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528B1 -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528B1
KR101592528B1 KR1020150141826A KR20150141826A KR101592528B1 KR 101592528 B1 KR101592528 B1 KR 101592528B1 KR 1020150141826 A KR1020150141826 A KR 1020150141826A KR 20150141826 A KR20150141826 A KR 20150141826A KR 101592528 B1 KR101592528 B1 KR 10159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pper case
side wall
wire portion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엽
Original Assignee
김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엽 filed Critical 김정엽
Priority to KR102015014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댑터에 연결된 제1, 제2 전선부를 수납 장치의 상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권취부와 상부 케이스의 외주에 개별적으로 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길이가 긴 전원 케이블이 꼬이거나 엉켜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전선부의 꼬임이나 엉킴으로 인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STORAGE APPARATUS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댑터에 연결된 제1, 제2 전선부를 수납 장치의 상부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권취부와 상부 케이스의 외주에 개별적으로 감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길이가 긴 전원 케이블이 꼬이거나 엉켜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전선부의 꼬임이나 엉킴으로 인한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고, 전원 케이블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 특히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본체에 내장된 충전식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키나,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 한계로 인해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제품은 일반 상용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케이블이 별도로 함께 제공된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사용 장소가 특정되지 않으므로, 함께 제공되는 전원 케이블은 전선부의 길이를 일반 고정형 전자기기와 다르게 매우 길게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선 전원 케이블을 휴대용 전자기기와 함께 가방 등에 수납하여 휴대 및 보관해야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의 길이가 매우 길어 전선부가 가방 안에서 꼬이거나 엉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전원 케이블을 일일이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가방 안에서 전원 케이블이 꼬이거나 엉킨 상태로 장시간 보관될 경우 이로 인해 전선부가 손상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등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전선부를 정돈하여 휴대 및 보관해야 하나, 단순히 전선부를 접어서 휴대 및 보관하는 경우 전선부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케이블과 같이 길이가 긴 전선부를 쉽게 정돈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는 기술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대표적인 선행기술들로써, 등록특허 제10-0655682호(공고일자 2006.12.08.)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등록실용신안 제20-0337311호(공고일자 2003.12.07.) 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길이가 긴 전선을 롤러 타입으로 감아서 휴대 및 보관함으로써, 전선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어댑터가 구비되지 않고 일반전인 전선으로만 이루어진 케이블을 위한 것으로,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 케이블에 상기 선행기술들을 적용할 수 없다.
노트북을 예로 들면, 함께 제공되는 전원 케이블의 경우, 노트북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해 교류전원인 상용전원을 사용전원인 직류전원으로 전환하는 어댑터가 노트북 본체가 아닌 전원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되므로, 어댑터로 인하여 상기 선행기술들을 통해 전선부를 감아서 휴대 및 보관할 수 없다.
즉, 노트북과 함께 제공되는 일반적인 전원 케이블은 플러그와 연결된 제1 전선부와, 연결단자와 연결된 제2 전선부 및 상기 제1 전선부와 상기 제2 전선부가 연결된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제1, 제2 전선부 사이에 크기가 큰 어댑터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들을 이용해 휴대 및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댑터와 함께 감아서 보관할 전선부가 어댑터를 기준으로 두 가닥으로 이루어진 전원 케이블을 하나의 장치에 수납하여 각 전선부를 개별적으로 감아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관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어댑터와 제1, 제2 전선부로 이루어진 전원 케이블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하부 베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도입하고, 어댑터가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권취부와, 상부 케이스의 외부에 각각 제1, 제2 전선부가 개별적으로 감겨서 수납될 수 있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의 외부에 감기는 제2 전선부가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제2 측벽부에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형 홈에 감긴 제2 전선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부 케이스에서 풀리는 제2 전선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의 나선형 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면서 제2 전선부를 끼워져 고정할 수 있는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의 외주에 감기는 제2 전선부의 연결단자를 상부 케이스에 고정시켜 제2 전선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측벽부에 형성된 끼움공을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는
플러그와 연결된 제1 전선부와, 연결단자와 연결된 제2 전선부 및 상기 제1 전선부와 제2 전선부가 연결된 어댑터로 이루어진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형성된 축부와, 제1 측벽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구비한 하부 베이스; 및
상기 축부에 대응하는 축설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설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축설부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인출공으로 인출입되는 상기 제1 전선부가 감기는 권취부와, 그리고 제2 측벽부에 형성되어 노출되는 제2 전선부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주에 감기도록 하는 통과공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전선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2 측벽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나선형 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전선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2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전선부의 연결단자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는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원 케이블의 어댑터가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고, 하부 베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회전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플러그와 연결된 제1 전선부가 상부 케이스의 권취부에 감기고, 연결단자와 연결된 제2 전선부가 상부 케이스의 제2 측벽부 외주에 감기도록 형성되어, 크기가 큰 어댑터가 내장된 상태에서 두 가닥으로 이루어진 제1, 제2 전선부가 개별적으로 감기면서 수납되어, 전원 케이블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는 상부 케이스의 제2 측벽부 외주에 나선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전선부가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선형 홈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탈착되며 제2 전선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도입하여 제2 전선부가 의도치 않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풀어지는 제2 전선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는 상부 케이스의 제2 측벽부에 제2 전선부의 연결단자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구비하여 제2 측벽부 외주에 제2 전선부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서 상부 케이스의 하부 분체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S)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도 4, 도 6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S)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전원 케이블(C)이란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미도시)에 상용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도 2 및 도 3(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플러그(P1)와 연결단자(P2)가 생략된 제1, 제2 전선부(C1, C2)의 일부만을 도시하였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플러그(P1)를 구비한 제1 전선부(C1)와, 일측단에 연결단자(P2)를 구비한 제2 전선부(C2) 및 상기 제1, 제2 전선부(C1)(C2)의 타측단이 연결된 어댑터(A)로 구성된다.
제1 전선부(C1)의 플러그(P1)는 콘센트에 끼워지고, 제2 전선부(C2)의 연결단자(P2)는 전자기기의 전원포트에 끼워지며, 어댑터(A)는 제1 전선부(C1)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사용전원인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2 전선부(C2)를 통해 전자기기에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원 케이블(C)의 어댑터(A)가 내장되면서, 제1, 제2 전선부(C1)(C2)를 감아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S)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시도인 도 1, 분해 사시도들인 도 2, 도 3, 정면도인 도 4, 상부 케이스(20)의 하부 분체(20B)를 도시한 저면도인 도 5 및 종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부 베이스(10), 상기 하부 베이스(10)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0)로 이루어지며, 상부 케이스(20)에 어댑터(A)가 내장되면서 상부 케이스(20)의 내부에 형성된 권취부(26)와 상부 케이스(20)의 제2 측벽부(22) 외주에 각각 전원 케이블(C)의 제1 전선부(C1)와 제2 전선부(C2)가 개별적으로 감기도록 형성된다.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는 서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S)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우선 하부 베이스(10)는 원형의 제1 바닥부(11)와, 상기 제1 바닥부(11)의 외변을 따라 상부로 돌설된 제1 측벽부(12)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바닥부(11)의 중앙에 축부(13)가 형성되고, 제1 측벽부(12)에 인출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축부(13)는 상부 케이스(20)의 축설부(24)와 축 결합되어,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축부(13)와 축설부(24)는 부재들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축부(13)로써 상부로 돌출된 축벽체(13A)와, 축설부(24)로써 상기 축벽체(13A)가 삽입되는 축공(24A)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출공(14)은 하부 베이스(10)의 제1 측벽부(1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부 케이스(20)의 장착부(25)에 어댑터(A)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의 권취부(26)에 감기는 제1 전선부(C1)는 플러그(P1)가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인출공(14)에 배치되어 제1 전선부(C1)의 당김이나, 상부 케이스(20)(또는 하부 베이스(10))의 회전을 통해 인출입된다.
그리고 상기 축벽체(13A)의 중공부 내주에 형성된 나사공(13a)은, 축벽체(13A)가 축공(2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공(13a) 상부에 결합부재(15)가 결합되어, 결합부재(15)와 축공(24A) 둘레에 형성된 걸림부(24a)의 걸림 결합을 통해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미설명 부호 11a는 공기순환공으로써, 제1 바닥부(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하여 천공된 것으로 후술하는 상부 케이스(20)의 공기순환공(21a, 23a)과 함께 상부 케이스(20)의 장착부(25)로 외기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장착부(25)에 장착된 어댑터(A)가 공랭식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나사공(13a)이 형성된 축벽체(13A)의 중공부는 공기순환공(11a)과 함께 외기의 순환을 통한 냉각 기능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부 케이스(20)는 상기 제1 바닥부(11)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2 바닥부(21)와, 상기 제2 바닥부(21)의 외변을 따라 상부로 돌설된 제2 측벽부(22) 및 상기 제2 측벽부(22)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부(2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 바닥부(21)의 중앙에 상기 축부(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축설부(24)와, 축설부(24) 상부(제2 바닥부(21)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부(25)와, 축설부(24) 하부(제2 바닥부(21)의 하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권취부(26)와, 제2 측벽부(22)에 형성된 통과공(27) 및 상기 제2 측벽부(22)에에 형성된 끼움공(28)을 포함한다.
상기 축설부(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축부(13)를 구성하는 축벽체(13A)에 대응하는 축공(24A)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5)는 전원 케이블(C)의 어댑터(A)가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어댑터(A)의 형태에 대응하는 장착벽체(25A)로 둘러싸여 형성되되, 복수개의 장착벽체(25A)가 소정간격 이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장착벽체(25A)들 사이의 공간(25a)으로 제1 전선부(C1) 또는 제2 전선부(C2)가 통과될 수 있고, 각 장착벽체(25A)들 모두 또는 일부에는 고정홈(25b)이 형성되어 고정홈(25b)으로 제1 전선부(C1) 또는 제2 전선부(C2)가 통과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선부(C1)가 장착벽체(25A)들 사이의 공간(25a)으로 통과되어 후술하는 절개부(26A)와 안내부(26B)에 배치되고, 제2 전선부(C2)가 고정홈(25b)으로 통과되어 통과공(27)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26)는 상기 축공(24A)의 둘레를 따라 제2 바닥부(21)의 하면에서 돌설되는 것으로, 상기 인출공(14)을 통해 인출입되는 제1 전선부(C1)가 감기거나 풀린다.
즉, 제1 전선부(C1)가 풀린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전선부(C1)가 인출공(14)으로 인입되면서 권취부(26)에 감기고,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에 감긴 상태에서 제1 전선부(C1)를 잡아당기면 상부 케이스(2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전선부(C1)가 풀리게 된다.
상기 통과공(27)은 상부 케이스(20)의 제2 측벽부(2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25)에 어댑터(A)가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단자(P2)가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2 전선부(C2)가 통과공(27)에 배치되어, 제2 전선부(C2)를 제2 측벽부(22)의 외주에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러한 통과공(27)은 제2 측벽부(22)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2 전선부(C2)가 감기는 제2 측벽부(22)의 외주는 제2 측벽부(22)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나선형 홈(22A)으로 형성되어 제2 전선부(C2)가 겹치지 않도록 감기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통과공(27)(들)은 나선형 홈(22A)의 최하부 또는 최상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끼움공(28)은 통과공(27)의 반대편(즉, 나선형 홈(22A)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형성되어, 제2 전선부(C2)를 나선형 홈(22A)에 감을 때 일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끼움공(28)은 제2 측벽부(22)의 일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과공(27)과 같이 복수개가 마련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통과공(27)에 대하여 반대편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끼움공(28)은 제2 측벽부(22)의 외주(보다 엄밀하게는 나선형 홈(22A))에 제2 전선부(C2)가 감긴 상태에서 연결단자(P2)를 끼움공(28)에 끼워 제2 전선부(C2)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노출공(27)과, 끼움공(28) 둘레의 내면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제1 전선부(C1)를 풀어서 상부 케이스(20)가 회전할 때 제2 전선부(C2)나 연결단자(P2)가 원심력에 의해서 분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상기 제2 측벽부(22)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착홈(22a)과, 상기 장착홈(22a)에 탈착 가능한 고정부재(2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22a)은 상기 나선형 홈(22A)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측벽부(22)를 따라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9)는 상기 나선형 홈(22A)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홈(29a)을 포함하되, 각 끼움홈(29a)은 제2 전선부(C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나선형 홈(22A)은 제2 전선부(C2)가 수용되어 정렬되면 족하므로 홈의 너비는 제2 전선부(C2)의 전선 두께보다 커도 상관없는데, 제2 전선부(C2)를 나선형 홈(22A)에 감은 상태에서 연결단자(P2)를 상기 끼움공(28)에 끼워 고정하게 되면, 제2 전선부(C2)가 나선형 홈(22A)에서 이탈되어 풀릴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제2 전선부(C2)의 일부만을 푼 상태로 사용 가능할 때에도 나선형 홈(22A)에서 제2 전선부(C2)가 전부 풀릴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29)를 통해 나선형 홈(22A)에 감기는 제2 전선부(C2)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제2 전선부(C2)를 나선형 홈(22A)에 모두 감을 때 고정부재(29)의 끼움홈(29a)에 제2 전선부(C2)를 일부 고정시키면 제2 전선부(C2)의 감김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제2 전선부(C2)의 일부만을 풀어서 사용할 때 고정부재(29)의 끼움홈(29a)에 의하여 제2 전선부(C2)가 풀리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납장치 사용 중 제2 전선부(C2)가 의도치 않게 풀려서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를 이용하면, 전원 케이블(C)의 어댑터(A)가 본체(상부 케이스(20)와 하부 베이스(10)) 내부에 장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의 회전을 통해 제1 전선부(C1)를 권취부(26)에 감아 수납하면서 제2 전선부(C2)를 나선형 홈(22A)에 감은 상태로 연결단자(P2)를 끼움공(28)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긴 전원 케이블(C)의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1a, 23a는 상부 케이스(20)의 제2 바닥부(21)와 덮개부(23)에 각각 형성된 공기순환공들로, 하부 베이스(10)의 공기순환공(11a)과 함께 외기가 상부 케이스(20) 내부, 특히 장착부(25)로 순환하여 어댑터(A)의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제2 바닥부(21)의 외변에서 상기 권취부(26) 내측까지 가로지르도록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26A)와, 상기 절개부(26A)의 반대편 권취부(26)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안내부(26B)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26A)는 장착부(25)의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부(26B)는 상기 절개부(26A)를 통해 권취부(26)를 통과하는 제1 전선부(C1)가 절개부(26A) 반대편으로 빠져나와 권취부(26)의 외주에 감기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절개부(26A)는 제2 바닥부(21)를 기준으로 상부의 장착부(25)와, 하부의 권취부(26)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으로, 장착부(25)에 장착된 어댑터(A)에 연결된 제1 전선부(C1)가 제2 바닥부(21)를 관통하여 권취부(26)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부(26B)는 상기 권취부(26)의 내측과 외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으로, 절개부(26A)로 삽입되어 권취부(26)를 통과하는 제1 전선부(C1)가 절개부(26A)의 반대편으로 빠져나와 권취부(26)의 외주로 안내되어 감기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26A)와 상기 안내부(26B)를 통해 장착부(25)의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의 외주에 감기도록 한 이유는, 제1 전선부(C1)가 제2 바닥부(21)를 관통하여 권취부(26)에 쉽게 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에 감길 때 제1 전선부(C1)의 두께로 인하여 권취부(26)에 감기는 것을 간섭하지 않기 위함이다.
즉, 플러그(P1)가 제1 전선부(C1)의 두께보다 크므로 장착부(25)에 어댑터(A)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1 전선부(C1)를 장착부(25) 하부의 권취부(26)로 안내하기 위해선 플러그(P1)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제1 전선부(C1)가 안정적으로 권취되기 어렵고,
또한 권취부(26) 외측에 제1 전선부(C1)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권취부(26)에 감기는 형태일 경우, 상부의 장착부(25)에서 하부의 권취부(26)의 원주방향으로 꺾이는 부위 때문에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에 고르게 감기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절개부(26A)와 안내부(26B)를 도입하게 되면, 먼저 어댑터(A)를 장착부(25)에 장착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절개부(26A)의 외측 개구부를 통해 제1 전선부(C1)를 삽입하여 권취부(26) 방향으로 배치하기 쉽고, 이 상태에서 제1 전선부(C1)가 꺾이는 부위는 권취부(26) 내측에 형성되어 반대편 안내부(26B)를 통해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 외주에 감기게 되므로 제1 전선부(C1)가 중첩되면서 감기는 것을 간섭하지 않아 제1 전선부(C1)가 보다 용이하게 감겨서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부(26B)는 제1 전선부(C1)의 감김 방향에 상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부(26A)의 내측단에 인접한 안내부(26B)의 내측단에서, 절개부(26A)의 반대편 안내부(26B)의 외측단까지 원호 형상(제1 전선부(C1)가 감기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안내부(26B)에서 빠져나온 제1 전선부(C1)가 권취부(26)에 자연스럽게 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26B)의 내측단에는 돌출턱(26a)이 마련되어 안내부(26B)를 통과하는 제1 전선부(C1)가 돌출턱(26a)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돌출턱(26a)은 제1 전선부(C1)를 감기 위해 상부 케이스(20)를 회전시킬 때 제1 전선부(C1)가 돌출턱(26a)에 걸려서 동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권취부(26) 내측에서 제1 전선부(C1)가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20)는 상기 통과공(27)이 형성된 높이를 기준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 상부 분체(20A)와 하부 분체(20B)로 이루어진다.
즉, 상부 분체(20A)는 장착부(25)의 일부가 형성된 덮개부(23)와 제2 측벽부(22)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분체(20B)는 축설부(24)와 권취부(26)와 장착부(25)의 나머지 일부가 형성된 제2 바닥부(21)와 제2 측벽부(22)의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분체(20A)와 하부 분체(20B)의 조립을 통해 상부 케이스(20)가 완성되며,
상, 하부 분체(20A)(20B)의 제2 측벽부(22)들이 접하는 부위에 통과공(27)이 형성되고 끼움공(28)은 상부 분체(20A) 또는 하부 분체(20B)의 제2 측벽부(22)에서 통과공(27)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도면을 참고하면, 나선형 홈(22A)의 최하부에 형성된 통과공(27)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상부 케이스(20)가 상부 분체(20A) 및 하부 분체(20B)로 나뉘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통과공(27)에 대응하여 끼움공(28)이 상부 분체(20A)의 제2 측벽부(22) 최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상부 케이스(20)를 두 개의 부재로 나누어 서로 조립되도록 하는 이유는, 첫째, 전원 케이블(C)의 어댑터(A)를 상부 케이스(20) 내부의 장착부(25)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고, 둘째, 전원 케이블(C)의 연결단자(P2)를 상부 케이스(20)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부 케이스(20)가 하나의 일체형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덮개부(23)와 제2 측벽부(22) 및 제2 바닥부(21)로 인해 장착부(25)가 폐쇄되어 어댑터(A)를 장착할 수 없으며,
또한 연결단자(P2)에 비해 제2 전선부(C2)의 두께가 작으므로, 어댑터(A)를 장착부(25)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결단자(P2)를 통과공(27)으로 빼내어 노출되도록 조립(통과공(27)을 연결단자(P2)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할 경우 연결단자(P2)가 통과공(27)으로 인입되어 상부 케이스(20) 내부로 들어갈 수 있음.)할 수 없으므로,
상부 케이스(20)를 상, 하부 분체(20A)(20B)로 나누어 어댑터(A) 및 제2 전선부(C2)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1A는 하부 분체(20B)의 제2 바닥부(21) 상부로 돌설되어 상부 분체(20A)의 덮개부(23)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써, 어댑터(A)가 장착되는 장착부(25) 둘레가 제1, 제2 전선부(C1)(C2)의 배치로 인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므로, 이러한 빈 공간을 지지부(21A)를 통해 지지하여 상부 분체(20A)가 외부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베이스(10)의 상대적인 자유 회전을 통해 제1 전선부(C1)가 본체 내부의 권취부(26)에 감기는 형태일 경우,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베이스(10)의 회전을 방지(구속)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수납장치에서 제1 전선부(C1)를 풀어서 사용할 때 상부 케이스(20)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여 제1 전선부(C1)가 과도하게 풀릴 수 있다.
즉, 제2 전선부(C2)는 고정부재(29)에 의하여 제2 측벽부(22)에서 풀리는 것이 방지되나, 제1 전선부(C1)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권취부(26)에 단순하게 감기는 구조이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옮기거나 풀린 제1 전선부(C1)가 잡아당겨지는 등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부 케이스(20)가 풀림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여 제1 전선부(C1)가 불필요하게 많이 풀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케이스(20)와 상기 하부 베이스(10) 사이에서, 탄성 지지되면서 서로 치합되는 한 쌍의 고정판(31A, 31B)을 도입하여 하부 베이스(10) 및 상부 케이스(20)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부 베이스(1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 사이에서 서로 접하도록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의 접면에 서로 치합되는 요철부(31a)를 구비한 제1 고정판(31A) 및 제2 고정판(31B),
상기 하부 베이스(10)의 제1 바닥부(11)와 상기 제1 고정판(31A)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0)의 제2 바닥부(21)와 상기 제2 고정판(31B)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인장방향(늘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제1 스프링(32A) 및 제2 스프링(32B)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프링(32A) - 제1 고정판(31A) - 제2 고정판(31B) - 제2 스프링(32B)]은 하부 베이스(10)의 제1 바닥부(11) 상면과, 상부 케이스(20)의 제2 바닥부(21) 하면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 개재되어 있으며, 각각은 중앙에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베이스(10)의 축부(13)가 중공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판(31A)은 제1 스프링(32A)에 의해 하부 베이스(10) 방향(하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제2 고정판(31B)은 상기 제2 스프링(32B)에 의해 상부 케이스(20) 방향(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제1 전선부(C1)를 필요만큼 풀어서 상부 케이스(2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제2 고정판(31A)(31B)이 제1, 제2 스프링(32A)(32B)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각 요철부(31a)가 서로 치합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1 전선부(C1)를 풀거나 감기도록 상부 케이스(20)가 회전하면,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제1, 제2 스프링(32A)(32B)이 각각 압축되면서 제1, 제2 고정판(31A)(31B)이 동반 회전하게 되며, 상부 케이스(20)의 회전이 멈추면 제1, 제2 고정판(31A)(31B)의 치합에 의해 상부 케이스(20)의 회전 상태가 고정, 유지된다.
이 경우, 하부 베이스(10)와 제1 고정판(31A), 그리고 상부 케이스(20)와 제2 고정판(31B)이 서로 완전 분리되어 있으면, 제1, 제2 고정판(31A)(31B)과 별개로 상부 케이스(20)만이 따로 공회전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베이스(10)와 제1 고정판(31A), 그리고 상부 케이스(20)와 제2 고정판(31B)은 각각 제1, 제2 고정판(31A)(31B)이 승하강 될 수 있는 승강봉(미도시)으로 연결되어, 하부 베이스(10)와 제1 고정판(31A)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20)와 제2 고정판(31B)만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제2 스프링(21A)(32B)은 각각 직경이 다른 복수개가 서로 중첩 배열되어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도면에서는 제1, 제2 스프링(32A)(32B)이 각각 두 개씩 내, 외측에 중첩되어 있는 것을 도시되어 있음.).
이러한 제1, 제2 고정판(31A)(31B) 및 제1, 제2 스프링(32A)(32B)을 도입하면, 제1 전선부(C1)의 감김이나 풀림으로 인해 상부 케이스(20)의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제2 고정판(31A)(31B)의 치합으로 인해 하부 베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가 서로 고정, 유지되어 의도치 않은 외력의 작용으로 제1 전선부(C1)가 불필요하게 풀리거나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전원 케이블 C1 : 제1 전선부 C2 : 제2 전선부
P1 : 플러그 P2 : 연결단자 A : 어댑터
10 : 하부 베이스 11 : 제1 바닥부 12 : 제1 측벽부
13 : 축부 13A : 축벽체 13a : 나사공
14 : 인출공 15 : 결합부재
20 : 상부 케이스 20A : 상부 분체 29B : 하부 분체
21 : 제2 바닥부 22 : 제2 측벽부 22A : 나선형 홈
22a : 장착홈 23 : 덮개부 24 : 축설부
24A : 축공 25 : 장착부 25A : 장착벽체
25a : 공간 25b : 고정홈 26 : 권취부
26A : 절개부 26B : 안내부 26a : 돌출턱
27 : 통과공 28 : 끼움공 29 : 고정부재
29a : 끼움홈 31A, 31B : 고정판 31a : 요철부
32A, 32B : 스프링 11a, 21a, 23a : 공기순환공

Claims (4)

  1. 플러그와 연결된 제1 전선부와, 연결단자와 연결된 제2 전선부 및 상기 제1 전선부와 제2 전선부가 연결된 어댑터로 이루어진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에 있어서,
    원형의 제1 바닥부와, 상기 제1 바닥부의 외변을 따라 상부로 돌설된 제1 측벽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닥부 중앙에 형성된 축부와, 상기 제1 측벽부에 형성된 인출공을 구비한 하부 베이스; 및
    상기 제1 바닥부에 대응하는 원형의 제2 바닥부와, 상기 제2 바닥부의 외변을 따라 상부로 돌설된 제2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바닥부 중앙에 상기 축부에 대응하는 축설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설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축설부 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인출공으로 인출입되는 상기 제1 전선부가 감기는 권취부와, 그리고 상기 제2 측벽부에 형성되어 노출되는 제2 전선부가 상기 제2 측벽부의 외주에 감기도록 하는 통과공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2 측벽부는 상기 제2 전선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나선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2 측벽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나선형 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 전선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을 구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제2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전선부의 연결단자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KR1020150141826A 2015-10-08 2015-10-08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KR101592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826A KR101592528B1 (ko) 2015-10-08 2015-10-08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826A KR101592528B1 (ko) 2015-10-08 2015-10-08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528B1 true KR101592528B1 (ko) 2016-02-26

Family

ID=5544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826A KR101592528B1 (ko) 2015-10-08 2015-10-08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36B1 (ko) * 2021-11-19 2023-03-16 김소현 수납기능을 갖는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199A (ko) * 2002-01-11 2003-07-18 국방과학연구소 신호 케이블 와인딩 장치
KR200384487Y1 (ko) * 2005-03-04 2005-05-16 이용근 전선 권취구
KR20080004732A (ko) * 2006-07-06 2008-01-10 이시철 전선과 일체로 구성된 컴퓨터 주변기기의 통합 배선장치
KR20100111945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아이엔피 이미용 전기기구 수납 및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199A (ko) * 2002-01-11 2003-07-18 국방과학연구소 신호 케이블 와인딩 장치
KR200384487Y1 (ko) * 2005-03-04 2005-05-16 이용근 전선 권취구
KR20080004732A (ko) * 2006-07-06 2008-01-10 이시철 전선과 일체로 구성된 컴퓨터 주변기기의 통합 배선장치
KR20100111945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아이엔피 이미용 전기기구 수납 및 전원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436B1 (ko) * 2021-11-19 2023-03-16 김소현 수납기능을 갖는 컴퓨터 모니터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6029B2 (en) Battery charger with USB connector and cable storage recess
US9187291B2 (en) Cord organiz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668160B2 (en) Cable organizer and electronic appliance with same
US8167633B1 (en) Multifunctional transmission and charging device with a power conversion module
JPH10155244A (ja) バッテリー充電ユニット
US9143180B2 (en) Cell phone charger holder
US10938148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storing and managing an adapter box and cable
JP3202609U (ja) デュアルプルコードリールと組合せた携帯電話端末サポートフレーム
TW201318287A (zh) 插座
KR101521867B1 (ko)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ITRM20130053U1 (it) Dispositivo per la custodia di cuffie o auricolari.
KR101592528B1 (ko) 전원 케이블용 수납장치
KR101425663B1 (ko) 전력손실 표시부가 구비된 휴대용 케이블릴
KR101503697B1 (ko) 다기능 전원 케이블 릴 장치
KR200440626Y1 (ko) 전선 정리 장치
CN213584506U (zh) 插座
KR20100033504A (ko) 케이블 정리기
KR101155371B1 (ko) 케이블 수납장치
JP5546027B2 (ja) 低周波治療器
KR101632669B1 (ko) 모니터에 구비된 스마트폰 충전 장치
KR101555177B1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0391483Y1 (ko) 충전용 커넥터
CN214594685U (zh) 电吹风
KR101477982B1 (ko)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CN215221770U (zh) 便于收纳的适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