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918A -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918A
KR20120117918A KR1020127022943A KR20127022943A KR20120117918A KR 20120117918 A KR20120117918 A KR 20120117918A KR 1020127022943 A KR1020127022943 A KR 1020127022943A KR 20127022943 A KR20127022943 A KR 20127022943A KR 20120117918 A KR20120117918 A KR 2012011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flange
bobbin
flange portion
electric mach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모리시타
유우지 노노무라
미요시 요쿠라
마사토 후카가야
타케시 진보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034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2345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83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44780A/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전기 기기용 보빈은, 몸체부, 플랜지부 및 결합홀을 구비한다. 몸체부는 절연 필름으로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내주측에 상기 몸체부가 끼워 넣어지며 상기 몸체부와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에 고리모양으로 돌출해 있다. 결합홀은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해서 상기 몸체부와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내주측이 진입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방법{BOBBIN FOR ELECTRICAL EQUI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전기 모터, 발전기, 변압기 및 인버터 등의 전기 기기에 이용되는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모터, 발전기, 변압기 및 인버터 등에 이용되는 전기 기기용 보빈은 환형(丸型) 또는 각형(角型)의 통(筒) 모양을 이루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축방향 양단부의 각각에 마련된 플랜지부(鍔部)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부 및 플랜지부는 통상적으로 합성 수지제이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 및 플랜지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한 전기 기기용 보빈은 몸체부의 두께가 통상 2~3mm로 두껍기 때문에 전선의 밀도, 이른바 선적률(線積率)을 높이는 것은 힘들다.
몸체부를 얇게 만든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고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전기 기기용 보빈의 몸체부는 합성 수지제의 제 1의 지지부재와, 비자성체인 박막체의 제 2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몸체부를 제 1의 지지부재와 제 2의 지지부재의 2개 부재로 구성할 경우, 2개 부재의 접합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들 2개 부재의 접합이 불충분할 경우, 몸체부에 전선을 감을 때나 혹은 전기 기기용 보빈을 고정자 철심에 장착할 때에 제 1 지지부재는 제 2 지지부재로부터 쉽게 벗어나 문제가 있다. 또한, 두꺼운 제 1의 지지부재가 몸체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선적률의 향상이나 열전도성의 향상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8-167598호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9-21331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의 선적률이 높으며, 방열성이 뛰어나고 부재의 접합 강도가 높은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 기기용 보빈은, 몸체부(胴部), 플랜지부(鍔部) 및 결합홀(係合孔,engagement hole)을 구비한다. 몸체부는 절연 필름으로 통 모양(cylindrically shape)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는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내주측으로 몸체부가 끼워넣어지고, 몸체부와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 측으로 고리모양으로 돌출되어 있다. 결합홀은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몸체부와 대향하는 플랜지부의 내주 측이 진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은 몸체부를 성형하는 공정, 및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몸체부를 성형하는 공정에서는 두께가 0.05mm~0.5mm의 절연 재료는 통 모양의 몸체부로 성형된다.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공정에서는 통 모양으로 성형된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몸체부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부는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기기용 보빈에 의하면, 몸체부와 플랜지부가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는 절연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몸체부 두께의 절감은 용이하다. 따라서, 단위 단면적당 전선의 감김 수, 즉 전선의 선적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선에서 발생한 열은 두께가 작은 절연 필름을 경유해서, 예를 들면 고정자 철심 등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전선의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플랜지부는 몸체부의 결합홀에 진입해 있다. 그 때문에 플랜지부와 몸체부는 결합홀에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몸체부와 플랜지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몸체부로부터의 플랜지부의 탈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전선의 선적률이 높고 방열성이 뛰어나며, 접합 강도가 높은 전기 기기용 보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고정자 철심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고정자 철심에 끼운 상태를 고정자 철심의 중심측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고정자 철심에 끼우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상당한 도면이고,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도 7의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도 7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3은 저온 플라스마 처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4에 있어서 (a)는 제 1 실시형태의 전기 기기용 보빈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종래의 전기 기기용 보빈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도 16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XIX-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1은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의 몸체부를 펼친 평면도이고,
도 22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도 2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제 8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도 21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24는 제 9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25는 제 10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전기 기기용 보빈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근거로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는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을 각각 화살표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회전 전기의 축(軸)방향을 상하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모터 및 발전기로서 이용되는 회전 전기에 적용된다. 전기 기기용 보빈은 이런 차량의 회전 전기에 한정되지 않고, 변압기 혹은 인버터 등의 다른 전기 기기에 적용해도 된다.
도 1~도 4는 이너 로터 타입의 회전전기(回轉電機)(11)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다. 회전전기(11)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자(12) 및 회전자(13)를 구비한다. 회전자(13)는 고정자(12)의 내주측에 소정의 틈새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회전자(13)는 회전자 철심(14) 및 도시되지 않은 영구자석을 가지고 있다. 영구자석은 회전자 철심(14)에 파묻혀 있다. 회전자 철심(14)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샤프트가 설치된다.
고정자(12)는 고정자 철심(15) 및 코일(16)을 가지고 있다. 고정자 철심(15)은 요크부(17) 및 복수의 티스부(18)를 가지고 있다. 요크부(1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티스부(18)는 요크부(17)의 내주측의 단부에서 중심축 쪽으로 돌출한다. 도 1은 복수의 티스부(18) 중 하나의 티스부(18)만을 나타내고 있다. 요크부 (17)는 완전한 원통 모양의 외벽을 대신하여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외벽을 채용해도 좋다. 티스부(18)는 도 2~도 4에서와 같이 대체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티스부(18)는 고정자 철심(15)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자 철심(15)에 있어서 서로 이웃이 되는 티스부(18) 상호간에는 도 1,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슬롯(15a)이 형성된다.
코일(16)은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의 외주측에 동선(銅線) 등의 전선을 감아 형성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코일(16)이 설치된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고정자 철심(15)의 내주측에서 티스부(18)로 끼워 넣어진다. 이에 의해, 전선이 감겨진 코일(16)은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를 사이에 두고 티스부(18)에 설치된다. 도 6에서 나타내는 화살표(F)는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끼워넣는 방향이다.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도 1~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부(22), 제1 플랜지부(23), 제 2 플랜지부(24) 및 피결합부(25)를 가지고 있다. 몸체부(22)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몸체부(22)는 각기둥(角筒)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22)는 각기둥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이나 타원형 통형상 등, 티스부(18)의 형상에 맞춰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몸체부(22)는 도7~도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벽(22a), 하측벽(22b),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을 가지고 있다. 상측벽(22a), 하측벽(22b),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은 내측에서 공간(21a)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간(21a)은 티스부(18)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고, 티스부(18)보다 조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측벽(22a) 및 하측벽(22b)은 도2~도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스부(18)에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끼웠을 때, 각각 고정자 철심(15)의 축방향 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은 티스부(18)에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끼웠을 때, 고정자 철심(15)의 슬롯(15a)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측벽(22a), 하측벽(22b),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22)는 예를 들면 절연 필름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 필름은 예를 들면 범용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적층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 공지의 절연성을 가지는 필름이다. 절연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듀퐁(Du Pont)사 제품의 노멕스(등록상표) 등의 아라미드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들 수 있다. 특히, 아라미드지와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한 적층 필름은 내열성, 절연성,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아라미드지와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한 적층필름은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필름으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라미드지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필름을 적층한 적층필름, 및 아라미드지와 폴리이미드 필름을 적층한 적층필름은,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필름으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4(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필름의 두께(T1)는 0.05~0.5mm로 설정되어 있다. 이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필름의 두께(T1)는 바람직하게는 0.1~0.4mm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0.3mm이다.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필름의 두께(T1)는 0.05mm미만이면 강도가 부족하다. 그 때문에, 전기 기기용 보빈(21)에 전선을 감았을 때, 몸체부(22)의 변형을 초래하는 등의 불편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필름의 두께(T1)는 0.5mm를 넘으면, 몸체부(22)의 두께가 과대해진다. 그 때문에, 전선의 감김 횟수가 줄어서 선적률이 저하되는 동시에 열전도성의 저하에 의해 방열성도 저하한다. 몸체부(22)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 일체로 접속된다.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복수의 결합홀(22e)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홀(22e)은 몸체부(22)에 있어서 축방향의 양측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결합홀(22e)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필름을 두께방향, 즉 지름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 결합홀(22e)은 예를 들면 단면형상이 원형이다.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필름은 표면에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를 형성하는 절연필름의 표면은 예를 들면 플라스마 처리, 코로나 처리 또는 화학 처리 등이 시행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는 한 종류만, 또는 복수의 처리를 조합시켜도 좋다.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필름에 표면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절연 필름의 표면은 친수성 등의 성질이 리포밍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절연 필름의 표면은 젖음성(wettability) 향상에 수반되어 접착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절연필름을 형성하는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더 강고하게 접합된다. 표면처리로서는 처리의 간편함이나 젖음성 향상 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특히 플라스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에서는 플라스마 처리를 예로 설명한다.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몸체부(22)에 설치된 코일(16)의 이동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22)에 설치된 코일(16)은 고정자 철심(15)의 지름 방향으로 벗어나는 경우가 생긴다. 이때,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몸체부(22)의 축방향 단부에서 코일(16)과 접하여 코일(16)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모두 몸체부(22)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고리모양(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플랜지부(23)는 내주측의 가장자리가 몸체부(22)와 대향해 있다. 제 1 플랜지부(23)는 몸체부(22)의 축방향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플랜지부(23)는 티스부(18)에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끼웠을 때 고정자 철심(15)의 요크부(17)와 대향하는 쪽에 위치한다. 제 1 플랜지부(23)는 내주측에 복수의 피결합부(25)를 가지고 있다. 피결합부(25)는 제 1 플랜지부(23)를 몸체부(22)에 부착했을 때, 전술한 몸체부(22)가 형성하는 결합홀(22e)로 진입한다. 피결합부(25)는 결합홀(22e)에 대응한 둥근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결합부(25)는 결합홀(22e)의 형상에 맞추어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홀(22e)의 단면을 사각형상으로 할 때, 피결합부(25)는 사각 기둥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플랜지부(24)는 제 1 플랜지부(23)와 마찬가지로 내주측의 가장자리가 몸체부(22)와 대향해 있다. 제 2 플랜지부(24)는 몸체부(22)의 축방향에서 다른 쪽의 단부, 즉 제 1 플랜지부(23)와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플랜지부(24)는 티스부(18)에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끼웠을 때에 고정자 철심(15)의 중심 측에 위치한다. 제 2 플랜지부(24)는 고정자 철심(15)의 둘레방향에서의 전체 길이가 제 1 플랜지부(23)보다 더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제 2 플랜지부(24)는 제 1 플랜지부(23)보다도 고정자 철심(15)의 중심 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고정자 철심(15)의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티스부(18)에 끼워진다. 그 때문에 고정자 철심(15)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간격은 고정자 철심(15)의 중심측, 즉 제 2 플랜지부(24) 측일수록 작다. 이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제 2 플랜지부(24)끼리 접하지 않도록 제 2 플랜지부(24)는 제 1 플랜지부(23)보다 더 고정자 철심(15)의 둘레방향의 전체 길이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24)는 제 1 플랜지부(23)와 마찬가지로 내주측에 복수의 피결합부(25)를 가지고 있다. 피결합부(25)는 제 2 플랜지부(24)를 몸체부(22)에 설치했을 때, 몸체부(22)가 형성하는 결합홀(22e)로 진입한다. 제 2 플랜지부(24)의 피결합부(25)의 형상은 제 1 플랜지부(23)와 같다.
제 2 플랜지부(24)는 회전자(13)측의 면이 회전자(13)의 외벽과 동심원 형태로 만곡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플랜지부(23)는 요크부(17)측의 면이 요크부(17)의 내벽과 동심원 형태로 만곡해 있어도 된다. 특히 제 1 플랜지부(23)의 요크부(17)측의 면과 요크부(17)의 내벽이 유사한 곡율임에 따라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요크부(17)측 단부는 요크부(17)의 내벽에 의해 위치가 결정된다.
제 1 플랜지부(23), 제 2 플랜지부(24) 및 피결합부(25)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합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PPS 수지), 아크릴니트릴-브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플랜지부(23), 제 2 플랜지부(24) 및 피결합부(25)는 예를 들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몸체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두께는 임의이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도 14에서와 같이 그 두께(T2)를 2~3mm로 설정한다.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두께(T2)는 성형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두께(T2)를 줄임으로써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가 확대된다. 그 결과, 몸체부(22)에 감기는 전선의 감김 횟수가 증가하여 전선의 선적률(線積率)을 높일 수 있다.
피결합부(25)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형성과 동시에 몸체부(22)의 결합홀(22e)에 충전된다. 이에 의해, 피결합부(25)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형성과 동시에 피결합부(25)를 결합홀(22e)에 충전함으로써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피결합부(25)는 결합홀(22e)에 진입해서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 몸체부(22)는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도 5에서와 같이 충전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충전부재(26)는 몸체부(22)의 내주측, 제 1 플랜지부(23)의 내주측 및 제 2 플랜지부(24)의 내주측에 있어서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 사이의 단차를 채우고 있다. 이 충전부재(26)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재(26)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나 그리스 등과 같이 온도가 상승할수록 유동성이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의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성형에 이용되는 인서트 성형 금형에 관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인서트 성형 금형(31)은 토대부(32), 하부형틀(33) 및 상부형틀(34)을 구비한다. 하부형틀(33)은 토대부(32)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부형틀(34)은 하부형틀(33)의 윗쪽에 설치되어 있다. 토대부(32)는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블록부(35)를 가지고 있다. 블록부(35)는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와 거의 같은 형상의 사각기둥 모양이다. 토대부(32)는 윗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 핀(36)을 가지고 있다. 돌출 핀(36)은 하부형틀(33)로 성형된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빠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형틀(33)은 한 쌍의 블록 형태의 가동(可動) 하부형틀(下型)(37)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동 하부형틀(37)은 토대부(32)의 윗쪽에 설치되어 토대부(32)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해서 형틀(型)을 개방한다. 도 12에 나타낸 화살표(Y)는 형틀이 개방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가동 하부형틀(37)은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거의 절반의 형상에 상당하는 노치(38´)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가동 하부형틀(37)은 이것들을 맞춤으로써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수납하는 캐비티(38)를 형성한다. 가동 하부형틀(37)의 윗쪽에는 가동 하부형틀(37)과 캐비티(38)를 접속하는 노즐(39)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39)은 예를 들면 용해된 PPS 등의 수지를 캐비티(38)에 공급한다.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노즐(39)로부터 공급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형틀(34)은 상하를 관통하는 스풀런너(40)를 가지고 있다. 용해된 수지는 이 상부형틀(34)의 스풀런너(40)를 경유해서 하부형틀(33)의 노즐(39)에 공급된다. 상부형틀(34)의 상단에는 스풀런너(40)에 접속하는 저장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공급된 용해된 수지는 이 저장부(41)에 저장될 수 있다. 상부형틀(34)과 하부형틀(33)을 맞춤으로써 스풀런너(40)의 하단부는 노즐(39)에 접속한다.
이어서 플라스마 처리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라스마 처리는 전극 간에 직류 또는 교류의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생성되는 방전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고전압 인가에 의해 생기는 방전은 대기압에서의 코로나 방전 혹은 진공에서의 글로 방전 등이다.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필름은 이들에 의해서 생긴 방전에 노출시킴으로써 플라스마 처리된다. 플라스마 처리는 처리 가스의 선택 범위가 넓은 진공에서의 처리가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마 처리는, 처리 가스로서 헬륨, 네온, 알곤, 질소, 산소, 탄산가스, 공기, 수증기 등이 단독 혹은 혼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알곤, 탄산가스는 방전 개시 효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플라스마 처리에서의 처리 압력은 0.1 Pa~1330Pa의 압력 범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Pa~266Pa 범위이다.
도 13에서 나타낸 플라스마 처리기(51)는 밀폐 가능한 처리실(52)을 가지고 있다. 처리실(52)은 내부에 처리용 롤러(53)를 수용하고 있다. 전극(54)은 이 처리용 롤러(53)의 주위에 약간의 틈새를 형성하면서 둘러싸고 있다. 처리용 롤러(53)는 어스 접속되어 있다. 전극(54)은 고주파 전원(55)에 접속해 있다. 처리실(52)은 내부가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에 접속된 밸브(56)의 개방에 의해 감압된다. 이와 동시에 처리실(52)은 도시되지 않은 가스 공급원에 접속된 밸브(57)의 개방에 의해서 처리용 가스가 공급된다. 처리실(52)은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58)가 마련되어 있다.
롤 형태로 감긴 절연필름(42)은 공급부(59)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절연 필름(42)은 처리실(52) 내의 여러 개의 안내롤러(60)에 의해 안내되면서 처리용 롤러(53)에 한 바퀴 가깝게 감긴다. 이때, 절연필름(42)은 전극(54)과의 사이의 처리부분을 지나고 여기서 플라스마 처리가 시행된다. 그리고, 플라스마 처리가 이루어진 절연필름(42)은 안내롤러(60)에 의해 안내되면서 권취부(61)에서 감긴다. 이때, 절연필름(42)은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플라스마 처리가 이루어진다. 절연필름(42)의 한쪽 면에 플라스마 처리를 행하는 경우, 플라스마 처리가 이루어진 면이 몸체부(22)의 외주 측에 배치된다.
이어서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제조 순서에 관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몸체부(22)를 구성하는 절연필름(42)은 표면 처리 공정이 이루어진다. 표면 처리 공정은, 예를 들면 상술의 플라스마 처리기(51)을 이용한 플라스마 처리이다. 플라스마 처리된 필름 형태의 절연필름(42)은 도 12(a)에서와 같이 몸체부(22)를 펼친 형상, 즉 직사각형으로 재단된다. 재단 후의 절연필름(42)의 긴 변 길이(P)는, 상측 벽(22a)의 좌우방향의 길이, 좌측 벽(22d)의 상하방향의 길이, 하측 벽(22b)의 좌우방향의 길이, 우측 벽(22c)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다가, 필요에 따라서 풀칠부분을 더한 길이에 상당한다. 또, 재단 후의 짧은 변 길이(Q)는 몸체부(22)의 전후방향, 상측 벽(22a)의 전후방향의 길이에 상당한다. 이때, 절연필름(42)의 두께는 0.05~0.5mm로 설정된다.
절연필름(42)은 몸체부(22)를 펼친 형상으로 성형할 때, 또는 성형 전후에 긴 변의 양단에 각각 결합홀(22e)에 상당한 구멍이 형성된다. 결합홀(22e)은 절연필름(42)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뒤에 행해도 되고, 미리 결합홀(22e)를 형성한 후에 절연필름(42)을 성형해도 된다. 또한, 금형을 이용한 펀칭 프레스 등에 의해 절연필름(42)의 성형과 결합홀(22e)의 형성을 동시에 행해도 좋다.
성형된 절연필름(42)은, 도 12(b)에서와 같이 몸체부(22)에 상당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절연필름(42)은 각기둥 형태로 성형된다. 절연필름(42)에 풀칠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때, 각기둥 형태로 접어 구부린 절연필름(42)은 풀칠 부분이 상측벽(22a) 또는 하측벽(22b)에 위치한다. 또한, 몸체부(22)를 성형할 때, 풀칠 부분에 접착제 등을 도포해서 인서트 성형 전에 절연필름(42)을 가고정해도 좋다. 이에 의해 성형된 절연필름(42)은 인서트 성형시의 형태 변형이 줄어든다. 이들 절연필름(42)의 성형, 결합홀(22e)의 형성 및 몸체부 형상의 성형을 수행하는 공정은 몸체부 정형(整形) 공정에 상당한다.
통(筒)모양으로 성형된 절연필름(42)은 도 12(c) 및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형틀(33)이 개방해 있는 상태, 즉 가동 하부형틀(37)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블록부(35)에 끼워 넣어진다. 이 절연필름(42)을 하부형틀(33)의 블록부(35)에 끼워넣는 행정은 몸체부 배치 공정에 상당한다. 통 모양으로 성형된 절연필름(42)은 블록부(35)에 끼울 때, 토대부(32)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성형한 절연필름(42)과 토대부(32)를 떨어뜨려 배치함으로써 몸체부(22)의 축방향에 있어서 단부의 외측에 인서트 성형시의 수지가 주입된다. 그 결과, 몸체부(22)는 축방향의 단부에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통 모양으로 성형된 절연필름(42)이 블록부(35)에 배치되면, 도 12(e)에서와 같이 가동 하부형틀(37)을 맞춰서 캐비티(3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통 모양의 절연필름(42)은 캐비티(38)에 수용된다. 이 공정은 하부형틀 고정 공정에 상당한다.
통 모양으로 성형된 절연필름(42)이 캐비티(38)에 수용되면 도 12(f)에서와 같이 상부형틀(34)은 하부형틀(33)의 상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용해된 수지는 상부형틀(34)의 저장부(41)에 주입된다. 저장부(41)에 주입된 수지는 스풀런너(40) 및 노즐(39)을 경유해서 캐비티(38)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통 모양으로 성형된 절연필름(42) 즉 몸체부(22)를 인서트품으로 하는 인서트 성형이 이루어져 몸체부(22)는 제 1 플랜지부(23), 제 2 플랜지부(24) 및 피결합부(25)와 일체로 성형된다. 즉, 용해된 수지의 주입에 의해 몸체부(22)를 인서트품으로서 제 1 플랜지부(23), 제 2 플랜지부(24) 및 피결합부(25)는 몸체부(22)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 공정은, 플랜지부 성형 공정에 해당한다. 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수지의 주입으로 형성되는 피결합부(25)는 몸체부(22)의 결합홀(22e)로 진입한다. 그 때문에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로부터 일체로 돌출하는 피결합부(25)는 결합홀(22e)과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미리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절연 필름에 시행함으로써 몸체부(22)의 표면은 젖음성 및 접착성이 향상된다. 그 때문에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형성하는 용해된 수지는 절연필름(42)을 따라서 유동성이 확보된다. 그 결과,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형성하는 수지는 몸체부(22)에 충분한 범위에서 접착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22)와 플랜지부는 충분히 접합하고, 성형 후의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가 깨지는 일 등이 줄어든다.
인서트 성형에 의한 플랜지부 성형 공정 후, 상부형틀(34)은 하부형틀(33)로부터 떼어내진다. 그리고, 하부형틀(33)의 가동 하부형틀(37)은 형틀(型)을 개방한다. 이때, 토대부(32)의 돌출 핀(36)을 토대부(32)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토대부(32)로부터 떼어진다.
또한, 상기한 제조 공정의 설명에서는 몸체부 정형 공정을 행하기 전에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몸체부 정형 공정을 실시한 후, 또 플랜지부 성형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표면 처리 공정을 수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표면 처리는 절연필름(42)을 소정 크기로 성형한 후, 이 절연필름(42)에 수행해도 된다. 또, 몸체부 정형 공정을 수행하기 전, 및 몸체부 정형 공정을 수행한 후, 그리고 플랜지부 성형 공정을 행하기 전의 어느 시기에도 표면 처리 공정을 실시해도 좋다.
이어서 코일(16)을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에 설치하는 순서에 대해 도 1~도 4, 도 6,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가공으로 얻어진 도 11에 나타낸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몸체부(22)의 외주에 전선이 감긴다. 이에 따라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도 6에서와 같이 몸체부(22)의 외주에 코일(16)이 설치된다. 또,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몸체부(22)의 내주측에 충전부재(26)가 충전된다. 코일(16)이 설치되고 충전부재(26)가 충전된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도 6중의 화살표(F)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고정자 철심(15)의 내주측에서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코일(16)은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사이에 두고 티스부(18)에 집중적으로 감긴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도 4에서와 같이 티스부(18)는 몸체부(22)의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보다 더 안쪽에 수용된다. 한편, 몸체부(22)의 상측벽(22a) 및 하측벽(22b)은 고정자 철심(15)의 축방향에 있어서 티스부(18)의 전체 길이보다 바깥 쪽에 위치한다. 또한, 몸체부(22)와 티스부(18) 사이는 충전부재(26)에 의해서 메워진다. 고정자 철심(15)은 모든 티스부(18)에 코일(16)이 설치된 전기 기기용 보빈(21)이 장착된다.
여기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전선의 선적률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b)에서 나타내는 종래의 전기 기기용 보빈(101)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몸체부(102)와 제 1 플랜지부(103) 및 제 2 플랜지부(104)가 동일한 수지로 이음매 없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몸체부(102)의 두께(T0)는 성형시의 제약으로부터 적어도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 후에 깨어지는 일이 없을 정도의 치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몸체부(102)의 두께(T0)는 예를 들면 T0=1~3mm정도가 요구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경우, 몸체부(22) 중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은 두께(T1)가 T1=0.05mm~0.5mm의 절연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전선 선적률은 종래 구성에서의 전기 기기용 보빈(101)과 비교해서 (T0-T1)에 해당되는 만큼 높아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코일 도체에 전류I(A)가 흐르는 경우, 코일의 축 중심(O)의 자속밀도(B)는 「B=μ0Nl/2r:다만,μ0은 진공의 투자율(透磁率), N는 1m당 감김수, l은 코일 길이, r은 코일의 반경」으로 나타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몸체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몸체부(102)에 비해 얇다. 그로 인해 제 1 실시형태의 몸체부(22)의 외주에 설치되는 코일(16)의 반경(r1)은 종래의 코일 반경 r0보다 (T0-T1)에 해당되는 만큼 작아진다. 그 결과, 제 1 실시형태의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이용한 코일(16)은 종래에 비해 자속(磁束) 밀도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자속 밀도의 관점에서도 회전 전기(11)의 회전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에 끼어지는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는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의 두께가 0.05~0.5mm의 절연 필름으로 구성된다. 그 때문에 몸체부(22)의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의 두께는 종래의 인서트 성형으로 형성되는 보빈보다 더 얇아진다. 따라서, 보다 많은 전선을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몸체부(22)에 감을 수 있어서 전선의 선적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가 얇아지기 때문에 전선에서 발생된 열은 얇은 몸체부(22)를 경유해서 고정자 철심(15)으로 용이하게 전달된다. 따라서, 전선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확산시킬 수 있어 방열성을 높일 수 있다.방열성이 높아짐에 따라 회전전기(回傳電氣)(11)는 고출력화 및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몸체부(22)의 축방향 단부에 결합홀(22e)를 가지고 있다. 몸체부(22)의 축방향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각각 피결합부(25)가 결합홀(22e)에 진입해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몸체부(22)와 제 2 플랜지부(24)는 높은 강도로 접합된다. 따라서, 몸체부(22)로부터의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탈락을 줄일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몸체부(22)를 인서트품으로서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충분한 두께가 확보된다. 따라서,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고정자 철심(15) 등의 부품으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몸체부(22)의 내주측에는 충전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충전부재(26)는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 사이의 단차를 채운다. 이에 따라 전기 기기용 보빈(21)을 티스부(18)에 부착했을 때 몸체부(22)와 티스부(18) 사이의 틈새는 유동성이 있는 충전부재(26)에 의해 메워진다. 그 때문에 코일(16)을 구성하는 전선에서 발생한 열은 충전부재(26)로부터 몸체부(22)를 경유해 고정자 철심(15)에 전달된다. 따라서, 코일(16)의 방열성이 향상되고 코일 (16)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몸체부 정형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또는 몸체부 정형 공정을 수행한 후, 또한 플랜지부 성형 공정을 행하기 전에, 절연 재료의 표면에 젖음성을 양호하게 하는 표면 처리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인서트 성형시에 있어서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형성하는 용해된 수지는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재료에 따라서 유동(流動)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형성하는 수지와 몸체부(22)를 형성하는 절연 재료와는 높은 접착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성형 후의 깨어짐 등을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21)의 주요부를 도 15에 나타낸다.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거의 대칭적인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15에서는 제 1 플랜지부(23)의 주위를 도시하고 제 2 플랜지부(24)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플랜지부(23)는 도 15에서와 같이 한 쌍의 삽입편(23a)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삽입편(23a)은 몸체부(2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몸체부(22)를 사이에 둔 위치에 마련된다. 삽입편(23a)은 제 1 플랜지부(23)와 동시에 제 1 플랜지부(23)와 동일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다. 한 쌍의 삽입편(23a) 중 하나는 몸체부(22)의 지름 방향에서 내측에 위치해 있다. 삽입편(23a)의 다른 하나는 몸체부(22)의 지름 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경우 결합홀(22e)은 몸체부(22)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양단부가 이들 한 쌍의 삽입편(23a)에 대향하고 있다. 즉, 결합홀(22e)은 한쪽 단부가 내주측의 삽입편(23a)과 대향하고, 다른 한쪽의 단부가 외주측의 삽입편(23a)과 대향해 있다. 그리고, 제 1 플랜지부(23)에서 돌출되는 피결합부(25)는 이들 한 쌍의 삽입편(23a)을 몸체부(22)의 지름 방향으로 접속해 있다. 즉, 피결합부(25)는 결합홀(22e)를 통과해서 한 쌍의 삽입편(23a)끼리를 몸체부(22)의 지름 방향으로 접속한다. 피결합부(25)는 양단부가 모두 삽입편(23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플랜지부(23)를 형성할 때, 제 1 플랜지부(23)가 되는 용해된 수지는 삽입편(23a)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일부가 결합홀(22e)로 진입하여 피결합부(25)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 1 플랜지부(23)는 삽입편(23a) 및 피결합부(25)를 수지와 일체로 형성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몸체부(22)는 일체의 삽입편(23a) 및 피결합부(25)에 의해서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제 1 플랜지부(23)에 고정된다. 따라서,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의 접합 강도를 보다 더 한층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플랜지부(24)는 제 1 플랜지부(23)와 같은 구성이다. 따라서, 제 2 플랜지부(24)도 제 1 플랜지부(23)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2)와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기기용 보빈(71)을 도 16 및 도 17에서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에서 나타내는 전기 기기용 보빈(71)은 보강용 연결부(72)를 구비한다. 연결부(72)는 제 1 플랜지부(23)와 제2 플랜지부(24)를 잇는 측벽이다. 이 연결부(72)는 제1 플랜지부(23) 및 제2 플랜지부(24)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72)는 상측벽(22a)의 외주측인 상측 및 하측벽(22b)의 외주측인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기 기기용 보빈(71)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2)를 인서트 품으로서 인서트 성형된다. 연결부(72)는 이 인서트 성형시에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에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72)의 두께는 인서트 성형으로 성형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정된다. 연결부(72)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mm로 설정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72)는 제 1 플랜지부(23)와 제 2 플랜지부(2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부(72)는 몸체부(22)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그 때문에 몸체부(22)는 특히 축방향에서의 압축에 대한 강도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몸체부(22)는 변형이 줄어든다. 따라서, 전기 기기용 보빈(7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72)는 상측벽(22a) 및 하측벽(22b)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몸체부(22)는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이 절연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부(72)를 설치해도 코일(16)을 구성하는 전선의 감김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강도를 높이면서 전선의 선적률을 높일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81)을 도 18 및 도 19에서 나타낸다. 도 18 및 도 19에서 나타내는 전기 기기용 보빈(81)은 보강용 연결부(82)를 구비한다. 연결부(82)는 제 1 플랜지부(23)와 제 2 플랜지부(24)를 잇는 측벽이다. 이 연결부(82)는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82)는 상측벽(22a)의 내주측인 하측 및 하측벽(22b)의 내주측인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기 기기용 보빈(81)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2)를 인서트 품으로서 인서트 성형된다. 연결부(82)는 이 인서트 성형시에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에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부(82의 두께는 인서트 성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된다. 연결부(82)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mm로 설정되어 있다.
제 4 실시형태도,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선의 선적률을 높이면서 전기 기기용 보빈(8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91)을 도 20에서 나타낸다.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91)은 상기의 여러 실시형태에서의 인서트 성형을 대신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제 5 실시형태의 경우 몸체부(22)는 도 20(b) 및 도 20(e)에서와 같이 축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접어 구부러진다. 이에 따라 몸체부(22)는 축방향의 양단부에 플랜지부(22f)를 가진다. 결합홀(22e)은 플랜지부(22f)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5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는 모두 2층 구조이다.
제 1 플랜지부(23)는 두 장의 제 1 플랜지편(23b) 및 접착부재(92)를 가지고 있다. 제 1 플랜지편(23b)은 도 20(c) 및 도 20(e)에서와 같이 제 1 플랜지부(23)의 두께를 이등분해서 형성된다. 접착부재(92)는 도 20(d) 및 도 20(e)에서와 같이 제 1 플랜지편(23b)과 몸체부(22)를 접착한다. 접착부재(92)는 도 20(d)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제 1 플랜지부(23)와 같은 형상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착부재(92)는 양면에 접착성을 가지는 접착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랜지부(23)는 축방향의 단부측에서부터 차례로 제 1 플랜지편(23b), 접착부재(92),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 접착부재(92), 제 1 플랜지편(23b)을 적층해서 몸체부(22)와 일체로 설치된다. 이때 결합홀(22e)은 두 장의 제 1 플랜지편(23b)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플랜지부(24)는 두 장의 제2 플랜지편(24b) 및 접착부재(92)를 가진다. 제 2 플랜지편(24b)은 도 20(e)에서와 같이 제 2 플랜지부(24)의 두께를 이등분해서 형성된다. 접착부재(92)는 도 20(d) 및 도 20(e)에서와 같이 제2 플랜지편 (24b)과 몸체부(22)를 접착한다. 접착부재(92)는 양면에 접착성을 가지는 접착시트로 형성되고 제 2 플랜지부(24)와 같은 형상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플랜지부(24)는 축방향의 단부측에서부터 차례로 제 2 플랜지편(24b), 접착부재(92),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 접착부재(92), 제 2 플랜지편(24b)을 적층하고, 몸체부(22)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결합홀(22e)은 두 장의 제 2 플랜지편(24b) 사이에 배치된다. 제 5 실시형태의 경우 두 장의 제 1 플랜지편(23b)은 삽입편에 상당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두 장의 제 2 플랜지편(24b)은 삽입편에 상당한다.
이어서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기기용 보빈(91)의 제조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몸체부(22)를 구성하는 절연필름(42)은 표면에 플라스마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시행된다. 이 표면 처리를 시행하는 공정은 표면 처리 공정에 상당한다. 표면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설명을 생략한다. 절연필름(42)에 표면 처리가 시행되면, 절연필름(42)은 도 20(a)에서와 같이 몸체부(22)가 펼쳐진 직사각형으로 성형된다. 이때, 절연필름(42)은 도 20(b)에서와 같이 긴 변에 있어서 절개부(42a)를 형성해도 좋다. 절개부(42a)를 형성함으로써 후의 공정에 있어서 접어 구부리기가 쉬워진다. 그리고 표면 처리를 시행할 시기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성형된 절연필름(42)은 도 20(b)에서와 같이 각 기둥 모양으로 절곡되어 몸체부(22)로 성형된다. 그리고 성형된 절연필름(42)은 축방향의 양단을 외주측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플랜지부(22f)가 형성된다. 이 공정은 몸체부 정형 공정에 상당한다.
몸체부 정형 공정으로 형성된 몸체부(22)는 플랜지부 성형 공정으로 이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에는 도 20(e) 및 도 20(f)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랜지편(23b) 및 제 2 플랜지편(24b), 접착부재(92)가 소정의 순서로 적층된다. 그 후, 적층된 부재는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로 성형된다. 제 1 플랜지부(23)는 몸체부(22)의 축방향 단부측에서부터 제 1 플랜지편(23b), 접착부재(92),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 접착부재(92) 및 제 1 플랜지편(23b)의 순서로 적층된 후, 프레스 성형된다. 이에 의해 접착부재(92)는 각 부재를 접착한다. 마찬가지로 제 2 플랜지부(24)는 몸체부(22)의 축방향 단부측에서부터 제 2 플랜지편(24b), 접착부재(92),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 접착부재(92) 및 제2 플랜지편(24b)의 순서로 적층된 후, 프레스 성형된다. 이에 의해, 접착부재(92)는 각 부재를 접착한다.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를 사이에 두는 두 장의 접착부재(92)는 일부가 플랜지부(22f)의 결합홀(22e) 안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플랜지부(22f)의 양측의 접착부재(92)는 결합홀(22e)에 있어서 서로 접착한다. 이에 의해, 몸체부(22)의 플랜지부(22f)는 접착부재(92)에 의해서 제 1 플랜지편(23b) 및 제 2 플랜지편(24b)과 강고하게 접합한다. 이 경우, 접착부재(92) 중 결합홀(22e)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피결합부에 상당한다.
얻어진 전기 기기용 보빈(91)은 제 1 실시형태의 전기 기기용 보빈(21)과 같게 해서, 도 1에서 나타내는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에 끼워진 전기 기기용 보빈(91)의 몸체부(22) 중 적어도 고정자 철심(15)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몸체부(22)의 절연필름이 위치한다.
전술된 제 5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몸체부(22)의 두께는 줄어든다. 그 때문에, 전기 기기용 보빈(91)에는 코일(16)을 형성하는 보다 많은 전선이 감긴다. 따라서, 회전 전기의 고출력화 및 고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성형을 대신하여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몸체부(22)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 6 ~ 제 10 실시형태)
이하, 제 6 실시형태에서부터 제 9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서와 같이 결합홀(22g)은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서와 같이 결합홀(22h)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8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서와 같이 결합홀(22i)은 일부가 절연필름(42)의 외연(外緣)에 개구해 있다. 제 8 실시형태의 경우, 결합홀(22i)은 절연필름(42)의 안쪽일수록 내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결합홀(22i)은 진입한 피결합부(25)와 단단하게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몸체부(22)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의 상대적인 위치의 벗어남을 더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홀(22g~22i)의 형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에서는 도 24에서와 같이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몸체부(22)의 내주측에 충전부재를 마련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코일(16)에서 발생하는 열이 적은 경우 제 9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충전부재(26)를 생략시켜도 좋다.
그리고,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도 25에서와 같이 몸체부(22),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를 두 개로 분할해도 좋다. 이에 의해,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고정자 철심(15)의 티스부(18)에 장착할 때, 티스부(18)을 사이에 둘 수 있다. 또한 전기 기기용 보빈(21)은 둘 이상으로 분할해도 좋고, 분할 위치도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되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은 변형, 확장이 가능하다.
몸체부(22)는, 상측벽(22a), 하측벽(22b),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을 절연필름으로 구성한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몸체부(22)는 적어도 우측벽(22c) 및 좌측벽(22d)이 절연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상측벽(22a) 및 하측벽(22b)은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 같은 재료로 제 1 플랜지부(23) 및 제 2 플랜지부(24)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에서의 연결부(72) 및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연결부(82)는 벽(壁)의 형태로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연결부(72) 및 연결부(82)의 형상은 예를 들면 복수의 기둥 모양으로 형성하는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형태에서의 접착부재(92)는 접착 시트를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접착부재(92)는 접착 시트에 한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유동성을 가지는 접착제라도 좋다. 여러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처리란, 플라스마 처리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코로나 처리나 화학 처리여도 괜찮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절연필름의 재질이나 두께는 각 전기 기기용 보빈의 사용에 의해 적당하게 결정되고, 그 밖에 재료, 형상, 연결부의 위치 등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기 기기용 보빈은 변압기, 인버터 등의 전기 기기 외에 아우터 로터형의 회전 전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절연 필름으로 통(筒)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내주측에 상기 몸체부가 끼워넣어지고, 상기 몸체부와 다른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로부터 지름 방향 바깥 측으로 고리모양으로 돌출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와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주측이 진입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단부를 지름 방향의 양측에서 끼워넣는 한 쌍의 삽입편을 가지는 전기 기기용 보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몸체부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상기 삽입편에 대향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대향한 상기 삽입편 사이에서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고 있는 전기 기기용 보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지름 방향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충전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두께가 0.05mm~0.5mm인 전기 기기용 보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플랜지부를 접속해서 보강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
  7. 두께가 0.05mm~0.5mm인 절연 재료를 통(筒) 모양의 몸체부로 성형하는 공정과,
    통 모양으로 성형한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몸체부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를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를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축방향의 단부에 상기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합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플랜지부를 사출 성형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몸체부를 금형에 배치해서 상기 플랜지부를 인서트 성형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표면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전기 기기용 보빈의 제조 방법.
KR1020127022943A 2010-04-28 2011-04-22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7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3456 2010-04-28
JP2010103456A JP2011234537A (ja) 2010-04-28 2010-04-28 回転電機用ボビン、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用ボビンの製造方法
JPJP-P-2010-183933 2010-08-19
JP2010183933A JP2012044780A (ja) 2010-08-19 2010-08-19 電気機器用ボビン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918A true KR20120117918A (ko) 2012-10-24

Family

ID=4486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943A KR20120117918A (ko) 2010-04-28 2011-04-22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20117918A (ko)
TW (1) TW201218580A (ko)
WO (1) WO20111361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9076B2 (ja) * 2013-01-24 2017-04-26 デュポン帝人アドバンスドペーパー株式会社 モータ用ボビン
JP6533029B2 (ja) * 2013-09-04 2019-06-19 デュポン帝人アドバンスドペーパー株式会社 モータ用ボビン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4110439A1 (de) * 2014-07-24 2016-01-28 Thyssenkrupp Presta Teccenter Ag Rotor für einen Elektromotor
JP2016046843A (ja) * 2014-08-20 2016-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用開閉器
JP6155298B2 (ja) 2015-04-20 2017-06-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
WO2017187522A1 (ja) * 2016-04-26 2017-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固定子、電動機、固定子の製造方法および電動機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7614U (ko) * 1979-05-18 1980-12-02
JPS57106204U (ko) * 1980-12-22 1982-06-30
JPS587310U (ja) * 1981-07-03 1983-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コイル
JPS599506U (ja) * 1982-07-08 1984-01-21 株式会社ユニオン電機 ボビン
JP2009213311A (ja) * 2008-03-05 2009-09-17 Taisei Plas Co Ltd 回転電機の固定子用ボビンとその製造方法
JP4402734B1 (ja) * 2008-07-30 2010-01-20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無接着剤アラミド−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積層体の製造方法、回転電機の絶縁部材及び絶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144A1 (ja) 2011-11-03
TW201218580A (en) 201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918A (ko) 전기 기기용 보빈 및 그 제조방법
EP2963778B1 (en) Stator for a rotary electric machine
JP5365745B1 (ja) 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US20140176291A1 (en) Choke coil
US859013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tor
KR101276042B1 (ko)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JP2011234537A (ja) 回転電機用ボビン、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用ボビンの製造方法
JP6139723B1 (ja)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86508A (ja) 電機子鉄心及び電機子鉄心の製造方法
KR20110122365A (ko) 모터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KR20150077444A (ko) 고정자 또는 회전자
JP2016116417A (ja) コイル巻回部品、コイル巻回部品の製造方法、ステータ、及び回転電機
US7633187B2 (en) Stator for reciprocating mo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04364994A (zh) 旋转电机及旋转电机的制造方法
JP2018026930A (ja)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76210A (ja) 回転電機用ロ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38208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0178520A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JP2004129491A (ja) 高電力密度オールタネータボビン
US11894743B2 (en) Coil assembly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CN115336142A (zh) 旋转电机的定子
US9306435B2 (en) Stator assembly for motor with hall sensor bracket
JP2012044780A (ja) 電気機器用ボビ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62868A9 (ja) 回転電機および産業機械
JP2005269755A (ja) 分割コアを持つ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巻線ボ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