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682A - 승용 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682A
KR20120119682A KR1020110037805A KR20110037805A KR20120119682A KR 20120119682 A KR20120119682 A KR 20120119682A KR 1020110037805 A KR1020110037805 A KR 1020110037805A KR 20110037805 A KR20110037805 A KR 20110037805A KR 20120119682 A KR20120119682 A KR 2012011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ump
shaft
driven pulley
rice transplan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석
김종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682A/ko
Publication of KR2012011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승용 이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 이앙기는, 기체 전방의 기체 프레임에 기체의 좌, 우 폭 방향으로 탑재되어 앞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을 형성한 엔진; 엔진 후방의 기체 프레임에 탑재되고 출력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HST; 엔진의 출력축과 HST의 입력축에 각각 설치되어 벨트 또는 체인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종동풀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HST와 대향하는 위치의 종동풀리 측방에 배치되며, 동풀리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과 축 연결되어 동작하는 기어펌프; 및 기체 전방의 앞차축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종동풀리와 기어펌프 사이의 축 연결부분을 지지하면서 상기 기어펌프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승용 이앙기{RIDING 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기동 가능한 기체 후방에 식부장치를 탑재한 구성의 승용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를 탑재한 승용 이앙기에서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로 입력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기어펌프가 구동될 수 있는 구성의 승용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못자리나 육묘상자에서 자란 모를 논에 옮겨 심는 농기구로서, 일반적으로 '이앙기(移秧機)'라 불리우는 모내기 기계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앙기는 주행장치의 형태에 따라 차륜형과 플로트형으로 구분되며, 차륜 형에는 운전자 탑승 가능한 구조를 가진 승용 이앙기를, 플로트 형에는 작업자가 직립 보행하면서 이앙기의 이동을 견인하는 보행 이앙기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앙기 중 차륜 형에 해당하는 승용 이앙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승용 이앙기는 기동 가능한 기체(3) 후방에 이앙을 위한 식부장치(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기체(3)에는 엔진(30)을 비롯해, 주행차륜(32)(34), 운전자 좌석(36), 조향을 위한 휠 타입 조향핸들(38) 등이 장치되며, 식부장치(4)는 모 탑재대(42), 식부기구(44), 식부 대상면을 정지하는 다수의 플로트(46)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 엔진이 탑재된 기체 전방 부에 대한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변속 케이스(50)의 전방에는 그 출력축(30a)이 기체(3) 측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엔진(30)이 탑재되고, 상기 변속 케이스(50)의 일측 방에는 상기 엔진(30)의 출력축(30a)과 일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입력축(60a)을 가진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 6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출력축과 입력축은 벨트 전동장치(35)을 통해 연동된다.
상기 입력축(60a)은 변속 케이스(50) 전방을 경유하여 변속 케이스(50) 타측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을 정도의 좌, 우방 길이를 가져, 변속 케이스(50) 전방을 경유하여 연장된 이 입력축(60a) 단부에는 기어펌프(70)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기어펌프(70)는 그 회전축(도면부호 생략)이 변속 케이스(50)와 상기 입력축(60a)과의 이격거리 만큼 변속 케이스(50) 전방과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변속 케이스(50)의 전방 다른 측부에 부착 고정된다.
그러나 변속 케이스(50)를 사이에 두고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60)와 이격된 위치로 도면의 도시와 같이 기어펌프(70)를 취부하면서 상기 입력축(60a)과 연동되도록 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60a)이 변속 케이스(50) 전방을 가로질러 변속 케이스(50)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을 정도의 축방향 길이를 가져야 하거나, 상기 입력축(60a)을 상기 변속 케이스(50) 측방으로 연장하기 위한 별도의 연장축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승용 이앙기는 장치 구동에 관여하는 다수의 주요부품이 집중된 엔진 룸 대략 중앙부에 기어펌프(70)가 배치됨으로써, 한정된 공간 내에서의 기어펌프(70) 설치 공간 확보에 따른 설계상 어려움이 있으며, 기어펌프 수리 내지는 교체 시 인접한 다른 부품들에 의한 공간적 제약으로 정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 또한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연장축 없이도 기어펌프를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의 입력축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기어펌프가 엔진 주변으로부터 이격된 기체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하여, 기어펌프 수리 내지는 교체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한 정비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자 탑승 가능한 구성의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기체 전방의 기체 프레임에 기체의 좌, 우 폭 방향으로 탑재되어 앞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을 형성한 엔진; 상기 엔진 후방의 기체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출력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HST;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HST의 입력축에 각각 설치되어 벨트 또는 체인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HST와 대향하는 위치의 종동풀리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종동풀리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과 축 연결되어 동작하는 기어펌프; 및 상기 기어펌프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기체 전방의 앞차축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HST 입력축, 종동풀리 회전축 및 기어펌프의 구동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하나의 중심선을 공유하며,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축과 기어펌프의 구동축은 상호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종동풀리로부터 기어펌프 측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 외연에는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구동축과 회전축 사이의 윤활체 유출 방지를 위한 씰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펌프는 구동축 주변으로 일체 형성되는 플랜지를 통해 상기 브래킷에 견고히 결속되어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을 사이로 상기 플랜지에 대향하는 브래킷의 다른 면에는 상기 기어펌프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내설한 회전 지지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용 이앙기에 따르면, 엔진 출력을 전달받는 HST(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의 종동풀리 측방에 이와 연동 가능한 구조로 기어펌프가 취부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연장 축 없이도 기어펌프를 상기 연동풀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 조립성 개선 및 생산단가 절감 또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구동과 관련하여 다수의 부품들이 집중된 엔진 룸 중앙부분으로부터 이격된 기체 측방에 외부로 노출 가능한 형태로 기어펌프가 배치된다. 따라서 기어펌프 수리 내지는 교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을 정도의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정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승용 이앙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승용 이앙기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엔진이 탑재된 기체 전방 측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 이앙기에 있어 엔진 및 주요 구성이 탑재된 상태의 기체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 이앙기에 있어 엔진 및 주요 구성이 탑재된 상태의 기체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본 발명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보여주기 위한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후술될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이하, 'HST'라 한다)」는 밸브조작에 따른 유압펌프의 용량가변에 의해 변속이 수행되는 장치로서, 유압펌프의 용량을 제로에서 최대값까지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전/후진 속도비가 제어되는 구조를 가진 변속장치를 말한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573341호와 제54130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 인 상기 HST(120)는 입력축(120a)을 갖는다. 상기 입력축(120a)에는 엔진(110) 출력축(110a)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종동풀리(144)가 장착되며, 종동풀리(144)와 같은 축 선상에 위치한 기체(1) 바깥 쪽을 향하는 상기 종동풀리(144) 측방에는, 이 종동풀리(144)와 연동 가능하게 기어펌프(130)가 배치된다.
엔진(110)은 그 출력축(110a)이 기체(1)의 앞차축(102)과 평행 배치되는 형태로 기체 전방의 기체 프레임(100)에 탑재된다. 그리고 HST(120)는 상기 엔진(110) 후방으로 이와 일정거리 이격된 기체 프레임(부호 생략)에 탑재된다. 이때 엔진(110)의 출력축(110a)과 상기 HST(120)의 입력축(120a)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HST(120)가 기체 프레임 위에 탑재된다.
엔진(110)의 출력축(110a) 및 HST의 입력축(120a)에는 각각, 구동풀리(142)와 종동풀리(14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142)와 종동풀리(144)는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전동수단에 의해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구동풀리(142)와 종동풀리(144) 중간에는 벨트 또는 체인 전동 시 이완을 보상하는 텐션 풀리(도시 생략)이 설치된다. 따라서 출력축(110a)을 통한 엔진동력은 적당한 텐션을 유지하는 전동수단을 통해 상기 HST(120)로 제공될 수 있다.
기어펌프(130)는 상기 종동풀리(144) 측방으로 이 종동풀리(144)에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기어펌프(130)는 종동풀리(144)를 사이에 두고 상기 HST(120)와 대향하는 위치의 종동풀리(144) 측방에 배치되되, 상기 종동풀리(144)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150)에 축 연결됨으로써 이 종동풀리(144) 회전에 연동될 수 있도록 장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150), 입력축(120a) 및 기어펌프(130)의 구동축(130a)은 동일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하나의 중심선을 공유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50)과 기어펌프(130)의 구동축(130a)은 슬립 가능하면서 축 동력 전달에 적합한 스플라인 방식으로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동풀리(144)를 통해 입력된 엔진동력에 의해 상기한 HST(120)뿐 아니라 기어펌프(130) 역시 동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회전축(150)과 기어펌프(130)의 구동축(130a)이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 스플라인 연결부에 축방향으로 슬립이 발생했을 때 그 축방향 슬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130a)과 회전축(150)이 상호 연결된 스플라인 연결부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축(130a)에는 상기 윤활제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도시 생략)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기어펌프(130)는 전륜 구동을 위한 축을 내설한 앞차축 케이스(102)에 고정되는 브래킷(1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160)은 종동풀리(144)와 기어펌프(130) 사이의 축 연결부분을 지지하면서, 상기 기어펌프(130)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장착면을 제공한다. 이처럼 브래킷(160)은 기어펌프(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주요하게 수행하지만, 상기 회전축(150)에 의한 기어펌프(130)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브래킷(160)에 기어펌프(130)가 장착 고정됨에 있어서는, 기어펌프(130)의 구동축(130a) 주변으로 일체 형성되는 플랜지(170)를 통해 브래킷(160)에 견고히 결속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160)을 사이로 플랜지(170)와 대향하는 브래킷(160)의 다른 면에는, 상기 기어펌프(130)로부터 연장되는 구동축(130a)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베어링(도시 생략)을 내설한 회전 지지구(172)가 장착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80은 차륜조향을 위해 조향력을 발생시키는 조향장치를 가리킨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용 이앙기는, 엔진(110)구동과 함께 엔진 출력축(110a)과 구동풀리(142)가 회전하면, 벨트 또는 체인(도시 생략)을 매개로 출력축(110a)과 구동풀리(142) 회전에 연동하여 종동풀리(144), 입력축(120a) 및 회전축(150)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50)과 스플라인 연결된 구동축(130a)을 갖는 기어펌프(130)가 구동된다.
기어펌프(130)의 구동으로 기체 프레임 일 측방에 배치되는 오일 탱크(도시 생략) 내에 수용된 오일이 작동유로서 취출 됨과 함께, 기어펌프(130)를 경유한 압유는 조향장치(180)에 공급되어 차륜 조향에 관련한 일을 수행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앙작업을 수행하는 식부장치(종래 도 1 참조)로 제공되어, 그 승강과 관련한 일이 수행됨에 있어 에너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입력축(120a)을 가진 상기 HST(120)는, 상기 입력축(120a)과 연동된 플런져 타입 펌프(미도시)의 용량 가변으로, 운전자 변속레버 조작과 연계하여 기체 주행에 적합한 변속을 수행하며, 기체(1)는 이와 같은 HST(120)의 변속동작에 의해 해당 기어 비에 상응하는 속도로 전진하거나 후진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용 이앙기에 따르면, 엔진 출력을 전달받는 HST(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의 종동풀리 측방에 이와 연동 가능한 구조로 기어펌프가 취부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별도의 연장 축 없이도 기어펌프를 상기 연동풀리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 조립성 개선 및 생산단가 절감 또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구동과 관련하여 다수의 부품들이 집중된 엔진 룸 중앙부분으로부터 이격된 기체 측방에 외부로 노출 가능한 형태로 기어펌프가 배치된다. 따라서 기어펌프 수리 내지는 교체 작업이 용이할 수 있을 정도의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정비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승용 이앙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엔진 110a...출력축
120...HST(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 120a...입력축
130...기어펌프 142...구동풀리
144...종동풀리 150...회전축
160...브래킷 170...플랜지
172...회전 지지구 180...조향장치

Claims (3)

  1. 작업자 탑승 가능한 구성의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기체 전방의 기체 프레임에 기체의 좌, 우 폭 방향으로 탑재되어 앞차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출력축을 형성한 엔진;
    상기 엔진 후방의 기체 프레임에 탑재되고 상기 출력축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입력축을 구비하는 HST;
    상기 엔진의 출력축과 HST의 입력축에 각각 설치되어 벨트 또는 체인을 매개로 연동 가능하게 상호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HST와 대향하는 위치의 종동풀리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종동풀리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과 축 연결되는 구동축을 갖는 기어펌프; 및
    상기 기어펌프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장착면을 제공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은 기체 전방의 앞차축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ST 입력축, 종동풀리 회전축 및 기어펌프의 구동축은 동일 선상에 위치함으로써 하나의 중심선을 공유하며,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축과 기어펌프의 구동축은 상호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종동풀리로부터 기어펌프 측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 외연에는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구동축과 회전축 사이의 윤활제 유출방지를 위한 씰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펌프는 구동축 주변의 기어펌프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를 통해 상기 브래킷에 견고히 결속 고정되며,
    상기 브래킷을 사이로 상기 플랜지에 대향하는 브래킷의 다른 면에는 상기 기어펌프로부터 연장된 구동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을 내설한 회전 지지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이앙기.
KR1020110037805A 2011-04-22 2011-04-22 승용 이앙기 KR20120119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05A KR20120119682A (ko) 2011-04-22 2011-04-22 승용 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805A KR20120119682A (ko) 2011-04-22 2011-04-22 승용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682A true KR20120119682A (ko) 2012-10-31

Family

ID=4728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805A KR20120119682A (ko) 2011-04-22 2011-04-22 승용 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6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7050B2 (ja) 水田作業機
JP4750516B2 (ja) 水田作業車
KR100344896B1 (ko) 수전작업기
WO2005073008A1 (ja) トラクタ
JP3776044B2 (ja) 田植機
KR100746542B1 (ko) 승용 수전 작업기
KR20120119682A (ko) 승용 이앙기
JP2000272364A (ja) 水田作業機
JP3497406B2 (ja) 水田作業機
JP3497407B2 (ja) 水田作業機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202153851U (zh) 高速插秧机
JP6647158B2 (ja) 作業機の伝動装置
JP5152968B2 (ja) 走行車両
KR20090082598A (ko) 승용 이앙기의 유압펌프 취부구조
JP6120635B2 (ja) 田植機
JP5150212B2 (ja) 走行車両
JP5984698B2 (ja) 乗用型田植機
CN102282945B (zh) 高速插秧机
JP4296686B2 (ja) 走行車両
JP2019177774A (ja) 作業機
JP2009149169A (ja) 走行車両
JP2019170344A (ja) 作業機
JP5150211B2 (ja) 走行車両
RU2258623C1 (ru) Трансмиссия гусеничной машины
JP2015123015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