드(140)가 샤프트(120)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핸들(130)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12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140)가 벌어지게 되며, 반대로 핸들(130)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12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140)가 모아지게 된다.
받침대(150)는 회전체(110)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140)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핸들(130) 조작에 따른 샤프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140)가 벌어지게 되면 상기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핸들(130) 조작에 따른 샤프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140)가 모아지게 되면 상기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면서 상기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0)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을 상술한 바와 반대로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샤프트(120) 중앙을 향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처럼 상기 샤프트(120)의 나사산이 중앙을 향해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핸들(130)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120)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140)가 모아지게 되어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핸들(130)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12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140)가 벌어지게 되어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100)의 받침에 외측에는 고정홈(151)이 형성되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상기 광점퍼 일부를 상기 고정홈(15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게 하여 작업 도중에 상기 회전부재(100)로부터 광점퍼가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재(200)는 하우징 형상의 몸체부(201)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201) 하단에는 지지부(202)가 형성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작업장 바닥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201) 상단에는 손잡이(203)가 형성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동시킬 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몸체부(201) 일측에는 점퍼가이드(204)가 구비되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상기 광점퍼의 권입 및 권출을 가이드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외에 별도의 장비인 보조링부재(300)가 구비되도록 하여 작업장 저면이 아닌 일정 높이 이상의 상부로 광점퍼를 이동시키는 경우 파이프 또는 덕트에 상기 보조링부재(300)를 고정시켜 상기 보조링부재(300)에 형성된 롤러(310)와 보조가이드(320)를 통해 상기 광점퍼의 장거리 권입 및 권출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회전부재(100)에 형성된 회전체(110) 외측에는 보조핸들(112, 도 1 참조)이 추가로 구비되도록 하여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상기 회전체(110)의 받침대(150)에 상기 광점퍼를 권입 또는 권출 시킬 때 상기 보조핸들(112)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체(110)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1) 내부에 구비되는 기어부재(200)는 좌측기어(211L)와, 우측기어(211R)와, 좌측락커(212L)와, 우측락커(212R)로 이루어져 회전부재(100)의 회전 여부 및 회전 방향을 설정하도록 한다.
좌측기어(211L)는 회전부재(100)의 샤프트(120)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10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우측기어(211R)는 좌측기어(211L)와 평행하게 구비되되, 회전부재(100)의 샤프트(120)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100)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좌측락커(212L)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좌측기어(211L)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회전부재(100)의 좌측 방향 회전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좌측기어(211L)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하 기술하게 될 좌측락커(212L)의 걸이부(213)가 상기 좌측기어(211L)의 기어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좌측기어(211L)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00)의 좌측 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우측락커(212R)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우측기어(211R)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회전부재(100)의 우측 방향 회전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우측기어(211R)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우측락커(212R)의 걸이부(213)가 상기 우측기어(211R)의 기어치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우측기어(211R)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부재(100)의 우측 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락커(212L)와 우측락커(212R)는 좌측기어(211L)와 우측기어(211R)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이부(213)와, 일측은 상기 걸이부(213)와 연결되며 타측은 몸체부(201)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상기 걸이부(213)를 회동시키는 제1돌기(214)와, 일측은 상기 제1돌기(214)와 연결되며 타측은 몸체부(201)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214) 회전 시 일체로 회동하게 되는 제2돌기(2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돌기(214)와 제2돌기(215) 사이에는 스프링(S)이 추가로 장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돌기(214)와 제2돌기(215)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서만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1) 외측에는 힌지 회동 가능한 덮개부(205)가 형성되어 좌측락커(212L), 우측락커(212R) 및 핸들(130)을 커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0)에 삽입된 샤프트(120) 양끝단에는 베어링부재(121)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110)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0)의 회전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회전체(110)와, 샤프트(120)와, 핸들(130)과, 가이드(140)와, 받침대(150)로 이루어져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00)와; 좌측기어(211L)와, 우측기어(211R)와, 좌측락커(212L)와, 우측락커(212R)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어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0)와, 샤프트(120)와, 핸들(130)과, 가이드(140)와, 받침대(150)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핸들(130)을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120)가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140)가 벌어지거나 모아지게 되며, 반대로 핸들(130)을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120)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샤프트(120)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140)가 모아지거나 벌어지게 되어 상기 가이드(140)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대(150)에 의해 상기 샤프트(12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핸들(130)을 회전시켜 받침대(150)가 샤프트(120)와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는 경우 상기 핸들(130)을 일측으로 끝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이 최대한 멀어지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100)의 외경이 최대 17cm까지 확장시키며, 상기 핸들(130)을 타측으로 끝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받침대(150)와 샤프트(120)의 간격이 최대한 가까워지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100)의 외경이 최소 14cm까지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핸들(130) 조작이 아닌 보조핸들(112)을 이용하여 회전부재(1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120)와, 가이드(140)와, 받침대(150) 사이에 발생하게 되는 간격 조절은 발생하지 않고 상기 회전부재(100)가 샤프트(120)로부터 아이들(IDLE) 회전하게 되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받침대(150) 외주면에 광점퍼가 권입 또는 권출 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용하여 광점퍼를 권입 시키는 단계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핸들(13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부재(100)의 외경을 확장시킨 다음 회전체(110) 외주면에 형성된 받침대(150)의 고정홈(151)에 광점퍼를 삽입시킨 후 보조핸들(112)을 통해 상기 회전부재(100)를 회전시킴으로써 광점퍼를 권입 시키게 되며, 상기 광점퍼 권입이 완료되어 회전부재(100)로부터 광점퍼를 분리시킬 때는 상기 핸들(13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부재(100)의 외경을 축소시킨 다음 상기 회전부재(100)로부터 광점퍼를 분리시켜 광점퍼 포설 및 정리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를 이용하여 광점퍼를 권출 시키는 단계를 설명하면 먼저 광점퍼를 회전부재(100)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핸들(13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부재(100)의 외경을 축소시킨 다음 상기 회전부재(100)의 받침대(150)에 광점퍼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13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부재(100)의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광점퍼를 고정시킨 다음 보조핸들(112)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광점퍼를 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100)로부터 광점퍼가 풀리면서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광점퍼를 권출 시키는 경우 회전부재(100)가 좌우측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 작업 도중 광점퍼가 정상적으로 권출 되다가 갑자기 권입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기어부재(200)에 구비된 좌측락커(212L)와 우측락커(212R)를 이용하여 상기 광점퍼 권출 방향에 대해서는 잠금을 설정하지 않고 반대 방향에 대해서만 잠금을 설정하여 광점퍼의 일방향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좌측락커(212L)와 우측락커(212R)는 회전부재(100)의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부재(100) 회전 시 회전 가능하게 설정된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와 락커 사이에 소리가 발생하게 하여 본 발명인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광점퍼 권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소리를 듣고 이상 없이 광점퍼 권출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점퍼 권출 시 상기 광점퍼를 몸체부(201)의 점퍼가이드(204)에 끼워진 상태에서 권출 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 광점퍼가 회전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점퍼 권입 또는 권출 작업 시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외에 별도의 장비인 보조링부재를 통해 작업장 저면이 아닌 일정 높이 이상의 상부로 광점퍼를 이동시키는 경우 파이프 또는 덕트에 상기 보조링부재(300)를 고정시켜 상기 보조링부재(300)에 형성된 롤러(310)와 보조가이드(320), 그리고 본 발명의 점퍼가이드(204)를 통해 상기 광점퍼의 장거리 포설 및 정리 작업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어부재로 구성되어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작업 시 광점퍼가 꼬이거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단독으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광점퍼 포설 및 정리 시 권입 및 권출이 용이하게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회전부재 110 : 회전체
111 : 밑면 112 : 보조핸들
120 : 샤프트 121 : 베어링부재
130 : 핸들 140 : 가이드
150 : 받침대 151 : 고정홈
200 : 기어부재 201 : 몸체부
202 : 지지부 203 : 손잡이
204 : 점퍼가이드 205 : 덮개부
211L: 좌측기어 211R : 우측기어
212L: 좌측락커 212R : 우측락커
213 : 걸이부 214 : 제1돌기
215 : 제2돌기

Claims (12)

  1.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어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의 밑면을 파이프로 연결시키는 회전체와;
    양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기어부재와 연결되는 샤프트와;
    상기 기어부재와 연결된 샤프트의 끝단에 구비되는 핸들과;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에 의한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와;
    상기 회전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외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광점퍼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하우징 형상의 몸체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 하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일측에는 점퍼가이드가 구비되어 광점퍼의 권입 및 권출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외측에는 보조핸들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를 포함하는 회전부재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샤프트와 치합되어 좌측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좌측기어와;
    상기 좌측기어와 평행하게 구비되되, 상기 회전부재의 샤프트와 치합되어 우측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우측기어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좌측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좌측락커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우측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우측락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8.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락커와 우측락커는;
    상기 좌측기어와 우측기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이부와;
    일측은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 시 상기 걸이부를 회동시키는 제1돌기와;
    일측은 상기 제1돌기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몸체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돌기 회전 시 일체로 회동하게 되는 제2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는 스프링이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10.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외측에는 힌지 회동 가능한 덮개부가 형성되어 좌측락커, 우측락커 및 핸들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삽입된 샤프트 양끝단에는 베어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가 상기 샤프트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KR1020110041129A 2011-04-29 2011-04-29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KR10133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29A KR101337009B1 (ko) 2011-04-29 2011-04-29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29A KR101337009B1 (ko) 2011-04-29 2011-04-29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75A true KR20120122775A (ko) 2012-11-07
KR101337009B1 KR101337009B1 (ko) 2013-12-05

Family

ID=4750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129A KR101337009B1 (ko) 2011-04-29 2011-04-29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0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2804A (zh) * 2016-05-30 2016-08-10 河南昊方通信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光缆配盘的技术方案
CN110252850A (zh) * 2019-07-18 2019-09-20 江苏舒尔驰精密金属成形有限公司 一种卷板下料机
WO2023100155A1 (en) * 2021-12-03 2023-06-08 Ppc Broadband Fiber Ltd. Fiber reel and demarcation box assembly with reel controller and/or reversible cov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550B1 (ko) 1997-06-28 1999-12-01 이병석 전선권취장치
KR200284223Y1 (ko) * 1999-06-08 2002-08-03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선 자동 풀기대
KR100473285B1 (ko) * 2003-01-14 2005-03-10 신중현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KR101076946B1 (ko) * 2008-10-08 2011-10-26 주식회사 케이티 케이블 포설 장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2804A (zh) * 2016-05-30 2016-08-10 河南昊方通信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光缆配盘的技术方案
CN105842804B (zh) * 2016-05-30 2019-02-15 深圳市高德信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光缆配盘
CN110252850A (zh) * 2019-07-18 2019-09-20 江苏舒尔驰精密金属成形有限公司 一种卷板下料机
CN110252850B (zh) * 2019-07-18 2024-01-26 江苏舒尔驰精密金属成形有限公司 一种卷板下料机
WO2023100155A1 (en) * 2021-12-03 2023-06-08 Ppc Broadband Fiber Ltd. Fiber reel and demarcation box assembly with reel controller and/or reversible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009B1 (ko)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7319B1 (en) Transformable cable reel
KR101337009B1 (ko)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RU2015145345A (ru)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узел
CN104635309A (zh) 一种储纤装置
CN210393169U (zh) 一种便携式线缆放线支架
KR101024684B1 (ko) 휴대용 전선릴
CN111722335A (zh) 光缆收纳装置
CN105003186A (zh) 一种窗帘绳固定座
KR101522647B1 (ko) 개방형 케이블 행거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CN205555754U (zh) 电力线放线盘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KR102383569B1 (ko) 케이블 권취 장치
JP200821689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巻取器
CN216718778U (zh) 一种快速布放皮线光缆的装置
CN210418810U (zh) 一种折叠移动式卷线装置
CN105084133A (zh) 便携的电缆卷轴或软管卷轴
CN210607941U (zh) 一种手机充电连接器
CN107608044B (zh) 一种光纤理线器
KR101155371B1 (ko) 케이블 수납장치
KR20120131498A (ko) 광케이블 정리 보관함
KR102014767B1 (ko) 마이크 케이블 권취장치
JP3122022U (ja) 光コード収容ケース
CN210109422U (zh) 一种能控制进线的光纤接线盒
JP5137022B2 (ja) 配線又はホース束ね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