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552B1 -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 Google Patents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552B1
KR101429552B1 KR1020120073780A KR20120073780A KR101429552B1 KR 101429552 B1 KR101429552 B1 KR 101429552B1 KR 1020120073780 A KR1020120073780 A KR 1020120073780A KR 20120073780 A KR20120073780 A KR 20120073780A KR 101429552 B1 KR101429552 B1 KR 10142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rig
ventilation
main deck
venti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552A (ko
Inventor
박세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5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Spar-type semi-submersible structures, i.e. shaped as single slender, e.g. substantially cylindrical or trussed vertical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풍구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수선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세미 리그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환풍 덕트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풍 덕트에 의한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중량 중심이 낮아지도록 하며, 세미 리그의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인 데크의 상부 공간을 다른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는, 메인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환풍 덕트; 및 환풍 덕트에 형성되되,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수면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환풍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Semi-rig having arrangement structure of ventilator opening to improve stability}
본 발명은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풍 덕트에 의한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중량 중심이 낮아지도록 하고, 메인 데크의 상부 공간을 다른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양 구조물로는 드릴쉽(drill ship), 잭업 리그(jack-up rig), 세미 리그(semi-ri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세미 리그는 잠수식 구조물(submerged pontoon)에 다수의 컬럼(column)으로 지지되는 워킹 플랫폼(working platform)이 마련되고,정해진 위치에 도착하게 되면, 잠수식 구조물, 즉 폰툰(pontoon)에 물을 채워서 수면 위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여 해상에서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세미 리그는 드릴링 유닛(drilling unit)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프로덕션 유닛(production unit)으로도 사용되고, 시추용으로는 반잠수식 드릴링 리그(semi-submersible drilling rig)가 있으며,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방사형 계류 시스템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GPS와 스러스터(thruster)를 이용한 위치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세미 리그는 환풍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환풍 덕트(ventilation duct)가 마련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미 리그(10)는 일례로 반잠수식 드릴링 리그로서, 메인 데크(main deck; 11)의 가장자리에 환풍 덕트(ventilation duct; 12)가 수직되게 배치되고, 환풍 덕트(12)의 상단에 환풍구(ventilator opening; 13)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미 리그(10)는 환풍구(13)가 메인 데크(11)의 가장 자리에 수직되게 배치됨으로써, 횡경사시 환풍구(13)가 해수면에 잠기게 되어, 연결된 구획의 침수로 인해 추가적인 경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과도한 경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관청 및 선급에서는 환풍구(13)가 잠기지 않도록 최종수선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하고 있으나, 환풍덕트(12)를 상부로 연장하는 배치는 메인 데크(11) 상부의 중량이 커지도록 하여, 세미 리그(10)의 높이 방향에 대한 중량 중심을 증가시켜서 다시 복원성을 악화시키게 되고, 환풍 덕트(12)의 배치로 인해 메인 데크(11)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풍구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수선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세미 리그의 중심부에 배치됨으로써, 환풍 덕트에 의한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중량 중심이 낮아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세미 리그의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며, 메인 데크의 상부 공간을 다른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미 리그에 있어서, 메인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환풍 덕트; 및 상기 환풍 덕트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수면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환풍구를 포함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가 제공된다.
상기 환풍 덕트는, 상기 메인 데크 하부의 보이드 스페이스에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부로 연장되도록 수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풍 덕트는,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 대하도록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풍구는, 상기 환풍 덕트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미 리그에 있어서, 환풍 덕트에 형성되는 환풍구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 수면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풍구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수선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세미 리그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환풍 덕트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풍 덕트에 의한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중량 중심이 낮아지도록 하며, 세미 리그의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인 데크의 상부 공간을 다른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세미 리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100)는 환풍 덕트(ventilation duct; 110)와, 환풍 덕트(110)에 형성되는 환풍구(ventilator opening; 120)를 포함할 수 있고, 환풍구(120)가 메인 데크(main deck; 130)의 하부에서 최종 수면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10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반잠수식 드릴링 리그(semi-submersible drilling rig)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드릴링 유닛(drilling unit)뿐만 아니라, 프로덕션 유닛(production unit)을 비롯하여 다양한 반잠수식 부유 구조물일 수 있다.
환풍 덕트(110)는 메인 데크(13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세미 리그(100)의 환풍을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일례로 메인 데크(130) 하부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131)에서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연장되도록 수평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환풍 덕트(110)는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 대하도록 2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환풍에 필요한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풍구(120)는 환풍 덕트(110)에 형성되되, 메인 데크(130)의 하부에서 최종수면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중심부는 세미 리그(100)의 중심을 수직되게 지나는 센터(C)를 포함하는 공간으로서, 최종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환풍구(120)는 환풍 덕트(11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환풍 덕트(110)가 메인 데크(13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메인 데크(13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처럼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이며, 이에 한하지 않고 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세미 리그(100)에서 환풍을 위한 환풍구(120)가 메인 데크(130)의 하부에서 최종수선이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환풍 덕트(110)가 메인 데크(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미 리그(100)는 환풍 덕트가 메인 데크의 가장자리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던 종래에 비하여, 중량 증가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의 중량 중심이 낮아지도록 하며, 이로 인해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환풍 덕트(110)가 메인 데크(130) 하부의 보이드 스페이스(131) 등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 데크(130)의 상부 공간에 대한 환풍 덕트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메인 데크(130)의 제한된 상부 공간을 다른 용도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환풍 덕트
120 : 환풍구
130 : 메인 데크
131 : 보이드 스페이스

Claims (5)

  1. 세미 리그에 있어서,
    메인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환풍 덕트(110); 및
    상기 환풍 덕트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수면의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환풍구(120)를 포함하되,
    상기 환풍구는,
    상기 환풍 덕트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데크 하부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131)에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풍 덕트는,
    상기 메인 데크 하부의 보이드 스페이스에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중심부로 연장되도록 수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풍 덕트는,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 대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4. 삭제
  5. 세미 리그에 있어서,
    환풍 덕트(110)에 형성되는 환풍구(120)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서 최종 수면의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되,
    상기 환풍구는,
    상기 환풍 덕트에서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데크 하부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131)에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1020120073780A 2012-07-06 2012-07-06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10142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780A KR101429552B1 (ko) 2012-07-06 2012-07-06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780A KR101429552B1 (ko) 2012-07-06 2012-07-06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52A KR20140006552A (ko) 2014-01-16
KR101429552B1 true KR101429552B1 (ko) 2014-08-12

Family

ID=5014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780A KR101429552B1 (ko) 2012-07-06 2012-07-06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5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95B1 (ko) * 2005-08-17 2006-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상향분사 환기 덕트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995B1 (ko) * 2005-08-17 2006-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화물창의 상향분사 환기 덕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52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CN103748006B (zh) 在船井内具有形成有凹型流动稳定部的用于抑制涡流的块体的钻井船
KR20100090991A (ko) 히브 댐퍼를 갖춘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WO2012104309A2 (en)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KR101860115B1 (ko) 돌출부재를 가진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1429552B1 (ko) 복원성 향상을 위한 환풍구 배치 구조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101444504B1 (ko) 문풀 내 인입형 유동안정화부가 형성된 와류억제용 블록을 구비한 드릴쉽
KR200435392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20100008437A (ko) 해양 플랫폼의 동요 감쇠장치
KR20120001055U (ko) 시추선을 위한 트롤리 레일의 리세스 타입 구조
Muehlner et al. Low-heave semi-submersible enabling dry-tree field development
KR20150015960A (ko) 트리플 폰툰을 가지는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20150092501A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거주구 배치구조
KR102247760B1 (ko) 해양구조물
KR101601427B1 (ko) 상부데크를 상하 수직관통하는 통풍 트렁크가 설치된 반잠수식 시추선
KR20180079935A (ko) 반잠수형 구조물의 내밀성 최적화 구조
KR101711476B1 (ko) 해수 펌프용 파이프 구조
KR101973102B1 (ko) 데크박스 구조의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411409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1695892B1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1956681B1 (ko) 드릴쉽의 문풀 장치
KR20170084867A (ko) 칼럼 간격 광폭화와 저위 시추탑이 적용된 반잠수식 시추선
KR20150142878A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세미 리그
KR20140062728A (ko) 문풀 구조 및 이를 가지는 리그
KR20150011413A (ko) 창살형 외벽을 지닌 세미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