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711A -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 Google Patents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711A
KR20160084711A KR1020150001297A KR20150001297A KR20160084711A KR 20160084711 A KR20160084711 A KR 20160084711A KR 1020150001297 A KR1020150001297 A KR 1020150001297A KR 20150001297 A KR20150001297 A KR 20150001297A KR 20160084711 A KR20160084711 A KR 20160084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mounting
building
lower structur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231B1 (ko
Inventor
김정명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2009/06
    • B63B2035/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을 빌딩 구조물과의 간섭 없이 한 번의 작업으로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탑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부에 문풀이 설치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좌현 상부에 설치되어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좌측 빌딩 구조물과,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설치되어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우측 빌딩 구조물과, 상기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연결하되 바깥쪽 면이 수직 형태를 이루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풀이 설치되는 선체의 좌,우현 상부에 좌,우측 빌딩 구조물을 탑재하는 단계와,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이 탑재된 상태에서 선체 상부로 드릴 플로어를 설치하기 위해 드릴 플로어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탑재방법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SUB-STRUCTURE OF DRILLSHIP AND THE SHIP OR OFFSHORE PLATFOR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 탑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을 빌딩 구조물과의 간섭 없이 한 번의 작업으로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탑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홈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drill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군소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에 따라, 이런 드릴쉽은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드릴쉽은 그 중심부에 라이저(riser) 및 드릴 파이프(drill pipe)가 상하 이동하는 문풀(moon pool)이 형성되고, 드릴쉽의 갑판에는 각종 시추장비가 집약되는 데릭(derrick)이 설치된다.
그리고, 드릴 파이프의 단부에는 드릴비트가 설치되고, 드릴비트의 드릴링작동에는 드릴링유체(drilling fluid)로서 머드(mud)가 이용된다.
이러한 머드는 머드탱크(mud tank) 내에 저장되어 머드펌프(mud pump)에 의해 순환한다.
석유 또는 가스 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시추 작업은 라이저 랙 플랫폼(riser rack platform)에 보관된 드릴링 파이프 또는 라이저들을 라이저 핸들링 크레인(Riser Handling Crane)으로 들어올려 캣워크(Catwalk)로 이동시키고 다시 서브스트럭춰(Sub structure) 상부의 드릴 플로어(Drill floor)로 수평이동시킨 다음 데릭(Derrick)을 사용하여 세워 해저유정으로 연속하여 내려보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드릴쉽의 선체(10) 중앙부에 드릴링(Drilling) 작업을 위한 문풀(20)이 설치되며, 상기 문풀(20)의 상부에 드릴링 장비 및 설비가 설치되는 드릴 플로어(30)가 설치되고, 상기 드릴 플로어(30) 하부에 선체(10)와 드릴 플로어(30)를 연결하는 하부 구조물(40)이 설치되며, 상기 드릴 플로어(30)의 선체(10)의 좌,우현 상에는 각종 기계 장비가 배치되는 좌측 빌딩 구조물(50)과 우측 빌딩 구조물(50a)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구조물(40)의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50,50a)은 하부 구조물(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S)지면서 가분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선체(10)의 좌,우현 상부에 먼저 좌,우측 빌딩 구조물(50,50a)이 탑재된 상태에서 드릴 플로어(30)와 하부 구조물(40)을 탑재 시 도 1의 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50,50a)의 안쪽면이 가분수 형태를 이루고 하부 구조물(40)이 경사(S)지게 형성되어짐에 따라 탑재된 좌,우측 빌딩 구조물(50,50a)과 하부 구조물(40) 간에 간섭이 발생되어 하부 구조물(40)의 탑재가 불가능하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도 2에서의 탑재공법 시 하부 구조물(40)의 탑재가 불가능함에 따라 선체(10) 상에 좌측 빌딩 구조물(50)을 탑재한 다음 드릴 플로어(30)와 하부 구조물(40)을 선체(10)에 탑재하며 우측 빌딩 구조물(50a)을 크레인 와이어(W)를 사용하여 선체(10) 상에 탑재하게 되는데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50a)의 무게 중심이 정위치 탑재시 드릴 플로어(30)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크레인 와이어(W)가 드릴 플로어(30)와 간섭이 발생되면서 우측 빌딩 구조물(50a)의 탑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는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순차도로서, 도 3의 탑재공법에 따른 문제점으로 우측 빌딩 구조물(50a)을 선체(10)에 탑재 시 크레인 와이어(W)의 위치를 옮기기 위해 우측 빌딩 구조물(50a)에 임시 구조물(60)을 부착하여 우측 빌딩 구조물(50a)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바깥쪽으로 강제 이동시켜 우측 빌딩 구조물(50a)을 선체(10)에 탑재한 다음 임시 구조물(60)을 해체시키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우측 빌딩 구조물(50a)에 임시 구조물(60)을 부착하여 우측 빌딩 구조물(50a)을 탑재함에 따라 임시 구조물(60)을 별도로 제작하고 고소 설치 및 탑재, 해체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며, 크레인 사용 횟수와 러그 설치 수량 및 발판 증가 등 물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공정 증가에 따른 추가 일정이 발생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부 구조물의 바깥쪽 면과 빌딩 구조물의 안쪽 면을 수직화하게 되어 선체의 좌,우현에 빌딩 구조물을 탑재한 상태에서 드릴 플로어와 하부 구조물을 별도의 부수 작업 없이 한 번의 탑재공정으로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탑재방법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구조에 있어서, 중앙부에 문풀이 설치되는 선체와, 상기 선체의 좌현 상부에 설치되어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좌측 빌딩 구조물과,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설치되어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우측 빌딩 구조물과, 상기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연결하되 바깥쪽 면이 수직 형태를 이루는 하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좌측 빌딩 구조물은, 상기 선체의 좌현 상부에 탑재되면서 바깥쪽 상부가 층별 공간 확보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측 빌딩 구조물은,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탑재되면서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 확보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의 상부에는 드릴 플로어가 탑재되면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탑재 전 의장품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풀이 설치되는 선체의 좌,우현 상부에 좌,우측 빌딩 구조물을 탑재하는 단계와,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이 탑재된 상태에서 선체 상부로 드릴 플로어를 설치하기 위해 드릴 플로어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빌딩 구조물 탑재 단계는, 상기 선체의 좌,우현 상부에 탑재되되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 확보를 위해 경사지면서 탑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측 빌딩 구조물 탑재 단계는,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우측 빌딩 구조물이 탑재되기 전 우측 빌딩 구조물 상부에 의장품을 설치한 상태에서 탑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구조물 탑재 단계는,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 사이로 내려오면서 선체에 탑재될 때 바깥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져 선 탑재된 좌,우측 빌딩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고 부수 작업 없이 한 번의 공정으로 원활하게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설치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을 탑재 시 선체의 좌,우현에 탑재되는 좌,우측 빌딩 구조물의 안쪽 면과 하부 구조물의 바깥쪽 면을 수직 형태로 이루어 좌,우측 빌딩 구조물이 좌,우현 선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하부 구조물이 좌,우측 빌딩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고 한 번의 탑재공정으로 원활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탑재방법에 따르면, 선체의 좌,우현에 탑재되는 좌,우측 빌딩 구조물의 안쪽 면을 수직화하고 드릴 플로어를 설치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의 바깥쪽 면을 수직화하게 됨으로써 좌,우측 빌딩 구조물이 탑재된 상태에서 하부 구조물을 빌딩 구조물과의 간섭 없이 한 번의 공정으로 탑재할 수 있게 되어 부수 작업이 발생되지 않아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 단계에서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드릴쉽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순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의 하부 구조물의 탑재 전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의 하부 구조물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하부 구조물의 탑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의 하부 구조물의 탑재 전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의 하부 구조물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선 하부 구조물의 탑재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탑재구조로서, 선체(100)와,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과, 하부 구조물(500)을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체(100)는, 중앙부에 드릴 작업을 위한 문풀(200)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빌딩 구조물(300)은, 상기 문풀(200)이 설치되는 선체(100)의 좌현 상부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좌측 빌딩 구조물(300)은, 안쪽 면의 구조가 선체(100) 상부로부터 수직(V)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빌딩 구조물(300)은 바깥쪽 상부가 층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S)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선체(100)의 좌현 상부에 좌측 빌딩 구조물(300)이 탑재되어질 때 하부 구조물(500)의 원활한 탑재를 위해 안쪽 면을 수직(V) 형태로 구비하며 바깥쪽 면은 시추를 위한 각종 기계 장비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S)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은, 상기 문풀(200)이 설치되는 선체(100)의 우현 상부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은, 안쪽 면의 구조가 선체(100) 상부로부터 수직(V)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은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사(S)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선체(100)의 우현 상부에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이 탑재되어질 때 하부 구조물(500)의 원활한 탑재를 위해 안쪽 면을 수직(V) 형태로 구비하며 바깥쪽 면은 시추를 위한 각종 기계 장비가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경사(S)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은 상부에 드릴 플로어(400)가 탑재되면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선체(100)에 탑재 전 의장품(600)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300a) 상부에 의장품(600)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선체(100)의 우현에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을 탑재한 다음 하부 구조물(500)을 설치하여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구조물(500)은, 상기 선체(100) 상부에 드릴 플로어(400)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 구조물(500)은, 바깥쪽 면이 선체(100) 상부로부터 수직(V) 형태를 이루면서 설치되어진다.
상기 선체(100)의 좌,우현에 탑재된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의 안쪽 면이 수직(V) 형태를 이루고 하부 구조물(500)의 바깥쪽 면도 수직(V) 형태를 이루게 되어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이 탑재된 상태에서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 사이로 드릴 플로어(400)가 연결된 하부 구조물(500)이 별도의 부수 작업 없이 선체(100)에 탑재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탑재방법에 있어서, 문풀(200)이 설치되는 선체(100)의 좌,우현 상부에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을 탑재하는 단계(S100)와, 상기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이 선체(100)에 탑재된 상태에서 선체(100) 상부로 드릴 플로어(400)를 설치하기 위해 드릴 플로어(400)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구조물(500)을 탑재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빌딩 구조물(300) 탑재 단계(S100)는, 상기 선체(100)의 좌현 상부에 탑재되되 안쪽 면이 수직(V)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도록 경사(S)진 상태에서 탑재되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우측 빌딩 구조물(300a) 탑재 단계(S100)는, 상기 선체(100)의 우현 상부에 탑재되되 안쪽 면이 수직(V)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도록 경사(S)진 상태에서 탑재되어지게 된다.
또한,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을 탑재하는 단계(S100)는, 상기 선체(100)의 우현 상부에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이 선체(100)에 탑재되기 전 우측 빌딩 구조물(300a) 상부에 의장품(600)을 설치한 상태에서 탑재하게 된다.
상기 선체(100)에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을 탑재하기 전에 우측 빌딩 구조물(300a) 상부에 의장품(600)을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을 선체(100)에 탑재한 다음 하부 구조물(500)을 탑재하여도 의장품(600)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구조물(500) 탑재 단계(S200)는, 상기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 사이로 하부 구조물(500)이 내려오면서 선체(100)에 탑재될 때 하부 구조물(500)의 바깥쪽 면이 수직(V) 형태로 이루어져 미리 탑재된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에 간섭되지 않고 별도의 부수 작업 없이 한 번의 탑재공정으로 원활하게 탑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문풀(200)이 설치되는 선체(100)의 좌,우현 상부에 안쪽 면이 수직(V) 형태를 이루는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이 탑재되고 선체(100)에 드릴 플로어(400)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500)을 선체(100)에 탑재하되 하부 구조물(500)의 바깥쪽 면이 수직(V) 형태를 이루게 되어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이 선체(100)에 탑재된 상태에서 하부 구조물(500)을 탑재시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과 하부 구조물(500)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하부 구조물(500)을 부속 작업 없이 한 번의 탑재공정으로 원활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적용되어지게 된다.
즉, 선체(100)의 좌현과 우현 상부에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이 탑재되어질 때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의 안쪽 면 구조를 수직(V)화하고 하부 구조물(500)의 바깥쪽 면 구조를 수직(V)화하게 되어 선체(100)에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이 탑재된 상태에서 하부 구조물(500)이 간섭 없이 탑재되며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의 바깥쪽 상부를 경사(S)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부수 작업 없이 하부 구조물(500)을 간편하게 탑재할 수 있으며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에 각종 기계 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모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 및 탑재방법에 따르면, 상기 선체(100)의 좌,우현 상부에 각각 안쪽 면이 수직(V) 형태를 이루는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이 탑재되어진다.
이때,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300a)이 선체(100)에 탑재되기 전 우측 빌딩 구조물(300a) 상부에 의장품(600)을 미리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체(100)에 드릴링 장비 및 설비가 설치되는 드릴 플로어(400)를 연결시키기 위해 하부 구조물(500)을 탑재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 구조물(500)의 바깥쪽 면을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과 같이 수직(V) 형태로 구비하게 되어 상기 하부 구조물(500)을 선체(100)에 탑재 시 좌측 빌딩 구조물(300)과 우측 빌딩 구조물(300a)에 간섭되지 않아 별도의 부수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물(500)을 탑재할 때 우측 빌딩 구조물(300a)과 하부 구조물(500)이 간섭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300a) 상부에 의장품(600)을 미리 설치하여도 탑재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 선체(100)에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을 탑재 시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의 안쪽 면 구조를 수직(V)화하고 바깥쪽 면 구조를 경사(S)지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300,300a)에 각종 기계 장비를 원활하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선체
200 : 문풀
300 : 좌측 빌딩 구조물
300a : 우측 빌딩 구조물
400 : 드릴 플로어
500 : 하부 구조물
600 : 의장품
V : 수직
S : 경사

Claims (9)

  1.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구조에 있어서,
    중앙부에 드릴링 작업을 위한 문풀이 설치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좌현 상부에 설치되어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좌측 빌딩 구조물;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설치되어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우측 빌딩 구조물; 및
    상기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연결하되 바깥쪽 면이 수직 형태를 이루는 하부 구조물;
    을 포함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빌딩 구조물은, 상기 선체의 좌현 상부에 탑재되면서 바깥쪽 상부가 층별 공간 확보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은,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탑재되면서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 확보를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의 상부에는 드릴 플로어가 탑재되면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탑재 전 의장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
  5.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풀이 설치되는 선체의 좌,우현 상부에 좌,우측 빌딩 구조물을 탑재하는 단계; 및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이 선체에 탑재된 상태에서 선체 상부로 드릴 플로어를 설치하기 위해 드릴 플로어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구조물을 탑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 탑재 단계는, 상기 선체의 좌,우현 상부에 탑재되되 안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면이 층별 공간 확보를 위해 경사지면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빌딩 구조물 탑재 단계는, 상기 선체의 우현 상부에 우측 빌딩 구조물이 탑재되기 전 우측 빌딩 구조물 상부에 의장품을 설치한 상태에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 탑재 단계는, 상기 좌,우측 빌딩 구조물 사이로 내려오면서 선체에 탑재될 때 바깥쪽 면이 수직 형태로 이루어져 선 탑재된 좌,우측 빌딩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고 부수 작업 없이 한 번의 공정으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체 상부에 드릴 플로어를 설치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을 탑재 시 선체의 좌,우현에 탑재되는 좌,우측 빌딩 구조물의 안쪽 면과 하부 구조물의 바깥쪽 면을 수직 형태로 이루어 좌,우측 빌딩 구조물이 선체의 좌,우현에 탑재된 상태에서 하부 구조물이 좌,우측 빌딩 구조물에 간섭되지 않고 한 번의 탑재공정으로 원활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구조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20150001297A 2015-01-06 2015-01-06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KR101686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97A KR101686231B1 (ko) 2015-01-06 2015-01-06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97A KR101686231B1 (ko) 2015-01-06 2015-01-06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11A true KR20160084711A (ko) 2016-07-14
KR101686231B1 KR101686231B1 (ko) 2016-12-13

Family

ID=5649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97A KR101686231B1 (ko) 2015-01-06 2015-01-06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2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15A (ko) * 2007-07-03 2009-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육상에서의 선박 건조 공법
KR20120118528A (ko) * 2011-04-19 2012-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선측 구조
KR20130117129A (ko) * 2012-04-17 2013-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물 구조
KR20140071137A (ko) * 2012-12-03 2014-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드릴플로어의 상승하강 구조 및 그 상승하강 구조를 갖는 시추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615A (ko) * 2007-07-03 2009-01-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육상에서의 선박 건조 공법
KR20120118528A (ko) * 2011-04-19 2012-10-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선측 구조
KR20130117129A (ko) * 2012-04-17 2013-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물 구조
KR20140071137A (ko) * 2012-12-03 2014-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드릴플로어의 상승하강 구조 및 그 상승하강 구조를 갖는 시추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231B1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246B1 (ko) 문풀 구역의 장비이동을 위한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 및 그 머티어리얼 핸들링 구조를 갖는 시추선
KR101686231B1 (ko) 시추선의 하부 구조물 탑재방법
KR101835287B1 (ko) 이동식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0484424Y1 (ko) 드릴쉽용 라이저 크래들의 라이저 파킹 구조 및 그 라이저 파킹 구조를 갖는 라이저 크래들
KR20160089663A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426887Y1 (ko) 선박의 문풀 유동 억제구조
KR101640791B1 (ko) 웰헤드 보강 유닛, 이를 포함하는 웰헤드 및 분출 방지용 스택 설치 방법
KR20140104604A (ko) 해저 시추 방법
KR102107309B1 (ko) 라이저 핸들링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KR20160022572A (ko) 시추선의 드릴링 방법
KR101481419B1 (ko) 해양구조물의 위치조절형 드릴시스템
KR101835286B1 (ko) 크레인 겸용 브릿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20160115537A (ko) Bop 크레인 설치구조 및 그 bop 크레인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드릴쉽
KR20150142749A (ko) 문풀 구조
KR20180077562A (ko) 드릴쉽
KR101713855B1 (ko) 시추용 파이프가 적재되는 해치 커버가 구비된 시추선
KR20120132171A (ko) 드릴쉽용 로딩 스테이션
KR101403615B1 (ko) 복수개의 비오피 운용이 가능한 문풀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KR20150033763A (ko) 드릴플로어리스 드릴 시스템
KR101640786B1 (ko) 웰헤드 보강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웰헤드
KR20160022563A (ko) 해양 시추 설비
KR20150004035U (ko) 시추선의 웰 테스트 데크 장치
KR101414223B1 (ko) 해양구조물의 승강구조형 데릭 및 데릭 승강 방법
KR20140006182U (ko) 로딩 시스템의 로딩 호스 가이드 구조
KR101956676B1 (ko) 해양구조물의 트랜스포터 및 그 트랜스포터의 분출방지 스택 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