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285B1 -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285B1
KR100473285B1 KR10-2003-0002403A KR20030002403A KR100473285B1 KR 100473285 B1 KR100473285 B1 KR 100473285B1 KR 20030002403 A KR20030002403 A KR 20030002403A KR 100473285 B1 KR100473285 B1 KR 100473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bbin
optical cable
win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431A (ko
Inventor
신중현
Original Assignee
신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현 filed Critical 신중현
Priority to KR10-2003-000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2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Abstract

봉형상으로 되는 하측프레임 하방에 케스터를 구비하고 봉형상으로 되는 양측의 측면프레임 각 측면으로 요홈이 상방으로 개방되는 고정블럭이 고정되고, 전면측으로 양측프레임을 횡단되는 2개의 가이드봉이 형설되며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안내하는 안내로울러가 형설되고, 양측프레임 후면측으로 횡간되는 고정바와, 그 고정바 상하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중앙으로 드럼이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고정플레이트가 고정된 고정판을 갖고 개방홈을 다수개 갖는 구획판이 상기 드럼의 어느 한방향으로 편중되어 고정되고, 고정판 일측면으로 고정손잡이와 기어가 동일축상에 축설된 핸들이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각 베어링이 상기의 고정블럭 요홈내에 착탈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권치보빈과,; 상기 권치보빈 일측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기어와 결합 및 이탈되어 상기 권치보빈의 회동을 제어하는 랫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하단부측에 철로레일용 이동구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여,
상기 권치보빈을 구획하여 한측으로는 광케이블을 소량 권치한 후 타측으로 나머지 광케이블을 권치시켜, 훼손된 광케이블의 양단을 이어줄 때 끊어진 일단부와 권치된 상태의 광케이블의 시작단자를 연결하고, 끊어진 타단부와 권치된 상태의 광케이블 끝단자를 상기 권치된 광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다 풀지 않더라도 연결가능하도록 하여, 일반도로의 단선재해 지역은 물론 철도레일상에 위치된 단선재해 지역내의 단선된 광케이블의 그 연결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제공하기 위한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The brightness emergency coil prop moving carrier}
본 발명은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재난이나 재해등이 발생되어 특정지역에 전원 및 통신등이 차단된 상태를 긴급 복구하기 위해 광케이블등을 권치한 권치보빈을 안착한, 케스터가 장착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끊어진 광케이블을 긴급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권치보빈을 구획하여 한측으로는 광케이블을 소량 권치한 후 타측으로 나머지 광케이블을 권치시켜, 훼손된 광케이블의 양단을 이어줄 때 끊어진 일단부와 권치된 상태의 광케이블의 시작단자를 연결하고, 끊어진 타단부와 권치된 상태의 광케이블 끝단자를 상기 권치된 광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다 풀지 않더라도 연결가능하도록 하여, 그 연결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제공하기 위한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하단부측에 철로레일용 이동구를 선택적으로 취부할 수 있도록 하여 단선 재해지역이 철도에서 발생되었을 경우 본원 발명의 응급복구용 이동 캐리어 하부에 부착하여 철도 레일 위에 안착시킨 후 철도레일을 따라 신속하게 편리하게 캐리어를 이동하면서 단선지역의 선로를 신속하고 편리한 응급복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케이블의 응급복구를 위한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장치는 권선장치 프레임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및 그 프레임에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치하기 위한 권치보빈, 권치보빈 측면에 부착되는 접속함 및 기계식 스플라이스 등으로 이루어져, 절단된 두 지점의 광케이블의 일측을 상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로 상기 기계식 스플라이스로 연결하고 권치된 권치보빈을 풀면서 타측의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끝단을 절단된 타지점의 광케이블 일측에 기계식 스플라이스로 연결하여 응급복구하게 된다.
따라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치보빈에 감을 경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일단의 단자는 권치되는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고, 마지막 타단 즉 끝단자는 외부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이 권치된 권선장치를 이용하여 응급복구를 할 경우, 처음 확인되는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단자를 절단된 광케이블과 연결한 후에는 절단된 다른 광케이블과의 거리에 상관없이 권선장치에 권치된 모든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풀러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나머지 단자를 얻어 절단된 측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훼손 거리에 따라 능동적으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필요한 만큼만 푸는 것이 불가능하여 모든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풀게 되므로 긴급을 요하는 복구작업의 작업시간이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것을 극복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권선장치의 권치보빈 외측면에 일부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일정길이 미리 인출하여 권치시켜 클립등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그 인출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치보빈내 적정위치에 매달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외관상 깨끗하지 못하고 권선장치의 운반 과정에서 그 인출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단자가 훼손되거나 파손 및 파열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고가의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유지보수비가 상당히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응급복구가 완료된 후 사용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치보빈에 다시 감을 때 그 감아지는 형태가 고르게 분포되며 감아지기 보다는 파형을 이루며 울퉁불퉁하게 감겨지는 경우가 많아, 사용 후 보관에 따른 문제는 물론 이동과정시 튀어나온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피복이 외부와의 접촉 및 충격등에 의해 벗겨지거나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권선장치의 경우, 권치보빈과 케리어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항상 설치되는데, 그것은 권치보빈을 돌리때 광케이블가 권치보빈을 안착하는 프레임간의 간섭작용을 배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데 절단된 광케이블을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은 후에 타측의 절단된 광케이블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항상 작업자가 무게가 상당한 권선장치를 등에 매거나 혹은 든 상태에서 운반하여야 하였으므로, 그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육체적 압박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권치보빈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와같은 양방향 회전시 어느 일방향으로의 제어가 되지 않아 외부조건에 의해 권치보빈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이 풀리거나 재 감김 현상이 발생되어 광케이블간 연결부위가 탈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철도선로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철도인근의 전력선이 단선되어 단선 재해지역이 발생되었을 경우 일반적인 도로용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권선거치 이동캐리어를 이용하여 응급복구하게 되는데, 지역의 특성상 항상 무게가 상당한 이동캐리어를 작업자의 등에 맨 상태에서 이동하여 복구 작업을 수행 할 수 밖에 없어, 신체의 통증 등에 따른 재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아울러 복구 작업에도 상당한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한 것으로서 그 해결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양단자 즉 권치보빈에 권치되는 시작단자와 권치된 후의 끝단자 모두 권치보빈내에 확인 및 인출이 가능한 상태의 위치에 보관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시작단자가 권치보빈 외부로 위치되는 것을 배제하여 외관상 깨끗함과 고가의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과, 훼손되어 절단된 광케이블의 연결시 상기 시작단자를 절단된 광케이블과 연결한 후, 끝단자를 광케이블의 타단과 연결할 때 권치된 모든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풀지 않고 절단된 거리만큼만 그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응급복구 작업의 신속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권치보빈 전면측에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울러를 구비하여 권치보빈내에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권치시킬 때 균일하게 권치되도록 하여,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인출시 용이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권치보빈의 위치와 권선장치의 케스터 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절단된 일단을 연결한 후 작업자가 권선장치를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운반 이송하며, 권치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풀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신속성 확보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권선거치 이동캐리어와 권치보빈간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성하여, 수리 등의 유지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다섯째, 철도로 전력이 공급되는 전력선이 단선되어 재해지역이 발생되었을 경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케리어 권선거치 이동캐리어 저면부측에 철도레일상으로 구름운동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철도레일용 이동구를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철도상에서도 용이하게 단선재해지역의 응급복구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형상으로 되는 하측프레임(111) 하방에 케스터(112)를 구비하고 봉형상으로 되는 양측의 측면프레임(113) 각 측면으로 요홈(119)이 상방으로 개방되는 고정블럭(118)이 고정되고, 전면측으로 양측프레임(113)을 횡단되는 2개의 가이드봉 (114)이 형설되며 상기 가이드봉(114)을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안내하는 안내로울러(115)가 형설되고, 양측프레임(113) 후면측으로 횡간되는 고정바 (116)와, 그 고정바(116) 상하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손잡이(117)가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중앙으로 드럼(121)이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고정플레이트(122)가 고정된 고정판(123)을 갖고 개방홈(124')을 다수개 갖는 구획판(124)이 상기 드럼(121)의 어느 한방향으로 편중되어 고정되고, 고정판(123) 일측면으로 고정손잡이(125)와 기어(128)가 동일축상에 축설된 핸들(126)이 베어링(127)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각 베어링(127)이 상기의 고정블럭(118) 요홈(119)내에 착탈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권치보빈(120)과,
상기 권치보빈(120) 일측으로 스프링(131)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기어(128)와 결합 및 이탈되어 상기 권치보빈(120)의 회동을 제어하는 랫치(130)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 프레임(110) 하단의 하측프레임 (111) 전방측에 양방으로 철도레일용 바퀴(143)가 연장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철도레일용 이동구(140)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는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하측 및 측면프레임등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안착되는 권치보빈(120)과, 상기 권치보빈(120)의 회전을 제어하는 랫치(13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철도 레일등에 전동차 또는 기차 등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이 단선되었을 경우, 그 재해지역의 응급복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철도레일용 이동구(140)를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철도레일용 이동구(140)를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와이어상의 봉재로 형성되며, 도면에서 보듯이 하부에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하측프레임(111)과, 상기 하측프레임(111)으로부터 양측방으로 아아치 형상의 측면프레임 (113)이 입설 고정된다.
하측프레임(111)의 전후 하방 어느 일측으로는 본 발명인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케스터(112)가 장착된다. 도면에서는 케스터(112)를 후측에만 설치 고정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전후방에 각각 설치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스터(112) 설치 상태는 후술하는 권치보빈(120)의 축방향과 일치되도록 하여 케스터(112)의 구름운동 방향이 권치보빈(1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도록 하므로써, 권치보빈(120)으로부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인출과정에서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100)를 간단하게 잡아 끌면서 이동시키면 자연스럽게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이 인출되며 풀려지도록 하는 것이 작업상 용이하다.
측면프레임(113)은 도 1등에서 보듯이 하측프레임(111) 측면으로부터 아아치 형상으로 입설되는 형상이고, 그 중앙으로 한조의 봉재(113')를 적정간격 이격 입설시킨 후 횡간 고정되는 고정블럭(118)을 고정하여 상방으로 각각 개방되는 거치홈(113")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권치보빈(120)의 안착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블럭(118)은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13)의 봉재(113') 사이를 횡간하며 고정되되, 그 고정블럭(118) 상방으로 요홈(119)을 형성하여, 거치홈(113")으로 안착되는 권치보빈(120)의 베어링(127)이 거치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프레임(110)의 전면측으로 즉 측면프레임(113) 전면을 횡간하는 가이드봉(114)을 고정하여 안내로울러(115a,b)가 자유이송 가능하도록 축설된다.
즉, 가이드봉(114)은 상하로 각각 이격 고정되어지며, 상기 안내로울러 (115a,b)는 도면에서 보듯이 상하의 가이드봉(114)에 각각 축설되되 어느 하나의 안내로울러(115a) 최외측이 타 안내로울러(115b)의 내측에 내합되도록 하므로써(도면에서는 상측의 안내로울러(115a)가 하측의 안내로울러(115b)에 내합되도록 도시하였다), 안내로울러(115a,b)의 이송시 동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와같은 상하 안내로울러(115a,b)의 내합에 의해 그 중앙에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10)이 인출될 수 있는 유동로(115c)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로(115c)를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인출 및 권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안내로울러(115a,b)에 의해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권치시 좌우 이송에 따라 가이드되어 균일한 권치면을 형성하며 권치 가능하고, 인출시에는 부드러우며 신속하게 인출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110)의 후면측 즉 측면프레임(113)의 후면측으로 횡간 고정되는 고정바(116)를 형성하고, 그 고정바(116)측에 직교 입설되는 손잡이(117)를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117)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슬라이딩 인출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손잡이(117)를 잡아당겨 인출 후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100)를 끌 수 있으며, 이동작업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손잡이(117)를 하강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117a는 이와같은 손잡이(117)의 인출 또는 하강시 그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구이다.
미설명부호 A는 접속함이다.
상기 권치보빈(120)은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권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권치보빈(120)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일측방향으로만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 하고,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시작단자와 끝단자가 종래와 달리 권치보빈(120)내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면에서 보듯이 권치보빈(120)을 구획하는 구획판(124)이 드럼(121)의 어느 일방향으로 편중되며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구획판(124)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개방되는 개방홈(124')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권치보빈(120)의 드럼(121)에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권치시킬 때, 구획판(124)에 의해 구획되는 부위 중 편중된 지점의 드럼(121)에 먼저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수회 권치시킨 다음, 상기 구획판(124)의 개방홈(124')으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이동시켜 나머지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권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훼손된 광케이블을 응급 조치하여 본 발명을 이용·복구할 때 절단된 지점에서 먼저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끝단자를 연결 한 후 타측의 절단된 지점까지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100)를 이동시킨 후, 고정판(123)과 구획판(124) 사이에 수회 권치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시작단자를 인출하여 연결함으로써, 절단된 지점의 거리에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전체적 인출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권치보빈(120)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듯이 외곽측으로 고정판(123)을 형성하고 그 고정판(123)을 횡간하는 드럼(121)을 고정하고, 고정판 (123)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손잡이(125)와, 타측으로 권치보빈(120)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126)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손잡이(125)와 핸들(126)에 각각 베어링(127)을 축설하여 상기한 프레임(110)의 고정블럭(118)내 요홈(119)에 안착되어 권치보빈(120)의 회전시 그 마찰력 및 하중등이 분포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123) 외측으로는 고정플레이트(122)를 고정하여 상기한 고정손잡이(125), 핸들(126), 베어링(127)등을 축설하는 통상의 축 등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핸들(126) 내측방으로 동일비로 연동 회동되는 기어(128)를 축설하게 되는데, 상기 기어(128)와 작용되는 랫치(13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권치보빈(120)의 일방향으로만의 회동제어 또는 제어상태를 해제하여 양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와같은 랫치(130)는 도면에서 보듯이 권치보빈(120) 핸들측의 고정블럭(118) 내측방에 고정된 힌지(132)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하되, 탄성력 및 복귀력을 제공하기 위해 랫치(130) 하단으로 스프링(131)이 상기 고정블럭(118) 내측방 적정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랫치(130)를 회동시켜 랫치(130) 단부측이 상기 기어(128)와 맞물리는 상태이면, 권치보빈(120)의 회동은 일방향으로반 회전 가능하게 되고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랫치(130)의 방해에 의해 제어되어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랫치(130)의 제어 상태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권치보빈(120)의 회전방향은 상기 권치보빈(120)에 권치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10)의 인출 방향과 동일하도록 하여, 인출시에는 즉 작업자가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100)를 끌고 전진시에는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인출에 따라 권치보빈(120)이 자연 회동되어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 권치보빈(120)이 반대방향으로의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역방향 회전에 따른 되감김 현상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동차 또는 기차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광케이블이 훼손된 경우 철도레일을 따라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를 단선 재해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 하단의 하측프레임(111) 양측으로 으로 철도레일용 이동구(140)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철도레일용 이동구(140)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프레임 플레이트(141) 양단으로 철도레일용바퀴(143)를 축설한 샤프트(144)가 샤프트수납관(147) 내부에서 연장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샤프트(144)를 연장인출 또는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샤프트수납관(147) 하단으로 조절레버(145)를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144)를 조이거나 조임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146은 고정핀으로서, 상기 조절레버(145)와 더불어 샤프트(144)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양단측의 샤프트수납관(147)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여, 연장되거나 수납된 상태의 철도레일용바퀴(143)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41) 상단 양측으로 체결클램프(142)를 형성하여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 하단 하측프레임(111) 양측과 체결 또는 탈거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한편 프레임플레이트(141) 중앙 저면부측으로 받침대(150)를 좌측 또는 우측방으로 절첩되도록 구성한 후 받침대(150) 저부측으로 절첩 가능한 보조받침대 (151)를 펼쳐 본 발명의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를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첨부한 도면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측방이 개방된 고정편(155)을 고정하고, 고정편(155)에 일단이 고정되되 일정각(예컨데 도면에서 보듯이 90°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받침대(150)를 형성하는바, 받침대(150) 타단은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 하단 하측프레임(111)의 전면측에 취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체결클립(153)을 갖는 체결클램프(152)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클램프(152)의 체결클립(153)을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로부터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클립(153)을 하측프레임(111)의 전면으로부터 해제한 후, 상기 받침대(150)를 회동시켜 프레임플레이트(141) 측면으로 위치시키는데, 이와같은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150)의 지지바(156)가 고정 거치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지지구(154)를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41) 하측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관계등을 설명하면, 먼저 절단되어 훼손된 광케이블의 일지점에 본 발명의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권치보빈(120)에 권치된 상태의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끝단자를 가이드봉(114)을 따라 자유이송되는 상하 안내로울러(115a,b)의 유동로(115c)를 따라 인출 시킨 후 훼손된 광케이블을 연결하고,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를 케스터 (112)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동시켜 타측의 훼손된 광케이블측에 이동한 후, 랫치(13)를 회동시켜 권치보빈(120)과 연동되는 기어(130)와 치합하여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이 풀려지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한 후, 권치보빈(120)의 구획판(124)과 고정판(123) 사이에 수회 권치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시작단자를 인출하여 훼손된 타측의 광케이블과 연결하여 그 복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광케이블의 응급복구가 완료된 후, 정상적으로 광케이블이 연결되면, 상기 랫치(130)를 회동시켜 권치보빈(120)의 회동상태를 자유롭게 해제한 후 역방향으로 권치보빈(120)을 회동시키되 상기 안내로울러(115a,b)의 안내에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의 권선면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권치하여 보관하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철도레일상으로 운행되는 전동차 또는 기차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광케이블이 단선되었을 경우에는, 도면에서 보듯이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 하측프레임(111) 양측으로 철도레일용 이동구(140)의 프레임플레이트(141) 양측 상면에 형성된 체결클램프(142)를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한 후, 철도레일용바퀴(143)를 축설하고 있는 샤프트(144)를 샤프트수납관(147)으로부터 철도레일폭만큼 연장 인출한 후, 조절레버(145)와 고정핀(146) 등을 조여 철도레일용 바퀴(143)를 견고하게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다음, 받침대(150)의 지지바(156)를 지지구(154)로부터 인출하여 고정편(155)을 중심으로 상기 받침대(150)를 90° 회동시켜 프레임플레이트(14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받침대(150) 타단의 체결클램프(152)를 이용하여,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의 하측프레임(111) 전면측과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철도레일용 이동구(140)가 안전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기한 방법에 따라 단선된 지점과 타지점간을 이동하며 권치보빈(120) 으로부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 일단과 타단을 인출하여 단선된 재해지역을 용이하며 신속하게 응급복구 할 수 있다.
철도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응급복구시 상기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를 정지시킬 경우에는, 상기 받침대(150) 하부에 절첩되도록 형성된 보조받침대(151)를 회동시켜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권치보빈내에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시작단자와 끝단자가 모두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권치한 상태에서 상기 권치보빈내에 권치 가능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시작단자를 외부로 빼거나 또는 일정길이를 인출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함에 따른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단자의 훼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며 이동시에도 각 단자가 외부와 걸리적 거리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의 케스터의 구름운동 방향과 권치보빈의 회전운동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무게가 상당한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를 작업자가 신체에 매단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작업자가 간단하게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를 잡아 당겨 이동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이동 작업의 용이함과 작업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랫치 수단에 의해 작업시에는 권치보빈의 역방향 회전을 제어토록 하여,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인출 방향으로만으로 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된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회수 권치시에는 랫치를 해제하여 권치보빈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작업시 외부조건에 의해 권치보빈이 역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그 회전이 불가능하여 안정적이며 안전하게 응급복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인출 또는 권치시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의 전면측에 횡단되어 설치되는 자유 이송이 가능한 안내로울러의 유동로에 상기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이 안내되며 권치 또는 인출되도록 하여, 권치보빈의 드럼에 권선면이 균일하게 형성되며 권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인출시 서로 얽히는 현상없이 부드러우면서도 신속하게 그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의 향상 및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보관상태가 양호하여, 그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사용수명을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권선거치 이동캐리어 하단의 하측프레임에 철도레일상으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철도레일용 이동구를 착탈자재하게 형성하여, 단선지역이 철로에 인접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가 상기 본 발명의 권선거치 이동캐리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단선된 재해지역에서의 복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속하며 안전하게 응급복구 조치가 가능하게 되는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권선보빈이 탈거된 상태의 분리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랫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프레임 전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봉을 따라 자유이송되는 안내로울러의 동작에 의해 권치보빈에 감겨진 응급복구용 광케이블의 인출상태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프레임 후면의 손잡이 인출 및 고정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를 철도 선로에 이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철도레일용 이동구를 부착하여서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채택 사용되는 철도레일용 이동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에 채용되는 철도레일용 이동구의 바퀴부분이 연장 인출되는 것과, 받침대의 회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받침대에 형성되는 보조받침대를 이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철로레일상에 본원 발명을 이용하여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도면이다.
※ 발명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응급복구용 광케이블 100;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110; 프레임 111; 하측프레임 112; 케스터
113; 측면프레임 113'; 봉재 113"; 거치홈
114; 가이드봉 115a,b; 안내로울러 115c; 유동로
116; 고정바 117; 손잡이 117a; 조임구
118; 고정블럭 119; 요홈 120; 권치보빈
121; 드럼 122; 고정플레이트 123; 고정판
124; 구획판 124'; 개방홈 125; 고정손잡이
126; 핸들 127; 베어링 128; 기어
130; 랫치 131; 스프링 132; 힌지
140; 철도레일용 이동구 141; 프레임플레이트 142; 체결클램프
143; 철도레일용 바퀴 144; 샤프트 145; 조절레버
146; 고정핀 147; 샤프트수납관 150; 받침대
151; 보조받침대 152; 체결클램프 153; 체결클립
154; 지지구 155; 고정편 156; 지지바

Claims (2)

  1. 봉형상으로 되는 하측프레임(111) 하방에 케스터(112)를 구비하고 봉형상으로 되는 양측의 측면프레임(113) 각 측면으로 요홈(119)이 상방으로 개방되는 고정블럭(118)이 고정되고, 전면측으로 양측프레임(113)을 횡단되는 2개의 가이드봉 (114)이 형설되며 상기 가이드봉(114)을 따라 응급복구용 광케이블(10)을 안내하는 안내로울러(115)가 형설되고, 양측프레임(113) 후면측으로 횡간되는 고정바 (116)와, 그 고정바(116) 상하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손잡이(117)가 형성되는 프레임(110)과,
    중앙으로 드럼(121)이 형성되고 양측방으로 고정플레이트(122)가 고정된 고정판(123)을 갖고 개방홈(124')을 다수개 갖는 구획판(124)이 상기 드럼(121)의 어느 한방향으로 편중되어 고정되고, 고정판(123) 일측면으로 고정손잡이(125)와 기어(128)가 동일축상에 축설된 핸들(126)이 베어링(127)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각 베어링(127)이 상기의 고정블럭(118) 요홈(119)내에 착탈가능하도록 안착되는 권치보빈(120)과,
    상기 권치보빈(120) 일측으로 스프링(131)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기어(128)와 결합 및 이탈되어 상기 권치보빈(120)의 회동을 제어하는 랫치(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플레이트(141) 양측 상면으로 상기 권선거치 이동캐리어(100)의 하측프레임(111) 양측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클램프(142)를 형성하고, 프레임플레이트 (141) 양측으로 고정된 샤프트수납관(142) 내부로 연장 인출 및 수납되는 샤프트(144) 단부측에 각각 철도레일용바퀴(143)를 축설하고, 상기 샤프트(144)를 고정하기 위한 조절레버(145) 및 고정핀(146)이 각각 상기 샤프트수납관(147)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플레이트(141) 중앙 저면으로 일측방이 개방된 고정편(155)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편(155)에 일단이 고정되어 회동되는 지지바(156) 단부측에 하측프레임(111) 전면측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클립(153) 및 체결클램프(152)로 형성되는 받침대(150)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50) 저면으로 상기 체결클램프(152)를 중심으로 절첩 회동되는 보조받침대(151)를 갖는 철도레일용 이동구(14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KR10-2003-0002403A 2003-01-14 2003-01-14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KR10047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03A KR100473285B1 (ko) 2003-01-14 2003-01-14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03A KR100473285B1 (ko) 2003-01-14 2003-01-14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431A KR20040065431A (ko) 2004-07-22
KR100473285B1 true KR100473285B1 (ko) 2005-03-10

Family

ID=3735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403A KR100473285B1 (ko) 2003-01-14 2003-01-14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84B1 (ko) 2009-09-09 2011-03-25 임이화 휴대용 전선릴
KR20230105921A (ko) * 2022-01-05 2023-07-1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계류로프 릴리즈 후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2906B (zh) * 2010-06-30 2011-10-05 山东英特力光通信开发有限公司 光缆收放综合车的光缆回收方法
KR101685938B1 (ko) * 2010-08-30 2016-12-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KR101337009B1 (ko) * 2011-04-29 2013-12-05 주식회사 케이티 광점퍼 포설 및 정리장치
KR101689707B1 (ko) * 2015-06-19 2017-01-24 (주)우선기업 롤 판재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684B1 (ko) 2009-09-09 2011-03-25 임이화 휴대용 전선릴
KR20230105921A (ko) * 2022-01-05 2023-07-1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계류로프 릴리즈 후크
KR102607371B1 (ko) * 2022-01-05 2023-11-2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계류로프 릴리즈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431A (ko)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ble dispensing and placement
KR101673517B1 (ko) 케이블 권취드럼용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가설방법
KR100473285B1 (ko) 광케이블 응급복구용 권선거치 이동 캐리어
KR101887346B1 (ko) 세장형 물품에 대한 지지 장치
CN113406761A (zh) 一种混凝土水池渗漏检测用光纤铺设装置及铺设方法
US6109699A (en) Tow line equipped remote mining machine and method
CN212687172U (zh) 一种新型电缆放线架
JP2000191242A (ja) 長尺管材の巻き戻し用ドラム装置
CN101972533A (zh) 手车式消防水带回收装置
EP3924289A1 (de) Kran sowie kabeltrommeleinheit hierfür
CN113735006B (zh) 一种一体式可调节闭锁拉线装置
JP2000272728A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交換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3184643A (zh) 一种线缆放线运输一体车
JP2023541019A (ja) 作業ベンチからスラグ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220341888U (zh) 一种电缆提放装置
CN215797706U (zh) 一种激光切管机用补偿线长差的线缆收放装置
KR100982202B1 (ko) 케이블 권치장치
KR200436064Y1 (ko) 케이블 권취드럼용 회전장치
JP3575834B2 (ja) 人工芝など敷物の設置撤去装置
CN216037946U (zh) 一种一体式可调节闭锁拉线装置
CN219874798U (zh) 一种张力可调的电力架线张力机
CN218403172U (zh) 一种电气试验用自动卷线线盘
CN117410887B (zh) 一种电缆敷设系统、速度控制方法及使用方法
CN113086749B (zh) 一种导线展放线盘主轴拆装工装、安装方法、拆卸方法
EP3861607B1 (en) Connection joint for cables for a cable stringing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