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528A - 시추선의 선측 구조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선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528A
KR20120118528A KR1020110035937A KR20110035937A KR20120118528A KR 20120118528 A KR20120118528 A KR 20120118528A KR 1020110035937 A KR1020110035937 A KR 1020110035937A KR 20110035937 A KR20110035937 A KR 20110035937A KR 20120118528 A KR20120118528 A KR 20120118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ixed
drilling
upper deck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준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528A/ko
Publication of KR20120118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2003/147Moon-pools, e.g. for offshore drill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선의 작업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선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시추선과 같이 선체의 중앙부에 문풀(Moon Pool)이 형성되고, 시추작업을 위한 많은 장비들을 상갑판에 설치할 경우, 상갑판에서의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구성한 선측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의 선측 구조는 선체의 선측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갑판의 가장자리에서 선측 밖으로 연장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선측 구조{Side Structure of Drillship}
본 발명은 시추선의 작업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선측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시추선과 같이 선체의 중앙부에 문풀(Moon Pool)이 형성되고, 시추작업을 위한 많은 장비들을 상갑판에 설치할 경우, 상갑판에서의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시추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선(1) 선체의 중앙부에 문풀(Moon Pool)이 형성되고, 상갑판(3)에는 시추작업을 위한 많은 장비들을 설치되어 있어, 상갑판(3)의 작업공간이 협소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시추선의 선측에 구조물을 추가하여 상갑판의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한 선체의 선측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선체의 선측 구조는 선체의 선측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갑판의 가장자리에서 선측 밖으로 연장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은 상갑판의 가장자리에서 선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에 고정되며 선측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판과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 리브가 용접 고정되어 상기 연장판을 보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은 단면이 직각 삼각형 구조로서, 직각 삼각형의 밑변은 상갑판의 가장자리에 연장되어 위치하고 수직변은 선측 상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은 흘수선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측 상단부는 선체 바깥쪽으로 확장된 선형을 가지며,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경사진 부위는 흘수선 상부에 위치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선체의 선측 구조는 선박의 측면부를 변형하거나 부가 구조물을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최적 설계에 따라 건조된 시추선의 주요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넓어진 공간에 따른 장비 및 설비의 보관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시추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선측 구조를 나타낸 시추선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가 구조물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시추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부가 구조물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시추선의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부가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선측 구조를 나타낸 시추선의 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선체의 선측 구조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선측 구조를 나타낸 선박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가 구조물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선박의 횡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부가 구조물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선박의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부가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시추선(100)의 선체 중앙부에는 문풀(101)이 있으며, 각종 장비들이 상갑판(103)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갑판(103)에서 문풀(101)과 각종 장비들을 피해 작업하여야 하는데, 이런 작업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선 선측의 상단부에 상갑판(103)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구조물(110)을 장착한다.
도 2에 보이듯이, 구조물(110)은 상갑판(103)과 평면상에 위치하는 제1면(111)과 시추선(100)의 선측과 접하여 고정되는 제2면(112)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구조물(110)은 그 단면이 직각삼각형과 유사할 꼴로서, 직각삼각형이라고 가정하였을 때에 도 2에 보이듯이 수직변(112a)(제2면에 해당함)은 선측(104)에 접하여 고정되고 밑변(111a)(제1면에 해당함)은 상갑판(103)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빗변(113a)은 밑변(111a)과 수직변(112a)을 보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조물(110)을 선측(104)의 상단부에 고정하였을 때에 구조물(110)의 밑변(111a)에 해당하는 면적만큼 더 확장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구조물은 횡단면이 직각삼각형 구조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10)은 제1면(111)과 제2면(112)을 포함한 사각 횡단면을 갖는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직각형태를 이루며 상갑판(103)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연장판(111b)(제1면에 해당함)과 상기 연장판(111b)에 수직으로 용접 고정한 고정판(112b)(제2면에 해당함)을 포함하며, 고정판(112b)을 선측 상단부에 고정함으로써 연장판(111b)의 면적만큼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장판(111b)과 고정판(112b)의 사이에 리브(113b)를 고정하여 연장판(111b)과 고정판(112b)을 보강한다.
이와 같이 선측 상단부에 구조물(110)을 고정할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상갑판(103)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가이드(120)는 구조물(110)의 가장자리 즉 확장된 면적의 가장자리로 옮겨 고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선측 상단부에 장착되는 구조물(110)은 흘수선 보다 높게 위치한다.
[제2실시예]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는 최적 설계에 따라 건조된 시추선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조물을 장착한 예에 대한 설명하고 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는 시추선의 선측 상단부 선형을 확장된 구조로서, 시추선의 설계 조건에 따른 주요 치수의 증가 없이 상갑판의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선측 구조를 나타낸 선박의 횡단면도이다.
시추선(100)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선(100)의 선측 상단부를 선체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구조의 선형을 형성함으로써, 상갑판(103)의 면적을 더 확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시추선(100)의 설계 시에 다양한 조건이 고려되지만, 시추선(100)의 선측 상단부의 형상에 따른 시추선(100)의 설계 조건이 변경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시추선(100)의 선측 선형을 도 1의 수직형(종래)에서 도 5의 확장형 즉 상부로 갈수록 선체 바깥으로 확장되는 선형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상갑판(103)의 면적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선체 바깥으로 확장되도록 비스듬히 경사진 부위(106)는 흘수선 위에 위치하며, 경사진 부위(106) 아래의 선형은 수직 부위(107)이되, 흘수선은 수직 부위(107)에 위치한다.
100 : 시추선
101 : 문풀
103 : 상갑판
104 : 선측
106 : 경사진 부위
107 : 수직 부위
110 : 구조물
111 : 제1면
111a : 밑변
111b : 연장판
112 : 제2면
112a : 수직변
112b : 고정판
113a : 빗변
113b : 리브
120 : 가이드

Claims (6)

  1. 시추선의 선측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갑판의 가장자리에서 선측 밖으로 연장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선측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갑판의 가장자리에서 선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에 고정되며 선측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선측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과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 리브가 용접 고정되어 상기 연장판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선측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단면이 직각 삼각형 구조로서, 직각 삼각형의 밑변은 상갑판의 가장자리에 연장되어 위치하고 수직변은 선측 상단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시추선의 선측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흘수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선측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측 상단부는 선체 바깥쪽으로 확장된 선형을 가지며,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경사진 부위는 흘수선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선측 구조.
KR1020110035937A 2011-04-19 2011-04-19 시추선의 선측 구조 KR20120118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37A KR20120118528A (ko) 2011-04-19 2011-04-19 시추선의 선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937A KR20120118528A (ko) 2011-04-19 2011-04-19 시추선의 선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528A true KR20120118528A (ko) 2012-10-29

Family

ID=4728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937A KR20120118528A (ko) 2011-04-19 2011-04-19 시추선의 선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5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711A (ko) * 2015-01-06 2016-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711A (ko) * 2015-01-06 2016-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194B2 (ja) ムーンプール流動抑制装置
EP3228531B1 (en) Marine structure platform having movement damping function and submersible marine structure having same
KR20120051330A (ko) 드릴쉽의 헬리데크 서포트
KR20130045318A (ko) 극지용 시추선
KR20120118528A (ko) 시추선의 선측 구조
KR101751833B1 (ko) 드릴쉽
KR20130032793A (ko) 시추선의 라이저 적재 구조 및 적재 방법
KR20160046584A (ko) 그릴리지 선체 및 그릴리지 선체 구조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US9327806B2 (en) Drilling ship for a polar region
KR102155719B1 (ko) 응력 분산구조를 갖는 플로팅 유닛
KR102006696B1 (ko) 교체 가능한 구조의 스퍼드캔
KR101593977B1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101844258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70059141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681710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733642B1 (ko) 선박의 방현 장치
KR20140006359U (ko) 해양프로젝트의 크레인 페데스탈
KR200481083Y1 (ko) 드릴쉽의 접근 바스켓 설치구조
KR10149167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KR20160092802A (ko) 시추 해양구조물의 머드 탱크의 상단부 지지장치
KR20140006337A (ko) 드릴십의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60083545A (ko) 선박용 엔진 리프팅 장치
KR101429552B1 (ko)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20130016821A (ko) 문풀용 유동 억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