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371B1 - 케이블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371B1
KR101155371B1 KR1020120031561A KR20120031561A KR101155371B1 KR 101155371 B1 KR101155371 B1 KR 101155371B1 KR 1020120031561 A KR1020120031561 A KR 1020120031561A KR 20120031561 A KR20120031561 A KR 20120031561A KR 101155371 B1 KR101155371 B1 KR 10115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cover
cover unit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12003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371B1/ko
Priority to PCT/KR2012/004952 priority patent/WO20131473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30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or braking
    • B65H75/305Arrangements to facilitate driving by a portable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 B65H75/36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a casing or container the stored material being co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6Electrician's fish tap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케이블 수납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케이블 수납장치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유닛과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수납장치{CABLE RACK}
본 발명은 케이블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요비선이나 전선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케이블을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인출을 편리하게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비선(Fish Tape, Wire Follow), 전선, 전화선, 통신선, 와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은 보빈에 권취된 상태로 판매 및 유통된다.
또한, 이러한 보빈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포장 조립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포장 조립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케이블을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71101호 (2008. 08. 01. 공개, 발명의 명칭 : 케이블 권취 보빈을 구비한 박스형 보빈 조립체) 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인출을 편리하게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조작유닛과, 상기 수납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2조작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작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작유닛은, 제1회동축; 상기 커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조작부; 및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되는 제1조작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조작유닛과, 상기 수납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2조작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작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조작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둘레에 마련되는 종동기어부; 및 상기 종동기어부에 치합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동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회동안내부와, 상기 회동안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안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공간이 링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수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링 형상의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 덮도록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부;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 덮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방지돌부; 및 상기 방지돌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이탈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유닛은, 파지부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1측부; 상기 제1측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2측부; 및 상기 파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를 연결하는 파지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는 각각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내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부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수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케이블을 간편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유닛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을 수용공간에 간편하게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고, 수용공간에 권취된 케이블을 한꺼번에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수납장치를 간편하게 포장할 수 있고, 포장박스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부를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케이블이 수용공간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이 수용공간에 수납되므로 커버유닛이 회전될 때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수납유닛과 커버유닛 사이로 케이블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분해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에서 인위적으로 케이블을 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케이블(C)은 요비선, 전선, 전화선, 통신선, 와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분해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에서 인위적으로 케이블을 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과, 고정유닛(300)을 포함한다.
수납유닛(100)은 케이블(C)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131)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유닛(100)은 수용공간(131)에 케이블(C)을 인입하거나, 수용공간(131)에서 케이블(C)을 인출하기 위해 수용공간(131)과 연통되는 연통공(133)이 관통 형성된다.
수납유닛(100)은 고정부(110)와, 수납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커버유닛(2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수납부(130)는 수용공간(131)이 링 형상을 이루도록 고정부(110)의 둘레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10)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고정부(110)에 슬릿 또는 개구홀을 함몰 또는 관통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130)의 둘레에는 수용공간(131)과 연통되는 연통공(133)이 관통 형성된다. 연통공(133)을 통해 케이블(C)을 수용공간(131)으로 인입하거나 수용공간(131)에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연통공(133)이 수용공간(131)과 연통되는 연통 방향은 수납부(130)의 둘레에 내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 방향과 평행하도록 한다.
수납유닛(100)은 이탈방지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탈방지부(150)는 링 형상의 수용공간(131)을 일부 덮도록 수납부(130)에 마련된다. 이탈방지부(150)는 수용공간(131)에 수납된 케이블(C)이 수용공간(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탈방지부(150)는 방지돌부(151)와, 이탈홈부를 포함한다.
방지돌부(151)는 수납부(130)에서 수용공간(131)을 일부 덮도록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이탈홈부(153)는 상호 이격되는 방지돌부(151) 사이에 함몰 형성된다.
방지돌부(151)는 상호 마주보도록 4개소에 형성되고, 이탈홈부(153)는 상호 마주보도록 방지돌부(1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방지돌부(151)와 이탈홈부(153)의 형성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돌부(151)와 이탈홈부(153) 중 적어도 이탈홈부(153)는 타원의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31)에 링 형상으로 권취된 케이블(C)을 한꺼번에 수납하거나 수용공간(131)에서 링 형상으로 권취된 케이블(C)을 한꺼번에 인출하는 경우, 권취된 케이블(C)의 수납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다시 말해, 링 형상으로 권취된 케이블(C)을 수용공간(131)에 한꺼번에 수납하는 경우, 케이블(C)을 타원 형상으로 구부려 이탈홈부(153)를 통해 수용공간(131)에 수납할 수 있고, 수용공간(131)에 수납된 케이블(C)은 다시 타원 형상으로 구부려서 이탈홈부(153)를 통해 인출할 수 있다.
수납유닛(100)은 손잡이부(170)를 더 포함한다.
손잡이부(170)는 파지부(177)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도록 수납부(13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손잡이부(170)는 사용자가 수납유닛(100)을 파지하거나 수납유닛(100)을 바닥에 지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70)는 제1측부(171)와, 제2측부(173)와, 파지연결부(175)를 포함한다.
제1측부(171)는 수납부(13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고, 제2측부(173)는 제1측부(171)에서 이격되어 수납부(13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파지연결부(175)는 파지부(177)가 형성되도록 제1측부(171)와 제2측부(173)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측부(171)와 제2측부(173)는 각각 수납부(130)의 둘레에 내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이 따라 본 발명의 케이블 수납장치를 포장하는 경우, 제1측부(171)와 제2측부(173)의 돌출 형상에 의해 사각형의 포장박스(미도시) 모서리 부분에서 손잡이부(170)가 간섭되지 않게 되어 포장을 간편하게 한다.
특히, 제1측부(171)의 돌출 방향과 제2측부(173)의 돌출 방향은 상호 수직으로 교차된다.
이 경우, 제1측부(171)와 제2측부(173)의 돌출 방향을 따라 제1측부(171)와 제2측부(173)가 포장박스(미도시)에 선 접촉 또는 면 접촉하게 되어 포장박스(미도시)에서 본 발명의 케이블 수납장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측부(171)의 돌출 방향과 제2측부(173)의 돌출 방향은 상호 둔각을 이루도록 교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측부(171)의 돌출 방향과 제2측부(173)의 돌출 방향이 상호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손잡이부(170)의 모서리가 가 포장박스(미도시)를 파손하지 않아야 한다.
수납유닛(100)은 안착부(190)를 더 포함한다.
안착부(190)는 수납부(130)의 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안착부(190)는 수납부(130)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에는 제1안착측부와, 제1안착측부에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제2안착측부가 형성된다.
안착부(190)에 형성되는 제1안착측부(191)와 제2안착측부(193)는 각각 수납부(130)의 둘레에 내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안착측부(191)와 제2안착측부(193)가 교차되는 각도에 따라 상술한 손잡이부(170)와 같이 포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버유닛(200)은 케이블(C)의 단부가 고정되고, 수용공간(131)을 폐쇄하도록 수납유닛(100)에 지지된다.
커버유닛(200)은 지지부(210)와, 덮개부(230)를 포함한다.
지지부(210)는 수납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덮개부(230)는 수용공간(131)을 폐쇄하도록 지지부(210)의 둘레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210)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지지부(210)에 슬릿 또는 개구홀을 함몰 또는 관통 형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10)와 덮개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케이블(C)의 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장착부(20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부(201)는 덮개부(230)에 구비된다.
장착부(201)는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고, 케이블(C)의 단부를 고정시켜 커버유닛(200)이 회전될 때, 케이블(C)의 인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지지부(210)와 덮개부(230)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부(201)와 연통되는 투입부(20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입부(203)는 지지부(210)에 구비된다.
투입부(203)는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고, 케이블(C)의 단부를 장착부(201)로 유도하여 케이블(C)의 단부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유닛(300)은 커버유닛(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을 결합 고정시킨다.
고정유닛(300)은 고정축부(310)와,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고정축부(310)는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고, 결합부(330)는 수납유닛(100) 또는 커버유닛(200)을 지지하도록 고정축부(310)의 단부에 마련된다.
이때,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과 고정유닛(300)의 결합 안정성을 위해 고정유닛(300)과 수납유닛(100) 사이 또는 고정유닛(300)과 커버유닛(200) 사이에는 와셔부(350)를 삽입할 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축부(310)는 볼트로 구성되고, 결합부(330)는 너트로 구성된다. 이때, 수납유닛(100)의 고정부(110) 중심에는 고정홀부(111)가 관통 형성되고, 커버유닛(200)의 지지부(210) 중심에는 지지홀부(211)가 관통 형성된다.
그러면, 볼트가 지지홀부(211)와 고정홀부(111)를 통과하고, 볼트의 단부에 너트가 결합되어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트와 커버유닛(200) 사이 및 너트와 수납유닛(100) 사이에는 와셔부(350)가 삽입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유닛(300)이 수납유닛(100) 또는 커버유닛(200)의 중심에 일체로 구비되어 지지홀부(211) 또는 고정홀부(111)에 끼움 결합 또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유닛(300)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고, 커버유닛(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유닛(300)을 통해 수납유닛(100)에 커버유닛(20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유닛(200)의 장착부(201)에 케이블(C)이 고정되고, 커버유닛(200)이 회전됨에 따라 연통공(133)을 통해 케이블(C)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수용공간(131)에 케이블(C)을 수납하거나 수용공간(131)에 수납된 케이블(C)을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조작유닛(400)을 더 포함한다.
조작유닛(400)은 커버유닛(20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조작유닛(400)은 제1조작유닛(500)과 제2조작유닛(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조작유닛(500)은 커버유닛(200)에 마련되어 커버유닛(200)을 회전시킨다.
제1조작유닛(500)은 제1회동축(510)과, 지지조작부(530)와, 제1조작레버(550)를 포함한다.
제1회동축(510)은 제1조작레버(550)의 회전 중심을 이루고, 지지조작부(530)는 커버유닛(200)에 구비되어 제1회동축(510)을 지지하며, 제1조작레버(550)는 제1회동축(5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회동축(510)에 결합된다.
제1조작레버(550)의 일측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제1조작레버(550)의 타측은 제1회동축(510)에 결합된다.
제1조작레버(550)의 타측 단부는 회전 방향을 따라 곡률을 형성하여 호 형상의 단면을 이루게 되어 커버유닛(200)의 바닥으로부터 제1조작레버(550)가 회전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조작레버(550)의 타측 단부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이루게 되어 제2조작레버(650)의 타측 단부가 커버유닛(2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조작레버(550)가 커버유닛(200)의 바닥으로부터 90도 회전될 수 있다.
제2조작유닛(600)은 수납유닛(100)에 마련되어 커버유닛(200)을 회전시킨다.
제2조작유닛(600)은 종동기어부(610)와, 주동기어부(630)를 포함한다.
종동기어부(610)는 커버유닛(200)의 둘레에 마련되고, 주동기어부(630)는 종동기어부(610)에 치합되도록 수납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러면, 주동기어부(630)의 회전에 따라 커버유닛(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조작유닛(600)은 주동기어부(630)를 회전시키는 제2조작레버(650)를 더 포함한다.
제2조작레버(650)는 탈착부(653)와, 연장부(654)와, 레버부(655)를 포함한다.
탈착부(653)는 주동기어부(630)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되고, 연장부(654)는 탈착부(653)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레버부(655)는 연장부(654)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레버부(655)는 연장부(6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조작레버(650)로 주동기어부(630)를 회전시킬 때, 주동기어부(6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레버부(655)와 연장부(654)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조작유닛(400)에서 주동기어부(630)는 수납유닛(1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동기어부(630)의 중심에는 제2회동축(658)이 돌출 형성되고, 수납유닛(100)에는 제2회동축(658)이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조작홀부(659)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조작홀부(659)는 이탈방지부(150)의 방지돌부(151)에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동기어부(630)에 조작홀부(659)가 형성되고, 방지돌부(151)에 제2회동축(65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작유닛(400)에서 제2조작레버(650)는 주동기어부(630)에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조작레버(650)에는 탈착부(653)가 돌출 형성되고, 주동기어부(630)에는 탈착부(653)가 끼움 고정되는 기어연결부(631)가 중심에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탈착부(653)는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고, 주동기어부(630)에는 기어연결부(6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조작레버(650)에는 탈착부(653)가 돌출 형성되고, 탈착부(653)에 제2회동축(658)이 돌출 형성되며, 주동기어부(630)에는 기어연결부(631)가 관통 형성되고, 이탈방지부(150)의 방지돌부(151)에는 조작홀부(659)가 관통 형성된다.
그러면, 제2회동축(658)이 기어연결부(631)를 통과하여 조작홀부(659)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탈착부(653)가 기어연결부(631)에 끼움 고정됨으로써, 제2조작레버(650)를 통해 커버유닛(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안내유닛(700)을 더 포함한다.
안내유닛(700)은 수납유닛(100)에서 회전되는 커버유닛(200)을 지지한다. 안내유닛(700)은 케이블(C)이 수용공간(131)에서 인입 또는 인출될 때, 안내유닛(700)은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 사이로 케이블(C)이 삽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안내유닛(700)은 회동안내부(710)와 회동결합부(730)를 포함한다.
회동안내부(710)는 커버유닛(200)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고, 회동결합부(730)는 회동안내부(710)에 지지되어 회동안내부(710)를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내유닛(700)은 수납유닛(100)의 고정부(110)와 커버유닛(200)의 지지부(210) 둘레에 마련된다. 여기서 회동안내부(710)는 고정부(110)의 둘레에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회동결합부(730)는 지지부(210)의 둘레에 마련된다.
여기서 회동결합부(730)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러면, 회동결합부(730)의 내측면은 회동안내부(710)에 접촉 지지되고, 외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유닛(700)의 경사면은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을 탈부착할 때, 수용공간(131)에 수납된 케이블(C)이 회동결합부(730)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동안내부(710)는 지지부(210)의 둘레에 마련되고, 회동결합부(730)는 고정부(110)의 둘레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는 마찰방지부재(800)를 더 포함한다.
마찰방지부재(800)는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 사이에 구비된다. 마찰방지부재(800)는 수납유닛(100)과 커버유닛(200)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마찰방지부재(800)는 고정유닛(300)이 통과하도록 수납유닛(100) 또는 커버유닛(200)의 중심에 삽입된다. 마찰방지부재(800)는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안내유닛(700)은 수납유닛(100)의 고정부(110)와 커버유닛(200)의 지지부(2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C)은 고정부(110)와 지지부(210) 사이로 끼워지지 않는다.
일예로, 고정부(110)의 둘레와 지지부(210)의 둘레는 상호 접촉되어 커버유닛(200)의 회전에 따라 고정부(110)와 지지부(210)는 상호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수납장치에서 제2조작레버(650)는 전동공구(651)로 구성되어 주동기어부(6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동공구(65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공구(652)를 회전시키는 장치로써,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면, 공구(652)를 주동기어부에 관통 형성되는 기어연결부(631)에 삽입 고정시키고, 전동공구(651)를 동작시킴으로써, 공구(6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케이블(C)을 수용공간(131)에 권취 수납하거나 케이블(C)을 수용공간에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 케이블 100: 수납유닛
110: 고정부 111: 고정홀부
130: 수납부 131: 수용공간
133: 연통공 150: 이탈방지부
151: 방지돌부 153: 이탈홈부
170: 손잡이부 171: 제1측부
173: 제2측부 175: 파지연결부
177: 파지부 190: 안착부
191: 제1안착측부 193: 제2안착측부
200: 커버유닛 201: 장착부
203: 투입부 210: 지지부
211: 지지홀부 230: 덮개부
300: 고정유닛 310: 고정축부
330: 결합부 350: 와셔부
400: 조작유닛 500: 제1조작유닛
510: 제1회동축 530: 지지조작부
550: 제1조작레버 600: 제2조작유닛
610: 종동기어부 630: 주동기어부
631: 기어연결부 650: 제2조작레버
651: 전동공구 652: 공구
653: 탈착부 654: 연장부
655: 레버부 658: 제2회동축
659: 조작홀부

Claims (14)

  1.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조작유닛과, 상기 수납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2조작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작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작유닛은,
    제1회동축;
    상기 커버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동축을 지지하는 지지조작부; 및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동축에 결합되는 제1조작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2.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1조작유닛과, 상기 수납유닛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제2조작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조작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조작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둘레에 마련되는 종동기어부; 및
    상기 종동기어부에 치합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주동기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3. 케이블이 권취되어 수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유닛;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수납유닛에 지지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을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의 회전 경로를 형성하는 회동안내부와, 상기 회동안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회동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안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공간이 링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는 수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링 형상의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 덮도록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부;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수용공간을 일부 덮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방지돌부; 및
    상기 방지돌부 사이에 함몰 형성되는 이탈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은,
    파지부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도록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1측부;
    상기 제1측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제2측부; 및
    상기 파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를 연결하는 파지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부와 상기 제2측부는 각각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내접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수납부가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도록 상기 수납부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수납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구비되는 덮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의 회전에 따른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마찰방지부재;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납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20031561A 2012-03-28 2012-03-28 케이블 수납장치 KR10115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61A KR101155371B1 (ko) 2012-03-28 2012-03-28 케이블 수납장치
PCT/KR2012/004952 WO2013147367A1 (ko) 2012-03-28 2012-06-22 케이블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61A KR101155371B1 (ko) 2012-03-28 2012-03-28 케이블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371B1 true KR101155371B1 (ko) 2012-06-19

Family

ID=46688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561A KR101155371B1 (ko) 2012-03-28 2012-03-28 케이블 수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55371B1 (ko)
WO (1) WO20131473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071B1 (ko) * 2016-03-14 2017-10-26 김성환 케이블 권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9851A1 (de) * 2015-04-08 2016-10-13 Josef Häringer Kabel-/Schlauchtromm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97A (ja) * 1994-05-25 1995-12-05 Nifco Inc コードリール
KR200252789Y1 (ko) * 2001-06-19 2001-11-16 권오대 전선 권취용 릴의 콘센트 커버
JP2002350647A (ja) * 2001-03-16 2002-12-04 Agilent Technol Inc ケーブル収容・展開キャニスター
KR20090007406U (ko) * 2008-01-18 2009-07-22 이헌규 전선 연결 권취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612Y1 (ko) * 2006-07-20 2006-10-16 김영훈 전원 공급형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697A (ja) * 1994-05-25 1995-12-05 Nifco Inc コードリール
JP2002350647A (ja) * 2001-03-16 2002-12-04 Agilent Technol Inc ケーブル収容・展開キャニスター
KR200252789Y1 (ko) * 2001-06-19 2001-11-16 권오대 전선 권취용 릴의 콘센트 커버
KR20090007406U (ko) * 2008-01-18 2009-07-22 이헌규 전선 연결 권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071B1 (ko) * 2016-03-14 2017-10-26 김성환 케이블 권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7367A1 (ko)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212B2 (en) Small hand carried barrel-shaped case for the storage and dispensing of spools of electrical wire
US8720657B2 (en) Rewindable electrical cable extension device
US10566747B2 (en) Telecommunications assembly with patch cord storage
US8238707B2 (en) Locking spool for telecommunications cable and method
US10446978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an adapter box and cable
JP3183178U (ja) ヘッドフォンまたはイヤーフォンの保管装置
US10273115B2 (en) Detachable spring loaded headphone reel and method of use
US20170278597A1 (en) Tape dispensing tool
US20130287359A1 (en) Cable payout cassette with single layer cable storage area
WO2013069480A1 (ja) ケーブル収容装置
KR101155371B1 (ko) 케이블 수납장치
EP1239316A2 (en) Optical fiber storage reel
KR101790071B1 (ko) 케이블 권취장치
KR101592528B1 (ko)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US8184777B1 (en) Buttset test cable reel
KR101680654B1 (ko) 에어호스 수납장치
KR100868123B1 (ko) 권취 보빈
KR100862100B1 (ko) 권취 보빈
WO2021025053A1 (ja) クロージャ
JP2000177934A (ja) コード類の余り部分の収納器
JP2002101484A (ja) イヤホンコードの巻き取り装置
JP5137022B2 (ja) 配線又はホース束ね具
GB2347922A (en) A cable reel
JPS62191382A (ja) コ−ドリ−ル
JP5671411B2 (ja) 線条体繰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